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태종태세문단세 조선왕조계보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3. 2. 12.
반응형

태종태세문단세 조선왕조계보

태종태세문단세 조선왕조계보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역사 관련된

키워드를 주제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조선왕조계보 어디까지 외우고

계신가요? 보통 태종태세문다세예 ! 여기까지는

딱 나오는데 그 다음부터는 막히실 거예요.

27명의 조선시대 역대 임금 이름에 대해서

쉽고 빠르고 간단하게 알아 보겠습니다.

그 전에, 519년 역사를 가진 조선 왕조에

대해서 훑어보는 것도 나쁘진 않겠죠?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리면서 세운

조선이라는 나라는 1910년 '순종'을 끝으로

27명의 왕위 승계가 마무리 됩니다.

왕, 양반 관료를 중심으로 돌아가던 나라였던

조선은 현대시대에서 바라 볼 때는 자국민은

노비로 삼는 비윤리적인 면모가 있었죠.

유교적 민본주의를 통치이념으로 삼는다고

했었지만 부와 권력이 너무 소수에게 집중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오늘 날의 시대정신과는

요원함이 느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과학기술이나 농업, 학문, 상업,

금융 등 이전 시대에 비해서는 많이

발전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죠.

조선왕조계보

본격적으로 태종태세문단세예~ 조선왕조계보

간단요약 정리 들어가겠습니다.

1대 태조는 1392-1398년 기간 통치.

이성계= 조선의 제 1대 왕.

1392년 공양왕을 양위시키고 스스로 조선

왕조의 태조가 됨,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왕조의 기틀을 마련함.

2대 정종은 1398-1400년 기간 통치.

1대 태조의 차남,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세자로 책립, 도읍을 한양에서 개경으로 천도.

3대 태종은 1400-1418년 통치.

1대 태조의 다섯째 아들.

두 차례 왕자의 난을 거쳐 왕위에 오른

3대 왕 태종은 사병 제도를 철폐함.

의정부 삼군도 총제 부를 설치함.

관제 개혁을 통해 왕권 강화에 힘씀.

4대 세종은 1418-1450년 통치.

3대 태종의 셋째 아들.

정책 연구 기관 집현전에서 학자들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과학, 음악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발전을 이뤄냄.

5대 문종은 1450-1452년 통치.

4대 세종의 맏아들.

20년 동안 세종을 보필했으며 성품일

부드럽고 학문을 좋아했던 왕.

6대 단종은 1452-1455년 통치.

뒤이어 단종이 왕위에 오름.

숙부에게 왕권을 희생당함.

7대 세조는 1455-1468년 통치.

4대 세종의 둘째 아들.

세조는 계유정난을 일으켜 조카 단종의

왕위를 빼앗고 왕이 됨.

태종태세문단세 > 태정태세문단세

헷갈리지 맙시다!

8대 예종은 1468-1469년 통치.

13개월 간의 짧은 기간 이지만

수조법 제정, 둔전의 민경을 허락함.

9대 성종은 1469-1494년 통치.

7대 세조의 손자로서 세종, 세조의 치적을

근간으로 문물제도를 완비하고 조선의

법전 경국대전을 편찬함.

10대 연산군은 1494-1506년 통치.

폐비 윤 씨의 아들로서 사화를 일으켜 왕이

되고 폭정을 일삼다가 반정으로 폐위 됨.

11대 중종, 12대 인종, 13대 명종을 거쳐

14대 선조는 1567-1608년 통치.

당파싸움과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겪음.

15대 광해군은 조선 중기 격동기

실리적인 외교를 택함.

인조반정으로 유배.

16대 인조, 17대 효종, 18대 현종, 19대 숙종,

20대 경종, 21대 영조, 22대 정조, 23대 순조,

24대 헌종, 25대 철종, 26대 고종, 27대 순종,

조선왕조계보 정리 끝

태종태세문단세 > 태정태세문단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