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대성미생물 기타 참고사항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2.
반응형

7. 기타 참고사항

가. 업계의 현황

 국내 동물용의약품산업은 축산업의 후방산업으로서 국내 축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형성되어 오늘에 이를 만큼 오랜 기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의 동물용의약품 산업은 당사가 소속된 동물용의약품 업계가 완제품 제조업체를 비롯하여 완제품 수입업체, 원료 제조업체 등 170여개 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물용의약외품, 동물용의료기기 업체까지 포함하여 총 1,000여개의 업체로 이루어진 산업으로 보고 있습니다.

동물용의약품산업 업체현황
(2021년 12월 기준)    (단위 : 개소)

구  분동물용의약품동물용의약외품동물용의료기기계

제조 61 181 294 536
수입 106 126 231 463
위탁수리 3 0 13 16
170 307 538 1,015

                                                                                        [출처 : 한국동물약품협회]

국내의 동물용의약품 산업은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이른 안정적인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소기업 고유업종의 해제, 다국적 기업의 시장 진출, FTA의 확대로 인한 시장개방 등의 요인으로 내수시장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항생제 사용 규제, 수의사 처방제 시행 등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에 따라 시장의 경쟁과 산업 환경의 변화에 부합할 수 있는 시설과 기술, 자금을 갖춘 회사만이 살아남아 다국적 기업들과 경쟁하는 모습으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내수시장의 환경 변화에 따라 최근에는 해외시장이 동물용의약품 업계의 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수출이 대한민국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한단계 성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를 비롯한 여러 동물용의약품 업체들은 중장기적으로 해외시장 공략을 핵심 사업목표로 설정하고 수출증대를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에서도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다양한 정책을 통해 각 업체들의 성장을 지원 하고 있습니다.
2016년 5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수출주도형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대책'에는 관리제도 선진화, 산업육성 인프라 지원,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미래주도형 제품 개발을 위한 R&D 지원, 동물용의약품 관리조직 및 업무체계 개편 등을 주요 추진 전략으로 설정하였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동물약품업계에 힘을 실어 주고 있습니다.


동물용의약품산업 수출현황

연도업체수(개소)
수출액미화(백만달러)
원화(억원)
증가율(원화)

2011 35 106 1,172 38.7%
2012 42 141 1,584 35.2%
2013 55 153 1,670 5.4%
2014 60 181 1,905 14.1%
2015 63 214 2,433 27.7%
2016 75 236 2,745 12.8%
2017 79 271 3,064 11.6%
2018 78 290 3,197 4.3%
2019 88 300 3,499 9.4%
2020 94 300 3,499 0.0%
2021 89 371 4,252 21.5%

                                                                                            [출처 : 한국동물약품협회]

 최근의 동물용의약품 산업은 내수시장의 둔화된 성장세, 지속되는 경기침체, 반복되는 구제역,고병원성AI 발병 등 어려움이 상재하고 계속될 것이라는 인식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경쟁력을 키워나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무기로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나간다면 동물용의약품 업계는 또 한번 비약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물용의약품산업 시장규모

연도세계시장
(단위:억달러) 국내시장 
(단위:억원)시장규모증가율내수증가율수출증가율합계증가율

2011 220 9.40% 5,809 6.7% 1,172  38.7% 6,981 11.0%
2012 225 2.20% 5,848 0.7% 1,584  35.2% 7,432 6.5%
2013 230 2.20% 5,459 -6.7% 1,670  5.4% 7,129 -4.1%
2014 239 3.90% 5,840 7.0% 1,905  14.1% 7,745 8.6%
2015 259 8.30% 6,540 12.0% 2,433  27.7% 8,973 15.9%
2016 300 16.00% 6,989 6.9% 2,745  12.8% 9,734 8.5%
2017 320 6.7% 7,351 5.2% 3,064 11.6% 10,415 7.0%
2018 335 4.7% 8,054 9.6% 3,197 4.3% 11,251 8.0%
2019 자료없음 - 8,541 6.0% 3,499 9.4% 12,040 7.0%
2020 자료없음 - 8,749 2.4% 3,499 0.0% 12,248 1.7%
2021 자료없음 - 9,229 5.5% 4,252 21.5% 13,481 10.1%

*세계시장규모는 2013~2023년 기간중 연평균 6% 가량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출처 : 국제동물보건연맹, 한국동물약품협회]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당사는 우리나라 축산업의 태동기인 1966년에 창립하여 지난 60여년간 '성공축산을 향한 신뢰의 선택' 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양질의 동물용의약품만을 생산해오며 대한민국 축산업 발전에 공헌해 온 동물용의약품 전문 기업입니다.

 60여년간 축적된 제조 기술과 KVGMP(동물용의약품 우수품질관리기준) 시설을 통해 생산된 백신, 항생제, 항균제, 구충제, 영양제, 해열진통소염제, 생균효소제, 면역증강제, 소독제 등 150여종의 각종 동물용의약품을 국내 200여개 대리점을 통해 전국의 양축농가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농가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활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양축농가의 질병발생 상황을 꾸준히 예의주시하여 질병의 원인체 중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바이러스나 세균을 신속히 분리 동정하여 국가방역 뿐만 아니라 양축농가에 필요한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역량의 산물인 다양한 제품군은 내수시장에서의 기반을 더욱 확고하게 하는 동시에 해외시장 진출의 경쟁력이 되어 현재 아시아, 유럽 등 6개국에 당사의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수출확대를 위해 여러 국가와 심도있는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현재의 모습에 만족하지 않고 글로벌 수준의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사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지속적인 신규시설 투자를 통해 선진국 수준의 제조시설을 증축하여 유럽, 북미 등 선진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미래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한편, 효율적인 품질관리 및 생산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내실을 다지는데도 만전을 기하는 등 회사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영업전략으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기존사업의 매출을 확대하고, 신제품이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업 및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당사의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은 당사를 현재의 가치보다미래의 가치가 더 높은 회사로 평가받게 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동물용의약품 등의 제조, 판매

 

3) 시장점유율
                                                                                                          (단위 : 억원)

연도동물약품시장당사시장규모증가율매출액증가율점유율

2011 6,981 11.0% 171 -2.2% 2.4%
2012 7,432 6.5% 163 -4.7% 2.2%
2013 7,129 -4.1% 216 32.5% 3.0%
2014 7,745 8.6% 253 16.9% 3.3%
2015 8,973 15.9% 310 22.6% 3.5%
2016 9,734 8.5% 308 -0.7% 3.2%
2017 10,415 7.0% 240 -21.9% 2.3%
2018 11,251 8.0% 251 4.6% 2.2%
2019 12,040 7.0% 251 0.1% 2.1%
2020 12,248 1.7% 248 -1.3% 2.0%
2021 13,481 10.1% 240 -3.2% 1.8%

                                                                                        [출처 : 한국동물약품협회]

4) 시장의 특성

  가) 경기변동의 특성 : 일반 경기변동과 관계가 높은 편입니다.
        (일반 경기의 변화 → 축산물의 소비량 변화 → 가축의 사육숫자 변화          
          →  제품의 사용량, 자금 회전기간 변화 → 매출액, 재무상태 변화)

 나) 계절적 특성 : 전체적으로 계절에 따른 경기 변동성은 낮은편이며 가축의 질병
                          발생비율은 환절기에 가장 높게 나타나며 동절기에는 다소 낮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다) 기타특성: 주요 가축전염병에 대한 국가 방역정책에 따라 산업 전반에 큰 영향
                     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소해면상뇌증 등)

5)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이사회결의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를 통해 향후 추진하기로 계획된 사업이 없습니다.

 

6) 조직도

 
대성미생물연구소 조직도 202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