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회사가 신약을 개발할 경우 R&D 비용을 보호해 주기 위해 일정 시간 특허권을 인정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20년이 동안 보호되고 만료 후에는 다른 회사에서 동일하게 제조해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 의약품을 바이오시밀러(복제약)라고 지칭합니다.
복제약 관련주 모음
- 셀트리온
- 바이넥스
- 삼성바이오로직스
- 알테오젠
- 팬젠
- 파멥신
- 대웅제약
- 한미약품
- 종근당
- 동아에스티
- 이수앱지스
- 녹십자
매수매도 추천 글이 아닙니다.
복제약 수혜주 셀트리온
동사는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therapeutic proteins)를 개발, 생산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음.
아시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동물세포배양 단백질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개발 일정과 수요 등을 고려하여 3공장 신설 예정. 세계 최초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2016년 미국 FDA로 부터 판매 승인 받음.
셀트리온이 복제약 수혜주인 이유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렘시마'와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인 '허쥬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복제약 테마주 바이넥스
동사는 1957년 12월에 설립되어 2000년 4월 바이넥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1년 7월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거래가 개시되었음.
동사의 사업영역은 케미컬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과 바이오의약품의 위탁 생산 및 개발 사업부문(CDMO)으로 구분됨. 국내 대부분의 제약기업 및 바이오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수행하고 있음.
바이넥스가 복제약 테마주인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할 수 있는 생물산업기술 실용화센터를 보유 중이기 때문입니다.
복제약 대장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2011년 4월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사업을 영위.
2018년 cGMP 생산을 시작하여 2019년말 기준 36.2만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이 시장에서 선발업체를 추월해 생산설비 기준 세계 1위 CMO로 도약.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아키젠바이오텍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 중.
삼성바이오로직스 복제약 대장주인 이유는 삼성 계열 그룹의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주 비즈니스로 영위하는 상장 법인이기 때문입니다.
복제약 관련주 알테오젠
동사는 2008년 설립되어 2014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바이오기업임. 항체약물 융합(ADC) 기술등을 활용한 기존 바이오의약품을 개선하는 바이오베터 사업과, 이머징 마켓을 타겟으로 아일리아, 허셉틴 등 바이오시밀러 개발 사업을 영위중.
원천기술로 ADC 기술(NexMabTM), 바이오의약품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NexPTM 융합 기술, 정맥주사를 피하주사 제형으로 변경시키는 hybrozyme 기술 등을 보유.
알테오젠이 복제약 관련주인 이유는 '아일리아, 허셉틴'등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복제약 관련주 팬젠
2010년 1월 29일에 분할설립 되었고 2016년 3월 11일에 기술성장기업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음. 바이오시밀러 EPO의약품의 생산 및 판매,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바이오의약품(전임상,임상시료포함) 위탁생산(CMO) 및 개발기술 이전서비스 (CDO)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만성 신부전 환자의 빈혈 치료제인 바이오시밀러 EPO의약품은 2019년에 제품명 팬포틴으로 품목허가를 받아 2020년 2월부터 국내 판매를 시작함.
팬젠이 복제약 관련주인 이유는 혈루병 치료제, 항암치료 보조제, 빈혈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복제약 대장주 파멥신
동사는 완전인간 항체 개발 기술, 차세대 이중표적항체 제조 원천 기술, 암줄기 세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항체 제조기술 등의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항암 항체신약 개발에 매진하여 올린바시맵 및 PMC-001의 사업화 기반을 마련하였음.
동사는 국내외 제약사들과 동사 보유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Licensing-out 계약을 체결하고, 기술선급료 및 단계적인 기술개발 지표 달성 시 마일스톤 로열티를 받고 있음.
파멥신이 복제약 대장주인 이유는 아바스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차세대이중표적 항체 제조 관련된 원천기술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오시밀러 대장주 대웅제약
동사는 2002년 10월 주식회사 대웅이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종속회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요종속회사인 한올바이오파마를 포함한 총 13개 회사로 구성.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우루사, 알비스, 올메텍, 임팩타민, 넥시움 등 다양한 용도의 의약품으로 구성됨. 영업사원에 대한 디테일 능력향상, 제품차별화 포인트, 선진 마케팅기법 교육 등을 통해 판매를 강화하고 있음.
대웅제약이 바이오시밀러 대장주인 이유는 빈혈치료제 포디 온의 품목 허가를 취득한 이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오시밀러 대장주 한미약품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를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 NASH 치료제 HM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확보함.
한미약품이 바이오시밀러 대장주인 이유는 당뇨병치료제, 인성장호르몬, 백혈구감소증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오시밀러 관련주 종근당
동사는 2013년 11월 2일을 분할기준일로 투자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존속법인 종근당홀딩스와 의약품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신설회사인 종근당으로 인적분할되어 설립됨.
2013년 12월 6일에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함. 신약 및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우수한 개발능력을 보유, 연간 매출액 대비 10% 이상의 연구개발 투자를 집행하며 표적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신약개발 임상 진행 중.
종근당이 바이오시밀러 관련주인 이유는 18년 11월 빈혈치료제 '네스벨'의 품목허가를 획득했기 때문입니다.
바이오시밀러 관련주 동아에스티
동사는 구 동아제약에서 인적분할하여 2013년 3월 1일에 설립된 신설법인으로 2013년 3월 4일에 등기되었으며, 주권은 2013년 4월 8일에 재상장 됨.
자가개발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제네릭, 도입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블록버스터 제품을 바탕으로 시장지배력을 강화함. 의료 서비스 기대치 상승에 부응하는 의약품 연구개발 활성화 등으로 인해 국내 제약산업의 계속 성장 중임.
동아에스티가 바이오시밀러 관련주인 이유는 항암 보조치료제 류코스팀을 국내에서 시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오시밀러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한 이력이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수혜주 이수앱지스
2001년 설립된 동사는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이수그룹 계열회사임.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 유전성 희귀질환인 고셔병과 파브리병을 치료하기 위한 효소치료제인 애브서틴과 파바갈을 개발하여 판매 중임. 현재 후속 제품 4개가 진행 중에 있음.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외에 세계의 희귀의약품을 국내도입과 판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윌슨병 치료제 트리엔탑을 판매 중임.
이수앱지스 바이오시밀러 수혜주인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을 생산&판매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면역항암 치료제 옵디보의 바이오시밀러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테마주 녹십자
동사는 혈액제제와 백신제제를 비롯해 전문의약품, OTC제제 등의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사로, 1969년 설립되어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사업 품목은 혈액제제, 백신제제,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등이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거래처는 종합병원, 의원, 시약도매상, 약국, 적십자 등임.
동사는 핵심사업으로서 혈액제제, 백신제제, 유전자재조합제제의 대형 수출품목 육성과 신규 시장 개척을 목표로 함.
녹십자가 바이오시밀러 테마주인 이유는 항암보조제, 위염치료제 등 바이오시밀러 관련 임상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 관련주, 수혜주 - 에어컨 테마주, 대장주 (0) | 2022.06.16 |
---|---|
열대야 관련주, 대장주 일사병 수혜주 정리 (0) | 2022.06.16 |
조림사업 대장주, 관련주 - 산림정책 수혜주 정리 (0) | 2022.06.14 |
자율주행차 관련주, 수혜주 - 자동차 혁명 (0) | 2022.06.13 |
라이다 센서 대장주 관련주 8종목 수혜주 포함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