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심심할 때 볼만한 성인들의 말씀27

선과 덕 선과 덕 맹자는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한 것이므로(물론 현실에서 가치가 있는 객관적인 토대를 가진 후세에 국한된다), 왕도정치를 실천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맹자는 자신이 본성이 좋다고 말하지만, 선이라고 불리는 것을 정의해 본 적이 없습니다. 선은 너무나 자명했기 때문에 그것을 주제로 논의할 필요가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혹은 맹자에게 선은 추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맥락이 없었다면 선을 논할 필요가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맹자의 선은 주로 인간의 내면의 미덕과 관련이 있습니다. 맹자가 자연이 선하다고 할 때 염두에 둔 것은 인, 의, 예, 지라는 인간 본성의 덕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맹자는 '자연은 선하다'고 표현해 인간성, 의, 예의, 지식의 미덕으로 발전할 마음을 가졌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맹.. 2022. 8. 10.
동기주의 윤리론의 확립 동기주의 윤리론의 확립 맹자의 이윤추구 비판은 송나라 성리학에 의해 증폭되었고, 이윤추구는 도덕과 양립할 수 없다는 생각은 유학 영향력이 막강한 중국과 한국에서 보편화되었습니다. 세대의 평화로운 봉건사회의 붕괴가 이기주의 때문이라고 진단한 맹자는 당시 전쟁 상황을 보고 이윤 추구에 내몰리는 기강과 무질서 상태라고 여겼습니다. 다만 이는 당시 법조계만 봐도 사실과 거리가 먼 우려였습니다. 법주의는 국익 창출을 최고로 여기는 민족주의 노선을 옹호합니다. 군주는 국가를 통제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고 이기적인 사람들을 국익에 기여하기 위해 상과 벌로 유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민족주의를 채택하는 사회는 그 질서 상태를 보면 어느 사회보다 질서정연할 수 있습니다. 현대 서양에서 일어난 공리주의는 .. 2022. 8. 10.
공리주의 비판 공리주의 비판 크고 힘이 있는 나라여서 왕도정치를 실시하여 천하를 통일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방문한 제후일수록 그들이 맹자에게 기대하는 것은 어떻게 우리나라를 더 크고 힘 있는 나라로 만들 수 있느냐에서다. 그들은 맹자가 자신들에게 어떤 식으로든 이익을 줄 것을 기대했습니다. 이는 당시 활약했던 많은 사상가들이 제후들에게 이익을 가져다 준다고 주장하면서 유세를 떠난 풍조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부국강병책의 대가인 법가와 제후들의 담합을 전문으로 한 종횡가는 제후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사상가였습니다. 그런데 평화주의자였던 송경이라는 사람조차도 전쟁이 그 나라에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논리로 전쟁하려는 제후들을 설득하려 했습니다(고자하 4). 이처럼 중국 전체가 어떤 것이 제게 '이익'이 될지가 초미의 관심이.. 2022. 8. 10.
혁명의 조건 혁명의 조건 천명은 덕이 없는 곳에서 거두어 덕이 있는 곳으로 옮겨갑니다. 천명을 내릴 때 천명은 말이 아니라 행적과 사실로 드러난다(만장5)는 것을 보면 천명을 거둘 때도 역시 그렇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역시 행적과 사실로 보여주지만 그 행적과 사실 속에는 사람이 있습니다. 맹자는 덕이 없는 군주는 더 이상 왕이 아니므로 난폭한 군주를 제거하는 것은 사람을 해치는 일을 일삼는 한 남자를 제거하는 것일 뿐 군주를 죽이는 것이 아니라는 논리로 혁명을 정당화했습니다(양혜 왕하 8). 그런데 누가 그 난폭한 남자를 제거할까요? 당왕을 도와 하의 걸왕을 몰아내고 중국을 평정한 이윤이라는 현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탕왕 사후에도 여러 대의 왕을 모셨고, 마침내 탕왕의 손자인 태갑의 재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태합.. 2022. 8.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