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유엔젤 22.05.16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6.
반응형

7. 기타 참고사항

 

가. 산업 전반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이동통신산업은 이동통신단말의 진화에 따라 급격하게 변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부터 2000년 초반은 음성 통화 서비스 위주의 시장이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데이터 서비스 위주의 시장으로 변하였습니다.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확대, 플랫폼(Platform)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수요증대 등 산업적 트렌트(Trend)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실시간 무선인터넷 서비스라는 스마트 트렌드(Smart-Trend)에 따라 이동통신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즉, 산업의 특성이 빠르게 변화하며, 현재는 시장의 수요에 따라 통신시장이 진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이동통신 산업의 특성에 맞게 성장성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는 이동전화 가입자수와 보급률 그리고 이동통신 시장규모라 할 수 있습니다. 

 

[ 이동전화 가입자수 및 보급률]
(단위 : %, 만명)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월 증가율
이동전화 보급률(%) 126.65% 131.38% 134.16% 138.99% 141.22% 2.23%
가입자수 (만명) 6,536 6,794 6,954 7,192 7,291 1.38%
1) 피쳐폰 632 506 365 185 171 -7.98%
2) 스마트폰 5,077 5,113 5,222 5,347 5,378 0.58%
3) 사물인터넷
 (태블릿, M2M 등)
828 1,174 1,366 1,660 1,743 4.98%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국,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 현황)
(출처 : 통계청, KOSIS 100대지표_추계인구('22))


상기 표에서 보듯이 이동전화 보급률은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고,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2022년 3월 기준 전년대비 2.23% 수준의 꾸준한 성장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동향 측면에서 기존 피처폰 가입자 수는 가파른 속도로 감소하는 반면에 태블릿PC, 스마트워치 등 사물인터넷 가입자수는 전년대비 4.98%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술 및 시장동향을 살펴보면, 기존 음성통신 서비스 및 문자서비스 시장은 축소되고 있는 반면, 데이터 서비스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는 스마트폰 기반의 다양한 과금체계,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플랫폼(Platform), 스마트콘텐츠(Smart Contents),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라는 새로운 수요를 낳고 있습니다.

종합하면, 통신산업의 전통적인 음성 및 문자서비스 사업 등 시장은 축소가 확대되고, 데이터 중심의 시장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차세대 기술인 5G, NFV/SDN 등 기술의 진보를 통해 통신산업을 업그레이드하는 중이며, 타산업과의 융화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사업과 연계한 핀테크 분야,생활의 편리성을 더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Internet of Things), Big Data 등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으로 통신산업은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며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3) 계절성

당사의 수익모델은 크게 2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먼저 당사가 개발하는 솔루션의 판매방식이 1회성 공급계약으로서, 당사와 계약하는 상대방은 통신사업자임에 따라 통신사업자의 투자예산 책정과 집행 시기에 크게 좌우됩니다.

통상 년초 투자예산을 편성하고 하반기 계약이 이뤄짐에 따라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합니다.

두번째는 통신사업자와 제휴한 통신 부가서비스 수익배분 방식의 모델이 있습니다.
이는 매월 통신서비스 이용자의 이용요금에 따라 창출되는 수익으로서 경기변동에 크게 좌우되지는 않습니다만, 경기불황이 심화되면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정부는 소프트웨어 (S/W) 산업을 "미래선도사업"으로 지정하고 2020년 세계 3대 IT 수출 강국 도약을 목표로 "IT 산업비전 2020('10.10), "ICT R&D 중장기 전략(13.10)" 등의 세부적인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생산성과 부가가치율이 높고 여타의 다른 산업들과  연관효과가 큰 IT서비스산업을 집중투자, 육성하기로 한 만큼 관련 산업 전반에 수혜가 예상됩니다.

(5)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경쟁요소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습니다.

  -  주요 제품의 핵심 표준 기술 보유
  -  이동통신사업자 납품실적(References)
  -  이동통신사업자의 납품요구에 대한 즉시 대응 능력
  -  유지보수의 지속성
  -  핵심망 국제 표준규격을 준수하는 기술 보유
  -  서비스 사업자의 요구사항 분석 능력
  -  통신망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및 컨설턴트 능력
  -  시스템 신뢰성 및 안정적인 공급 능력

상기의 요소들에서 보듯이 당사가 속한 산업은 기술적 진입장벽과 마케팅 장벽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당사는 국내 통신사업자들의 치열한 경쟁환경을 이해하고, 중요마케팅 타겟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서비스 사업자 관점에서의 요구사항 분석능력과 해당 사업자의 통신망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당사는 핵심 연구인력의 상당수가 통신서비스 사업자 또는 관련기업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제품의 국제표준 규격들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현장 경험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어 핵심망 분야에서는 선도적인 업체로 고객에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유엔젤 주식회사 


당사는 국내외 유무선 통신사업자 등에게 통신서비스 핵심망 솔루션,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및 부가 서비스 솔루션을 공급하는 소프트웨어 전문개발기업입니다. 또한 당사는 ICT 기술 기반의 유아교육 콘텐츠와 솔루션 사업을 자사 브랜드로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육 전문 서비스업체이기도 합니다.

당사의 주요제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의 주요제품 및 서비스]

분 야 구 분 주 요 제 품
이동통신
핵심망
솔루션
지능망 솔루션 . 서비스제어 및 관리시스템(IMS-GWF, SCP)
. 서비스/사용자 정보관리 시스템(SDP)
. 미디어처리장치(MRF, IP)
. 서비스 생성환경 (SCE &SLEE)
. 실시간 과금 시스템(OCS ; Online Charging System)
. 번호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NPDB)
eMBMS 솔루션 . 이동통신 방송용 솔루션 : BM-SC, MBMS GW
. 멀티미디어 그룹통신 솔루션 : PS-LTE향 BM-SC, GCSE AS
IMS 솔루션 . 타 IMS망간 중계 시스템(IBCF, TrGW)
. 미디어처리 시스템(MGCF, MGW)
네트워크
가상화
기반 솔루션 . 가상화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 솔루션(VNF)

. 단일 VNF에 대한 관리솔루션(EM)
. 다수 VNF에 대한 통합관리솔루션(VNFM)
메세징 메세징 서비스 관련 솔루션 . 단문메시지 전송시스템(SMSC, IP-SMSC)
. 멀티미디어메시지 전송시스템(MMSC, MMSG)
. 브로드캐스팅메세지 전송시스템(CBSC)
. 이기종망간 메시지 중계시스템(IP-SM-GW)
.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IM)
인증,과금,QoS 시스널 제어 기본 인프라 솔루션 . 망내 장비들간 시그널 메시지 라우팅(DRA)
. 로밍 시그널 메시지 라우팅(DEA)
. 이기종망간 시그널 메시지 라우팅(IWF)
사물인터넷
(IoT)
기본 인프라 솔루션 . 개방형 IoT 플랫폼
. 센싱 데이터 분석 엔진
. 차량관제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 스마트 공장 품질분석 애플리케이션
. 시설물 관제 솔루션 및 애플리케이션
. 이동통신망과 IoT 서비스서버간 게이트웨이(SCEF/MTC-IWF)
스마트러닝 유아교수용 솔루션 . 토모노트 : 유아교육기관용 통합 교수활용 솔루션
. 누리과정, 방과 후 등 약 4천여 종 교육 콘텐츠
. 토모동화 : 유명 출판사와 제휴한 동화전문 서비스
홈스쿨링 놀이학습 서비스 . 토모키즈 : 1만여종의 놀이학습 및 동영상 콘텐츠
. EBS한글이야호 전용 패드
스마트 알림장 . 토모링 : 선생님과 학부모간 커뮤니케이션 채널
. 토모노트 콘텐츠 연계
컨버전스
서비스
플랫폼
AR/VR 플랫폼 및 서비스 . AR/VR 기반 교육 플랫폼
. AR/VR 기반 몰입형, 체험형 교육 콘텐츠
기업용 헙업 솔루션 . 기업용 SNS 솔루션 : 채팅, 파일공유, 게시판 등
유무선 통합 마케팅 솔루션 . KT통화매니저 : KT 통화 API 기반 솔루션
. 이지콜 매니저 : 유선 발신전화번호 기반의 고객관리 및 마케팅 솔루션


상기 표와 같이 당사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세부적으로 7개 분야로 구분할 수 있고, 크게는 모바일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유무선 컨버전스 서비스 및 유아교육 솔루션, 4개 사업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 모바일 네트워크 분야는 당사의 전통적인 사업으로 국내외 이동통신시장에서 입증된 업계 최고의 기반 기술을 기반으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망 장비들을 국내외 유수 통신사들에게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Cash Cow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5G 시장을 겨냥하여 기존 핵심망 장비들을 가상화 기술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하여 통신사업자들에게 공급할 계획입니다. 


기존 장비 뿐에 대한 업그레이드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5G 망에서 신규로 정의된 신규 장비들 - 예를 들어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에 대한 신규 연구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사업은 당사가 2015년부터 ICT 기술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추진한 사업분야로 국내 유수 통신사업자의 국제표준 기반의 IoT 플랫폼 용역개발을 시작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산자원부의 대규모 국책 연구개발사업을 수주함으로써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요소인 IoT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였습니다. 단기간에 축적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유수 통신사업자의 사물인터넷 핵심 서비스플랫폼 개발 전략과제를 수주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자율운전자동차, 스마트시티, 스마트에너지, 스마트쉽 분야의 솔루션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축적된 기술력과 운영 경험을 토대로 당사 자체 솔루션인 T2X 솔루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사물인터넷 사업은 매년 상당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면서 당사의 미래 성장동력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한 2010년 초반부터 통신시장의 거대한 변화를 조기 인지하고 스마트폰 앱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게임, 엔터테인먼트, 생활 편의 등 100여개의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였고, 이런 경험을 토대로 2014년부터 유아교육 스마트 앱 사업을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 유아교육 사업은 교육기관용 교육서비스, 모바일 놀이학습 서비스, 그리고 교육기관 교육과 모바일 교육을 연결하는 홈 스쿨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국내 유아교육기관의 누리교육과정 교육 커리큘럼에 맞춰서 유아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유아교육 시장에서 국내 1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아교육 사업을 네트워크 사업과 함께 2대 주력사업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향후 새로운 Cash Cow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종속회사

회사명 해당국가 주 요 현 황
PT. UANGEL Indonesia 인도네시아 회사는 2007년 8월 31일 정보통신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ㆍ공급ㆍ서비스를 목적으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회사는 인도네시아 시장의 시장조사 및 영업대행, 운영,유지보수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신규 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몰입형 콘텐츠 등을 대변되는 ICT 기술의 지능화와 5G, All Connected로 불리는 네트워크의 진화를 통하여 산업 전반과 개인들의 삶의 방식도 새롭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변화는 4차 산업혁명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유엔젤은 급격한 ICT 기술과 시장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다가오는 신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에 맞춰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스마트러닝 (유아교육사업)

 

 당사는 유아교육 사업을 크게 교육기관 대상의 B2B 사업과 학부모, 유아 대상의 B2C 사업으로 나누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B2B 사업은 어린이집, 유치원 등 유아교육기관의 학습 커리큘럼인 누리교육과정을 디지털 교수활동용 콘텐츠로 체계화한 ‘토모노트’ 서비스를 중심으로 기존의 실물 교구, 교재 중심의 아날로그 방식의 유아교육시장을 최신 ICT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교육 콘텐츠 중심의 스마트러닝 교육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누리교육과정을 디지털 콘텐츠 방식으로 제공하는 유아대상 스마트러닝 교육활동 서비스로는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당사 '토모노트' 서비스를 도입하는 유아교육기관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유엔젤의 국내 최고의 ICT 기술을 유아교육 콘텐츠에 적용하여 VR/AR,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한 몰입형, 체험형 교육 콘텐츠들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토모노트' 외에도 '토모동화', '키즐', '플라잉', '(가칭)토모코딩’ 등 새로운 교육 상품들을 출시 또는 준비 중에 있습니다. 이처럼 중장기 제품로드맵을 기반으로 시장에서 필요하는 상품들을 적시에 출시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을 더욱 확대, 강화할 것입니다.

  

  B2C 사업은 유아 대상의 앱북(App Book) 서비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10,000 여종의 유아용 놀이학습 콘텐츠와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토모키즈’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숙련된 유아교육 기획전문가집단을 통해서 유아들이 즐겁게 놀면서 학습할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습니다. 


유엔젤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모바일 교육서비스인 ‘토모키즈’와 유아교육기관 대상의 교육 서비스인 ‘토모노트’를 매개로 아이들이 방과 후에 집에서 부모들과 즐겁고 재미나게 놀이학습을 할 수 있는 홈스쿨링 서비스인 ‘토모링’도 출시하였습니다. 

  

  유아교육 시장은 유엔젤 투자사업에서 이제는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새로운 Cash Cow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사물인터넷 사업

 

 국내 ICT 전문컨설팅 기관 등은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은 홈 IoT 시장에서 산업 전 분야로 시장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산업 분야 중 대표적인 분야가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스마트공장과 다양한 이기종 산업이 융합된 자율운행차량 사업입니다. 

 

 당사는 2015년부터 사물인터넷 사업을 미래성장 전략사업으로 지정하고 연구개발분야에 대규모를 투자를 해오고 있습니다. 연구개발의 성과로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와 개방형 IoT 서비스플랫폼을 개발하였고, 정부의 ICT R&D 국책과제를 수주하여 스마트팩토리 대상의 품질관리 IoT 플랫폼을 개발함으로써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들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자율운행자동차 사업분야에서도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의 용역개발을 통해서 개방형 커넥티드 카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차량관제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IoT 사업 강화를 위해 IoT 사업 5개년 로드맵을 수립하여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IoT 사업담당부서도 사업팀과 개발 조직까지 포함한 IoT 사업본부 체제로 확대 개편하여 IoT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사업은 유엔젤의 새로운 미래성장사업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입니다. 

  

■ 5G 네트워크 사업

 

 국내외 통신사들은 5G 서비스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5G 상용화 서비스가 개시되면 기존의 3G, 4G 시장을 점진적으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글로벌 5G 이동통신시장은 1조 1,588억원 달러 규모로, 국내 시장은 381억 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집니다. 

 

 유엔젤은 5G 이동통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선도적인 연구과제 수행 및 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연구분야는 가상화, 서비스 기반의 구조, 신규 이동통신 프로토콜이며, 통신사업자/5G 표준화 일정에 맞추어 선행 관점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가상화 부분에 대해선 가상화 파트너쉽 프로그램(VMware, HP)에 참여하여 상용화를 위한 실질적 검증 단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5G 핵심은 무선 속도 고도화이지만, 실제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기존 서비스 솔루션들이 5G 망 환경에서 seamless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에 유엔젤은 지난 20년간 통신망의 진화에 맞추어 국내외 통신사업자 대상으로 납품/운용하고 있는 통신 코어 솔루션(지능망, 실시간 과금, 메시징, 메시지 라우팅 솔루션 등)을 5G 환경에 적합한 가상화 구조로 고도화하고 있고, 기 보유 솔루션 뿐만 아니라 5G 표준 규격에서 신규로 정의하고 있는 솔루션(NRF, PCF, NEF)에 대한 연구 및 선행 개발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5G 표준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핵심 서비스들(Massive IoT, Enhanced Mobile Broadband Network Operation 등)에 대해서 용역개발, 국책과제 등의 형태로 연구개발을 이미 진행하고 있습니다. 

 

■ 몰입형/체험형 서비스 사업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능향상, ICT 기술의 진화, 네트워크의 고속/광대화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스마트 서비스 경험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것입니다. 그 대표적인 서비스가 바로 AR, VR, MR(Mixed Reality), XR(eXtened Reality) 기술이 접목된 몰입형, 실감형, 체험형 콘텐츠입니다. 몰입형, 체험형 콘텐츠는 개인 사용자 대상의 서비스는 게임 중심의 엔터테이먼트형 서비스가 중심이 될 것으로, 산업 전반적으로 의료, 교육, 제조업 등 분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ICT 시장조사업체들은 VR(가상현실)보다는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 분야가 시장에서 더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유엔젤은 2017년 미래과학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AR/MR 기반 교육 응용 제작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 과제 주관사로 선정되어 교육전문기업인 천재교육, 정부출연연구소인 전자부품연구원과 공동으로 국내 디지털 교과서에서 활용될 수 있는 AR/MR 기반의 교육 콘텐츠, AR/MR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착용형 단말기와 다양한 콘텐츠들을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책과제를 통하여 축적한 AR/VR/MR 콘텐츠 기술을 당사가 운영하고 있는 유아용 교육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경쟁사와 차별화된 유아교육 콘텐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AI 통화 연동 솔루션을 보여하여 SKT의 NUGU 케어콜 시스템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및 노인 케어콜, AI 전화 비서,  AI 예약 도우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국책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 특수 통신망 사업 (국가재난통신망, LTE-R)

 

 정부는 2016년부터 경찰, 해경, 소방서, 군, 지차체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합하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하 ‘재난망’)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 이미 KT와 SK텔레콤을 ‘시범사업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에는 SK텔레콤을 '2018 평창동계올림픽 안전지원을 위한 재난안전통신망 보강 사업‘ 사업자로 선정하였습니다. 한국의 재난망은 2017년에 PS-LTE(Public Safety-LTE) 기술을 표준무선통신기술로 선정하였습니다. PS-LTE 표준 기술에는 재난현장에서 안전한 통신 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단말기와 단말기간 직접 통신, 그룹 통화 방식 등 다양한 통신기술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룹통신 방식에는 음성통화 기반의 그룹통신과 영상통화 기반의 그룹통신 방식을 정의하고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의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대규모 사용자들에게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장비가 필요합니다. 


유엔젤은 세계 최초로 eMBMS 장비를 상용화한 기술을 토대로 SK텔레콤과 PS-LTE용 eMBMS 공급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였고, 평창 보강사업에 당사 eMBMS 제품이 구축되었습니다. 


대규모 투자가 집행되는 재난망 사업은 단일 통신사업자가 아니라 복수의 통신사업자가 서비스 사업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유엔젤은 SK텔레콤과 재난망 본사업에 eMBMS 시스템을 구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재난망은 다른 재난안전통신망들을 아루르는 통신망으로 해경 안전통신망(LTE-R), 철도 재난안전통신망(LTE-R)과의 연계 사업도 동시에 정부과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특히 LTE-R 철도 안전통신망은 2016년부터 10년간 전국 5,000km 철도 구간에 2조원 규모가 투입되는 대규모 철도통합망구축사업입니다. 유엔젤은 LTE-R 사업을 SK텔레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서 재난안전통신망 장비인 PS-LTE eMBMS와 그 외 부가 장비들(IMS, 메세징 서버, 차량운행관리 솔루션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LTE-R 사업은 2026년까지 30 여개 주요 구간별로 장비구축사업자들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KT와 SK텔레콤이 번갈아 가면서 LTE-R 사업을 수주하고 있습니다. 


 LTE-R 사업은 유엔젤의 또 다른 중장기 전략 사업으로 역할을 기대 하고 있습니다.


다. 중요한 특허권, 실용신안권, 의장권, 상표권 및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지식재산권자 등록일자 종류 특허 내용 근거법령 취득소요인력
유엔젤주식회사 2004.11.02 특허 공통선 신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가상 장치 및 그를이용한 메시지 처리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5.09.28 특허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방법 특허법 2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5.09.28 특허 착신 정보 통보 시스템의 처리 방법 특허법 2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5.12.22 특허 착신 호의 선택적인 거부 서비스 방법 특허법 2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6.05.25 특허 스팸전화 자동 식별 및 차단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6.06.07 특허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신호 선택 연결 서비스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6.09.07 특허 통신시스템에서의 문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6.09.07 특허 통신시스템에서의 등록정보 표시 서비스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6.11.20 특허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6.12.18 특허 통신시스템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특허법 3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7.06.27 특허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 정보 통보 시스템의 처리 방법 특허법 3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8.04.10 특허 로밍 지역의 전화 번호를 부여하는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8.04.28 특허 개인단말상의 특정 문자열을 이용한 호 및 문자메시지 발신서비스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9.03.31 특허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09.09.16 특허 통화중 배경음악을 P2P 방식으로 제공하는 VoIP통신 시스템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11.12.19 특허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12.11.14 특허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13.02.06 특허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앱 공유 방법 특허법 2 명
유엔젤주식회사 2013.04.16 특허 화면 정보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특허법 2 명
유엔젤주식회사 2013.06.18 특허 통화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특허법 1 명
유엔젤주식회사 2016.07.20 특허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특허법 2 명


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법률, 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등
-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기업인수목적회사의 합병추진
- 해당사항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