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2022년 5월
연결회사는 자동차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과 AS용 부품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 및 해외 포함 생산거점 38곳, 연구거점 8곳, 물류센터 4곳, 품질센터 5곳, 부품사업장 22곳, 부품법인 10곳, 해외지사 12곳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프론트엔드모듈(이하 "FEM")을 조립ㆍ생산하여 현대자동차와 기아 등에 직서열(JIS, Just In Sequence) 공급하고 있으며, 제동ㆍ조향ㆍ에어백ㆍ램프 및 전장ㆍ전동화 부품 등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여 현대자동차와 기아 및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초기 단계부터 완성차 업체와 협력하며 자동차 특성에 맟준 모듈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첨단화 및 시스템 통합화를 통해 생산공정 간소화와 조립 편의성 증대 등 모듈화 효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에서 운행 중인 모든 현대자동차ㆍ기아에 소요되는 보수용 부품의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A/S용 부품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외 194여 차종 260만 부품의 A/S부품 공급을 담당하여 국내외에서 운행 중인 현대자동차ㆍ기아 5,907만여 대의 부품 공급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물류센터 등 대단위 인프라 및 빅데이터 기반의 수요 예측 체계를 구축하는 등 업계 최고의 유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22년 1분기 매출액 대비 매출비중은 자동차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79.2%, AS용 부품사업 20.8%입니다. 2022년 1분기 매출은 11조 3,082억 원, 영업이익은 3,8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5.2%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21.1% 감소하였습니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 차질과 운송비 상승 등 불리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당사는 미래 클린 에너지 시장 선점을 위해 연료전지 시스템을 양산 중이며, 이를 다양한 차량ㆍ비차량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는 '책임 있는 혁신, 청정 기술을 활용한 모빌리티 구현'이라는 ESG경영을 통해 위기 극복과 동시에 미래를 위한 준비를 지속할 것입니다. 이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뉴노멀을 선도할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연결회사는 3대 핵심모듈을 비롯하여, 전동화ㆍIVI(In-Vehicle Infotainment) 등 미래 핵심부품 제조 및 차량 A/S용 부품사업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동ㆍ조향 안전 제품과 멀티ㆍ전자제어 지능형 안전시스템 및 전동화 부품 등 첨단 자동차 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통한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품질혁신과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매출액이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 |
사업부문주요 제품매출액제46기 1분기제45기 1분기제 44기 1분기
모듈 및 부품제조 사업부문 | 샤시, 칵핏모듈 등 | 8,956,032 | 79.2% | 7,952,447 | 81.0% | 6,536,126 | 77.6% |
A/S용 부품 사업부문 | A/S 보수용품 등 | 2,352,179 | 20.8% | 1,863,355 | 19.0% | 1,886,911 | 22.4% |
계 | - | 11,308,210 | 100% | 9,815,802 | 100% | 8,423,037 | 100% |
2022년 1분기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매출은 2021년 1분기 대비 1,003,585백만원 (12.6%) 증가하였으며, A/S용 부품사업 매출은 488,824백만원 (26.2%) 증가하였습니다.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전동화 부품 판매 증가 등으로 매출이 증가하였으며, A/S용 부품사업 또한 코로나19 회복세 및 완화 정책 등에 따른 수요 증가 효과로 매출이 증가하였습니다.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과 A/S용 부품사업 전체로 볼 때 2021년 1분기 대비 1,492,409백만원 (15.2%) 증가하였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연결회사의 주요 생산제품별 가격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품 목제46기 1분기제45기제44기
샤시모듈 | 3,714,605 | 2,158,433 | 2,154,560 |
칵핏모듈 | 2,169,755 | 2,010,142 | 2,006,827 |
FEM | 547,604 | 528,287 | 487,289 |
샤시모듈, 칵핏모듈, FEM의 가격은 대표차종인 쏘나타 1대 기준으로 산출되었으며, 대당 가격은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에서 판매되는 해당제품 단가의 평균입니다. 샤시모듈, 칵핏모듈, FEM의 주요 가격변동 원인은 제품별 사양 구성 차이 및 부품 가격의 상승 및 하락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쏘나타 차종의 샤시모듈 조립범위에 파워트레인 탑재가 추가되면서 판매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가.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현재 연결회사에서 사용하는 주요 원재료에는 제조공장에서 사용되는 강재류와 석유화학제품류가 있습니다. 강재류의 주요거래처는 POSCO, 현대제철 등이 있으며 이 생산업체들의 강재류 생산비율은 세계 총생산량의 4%로 추정됩니다. 석유화학제품류는 PP, PC수지 등이 있으며, PP수지의 주요 공급업체는 GS칼텍스, 현대EP등으로 국내시장의 점유율은 각각 25%, 20% 정도입니다. PC 수지 주요거래처는 삼양사, 사빅이며 국내시장의 점유율은 각각 35%, 15%정도입니다.
철강재 및 비철금속은 주요 산업 탈탄소화에 따른 글로벌 수요 증가, 러시아산 제품 공급 제재 등 수급 타이트로 상승세가 유지될 것입니다. 유가의 경우,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고유가 기조 지속 전망됩니다.석유화학 제품은 기초 원료 (원유/나프타 등) 강세 및 다운스트림 제조업체들의 마진 악화로 인한 가동률 축소/유지보수 돌입 등으로 상승 예상됩니다.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단위제 46기 1분기제 45기제 44기
철판 /비철금속 |
열연철판 | 천원/톤 | 1,195 | 1,166 | 673 |
알루미늄 | USD/톤 | 3,267 | 2,476 | 1,702 | |
구리 | USD/톤 | 9,985 | 9,315 | 6,169 | |
니켈 | USD/톤 | 26,872 | 18,478 | 13,773 | |
아연 | USD/톤 | 3,743 | 3,005 | 2,280 | |
석유화학제품 | 원유 | USD/배럴 | 95.59 | 68.03 | 42.22 |
나프타 | USD/톤 | 873 | 646 | 381 | |
PP | USD/톤 | 1,184 | 1,184 | 954 | |
카프로락탐 | USD/톤 | 2,083 | 1,953 | 1,150 |
원재료의 가격은 시세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열연철판은 철강금속신문, 알루미늄ㆍ구리ㆍ니켈ㆍ아연ㆍ원유ㆍ나프타ㆍPP는 코리아PDS, 카프로락탐은 ICIS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나.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연결회사는 국내 모듈공장 기준으로 2교대로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2022년 1분기 라인별 작업일수와 1일 작업시간을 기준으로 "라인별 UPH X 1일 작업시간 X 작업일수"의 방법으로 생산능력을 산출하였습니다. 2022년 1분기 국내 생산능력은 생산금액을 기준으로 총 5,683,383백만원이며, 해외 생산능력은 총 8,904,182백만원입니다.
라인별 UPH(Unit Per Hour)는 해당 라인에서의 시간당 생산수량 기준이며, 작업시간은 국내 및 해외의 생산기준을 반영하여 1일 작업시간을 적용하였습니다. 또한 작업일수는 라인별 당기 총 작업시간을 1일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역산하였습니다.
다. 생산실적 및 가동률
연결회사의 2022년 1분기 국내 생산실적은 5,294,034백만원으로 2021년 1분기 대비 884,282백만원(20.1%) 증가하였으며, 해외 생산실적은 4,557,161백만원으로 2021년 1분기 대비 507,279백만원(12.5%) 증가하였습니다. 국내 생산실적 증가는 고객사 전동화 부품 판매 증가 등이 생산 실적 증가로 이어졌으며, 해외 생산실적 증가는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SUV 차종 등의 고객사 완성차 판매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국내 평균 가동률은 93.1%(생산실적 5,294,034백만원, 생산능력 5,683,383백만원)로 집계되었으며, 해외 평균 가동률은 51.2%(생산실적 4,557,161백만원, 생산능력 8,904,182백만원)로 집계되었습니다.
라.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의 현황
연결회사는 서울에 위치한 본사와 용인의 연구소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모듈사업장과 부품사업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해외 사업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2년 1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보유중인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
구 분기초장부금액취득액처분액감가상각비손상기타증감액(*)기말장부금액
토지 | 3,907,771 | - | (680) | - | - | 2,431 | 3,909,522 |
건물 | 2,089,330 | 1,206 | (695) | (28,141) | - | 22,955 | 2,084,655 |
구축물 | 188,929 | 398 | (182) | (3,534) | - | 3,713 | 189,324 |
기계장치 | 1,500,533 | 14,520 | (3,791) | (77,477) | 53,458 | 1,487,243 | |
공구기구 | 409,914 | 11,452 | (5,490) | (41,888) | (5) | 20,534 | 394,517 |
집기비품 | 151,107 | 4,079 | (50) | (14,687) | (5) | 4,739 | 145,183 |
기타유형자산 | 26,263 | 565 | (0) | (2,015) | - | 3,259 | 28,072 |
건설중인자산 | 856,697 | 117,622 | - | - | - | (83,262) | 891,057 |
합 계 | 9,130,544 | 149,842 | (10,888) | (167,742) | (10) | 27,827 | 9,129,573 |
(*) 건설중인자산의 본계정 대체금액과 타계정 대체금액 및 해외소재 종속기업의 유형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요 유형자산의 시가는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워 기재를 생략합니다. 당분기말 현재 원화대출 차입금과 관련하여 유형자산의 일부(77,266백만원)를 ㈜하나은행 등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담보의 채권최고액은 135,000백만원입니다.
마. 주요 투자현황
(1) 진행중인 투자
(단위 : 억원) |
구 분 | 품 목 | 투자효과 | 2022년 1분기 투자 금액 |
국내법인 | 공장 신ㆍ증설, 보완투자 등 |
생산설비 증설에 따른 가동률 향상 등 |
1,392 |
해외법인 | 179 | ||
합 계 | - | - | 1,571 |
상기 투자금액은 시설/설비투자에 한정한 투자금액으로 연구개발비용은 제외된 기준입니다. (연구설비포함)
(2) 향후 투자 계획
(단위 : 억원) |
구 분 | 품 목 | 투자효과 | 2022년 투자 계획 |
국내법인 | 공장 신ㆍ증설, 보완투자 등 |
생산설비 증설에 따른 가동률 향상 등 |
15,181 |
해외법인 | 2,422 | ||
합 계 | - | - | 17,603 |
상기 투자금액은 시설/설비투자에 한정한 투자금액으로 연구개발비용은 제외된 기준입니다.(연구설비포함) 또한 향후 예상 투자금액은 연간 투자 계획 금액에서 진행중인 투자금액이 제외된 기준이며, 예상 투자금액은 경영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가. 매출실적
연결회사는 완성차의 제조공정에 부품을 공급하는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국내외에서 운행되는 현대자동차ㆍ기아의 보수용 부품을 공급하는 A/S용 부품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완성차의 생산대수에 연동되기 때문에 경기변동에 따라 매출증감이 발생하게 되며, A/S용 부품사업은 현대자동차ㆍ기아의 운행대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2022년 1분기 국내 매출액은 전동화부품 물량 증가 등으로 2021년 1분기 대비 608,685백만원 (12.3%) 증가하였으며, 해외 매출액은 코로나 완화 정책에 따른 경제활동 재개로 인한 수요 증가 등으로 883,723백만원 (18.2%) 증가하였습니다. 국내 및 해외 전체로 볼 때 2021년 1분기 대비 1,492,409백만원 (15.2%) 증가하였습니다.
연결회사 매출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제46기 1분기제45기 1분기제44기 1분기
국 내 | 5,562,611 | 4,953,925 | 3,864,379 |
해 외 | 5,745,600 | 4,861,877 | 4,558,658 |
계 | 11,308,210 | 9,815,802 | 8,423,037 |
나. 판매경로
연결회사의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현대자동차, 기아로의 국내판매와 로컬 수출 등을 통한 현대자동차, 기아 및 글로벌완성차 업체로의 해외판매가 있습니다. 주요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은 국내판매 20.4%, 해외판매 79.6%입니다. 연결회사는 국내 및 해외 각 지역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및 미국, 중국, 유럽과 기타지역에서 판매활동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A/S용부품사업은 국내 사업소 및 부품센터 등을 통하여 전국 각 대리점 및 정비업체로 판매되는 국내판매(32.8%)와 현지법인을 통하여 각 국가별 대리점 및 딜러 판매와 대리점에서 직접 판매되는 해외판매(67.2%)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 판매전략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앞선 기술을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안전한 부품 및 모듈을 생산하고 원가 최적화와 운영효율 개선 등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판매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A/S용 부품사업은 완성차의 판매 확대와 밀접하게 연관된 특성으로 인해 완성차의 판매증가와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에 따라 국내외 부품 공급망 확충 및 물류시스템 선진화 등을 통한 매출 성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매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물류 거점의 합리화와 물류시스템의 개선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신규 매출원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물류 효율성 향상을 위해 해외 법인들의 재고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과 전략적 재고 배치 계획을 통해 재고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대리점과 딜러의 운영 역량 강화를 통하여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집중할 것입니다. (A/S용 부품사업)
라. 주요 매출처
연결회사의 제46기 1분기 주요 매출처는 현대자동차 및 그 종속회사, 기아 및 그 종속회사이며, 비중은 매출대비 각각 39.4%, 35.3% 입니다. 연결회사의 주요 매출처는 중요성의 관점에서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이상인 거래처를 표시하였습니다.
마. 수주상황
연결회사의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현대자동차ㆍ기아뿐만 아니라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을 대상으로 차종별 제품을 생산 및 납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량 등이 확정되어 있지 않고 대내외적 경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가. 재무위험관리
연결회사는 시장위험(환위험, 가격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금융자산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 기타금융자산, 비유동금융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융부채는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차입금 및 사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환위험
연결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다양한 통화로부터의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연결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주요 외화로는 달러화 및 유로화등이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외화로 표시된 채권과 채무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환노출위험을 주기적으로 평가, 관리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외화자산ㆍ부채 및 외화차입 등과 관련하여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각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 10% 변동시 화폐성 외화자산 및 외화부채가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10%상승시 | 10%하락시 | 10%상승시 | 10%하락시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77,090) | 77,090 | (165,493) | 165,493 |
2) 가격위험
연결회사는 비유동금융자산 중 지분상품과 관련하여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한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시장성 있는 지분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5,558 | 40,662 |
3) 이자율위험
연결회사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연결재무제표 항목(금융자산, 부채)의 공정가치변동위험 및 투자, 차입에서 비롯한 이자수익(비용) 변동위험 등의 이자율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은 채권 등 이자지급 부채의 발행, 이자수취 자산에의 투자 등에서 비롯됩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 하는데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이자율 변동위험에 노출된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706,067 | 1,158,687 |
소 계 | 706,067 | 1,158,687 |
금융부채: | ||
단기차입금 | 133,857 | 268,825 |
유동성장기부채 | 361,077 | 404,825 |
장기차입금 | 726,591 | 1,050,578 |
사채 | 349,120 | - |
소 계 | 1,570,644 | 1,724,228 |
순금융자산 | (864,578) | (565,541)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변동시 이자수익, 이자비용 및 평가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1% 상승시 | 1% 하락시 | 1% 상승시 | 1% 하락시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8,802) | 8,896 | (14,953) | 15,089 |
이자비용 | (3,927) | 3,927 | (17,242) | 17,242 |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연결회사의 통상적인 거래 및 투자활동에서 발생하며 고객 또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상 의무사항을 지키지 못하였을 때 발생합니다. 연결회사는 주기적으로 고객과 거래상대방의 재무상태, 기타요소 등을 고려하여 신용위험을 검토하여 신용한도를 설정하는 등 신용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 및 확정계약을 포함한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 및 현금성자산, 파생금융상품, 은행 및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이러한 신용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결회사는 신용도가 높은 금융기관들에 대해서만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현금및현금성자산(*) | 4,744,695 | 4,202,403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3,318,942 | 2,822,118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3,314,284 | 4,477,340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8,069,318 | 7,700,563 |
기타유동자산 | 37,939 | 23,641 |
기타비유동자산 | 119,990 | 96,293 |
합 계 | 19,605,168 | 19,322,358 |
(*) 연결회사의 보유현금은 제외하였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제공한 지급보증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 정도는 각각 4,713백만원 및 5,417백만원입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연령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분기말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장부금액 | 연체되지 않은 채권 |
연체되었으나 손상되지 않은 채권 | 손상된 채권 | ||
30일 이하 | 30일 초과 180일 이하 |
180일 초과 | ||||
매출채권 | 7,688,841 | 7,498,898 | 145,003 | 27,957 | 12,151 | 4,832 |
미수금 | 288,696 | 263,966 | 6,851 | 5,374 | 8,294 | 4,211 |
대여금 | 100,619 | 5,609 | - | - | 95,010 | - |
합 계 | 8,078,156 | 7,768,473 | 151,854 | 33,331 | 115,455 | 9,043 |
2) 전기말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장부금액 | 연체되지 않은 채권 |
연체되었으나 손상되지 않은 채권 | 손상된 채권 | ||
30일 이하 | 30일 초과 180일 이하 |
180일 초과 | ||||
매출채권 | 7,828,286 | 7,744,205 | 52,332 | 16,757 | 10,224 | 4,768 |
미수금 | 128,135 | 109,121 | 6,346 | 4,146 | 3,932 | 4,590 |
대여금 | 101,363 | 8,233 | - | - | 93,130 | - |
합 계 | 8,057,784 | 7,861,559 | 58,678 | 20,903 | 107,286 | 9,358 |
(3)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연결회사의 경영환경 또는 금융시장의 악화로 인하여 연결회사가 부담하고 있는 단기 채무를 적기에 이행하지 못할 수 있는 위험으로 정의하며, 연결회사는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조정을 통해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비파생금융부채와 파생금융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분기말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1년이내 | 1년~5년 | 5년 초과 |
비파생금융부채 : | |||||
사채및장기차입금 | 1,582,692 | 1,632,700 | 16,295 | 1,554,532 | 61,873 |
유동성장기부채및단기차입급 | 1,752,949 | 1,754,721 | 1,754,721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6,763,915 | 6,763,915 | 6,763,903 | 12 | - |
기타유동부채 | 237,567 | 237,567 | 237,032 | 427 | 108 |
금융리스부채 | 389,789 | 452,470 | 116,477 | 236,660 | 99,333 |
파생금융부채 : | |||||
파생상품거래부채 | 35,703 | 35,703 | 276 | 35,426 | - |
합 계 | 10,762,616 | 10,877,076 | 8,888,705 | 1,827,059 | 161,313 |
2) 전기말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1년이내 | 1년~5년 | 5년초과 |
비파생금융부채 : | |||||
사채및장기차입금 | 1,587,545 | 1,635,938 | 12,641 | 1,561,112 | 62,185 |
유동성장기부채및단기차입급 | 1,584,475 | 1,590,716 | 1,590,716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6,314,314 | 6,314,314 | 6,314,314 | - | - |
기타유동부채 | 218,657 | 219,353 | 219,122 | 219 | 12 |
금융리스부채 | 339,011 | 400,739 | 117,642 | 219,955 | 63,142 |
파생금융부채 : | |||||
파생상품거래부채 | 35,768 | 35,768 | 330 | 35,438 | - |
합 계 | 10,079,770 | 10,196,828 | 8,254,765 | 1,816,724 | 125,339 |
상기 만기분석은 금융부채의 할인되지 아니한 명목현금흐름으로서 지급을 요구 받을수 있는 기간 중 가장 이른 일자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발행된 금융보증계약의 경우 보증의 최대금액을 보증이 요구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기간에 배분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나. 자본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연결회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으며 총부채 및 총자본은 연결재무제표의 공시된 숫자로 계산합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부 채 | 16,898,788 | 16,125,063 |
자 본 | 35,672,851 | 35,357,474 |
부채비율 | 47.37% | 45.61% |
다. 파생상품 계약 현황
연결회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외환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계약내용은 연결회사가 만기일에 약정한 외화금액을 거래상대방 (금융기관)에 인도하고, 계약시점의 행사환율로 환산한 원화금액을 거래상대방으로부터인도받는 거래형태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미결제약정과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외화) |
구 분계약금액행사가격계약만기일
USD | 2 | 1,049원 | 2022.1.28 ~ 2022.12.29 |
EUR | 2 | 1,528원 | 2022.1.28 ~ 2022.12.29 |
동계약을 당분기말 현재의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8백만원 평가이익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으며, 법인세 효과 고려전 금액기준으로 163백만원의
평가이익과 274백만원의 평가손실이 기타자본으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라. 기타 파생상품계약 현황
연결 재무제표 작성대상 종속기업의 파생상품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당기말전기말파생상품자산파생상품부채파생상품자산파생상품부채
위험회피 | 통화선도 | - | - | - | - |
매매목적 | 주식옵션 | - | - | - | - |
기타옵션 | - | - | - | - | |
계 | - | - | - | - |
마. 옵션 계약 현황
당사가 보고서작성 대상기간동안 체결한 주요 옵션계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당사가 지분을 인수한 Boston Dynamics, Inc. 관련하여, 거래상대방인 SoftBank Group Capital Limited는 보유하고 있는 Boston Dynamics, Inc.의 잔여지분(20%)에 대하여 당사와 체결한 주주간 합의서에 따라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잔여지분 중 당사가 매수 의무를 부담하는 지분은 잔여지분을 제외한 80% 지분에 대한 당사의 지분 비율에 따릅니다.
해당 옵션은 (1) 거래종결일로부터 4년 이내에 Boston Dynamics, Inc.의 상장이 결정되고, 상장 결정 통지일로부터 20일 내에 매수인들에게 통지하는 경우 (2) 거래종결일로부터 4년 이내에 Boston Dynamics, Inc.가 상장되지 않고, 그로부터 30일 내에 매수인들에게 통지하는 경우 (3) 거래종결일로부터 5년 이내에 Boston Dynamics, Inc.가 상장되지 않고, 그로부터 30일 내에 매수인들에게 통지하는 경우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관계기업인 푸본현대생명보험(주) 주식과 관련하여 타투자자와 주주협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타 투자자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과 타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연결회사에 처분할 수 있는 풋옵션이 발생할 수 있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 경영상의 주요 계약 등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 기아(이하 '현대자동차그룹')는 자율주행 기술 조기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2019년 9월 23일 자율주행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미국의 앱티브(Aptiv)와 미국 현지 합작법인(Joint Venture, JV) 설립 계약을 공동으로 체결하였습니다. 합작법인은 레벨 4~5 수준의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및 판매를 주된 사업 목적으로 합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앱티브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며, 그 중 연결회사의 출자 규모는 4억 달러로 합작회사에 대한 지분10%-1주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해당 합작법인, 'Motional AD LLC'는 관계당국의 승인을 거쳐 2020년 3월 공식 설립되었습니다.
연결회사를 포함한 현대자동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할 AAM(Advanced Air Mobility) 비즈니스의 신규 진출 위하여 미국 현지 법인(Supernal, LLC)을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초기 출자를 완료하였습니다. 이후 2022년 5월 연결회사를 포함한 현대자동차그룹은 Supernal 합작법인의 시제품 개발 및 중기 투자를 목적으로 추가 출자를 했습니다. Supernal 합작법인은 현대자동차, 기아, 모비스 각 3사의 출자를 통해 설립 되었으며, 당사는 33.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upernal 합작법인은 관계당국의 승인을 거쳐 2021년 2월 공식 출범 되었으며, AAM 기체개발 및 연관 사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예정입니다. (기존 Genesis Air Mobility에서 Supernal로 사명 변경, '21.11월)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 현대글로비스,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로보틱스 역량 확대, 연관 산업 신규 진출 및 신사업과의 시너지 제고를 위한 지분 투자를 목적으로 Boston Dynamics, Inc. 지분을 출자하는 계약을 공동으로 체결하였습니다. 본 거래는 (1) SoftBank Group Capital Limited 및 개인 2인(Linda Chafets, Michael Perry)으로부터 미국 메사추세츠주에 설립된(거래종결 전 Delaware Corporation 형태로 변경 완료) 대상회사의 구주를 인수하고 (2) 이와 동시에 발행회사가 발행하는 신주를 인수하여 발행회사 지분의 총 80%를 취득 하는 거래이며 2021년 6월 21일에 종결되었습니다. 해당 주주간 계약에는 타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회사를 포함한 매수인들에게 처분할 수 있는 풋옵션 행사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Ⅱ. 사업의 내용 -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결회사를 포함한 현대자동차그룹은, 배터리셀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한 글로벌 전기차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2021년 6월, 글로벌 톱티어 배터리셀 기술을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과 인도네시아 현지 합작법인(Joint Venture, JV) 설립 계약을 공동으로 체결하였습니다. 합작법인은 전기차용 배터리셀 생산 및 판매를 주된 사업 목적으로, 연간 10GWh 규모의 배터리셀을 생산하여 24년부터 전용 전기차 등에 적용 예정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한 합작법인은 2021년 3분기 공식 설립되었으며, 총 11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2021년 5월 28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배터리시스템 개발 및 생산 기술확보 등의 운영 효율화를 위하여 에이치그린파워(주)에 대한 (주)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 49%를 인수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취득금액은 30,000백만원이며, 2021년 7월 중 지분인수를 완료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연결회사의 에이치그린파워(주) 보유지분은 100%입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에이치그린파워(주)의 생산 물량 확대 및 재무 건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2022년 4월 21일 이사회에서 50,000백만원을 추가로 출자할 것을 의결한 바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결회사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여 자율주행, IVI, 전동화 분야를 포함한 미래 자동차 기술을 선도하는 것을 비전으로 세부 실행과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분야는 운전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돕는 능동형 주행 보조 시스템(ADAS)을 기반으로 인지, 측위, 판단, 제어를 아우르는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IVI의 중심 역할을 하는 통합형 제어기부터 AVN, HUD, 클러스터,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등 개별 운전자에게 맞춤화, 최적화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형 IVI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동화 개발 방향에 발맞추어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에 필요한 고출력 구동 시스템 및 고용량 배터리 시스템, 차량용 충전기 그리고 수소연료전지차의 연료전지시스템 등 다양한 전동화 부품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핵심인 제동, 조향, 램프, 안전, 현가 부품과 3대 자동차 모듈 (칵핏모듈, FEM, 샤시모듈), 신소재 개발 등의 기초 기술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래 자동차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Stradvision (영상인식), Velodyne(라이다 센서), Motional (자율주행 솔루션), Envisics (AR-HUD) 등 외부 기술 기업들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과 미국, 독일, 중국, 인도 등 5개국에 지역별로 특화된 R&D 거점을 운영중이며, 각 연구소는 상호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우수 인재 확보와 육성, 전문기업과 협업, 현지 주요 대학과 산학협력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결회사는 연구개발 업무를 전담하는 연구소를 연구개발본부, 생산개발센터, 품질연구소로 구분하여 2017년 말까지 운영해 왔습니다. 이 중 회사의 핵심 사업분야인 자동차 핵심부품 및 3대 모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본부는 2018년부터 램프 및 전동화 부품, 모듈 사업의 R&D 부문을 각각 램프사업부, 전동화사업부, 모듈사업부로 분할하여 사업부 체계의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2020년 사업부체계를 전사적으로 확대하면서 조직명칭을 BU(Business Unit)로 변경하였습니다. 전장, 샤시 및 안전 부품의 R&D 부문을 전장BU, 샤시안전BU로 분리하여 전사 사업부 체계를 완결하였습니다. 현재 연구소는 서비스부품BU를 제외한 총 5개 BU(전장, 샤시안전, 전동화, 램프, 모듈)의 R&D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통기술 및 모빌리티 선행연구 개발하는 R&D부문이 있습니다.
2021년에는 반도체 설계 섹터를 신설하고 2022년 시스템반도체섹터/전력반도체섹터로 분리하여 시스템/전력 반도체 등 미래형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를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라. 연구개발비용
연결회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과 목제46기 1분기제45기제44기비 고
연구개발비용 계 | 289,143 | 1,169,327 | 1,013,085 | - |
(정부보조금) | (1,022) | (1,909) | (902)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x100] |
2.55 | 2.80 | 2.77 | - |
마. 연구개발실적
연결회사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과제를 진행중이며, 최근 3사업연도 주요 연구개발실적 및 진행중인 과제는 '상세표-4.연구개발실적(상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연구개발실적(상세)' 참조 |
가.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연결회사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서 축적한 오랜 역사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대자동차 및 기아의 순정부품 브랜드를 구축해 왔습니다. 연결회사는 상기 브랜드 및 유통망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현대자동차 및 기아 고객의 원활하고 안전한 운행을 보호함으로써 글로벌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서의 안정적인 기반을 굳건히 해 왔습니다.
또한, MECA(Mobility, Electrification, Connectivity, Autonomous)로 대변되는 자동차시장 변화에 따라 고객의 니즈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자동차용품에 대해 발굴, 개발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모빌리티쇼와 자동차부품 전시회에 독립 부스를 운영하며, 미래 모빌리티 핵심기술을 집약한 컨셉카 M.VISION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제동, 조향, 안전, 램프 등 기존의 핵심부품뿐만 아니라, IVI, 자율주행, 전동화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핵심기술들을 공개하여,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선도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차원입니다. 또한 이를 위해 TV를 비롯한 각종 매체광고, 안전운행을 위한 고객캠페인 등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우수한 기술력, 전문성, 선도적 지위에 대한 홍보뿐만 아니라 해외대리점 및 딜러에 대한 마케팅 지원을 통해 브랜드 홍보를 지속 강화할 계획입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2022년 1분기말 현재 당사의 지적재산권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특 허 | 디 자 인 |
국 내 | 3,706 | 521 |
해 외 | 2,548 | 152 |
계 | 6,254 | 673 |
자율주행 등 미래기술 선점을 통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특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특허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율주행, 전동화 등 미래기술 분야의 특허를 조기에 발굴하기 위한 다양한 특허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임직원들의 발명 활동과 특허 출원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2021년 국내외 출원한 특허가 2,700건을 넘었고, 이는 2019년과 2020년 대비 각각 2.3배, 1.3배 증가한 실적입니다. 앞으로도 기술 적용성이 높은 우수 특허와 자율주행, 전동화 등 차세대 기술 관련 특허를 중점적으로 개발함으로써 미래기술 선도를 위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특허 경쟁력을 향상시킬 예정입니다.
연결회사가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최근 3사업연도 중 취득한 중요한 특허권의 내역은 '상세표-5.특허권 보유현황(상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5. 특허권 보유현황(상세)' 참조 |
다. 법률/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완성차 제조업체는 소비자의 자유롭고 편리한 차량수리를 위해 원활하게 부품을 공급할 의무가 있고, 소비자기본법에 따르면, A/S용 부품은 해당차량이 단종된 후에도 최소한 8년간 보관하고 공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법령에 따라 연결회사는 현대자동차ㆍ기아 등 완성차 업체로부터 순정부품 공급에 대한 책임을 위임받아 소비자들이 어디서나 쉽게 부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망을 구축하여 운영 중입니다.
또한 자동차관리법은 자동차 또는 자동차 부품의 자료제공 등에 관한 사항으로 수많은 차종의 부품특성을 감안하여 정비가 가능토록 부품 및 정비관련 자료를 제작하여 공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결회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부품카탈로그 WPC(Web Parts Catalog)를 운영하여 고객이 보유한 자동차의 부품 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라. 환경관련 규제사항
당사는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전 부문의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환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규제, 자원의 재활용 규제, 유해물질 사용 규제, 환경보전법 등 국ㆍ내외 환경규제 준수를 성실히 이행하고자 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물질 배출저감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노후설비의 개선과 고효율 환경설비에 대한 투자를 통해 법적 허용기준치 대비 강화된 관리기준 이내로 항상 유지관리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는 협력업체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모든 부품에 대해서 유해물질 함유여부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화학물질관리시스템(MCMS : Mobis Chemicals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사업장에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을 취득하여 매년 인증심사를 통해 사업장별 환경경영 현황을 종합적으로 점검, 개선하고 있습니다.
2014년에는「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29조에 의거해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도의 관리업체로 지정됨에 따라 2016년부터 환경부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고하였습니다. 2019년에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됨에 따라 2020년부터 환경부에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및 배출권 제출 등 배출권거래제도의 의무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외 주요 법규 및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사 유해물질관리 프로세스 구축하고, 전사 유해물질 관리 표준을 제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주요 부품에 대해 점검을 실시하고, 규제 대상 유해물질의 사용여부 파악, 정부 규제 대응(보고·등록·신고 등) 및 행정조치에 선제적으로 대응할수 있도록 경영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제품뿐만 아니라,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사에 대한 관리 및 상생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더불어 2021년에는 유해물질 전담 분석실을 구축하여 제품 사전 분석 및 협력사 분석 지원중에 있습니다.
(1)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 매년 전사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 및 시행, 이행실적 관리
- 검증기관을 통한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의 제3자 검증
- 사업장의 에너지 사용량 및 배출량 감축을 위한 설비 개선 등 감축 활동 실시
(2) 유해화학물질 관리
- 유해물질 전담 분석실 구축으로 제품 사전 분석 및 협력사 분석 지원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파악 및 대체물질 유효성 확인 및 검토
- 취급자의 철저한 보호구 착용관리 및 비상보호구 상시관리를 통한 사고예방
(3) 폐기물 배출 관리
- 폐기물 발생량 저감활동
- 발생 폐기물 재활용 확대로 폐기물 자원화 증대
(4) 대기, 수질 오염물질 관리
- 발생 오염물질의 방지시설 적정처리
- 엄격한 자체 배출기준을 바탕으로 오염물질 배출 저감
- 주기적인 방지시설 점검과 소모품 교체를 통한 환경영향 최소화
(5) 기타 환경관리
- 환경사고 요인의 인적·물적 피해에 대한 보상 및 책임관리를 위한
"환경책임보험" 가입 관리
마. 안전보건관련 실적 및 계획
당사는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 구현을 위해 모든 업무활동에 안전보건을 최우선으로 운영한다는 안전 최우선 경영방침을 확립하고 안전보건 경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법규의 준수, 사업장 안전 확보 및 임직원 만족도 제고를 위해 매년 회사의 안전보건 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안전보건 현황
1) 안전보건 경영방침
- 안전보건을 최우선 가치로 인식
- 안전보건 기본 및 원칙 준수
- 전 임직원의 안전보건 활동 참여 및 실질적 / 지속적 활동 추진
- 안전보건 최우선 투자 등
2) 안전보건 관리 조직의 구성, 인원 및 역할
- 안전보건관리 조직의 구성 :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外
- 안전보건관리 인력 현황 : 1부문 1실 12팀, 89명 / [본사] 1부문 1실 전담 3팀,
[사업장] 전담 9팀
※ 안전보건 조직 및 인력 지속 강화中
3) 안전보건관련 시설 현황
- 안전보건시설 : 안전교육장, 건강관리실, 운동치료실, 방재실 등
- 안전보건장비 : 긴급구조장비, 측정기(가스농도 측정기, 코로나 관련
열화상 카메라) 등
(2) 2022년 안전보건 실적 및 향후 계획
1) 안전보건 예산
2021년 계획 | 2021년 실적 | 2022년 계획 | 2022년 1분기 실적 |
총 234.2억 * 경상 118.0억, 투자 116.2억 |
총 299.9억 (전년대비 ▲53%) * 경상 145.1억, 투자 154.8억 |
총 223.8억 * 경상 133.6억, 투자 90.2억 |
총 45.4억 * 경상 29.7억, 투자 15.7억 |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대비 주요 위험요인, 시설에 대해 선제적 투자 진행 (2021년 계획대비 65.7억 추가투자)
2) 안전보건 활동
2021년 주요 실적 | 2022년 1분기 주요 계획 |
- 본사/사업장 안전보건 전담조직 신설 및 인력 충원 - 안전수준 향상 프로젝트 추진(안전시스템 및 문화 평가) - 합동 365패트롤및 자문위원 활동 실시 - 경영층 주관 사업장 방문/안전점검 정례화 - 임직원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참여형 안전문화 활동 추진 |
- 본사/사업장 안전보건 조직 및 인력 강화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R&R, 업무이행 Process 정립, 규정정비 등) - 합동 365패트롤내실화 (국내 모든사업장으로활동 확대) - 전사 SHE 회의체 정례화 및 운영강화 - 기본준수 문화 조성 : 현장중심 안전가이드 배포, 안전정보 제작/배포, 불시점검 실시 등 |
바.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1) 제 46기 1분기 (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모듈 및 부품제조 사업부문 |
A/S용 부품 사업부문 |
공통부문 | 연결조정 | 합 계 |
총부문수익 | 10,663,986 | 3,389,270 | - | (2,745,045) | 11,308,210 |
연결조정 | (1,707,954) | (1,037,091) | - | 2,745,045 | - |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 | 8,956,031 | 2,352,179 | - | 11,308,210 | |
영업이익 | (46,271) | 477,925 | - | (44,781) | 386,873 |
부문자산 : | |||||
재고자산 | 2,740,902 | 2,601,617 | - | (688,758) | 4,653,761 |
유형자산 | 3,830,555 | 1,052,708 | 4,255,858 | (9,548) | 9,129,573 |
무형자산 | 701,782 | 67,278 | 123,829 | 21,995 | 914,884 |
(2) 제45기 (2021년)
(단위:백만원) |
구 분모듈 및 부품제조사업부문A/S용 부품사업부문공통부문연결조정합 계
총부문수익 | 38,892,617 | 11,437,292 | - | (8,627,725) | 41,702,184 |
연결조정 | (5,627,232) | (3,000,493) | - | 8,627,725 | - |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 | 33,265,385 | 8,436,799 | - | - | 41,702,184 |
영업이익 | 77,971 | 1,968,067 | - | (5,926) | 2,040,112 |
부문자산 : | |||||
재고자산 | 2,524,603 | 2,390,092 | - | (639,729) | 4,274,966 |
유형자산 | 3,888,473 | 1,003,084 | 4,249,145 | (10,158) | 9,130,544 |
무형자산 | 704,859 | 62,845 | 126,157 | 22,014 | 915,875 |
(3) 제44기 (2020년)
(단위:백만원) |
구 분모듈 및 부품제조사업부문A/S용 부품사업부문공통부문연결조정합 계
총부문수익 | 34,384,612 | 9,049,451 | - | (6,807,559) | 36,626,504 |
연결조정 | (4,798,178) | (2,009,381) | - | 6,807,559 | - |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 | 29,586,434 | 7,040,070 | - | - | 36,626,504 |
영업이익 | 209,024 | 1,564,724 | - | 56,544 | 1,830,292 |
부문자산 : | |||||
재고자산 | 1,801,450 | 1,816,845 | - | (561,090) | 3,057,205 |
유형자산 | 3,484,231 | 1,068,825 | 4,188,863 | (20,811) | 8,721,108 |
무형자산 | 681,459 | 60,630 | 120,488 | 18,710 | 881,287 |
사. 사업부문별 현황
(1)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연결회사는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및 FEM을 생산하여 현대자동차ㆍ기아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에 직서열(JIS, Just In Sequence: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형태와 순서로 필요한 시간에 완성차업체에 조달) 방식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공동참여를 통해 핵심 모듈 및 부품별 특성을 고려한 설계, 시험, 해석, 평가 등 연구개발(R&D) 중이며, 3대 핵심모듈의 첨단화 및 시스템 통합화를 통하여 생산공정 간소화, 조립의 편의성 증대 및 조립시간 단축, 중량 및 부품수 감소, 비용 절감, 품질 및 재고 관리의 효율의 증대 등 모듈화 효과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연결회사는 글로벌 종합 자동차부품업체로서 편리성과 주행성능은 물론, 도로 안전과 환경을 고려한 자동차 핵심부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CBS(Conventional brake system), ABS(Anti-lock Brake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및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등 차량을 제어하는 기본 기능인 제동 및 조향 시스템, 차량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는 대표적 승객보호장치인 에어백, 변화하는 도로에 대해 최적의 시야를 제공하는 램프 등이 이러한 핵심부품입니다.
또한 자동차가 단순 기계구동부품에서 전자화, 전동화 되어가는 추세에 적극 발맞추어 각종 전장 부품과 전동화 부품을 개발/생산하고 있습니다. 우선 전장부품으로는 자동차의 두뇌로서 에어백, MDPS, ABS 등 각종 부품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디스플레이장치인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를 담당하는 오디오,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운전자 보조시스템 및 자율주행용 센서인 SVM(Surround View Monitoring,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긴급 제동 시스템),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시스템), 전방 카메라, 레이더 등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전동화 부품으로는 친환경 차량의 구동 에너지를 공급/저장하는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상태를 측정 및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 및 회생제동을 위한 시동발전기(HSG, Hybrid Starter and Generator), 전력변환 제어기인 PCU(Power Control Unit), 차량 탑재형 충전기(OBC, On Board Charger)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HEV/PHEV/EV용 차량에 모두 해당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 외에 48V MHEV용 시스템 및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전지 시스템 또한 개발/공급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
독일, 미국 등 자동차 강대국 보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글로벌 자동차 생산 대국으로 성장하였고, 기술 수준 또한 주목받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으며, 이제는 국가의 기간산업을 넘어 국가 경제의 기틀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자동차 산업은 '국가 경제 대리전'이라고 할 만큼 각국이 사활을 걸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한 나라의 기간산업으로서, 전방산업인 완성차 제조업은 물론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부품산업과 그 후방산업인 소재, 전기, 전자 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출, 경상수지, 고용 등에 이르기까지 국가 경제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연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대단히 크고 산업의 총제적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에 각국 정부는 자동차산업 부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 자동차산업은 완성차 제조/판매 중심에서 첨단 기술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종합 모빌리티 산업으로 생태계가 진화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 경쟁 본격화, 새로운 운송수단의 등장 및 사물ㆍ차량ㆍ사람 간 연결성 확대에 따른 인포테인먼트/커넥티비티 수요 확산, 친환경 동력원에 대한 관심도 증가 등으로 전통적인 기계부품의 부가가치는 감소하고 전기/전자부품 및 소프트웨어, 전동화 관련 기술의 중요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회사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전동화와 같은 고부가가치 미래 기술 개발 및 관련 핵심 역량 확보를 통해, 예상되는 사업환경 변화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2021년 세계 자동차 판매는 전년 대비 7.3% 증가하며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지속적인 코로나19 변이 확산 및 반도체 부족 사태에 따른 공급 차질로 연초 기대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는 수요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은 코로나19 진정 국면 진입 및 반도체 수급난의 점진적 해소로 안정적인 시장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의 판매량 회복은 2023년경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편, 2021년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대비 1.3% 감소한 346만대에 그치며 2004년 이후 17년 만에 350만대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국내외 자동차 시장의 수요 회복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수급 이슈로 인한 생산 차질이 가중된 영향으로 파악됩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연결회사의 주요 고객인 현대자동차ㆍ기아의 2021년 국내외 판매실적은 667만 대(내수 126만 대, 해외 541만 대)로, 2020년 635만 대(내수 134만 대, 해외 501만 대) 대비 5.0% 증가하였습니다. 반도체 이슈 등의 영향으로 국내 판매는 다소 감소했지만, 전년도 코로나19 여파의 기저효과와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의 신차 및 친환경차 판매 호조에 힘입어 성장 전환을 기록하였습니다. (현대자동차ㆍ기아 영업(잠정)실적)
현재 세계 자동차 산업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장기화와 환경규제 강화,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반도체 수급 이슈 등으로 수요ㆍ공급의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지는 가운데,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자동차 산업의 구조개편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연결회사는 주요 고객인 현대자동차ㆍ기아에 대한 공급관계를 강화함과 동시에 글로벌 완성차 업체 수주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또한 전동화,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혁신적인 모빌리티 기술 구현 및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부합하는 신성장 동력 발굴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 나갈 것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2022년은 팬데믹 위기 진정에 따른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약화 및 금융 긴축기조 전환으로 세계 경제 성장률 또한 2021년 대비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산업 수요는 전년 대비 개선된 경영환경에 힘입어 안정적인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2년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은 전년도 공급 차질로 이연된 대기수요의 유입 및 락다운 해제에 따른 이동수요 증가, 본격적인 전기차 판매 확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시장은 친환경차 보조금 및 구매세 면제 정책 종료 전 선수요 및 소비촉진책 도입으로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며, 인도, 브라질 등 기타 신흥시장 또한 팬데믹 안정화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으로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 자동차 시장은 반도체 부품 수급 문제의 점진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금리인상, 볼륨모델 신차 출시 부족 등으로 판매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2006년에 연결회사는 사상 처음으로 '세계 100대 자동차 부품업체'에 선정되었습니다. 미국의 자동차 전문지인 'Automotive News'가 '세계 100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자동차 부품업체' 경영정보를 정리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연결회사는 완성차업체에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OEM 매출액을 기준으로 2010년 글로벌 10위권에 진입한 이래로 12년 연속10위권 내의 순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1년 6월 기준으로 7위에 올랐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기본적인 품질경쟁력을 확고히 하는 한편, 치밀하게 수립된 기술개발전략에 따라 글로벌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미래의 첨단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는 전략 아래, 현재 강점을 가지고 있는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의 끊임없는 품질 혁신과 기술개발을 통해 후발 주자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고자 합니다. 연결회사의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3대 핵심모듈의 조립과 이에 공급되는 핵심부품(제동/조향/에어백/램프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며 자동차의 안전성, 편의성 및 승차감 등을 고려한 제품의 공급을 최우선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ㆍ기아 및 글로벌 완성차업체의 생산ㆍ판매목표를 차질 없이 근접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생산거점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국ㆍ미국ㆍ유럽ㆍ인도 등 기존 현지 생산공장의 제품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브라질, 터키, 멕시코 공장 등을 차질 없이 완공하면서 한국을 제외한 전세계 9개국에 이르는 글로벌 생산거점을 확보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연결회사는 자동차 산업 미래 3대 신기술인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전동화의 흐름에 맞추어 연구개발 및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용인 마북연구소, 의왕연구소 및 서산주행시험장 등 국내거점과 함께 북미, 유럽, 중국 및 인도 등 글로벌 주요지역의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글로벌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전사 연구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마북연구소를 중심으로 생산기술, 품질연구 및 시작제품 생산을 담당하는 의왕연구소와 실차 및 시스템 단위의 제품 검증을 수행하는 서산주행시험장을 운영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자율주행 센서와 제어시스템, IVI 통합 제어 등 차세대 사업 역량을 더욱 고도화하기 위해, 2020년말 현대오트론의 반도체 사업 부문을 인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분야의 전문적인 설계, 개발, 검증 역량을 키워 미래차 전장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연결회사의 탄탄한 개발 인프라는 이러한 미래혁신을 준비하는 든든한 버팀목입니다. 충남 서산에 위치한 34만평(112만㎡) 규모의 서산주행시험장은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는 다수의 주행로와 시험동을 갖추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 중 최고 수준의 규모와 시설을 자랑합니다.
서산주행시험장은 가동 대수를 꾸준히 늘리며 핵심부품의 성능과 내구성 검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독자 센서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이를 적용한 자율주행 기술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첨단시험로와 레이다시험로에서 반복적인 시험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2018년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시험차 '엠빌리(M.Billy)'를 미국과 독일 등에서 본격 운영하며 미래기술을 확보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 차에는 연결회사가 독자 개발한 센서와 각종 제어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세계 각지의 실도로 주행 데이터베이스를 동시 다발적으로 축적할 계획입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투어 전기차를 개발/생산하는 가운데 연결회사는 HEV/PHEV/EV의 핵심부품인 구동모터, 시동발전기, 배터리 시스템, 전동화 제어기, 탑재형 충전기 등을 생산하고 있을 뿐 아니라, 2017년 충북 충주에 위치한 친환경차 부품 전용생산단지 내에 수소전기차 핵심부품인 '파워트레인 연료전지 통합모듈(PFC: Powertrain Fuelcell Complete)' 생산을 전담하는 공장을 건설하고 운영 중에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고객사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차량 양산 계획에 발맞추어 관련 전동화 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신규 거점을 2019년부터 울산에 구축하여 운영 중이며, 빠르게 성장 중인 전동화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고객과의 파트너십은 미래성장을 좌우하는 열쇠입니다. 해외 완성차 메이커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사업 확대는 당사가 명실상부한 글로벌 Top 부품회사로 질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 성취해야 할 중점 추진 과제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하여 현대자동차ㆍ기아 중심의 매출 구조에서 탈피하여 안정된 고객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균형 잡힌 매출구조로 전환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북미, 유럽, 중국 등 주요 완성차 시장에 글로벌 연구소를 구축하여 R&D 활동을 통한 설계 비용 절감과 시장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지 생산 거점 구축 및 부품의 현지 구매 비중 증가를 통해 원가절감과 함께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아울러 주요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전시회를 개최하여, 핵심 부품에 대한 기술소개 및 신기술 중심의 세미나를 통해 기술홍보 및 향후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제의 등 다양한 교류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적극적인 선행기술 제안 및 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의 고객 협업과 파트너쉽 강화를 도모하여 글로벌 부품업체로서의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고객과의 면대면 마케팅 활동에 제약이 있었으나 '모비스 비즈니스 커넥트' 오픈 및 활발한 온라인 미팅을 통해 마케팅을 지속하였으며, 올해 초 참가했던 북미 CES에서 전장 및 램프의 기술 선도 제품을 선보이며 고객사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본사와 연구소 등 글로벌 12개 사이트에 대한 정보보안 인증인 TISAX를 취득하여 고객사들과의 유기적인 협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지역별 글로벌 고객사 진출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북미시장
스텔란티스에 샤시모듈을 수주하여, 미국 오하이오주와 미시간주에 모듈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하이오 공장에서는 지프 글래디에이터차종 컴플리트 샤시모듈을, 미시간 공장에서는 닷지 듀랑고 및 그랜드체로키차종 프론트/리어 샤시모듈을 공급하고 있으며, 양 공장 누적 생산량은 2021년 기준 약 613만대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는 철저한 품질관리 및 적극적인 생산설비 투자가 밑받침되어 가능하였으며, 당사의 모듈화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핵심부품의 경우 스텔란티스의 주요 차종에 헤드/리어램프 및 디스플레이모듈 (Center Stack Display)을, GM에는 오디오와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중앙 컨트롤 장치인 ICS(Integrated Center Stack)와 주차브레이크를 수주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GM과 스텔란티스로부터 우수협력사로 선정되는 등 자동차 본 고장인 북미시장에서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북미 BIG 3 및 전기차OE를 대상으로 핵심부품 수주 확대를 위해 마케팅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초엔 CES에 참가해 북미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당사 기술 선도 제품들을 소개하였습니다.
2) 유럽시장
기술진입장벽이 높은 유럽시장에도 당사는 다양한 업체에 핵심부품을 수주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두 번째로 많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스텔란티스에 ICS (Integrated Center Stack)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럽 사업 확대를 위해 프로모션 등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작년 하반기엔 독일 프랑크푸르트 IAA 모터쇼에 참가해 유럽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당사의 기술 선도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습니다.
3) 일본시장
당사는 가격경쟁력과 품질 확보를 통해 진입이 까다로운 일본시장에도 주요 고객들을 확보하고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쯔비시에 첨단 LED 헤드램프, 리어램프, 내비게이션을, 스바루와 마쯔다에는 리어램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4) 중국시장
세계 1위의 자동차 시장 규모를 갖고 있는 중국 시장의 강화를 위해 J/V (Joint Venture) 및 로컬OE에 대한 수주를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J/V OE 중 상해GM에 ICS를, 광기Fiat에는 리어램프 등의 수주계약을 체결하고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로컬OE의 경우 일기교차에 에어 서스펜션과 전자식주차브레이크를, 길리기차에 Sound System(Amp, Speaker)을, BYD에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등을 공급 중입니다.
(2) A/S용 부품사업
국내외에서 운행중인 모든 현대자동차ㆍ기아에 소요되는 보수용 A/S부품을 공급하는 A/S용 부품사업은 부품의 책임공급을 위한 물류센터 등의 대단위 인프라 구축과 194개 차종, 260만 품목을 관리함으로써 보수용 A/S부품에 대한 수요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부품공급을 통해 현대자동차ㆍ기아 보유고객에 대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
자동차 부품산업은 전방산업인 완성차 제조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산업으로, 완성차 제조업과 더불어 후방산업인 소재, 전기, 전자, 비철금속, 철강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입니다.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완성차 수출액과 별도로 산정하더라도 국내 전체 수출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1분기 총 A/S부품 수출금액은 8.1억 달러로 총 수출액 1,729억 달러의 0.5%, 자동차부품 수출액 51억 달러의 15.7%(한국무역협회 HS-Code 8708 기준)를 차지해 꾸준히 매출액 상위를 유지하며 완성차 제조업과 함께 우리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산업은 크게 신차 제조용 OEM 부품부문과 A/S용 부품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A/S용 부품사업은 현대자동차ㆍ기아 등 완성차 업체의 자동차 판매에 따른 사후관리로 운영되는 고객서비스 산업으로써 현대자동차ㆍ기아 등 완성차 부품의 책임공급 및 기타 보수용 A/S부품 공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A/S용 부품매출은 자동차 A/S 수요 운행대수, 평균 차량연령, 부품 내구성, 교통사고 건수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됩니다. 이 중 자동차 A/S 수요 운행대수는 매출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 및 증가율은 2013년 1,940만대, 2014년 2,012만대, 2015년 2,099만대, 2016년 2,180만대, 2017년 2,253만대, 2018년 2,320만대, 2019년 2,368만대, 2020년 2,437만대, 2021년 2,491만대(한국자동차공업협회)로 집계되었습니다. 2022년 1분기 전체 보유대수는 2,507만대이며, 이 가운데 현대자동차·기아 보유대수는 1,750만대(한국자동차산업협회)로 69.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해외의 A/S 수요 운행대수는 2021년말 대비 1.3% 감소한 4,136만대 입니다. 코로나 글로벌 팬데믹으로 인한 자동차 판매 감소로 A/S 수요 운행대수는 감소했지만, 점진적 시장 안정화 및 소비심리 회복 등에 따라 매출규모는 지속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은 경기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이미 보유한 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A/S용 부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의 영향이 적은 편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자동차 판매는 코로나19 진정 국면 진입과 반도체 수급 문제의 점진적 해소로 7.6% 증가한 8,472만대로 전망됩니다. 미국은 반도체 부족 문제의 점진적 해소, 대기수요 유입 및 Fleet 수요 회복 등으로 판매 증가 예상됩니다. 유럽 또한 반도체 사태로 이연된 수요와 코로나19 안정에 따른 소비 개선으로 회복세가 유지될 전망입니다. 중국은 반도체 공급 문제 완화에 따른 대기수요 실현 및 소비심리 개선으로 큰 폭의 판매 성장이 예상 되며 기타 지역 또한 코로나19 영향 감소 등에 따른 경제회복으로 판매 회복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백신 보급 확대, 락다운 완화 등에 따른 민간소비 증가로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하반기 생산 차질 심화에도 불구 2021년 10.8%의 판매 증가를 보였습니다. 2022년도에는 반도체 부족 문제의 점진적 해소 속에 대기수요 유입 및 Fleet 수요 회복 등으로 전년비 5.0%(1,695만대)의 판매 성장이 예상됩니다. 다만, 전년도의 대규모 신차 공급 부족 여파가 반도체 부족이 완화된 4/4분기 이후까지 영향을 주어 일부 장기 대기수요의 중고차 시장으로의 이탈이 예상되며 이는 신차 판매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차 판매는 친환경차 선호 및 신모델 출시 증가, 볼륨모델 판매 본격화로 증가 중이며 2022년에도 신모델 대거 출시, 전년도 생산 차질로 이연된 대기수요 유입으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캐나다는 높은 백신 접종률에 기반한 경제활동 정상화로 4% 이상의 경제 성장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반도체 공급 부족 완화에도 불구 자동차금융 금리 인상으로 판매 회복세는 둔화되어 2022년에는 178만대(전년비 +6.0%)의 판매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브라질은 코로나19 진정 속에 전반적인 소비심리 회복과 반도체 공급 부족 완화로 2022년 237만대(전년비 +8.3%)의 판매 전망됩니다. 다만, 정정불안 및 재정부채 부담으로 자동차산업 부양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부재 및 투자 감소에 따른 회복세 제약이 우려 됩니다. 멕시코는 경제회복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 대기수요 유입 및 전년도 기저효과로 2022년 116만대(전년비 +12.4%)의 판매가 예상됩니다.
유럽은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봉쇄 완화, EU 재정지출 증가로 4%대 경제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이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 2021년 8.9%의 판매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2022년에는 반도체 사태로 이연된 수요와 코로나19 안정에 따른 소비 개선으로 회복세가 유지되어 1,636만대(전년비 +9.3%)의 판매가 전망됩니다. 친환경차 시장의 경우 친환경 트렌드 확대, 주요국의 친환경차 구매 지원 지속 및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BEV 판매 중심으로 지속 성장하여 2022년 356만대(전년비 +31.9%) 판매를 예상합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미국, 서방국가 등의 경제 제재에 따라 경기위축 국면에 접어 들었으며 GDP 또한 전년 대비 12%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러-우크라이나 전쟁 지속으로 서방국가의 러시아 추가 제재 방안이 지속 협의되고 있는 등 러시아 경제의 불확실성은 가중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중국은 3년 연속 판매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 반도체 공급 차질에 따라 2021년 판매 정체(1,950만대, 전년비 +0.3%) 되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에는 중국산 반도체 적용에 따른 반도체 부족 조기 해소 가능성, 정부의 소비 촉진 정책 도입 등의 효과로 큰 폭의 판매 성장 (2,110만대, 전년비 +8.2%)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도는 전년도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위축의 기저효과로 2021년 큰 폭으로 판매 증가 (321만대, 전년비 +31.7%)를 보였습니다. 2022년에는 백신 접종 확대 등에 따른 코로나19 위기 진정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판매(340만대, 전년비 +5.9%)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끝으로 2021년 내수 시장은 장기간 이어진 개소세 인하 효과 약화와 반도체 부족에 의한 공급 제약으로 판매 감소(174만대, 전년비 -6.1%)하였습니다. 2022년에 부품 수급 이슈는 점차 개선되나 금리인상 및 볼륨모델 신차 출시 부족으로 수요는 정체(173만대, 전년비 -0.8%)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2년 1분기 그룹내 완성차업체 CKD 포함 글로벌 도매판매 : 현대자동차 903천대, 기아 686천대 (현대자동차ㆍ기아 IR자료)
한국은행자료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0.7% 증가(전년동기대비 3.1% 증가) 하였고 글로벌 재화 수요 증가, 견조한 IT 경기 등에 힘입어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어 2022년 경상수지 흑자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하지만 2022년 1분기 국내경제는 코로나19 확산세 심화로 대면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주춤하였으며, 글로벌 공급차질의 영향으로 투자의 회복흐름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A/S용 부품시장에서의 경쟁력은 완성차 판매지역 확대에 따른 부품 공급망 보유 여부와 안정적인 품질유지 및 적정한 가격 책정 등으로 결정됩니다.
연결회사는 최적의 부품 공급률을 유지하기 위해 국내 3개 권역, 22개 사업소, 4개의 물류센터, 40개의 정비파트, 1,107개의 대리점 등을 갖추어 업계 최고의 유통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전세계 215개 국가에 걸쳐 13개의 현지법인, 1개 지역사무소, 469개의 대리점과 11,520여 개의 딜러를 운영하는 등 해외 물류거점에 의한 현지 밀착형 부품공급 체계를 구축하여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품의 철저한 품질관리 및 보증제도 시행을 통해 고객의 절대적인 신뢰를 확보하고 경쟁사 대비 최상의 고객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이노베이션 기업분석 반기보고서 (0) | 2022.08.19 |
---|---|
신한지주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19 |
POSCO홀딩스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18 |
삼성물산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18 |
셀트리온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2022년 5월 16일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