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포맷 JPG PNG 차이. 진짜 쉽게 요약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만드는 데 있어 이미지 용량 및 품질 사이의 균형은 중요함. 출판물, 인쇄물이 아닌, 웹상의 문서이므로 품질과 트래픽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음.
이미지의 퀄리티가 너무 떨어지면 성의 없고 저렴해 보이는 문제가 있고, 쓸데없이 고퀄의 이미지를 사용하면 페이지 로드가 느려지고 page speed insight와 같은 웹페이지 속도 측정, 더 나아가서 방문자가 들어와서 화면이 보이기도 전에 나가버릴지도 모르기 때문에 SEO에 불리하게 작용.
이미지 품질과 균형을 맞춘 최적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해 볼 사항은 이미지 '크기'와 '형식'.
이미지 형식 중 대표적인 이미지 포맷 JPG(JPEG)와 PNG 중 어떤 포맷을 사용하는 게 좋은지 알아 두면 유용함.
결론 : 일반적으로 텍스트 위주의 이미지, 단색 아이콘, 투명한 부분이 포함된 이미지는 PNG. 일반적인 사진 및 복잡한 그림의 경우 JPG로 이용

마케팅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 나름 경쟁력 있는 지식이지만 어차피 알 사람들은 다 알고 있고 알아야 하는 일반인분들은 잘 모르는 것 같아 공유함.
1. JPEG과 PNG의 특징
-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G(JPEG) 형식은 정지 화상을 위해서 만들어진 손실 압축 파일 형식. 약간의 손실을 감수하고 작은 크기로 사진을 저장하는 데 유용. 파일 크기가 상대적으로 훨씬 작기 때문에 웹에서 많이 사용함.
JPG 형식은 사진과 같이 복잡한 패턴과 색상을 갖는 이미지를 저장하는데 적합. 고주파 성분이 많은 문자, 선, 격자 등 단색이나 뚜렷한 윤곽선을 가지는 이미지에서는 품질 저하(뭉개짐, 노이즈)가 다소 뚜렷하게 보임.
원래는 JPEG이지만, MS-DOS 시절 확장자가 3글자만 지원되던 때에 JPG로 사용하다 보니 JPEG보다는 JPG가 더 많이 사용.
-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
PNG 형식은 이 손실 압축 파일 형식의 하나. PNG는 특허 문제가 얽혀있는 GIF 포맷의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해 고안. 256색의 제한이 있던 GIF의 한계를 극복하여 트루컬러를 표현. 최근 JPG와 함께 웹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
PNG 형식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선, 아이콘, 로고 등을 저장하는 데 적합하고 투명 배경이 꼭 필요한 경우 사용. 복잡한 사진 이미지의 경우 JPG 대비 용량이 꽤 증가함.
2. JPEG 형식이 유리한 경우
사진이나 다양한 색상의 이미지인 경우 JPEG이 훨씬 유리. 만약 직접 촬영한 사진을 블로그에 사용하더라도 대부분 색상이 많은 복잡한 이미지일 것이므로 JPEG로 사용하기를 추천.
사실, 무료 사진 이미지 대부분은 JPEG 포맷으로 올라와 있어서 굳이 PNG로 변환할 필요 없이 사이즈만 잘 조절해서 사용. 특히 오버레이가 있는 백그라운드 배경 같은 경우라면 JPEG 퀄리티를 조금 낮춰도 큰 무리는 없음. 구글 SEO에서는 오히려 더 긍정적이기도 함.
3. PNG 형식이 유리한 경우
JPG의 경우 뭔가 노이즈가 많이 있음. 이를 디지털 풍화 현상이라고 지칭함.
사진 이미지를 압축할 때에는 약간의 품질의 저하가 보이는 듯하지만 텍스트 위주의 이미지 파일을 압축할 때에는 PNG 압축 자체도 꽤 좋음.
투명한 배경 등 투명한 색이 필요한 경우는 무조건 PNG를 사용해야 함. JPG는 투명한 색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대부분의 투명색이 필요한 경우는 인공적인 일러스트나 아이콘이므로 원래 PNG가 적합한 형식.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뜻 좋은 영어 단어 공부 이쁜 영단어 모음 (0) | 2022.11.22 |
---|---|
테라 맥주 가격, 도수, 칼로리 그리고 주관적인 맛 후기 (1) | 2022.11.22 |
aka뜻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0) | 2022.11.22 |
ITTHAT강조구문 자주쓰는 영어회화 (0) | 2022.11.22 |
딸기 보관하는 방법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