밈뜻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혹시 밈이라는 단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밈 주식, 밈짤 등 밈이라는 단어가 여기저기
많이 들어가다보니 밈뜻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거라고 생각되는데요.
밈뜻은 웃긴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짧은 비디오와 각종 드립과 사진을 포함해서
meme이라고 부르는거죠.
위같은 경우를 포함해서 2차 창작물이나
패러디물이라면 모두 밈뜻에 부합합니다.
본래 어원을 타고 올라가면 1976년 동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님이 집필한 '이기적유전자'라는
책에서 학술용어로 밈뜻은 활용되었었는데요.
본래의 밈뜻은 자신을 복제하는 특성을 띄면서
번식하는 모습을 보이는 즉, 종교나 이념과 사상
따위의 정신적인 사유를 의미했었죠.
하지만, 2000년대 IT버블을 시점으로 인터넷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실체가 없는
문화 전파 현상을 과거에 도킨스의 밈이라는
단어를 가져와 표현하게 된 것이랍니다.



근래 들어서 밈뜻은 전반적으로 유행하는 것을
통징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되곤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유행어와 비슷한 모습도 많이
보여주기도 하죠. 다른 점이 있다면 meme은
문자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나 비디오 등등
활용범위가 굉장히 높다는 점입니다.
친구들 사이에서 장난으로 사용되던 meme은
점차 그 영향력이 확대되는가 싶더니 요즘에는
새로운 유행을 선도하는 트렌드가 되어 해마다
신조어를 탄생시키는 근원이 되기도 하죠.
오픈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의 경우
마케팅에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평소에 페이스북, DM, 카카오톡 등 SN을 통해
메시지로 주고받던 습관을 노린 마케팅 같은데
결과를 보면 나름 성공적인 것 같아 보입니다.
습관이란게 정말 무서우니까요.
자연스럽게 침투되어 서로서로 알게모르게
그 기업의 마케팅을 도와주고 있는 셈인거죠.


meme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사진이 있습니다.
여러분도 컨텐츠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죠. 방송이나 각종 영상을
보다가 웃기게 나온 사진들을 캡쳐해서 짧게
텍스트만 넣으면 meme짤이 완성되는 겁니다.
보통 미드나 영화, 예능프로에서 출연자들이
웃긴 표정을 지을 때 많이들 캡쳐하시죠?
친구들과 소소하게 장난칠 때 센스있는 드립을
날리는 용도로 사용하시면 적절할 것 같습니다.
한 때 슈스케 이승철님, 무한도전 박명수님 짤이
인터넷에 돌아다녔는데요, 대표적인 meme짤
의 예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헌데, 밈뜻을 알고나면 조금 의아해지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밈이라는 것 자체가 널리 퍼지면
아는 사람들끼리만 의미를 알고 웃던 것이 이젠
모두가 공감하며 웃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는
곳 죽은밈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니까요.
아이러니한 것이지만 밈뜻 그대로의 의미가
보존되려면 밈을 알려지지 않아야 한다는거죠.
밈짤 이라는게 밈짤로 알려지면 더이상은
밈짤이 아닌게 되버리는 겁니다. 밈은 밈으로
알려지는 순간 밈의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니까요.


meme문화가 널리 퍼지기 전부터도 한국에서는
짧은 음절의 단어나 유행어로 meme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었는데요. 한 단어나 한 문장 밖에
되지 않아 지금의 meme과는 다소 다르긴하지만
큰 맥락에서는 보면 일맥상통하다고 할 수 있죠.
이렇게 특정 커뮤니티에서만 쓰이던 meme이
2010년대 후반부터 대중적으로 퍼져나갔는데
이걸 meme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인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자리 잡게 될
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네요.

이번 글에서는 밈뜻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뭐든지 너무 깊게 들어가는 건 신상에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밈뜻만 어느정도 알아두고
잘 사용하면서 즐기면 그만이지 본래의 어원을
따지고 의미가 어떻고 하기에는 우리의 인생이
너무 소중하고 짧잖아요? ^^
저도 포스팅하려고 공부를 좀 하다가 문득
내가 이걸 왜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어
사이트를 다 닫아버렸습니다.
이제 밈뜻도 잘 아셨을테니 앞으로 지인들과
대화하실 때 밈짤 몇개 잘 모아두셨다가 센스있게
사용해 보시길 바랄께요!
편안한 밤 되세요. ^0^
(현빈 존잘이네요)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 모르면 손해 (0) | 2023.02.14 |
---|---|
력으로 시작하는 단어 , 한방 당해서 찾아 봄 (0) | 2023.02.14 |
네이버 영수증 리뷰로 돈 버는 법 (feat. 짠테크) (0) | 2023.02.14 |
콜택시 부르는 법 알아 두면 유용한 정보 ! feat . 카카오택시 (0) | 2023.02.14 |
7번가피자 칼로리 메뉴별로 정리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