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2022.08.16 한미글로벌 사업의 내용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8.
반응형

II. 사업의 내용

* 지배회사인 당사(국내 및 해외) 와 주요종속회사인 Otak.Inc(미국 소재) 는 각 소재
  지에서 별개로  운영되기에 구분편의를 위해 사업의 내용을 분리하여 기재합니다.
* 주요종속회사중 주식회사한미글로벌디앤아이(구, 랜드마크디벨럽먼트)는 자산기준이 주요종속회사에 부합되나 부동산개발업을 위한 일시적인 재고자산(용지 등) 매입에 기인한 것으로 사업의 내용은 별도 기재하지 않습니다.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1996년 6월 18일 국내최초의 건설사업관리 전문회사로 설립된 이후 26년간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명실상부한 국내최고의 건설사업관리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글로벌 PM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건설사업관리는 건설산업의 한 분야인 기술용역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건설사업관리자가 발주자를 대신하여 건설사업의 관리를 대행하여 주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기 때문입니다. 즉, 계약에 의하여 발주자의 전반적인 또는 부분적인 권한을 위임 받아 대리인(Agent) 및 조정자(Coordinato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건설사업관리자는 최신의 건설공법, 시장분석, 원가 및 공정관리 등 여러 가지 필요한 지식을 갖추고 기획,설계,시공/감리,사후관리 등 프로젝트 전 분야에 걸친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종합관리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즉, 건설사업관리는 전통적인 설계-시공의 공사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공사관리로서 사업초기부터 관여하여 공기단축, 원가절감, 품질향상 등을 목표로 하는 방식입니다. [건설사업관리의 효과]

건설사업관리는 프로젝트에 대한 전문적인 경험과 관리능력을 바탕으로 사업 참여자간에 발생하기 쉬운 이해충돌과 의사소통 부족을 사전에 예방하며, 발주자의 입장에서 일관성 있는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발주자가 최선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ㅇ 프로젝트 전반적인 관리에 대한 일관성 제공
   ㅇ 프로젝트 전 과정에 있어 VE 및 Constructability Review 등을 통한 원가 절감
   ㅇ 설계시공병합방식(Fast-track)을 통한 공기 단축 및 사업 유연성 확보
   ㅇ 불필요한 예산증액이나 설계변경 관리를 통한 예산범위 내 프로젝트 수행
   ㅇ Real-Time 정보 제공을 통한 합당하고 시의 적절한 의사결정 가능


지배회사의 당기 영업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회사의 사업부문은 '건설사업관리' 단일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2. 6. 30 현재]                                                                         (단위:백만원)

구분건설사업관리 부문

자산 183,190
매출액 85,634
매출총이익 20,310
영업이익 6,447


본 사업의 개요에 요약된 내용의 세부사항 및 포함되지 않은 내용 등은 "II. 사업의 내용"의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부터 "7. 기타 참고사항"까지의 항목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서비스 현황

                                                                                                     (단위:백만원)

구분2022년 매출액(제27기 상반기)2021년 매출액(제26기)2020년 매출액(제25기)용역형책임형계 용역형책임형계 용역형책임형계 

국내  관급  764   764 1,410   1,410 1,081   1,081
민간  64,938 13,713 78,651 118,955 8,699 127,654 92,623 8,178 100,801
해외  6,219   6,219 10,169   10,169 14,492   14,492
합 계  71,921 13,713 85,634 130,534 8,699 139,233 108,196 8,178 116,374


나. 제품, 서비스 종류별 완성도 현황

(1) 용역형
                                                                                                    (단위:백만원)

구 분 수익인식액 (매출액) 누계당기말계약잔액제27기 상반기제26기제25기

관 급  764 1,410 1,081 3,728
민 간  64,938 118,955 92,623 212,681
해 외  6,219 10,169 14,492 26,577
합 계  71,921 130,534 108,196 242,986


(2) 책임형
                                                                                                    (단위:백만원)

구 분 수익인식액 (매출액) 누계당기말계약잔액 제27기 상반기제26기제25기

관 급         
민 간  13,713 8,699 8,178 27,737
해 외         
기 타         
합 계  13,713 8,699 8,178 27,737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백만 원/천U$)

매출유형 품목 2022년도(제27기 상반기)2021년도(제26기)2020년도(제25기)

용역형 내수  65,702 120,365 93,704
수출  6,219
(USD 5,043)
10,169
(USD 8,885)
14,492
(USD 12,281)
소계  71,921 130,534 108,196
책임형
(시공)
내수  13,713 8,699 8,178
수출  - - -
소계  13,713 8,699 8,178
합계  내수  79,415 129,064 101,882
수출  6,219
(USD 5,043)
10,169
(USD 8,885)
14,492
(USD 12,281)
합계  85,634 139,233 116,374

주) 수출금액의 U$는 원화금액을 매년 연평균기준환율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나. 수주 및 판매전략 등
1) 판매조직
당사는 2015년부터 사업부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각 사업부에서 각 사업부별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고객서비스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 판매경로

당사는 다양한 발주처의 입찰 초청, 관보나 입찰공고 등 각종 입찰정보를 수집하여 입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수주형태로는 업체에 사업수행능력평가서(PQ: Pre-qualification)를 제출하여 입찰자격을 확보한 후 평가점수와 입찰가액을 종합하여 낙찰업체가 정해지는 경쟁방식과, 수의계약방식, 일반경쟁방식이 있습니다. 

 

3) 판매방법 및 조건

당사는 발주처와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관련 용역을 제공하는 형태로 매출이 발생하며, 각 발주자에게 1~3개월 단위로 기성 청구를 하며 대부분 현금으로 회수하고 있습니다.  

 

4) 판매(수주)전략

주요한 판매전략은 고객만족을 통한 Repeated Order율의 배가와 발주자의 건설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Solution 제공을 통한 신뢰확보입니다. 한번 고객은 영원한 고객이라는 고객만족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수주정보, 고객정보를 체계화한 Data Base를 확충하고, 단장 및 영업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고객별 담당자를 지정하여 고객만족 및 Repeated Order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발주자가 수행하는 사업의 성공적 완수를 위해 사업기간 준수 및 단축, 사업비 절감 등 고객 맞춤형 Solution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5) 수주상황  

가) 수주현황(지배회사 기준)                                                             (단위 : 원)

구분유형 프로젝트명  발주처  수주총액  수주잔고  총매출누계액 

관급 용역형 가락동농수산물시장2단계외  12건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등 9,862,057,815 3,728,453,149 6,133,604,666
민간 용역형 D 프로젝트외 283건 삼성전자 등 479,976,814,273 212,681,392,734 267,295,421,539
국내-용역 합계 489,838,872,088 216,409,845,883 273,429,026,205
국내 책임형 영암,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삼호지구 대중골프장 골프코스 3 조성공사외 2건 파크카운티 등 49,148,400,000 27,736,719,763 21,411,680,237
국내합계 538,987,272,088 244,146,565,646 294,840,706,442
해외 용역형 (리비아)LibyaHousing&InfrastructureProject외 11건 HIB 등 55,390,217,731 26,576,708,172 28,813,509,559
전사 합계 594,377,489,819 270,723,273,818 323,654,216,001

* 수주상황의 세부내역 및 진행상황은 고객사 및 당사의 대외비이기에 상기 내용으      로 표시합니다.
* 당기중 원가기준 투입법을 적용하여 진행기준수익을 인식하는 계약으로서 계약    금액이 직전연도 매출액대비 5%이상 공사계약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별도기준)
                                                                                                     (단위 : 천원)

회사명품목발주처계약일공사기한 수주총액진행률미청구공사공사미수금총액손상차손누계액총액대손충당금

영암,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삼호지구
대중골프장 골프코스 3 조성공사
공사계약 파크카운티 주식회사 2020년 09월 24일 2022년12월 31일 19,469,000 32.6 0 0 1,263,240 0
지이케미칼 생활계 폐기물 재활용사업 EPC  공사계약 (주) 지이케미칼 2021년 01월 28일 2022년 07월 27일 13,300,000 85.0 0 0 392,294 0
삼성동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신축공사  공사계약 선릉역마에스트로역세권청년주택프로젝트금융투자 주식회사 2021년 03일 11일 2023년 05월 31일 16,379,400 23.0 461,214 0 888,616 0
합 계 - 461,214 0 2,544,150  

* 상기 회사명은 프로젝트명입니다.

나) 진행율 기준 수주상황(연결기준)                                       (단위 : 천원)
* 당기중 원가기준 투입법을 적용하여 진행기준수익을 인식하는 계약으로서 계약    금액이 직전연도 매출액대비 5%이상 수주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품목발주처수주일자납기수주총액기납품액수주잔고진행률미청구공사공사미수금수량금액수량금액수량금액총액손상차손누계액총액대손충당금

영암,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삼호지구
대중골프장 골프코스 3 조성공사
파크카운티 주식회사 2020년 09월 24일 2022년12월 31일 1 31,170,000 0 7,683,687 1 23,486,313 24.7 351,137 0 2,337,764 0
지이케미칼 생활계 폐기물 재활용사업 EPC (주) 지이케미칼 2021년 01월 28일 2022년 07월 27일 1 13,300,000 0  11,310,108 1 1,989,892 85.0 0 0 392,294 0
삼성동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신축공사  선릉역마에스트로역세권
청년주택프로젝트금융투자 주식회사
2021년 03일 11일 2023년 05월 31일 1 27,299,000 0 8,689,422 1 18,609,578 31.8 800,420 0 1,168,358 0
합 계 3 58,469,000 0 27,683,217 3 44,085,783 - 1,151,557 0 3,898,416 0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위험관리
1) 주요시장위험의 내용과 손익에 미치는 영향

 해외시장에서 발생하는 매출에 대한 수금 부분에서 환율하락에 따른 환차손이 주요 위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시장매출이 아직은 그 비중이 크지 아니하고 해외매출에 관한 비용처리 역시 상당부분을 현지화로 지급하기에 환률하락에 대한 리스크는 그리 크지 않으나 향후 해외시장확대에 따른 리스크를 사전 관리하는 차원에서 당사는 예측가능 경영을 통한 경영의 안정성 실현을 목표로 환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의 전반적인 위험관리는 연결기업의 재무상태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효과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연결기업의 재무팀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업부문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금융위험을 모니터링, 식별,평가 및 회피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의 내부감사를 통해 위험관리정책 및 절차의 준수 여부와 위험노출 한도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2) 외환위험
환리스크 관리와 관련해서는 내부적 각 통화별 수급 계획을 통하여 최대한 환포지션을  최소화 한 후 통화선도등의 파생상품을 통한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3)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이란 연결기업이 금융부채에 관련된 의무를 충족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될 위험을 의미합니다. 연결기업의 유동성 관리방법은 재무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연결기업의 평판에 손상을 입힐 위험 없이, 만기일에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4) 이자율위험

 연결기업은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이 있습니다. 시장가격 관리의 목적은 수익은 최적화하는 반면 수용가능한 한계 이내로 시장위험 노출을 관리 및 통제하는 것입니다.

 

5) 자본관리

연결기업의 자본관리는 건전한 자본구조의 유지를 통한 주주이익 극대화를 목적으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은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며 총부채 및 총자본은 재무제표의   공시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연결기업의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관리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반기말 전기말 

부채총계  165,765,282 141,130,569
자본총계  152,458,237 144,123,772
부채비율 108.7% 97.9%

 

6) 위험관리조직

당사는 환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하여 환위험관리조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 리스크관리실과 경영지원팀에서는 외화 포지션 관리 및 환 위험 측정, 보고, 관리 업무와 실적 보고 및 대응 방안 보고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파생상품거래 현황

2022년 6월 30일 현재 회사가 체결중인 파생상품거래상품은 없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등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2022. 6. 30 현재)

한미글로벌의 건설전략연구소(CSRI, Construction Strategy Research Institute)는 2000년도에 출범하여 건설관리 분야의 핵심 기술 및 전략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조·토목·건축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설계·원가·공정·품질·안전 등 전반적인 건설관리산업의 요소 기술들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내·외부 고객의 Needs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하는 연구 주제를 발굴하여 실무 관점의 PM 핵심역량 확보 지원, 신 사업창출 전략 수립 지원 등 다각도로 접근하여 연구를 수행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영국·일본 등 건설 선진국을 벤치마킹하여 선진 기술의 축적과 응용에 힘쓰고 있으며, 한 걸음 나아가, 이를 통해 국내 건설 제도 개선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폭넓은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007년부터 학계와 함께 건설관련 학과를 재학하고 있거나 졸업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건설 산업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차세대 건설 리더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학연을 연계한 각종 연구를 주도하고 그 성과를 정리하여 책자 및 보고서를 발간하여 한국 건설 산업의 중흥에 보탬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건설전략연구소는 최고 수준의 미래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석·박사, 기술사 등 분야별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는 한편, 국내외 관련 공공 연구기관 및 타 기업의 전문 연구소와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건설전략연구소는 건설사업관리를 기반으로 건설산업의 가치를 높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소로 도약하여 고객을 위해 보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입니다

 

[연구소 조직 및 운영현황]

 
연구소조직

 

 [인원구성현황]
 

 (2022.6.30현재)                                                                                 (단위:명)

구  분  박 사  석 사  학 사  전문대졸  기 타  계  

연구소장 0 1 0 - - 1
연구전담요원 1 3 4 - - 8
관리직원 0 0 0 - - 0
계   1 4 4 - - 9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과목   2022년 상반기2021년2020년2019년2018년

원재료비    - - - - -
인건비    664,965 1,317,840 1,355,873 1,039,664 996,773
감가상각비    2,254 5,371 6,557 5,737 5,101
위탁용역비    96,164 169,880 145,801 186,675 165,265
기타    208,149 537,930 645,460 656,618 328,662
연구개발비용 계    971,492 2,031,021 2,153,691 1,888,694 1,495,801
회계관리  판매비와 관리비    971,492 2,031,021 2,153,691 1,888,694 1,495,801
제조경비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1.13% 1.46% 1.85% 1.86% 1.18%

  

2) 연구개발 실적

'건설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전략' , 'BIM기반 건설사업관리 업무프로세스 모델 개발' , '적정공사비 산정 및 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등 건설사업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개발사업을 국책과제 및 자체연구, 연구용역, 컨설팅 등을 통해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건설산업의 발전 및 건설사업관리 분야의 핵심기술개발, 신사업분야 창출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고 있습니다.

 

국가 건설산업의 효과적인 변화와 혁신 전략 개발을 위해 '미국 건설산업 왜 강한가?' 라는 책자 발간을 시작으로 건설산업 선진화를 위한 해외사례 벤치마킹 관련 서적 및 건설사업관리확산을 위한 관련전문서적, 건설산업의 핵심주체인 발주자의 역량 확충을 위한 서적, 친환경 건설 등과 같이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서적을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있습니다. 

  

가) 수주 연구과제 수행 실적

No  연구과제명  연구기간  공동연구기관 (발주처)  연구책임자

1 국내 건설사업의 공사기간, 공사비,
생산성 분야 국제경쟁력 연구
2002.05~ 2004.05
(24개월)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세종대학교
(건설교통기술평가원)  
필 켈버트
2 프로젝트 파트너십 관리  2004.04 ~ 2004.10
(7개월) 
단독 수행
(한국엔지니어링 진흥협회)
-
3 설계 협업 및 최적화 기술개발 2005.11.30 ~ 2010.9.7
(4년 9개월)
서울시립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서울대학교)
(건설교통기술평가원)
권오경
4 건축공사 적정 공사비 산정 및
관리시스템 개발
2006.9.29 ~ 2011.5.28
(4년 8개월)
서울시립대학교
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
희림건축사사무소
건원엔지니어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교통기술평가원)  
권오경
5 신도시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연구
2008.5.15 ~ 2008.12.11
(7개월)
건국대학교
해외건설협회
(국토해양부 해외건설과)  
이필원
6 중앙아시아 CM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2009.6.2 ~ 2009.10.30
(5개월) 
해외건설협회, 한미파슨스 주식회사
(국토해양부 해외건설과)
박상혁
7 해외신도시 건설사업관리체계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용역
2009.6.22 ~ 2010.1.21
(7개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토지공사) 
박상혁
8 초고층복합빌딩의 WTC 기술기반조성 및
성장전략 수립
2009.8.28 ~ 2010.8.31
(12개월)
대한건설정책연구원
POSCO A&C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설교통기술평가원)
변영민
9 장애인을 위한 인력개발 공간계획 연구 2010.6.1 ~ 2014.5.31
(4년)
건국대학교
(지식경제부)
박서영
10 국토해양부 SOC건설사업 관리역량 강화방안 연구(지방청을 중심으로) 2010.6.22 ~ 2010.10.19
(4개월)
(사)한국건설관리학회
(국토해양부)
권오경
11 연구자 중심의 R&D관리를 위한 
사례조사 및 분석
2010.10.27 ~ 2011.8.26
(10개월)
성균관대학교
(건설교통기술평가원)
박상혁
12 국방부 군 시설전담조직 업무체계 개발 연구용역 2010.12.16 ~ 2011.6.14
(7개월)
단독수행
(국방부)
권오경 
13 건설교통 R&D 기술단계별 실용화 추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2011.10.12. ~ 2012.6.11
(8개월)
성균관대학교, 세종대학교
(건설교통기술평가원)
박상혁
14 글로벌 건설IT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개방형 BIM 통합 솔루션 개발 2011.12.1 ~ 2013.11.30
(2년)
빌딩스마트협회, 연세대학교
(지식경제부)
박상혁
15 군 설계도서관리 건축승인업무 개선 및 전산화 방안 전문가 지원용역 2012.11.30 ~ 2013.9.30
(10개월)
빌딩스마트협회
(국방시설본부)
박상혁
16 교육시설재난공제회 현물보상컨설팅 2013.1.16 ~ 2013.4.30
(3.5개월)
단독수행
(교육시설재난공제회)
권오경 
17 건설인력양성 마스터플랜 수립 및 해외 설계기술 고급인력 양성 2013.12.26 ~ 2014.12.24
(12개월)
서울시립대학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박상혁
18 서울형 스마트시티 영문 사업제안서    개발용역 2016.3.16 ~ 2016.4.15
(1개월)
단독수행
(에스에이치공사)
박상혁
19 글로벌-스탠다드 건설사업관리체계 구축 연구 2018.06.22 ~ 2019.10.21
(16개월)
서울대학교
(한국도로공사)
박상혁
20 OSC 기반 PC구조 주택사업 특성에 적합한 발주방식 연구용역 2020.09.02 ~  2020.12. 01
(3개월)
단독수행
(에스에이치공사)
김경태
21 건설생산시스템의 OSC(탈현장화) 대응전략 수립 연구용역 2021.01.11 ~ 2021.09.10
(8개월)
건설산업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김경태
21 서울 송파구 문화예술회관 건립사업 타당성 조사 기술적 검토 및 비용 추정 2020.11.27 ~2021.06.26
(6개월)
단독수행
((재)한국지방행정연구원)
김경태 상무
22 건설생산시스템의 OSC(탈현장화) 대응전략 수립 연구용역 2021.01.11 ~ 2021.09.10
(8개월)
건설산업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김경태 상무

 

나) 외부발주 연구과제 수행 실적

No  연구과제명  연구기간연구기관연구책임자

1 국내 설계, 엔지니어링 경쟁력 향상을 위한 관련 제도 및 기술기반 벤치마킹 연구 2003.06.20 ~ 2004.06.19 성균관대학교 김예상 교수
2 건설생산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발주자 혁신전략의 벤치마킹 연구 2003.06.2 ~  2004.06.19 세종대학교 김한수 교수
3 선진 건설교육제도의 벤치마킹 연구 2003.09.01 ~ 2004.08.31 서울대학교 이현수 교수
4 한국 건설제도와 Global Standard 2003.06.20 ~  2004.06.19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상호 박사
5 미국 건설산업의 CM 벤치마킹 연구 2004.01.01 ~  2004.12.31 서울시립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현창택 교수
6 일본 건설산업 벤치마킹 연구 2005.12.28 ~ 2006.10.31 일본 재단법인
건축연구협회
후루사카 교수
7 국가 건설산업의 선진화 방안 연구 2006.02.10 ~ 2006.07.09 (사)건설산업비젼포럼 김건호 대표
8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10주기 토론회 준비를 위한 연구 2005.03.01 ~ 2005.06.30 군산대학교 외 안홍섭 교수
9 주요국의 건설산업 정책 및 조직의 벤치마킹을 통한 한국의 건설정책 및 조직의 통합화 방안연구 2005.03.01~ 2006.02.28 KDI국제정책
 대학원
김정호 교수
10 주요국의 건설조달제도의 벤치마킹을 통한 한국 건설조달제도의 혁신방안 연구 2005.03.01 ~ 2006.02.28 건설산업연구원 이상호 박사
11 건설관련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5.03.01 ~ 2006.02.28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홍준형 교수
12 CM Past and Future   2006.04.01 ~ 2006.10.31 아주대 외 7개대,
조달청
신동우 교수 외
9인
13 중국 건설산업 현황 연구   2005.09.01 ~ 2006.08.31 Zhejiang 대 Cifang Wu 교수 외
14 향후 10년 CM의 비젼   2007.05 ~ 2007.10 (사)건설관리학회 박형근 교수 외
15 미국 CM 사례 연구   2008.04 ~ 2009.03 CMAA Bill
16 세계 선도 CM/PM 기업에 관한 벤치마킹 연구   2008.04 ~ 2009.03 세종대학교 김한수 교수
17 제주특별시자치도의 자체 발주 공공건축물을 그린빌딩화하는 방안   2008.12 ~ 2009.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민재일 상무
18 BIM 기반의 건설사업관리 업무 프로세스 모델 개발   2009.04.24 ~ 2009.11.23 성균관대학교
산학협혁단
김예상 교수
19 Sustainability in Construction in the 2020 2010.04.22 ~ 2010.10.31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East Carolina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Annie R. Pearce/
안용한 교수
20 Design-Build 제대로 이해하기 2011.12.01 ~ 2012.06.30 University of Washington/
연세대학교
김용우 교수/
한승헌 교수
21 삼풍백화점 붕괴사고20주기 도서발간 및 토론회를 위한 연구 2014.06.01 ~ 2015.05.31 군산대학교 외 안홍섭 교수
22 세계 건설시장의IPD 현황과 한국시장에 시사점 2017.02.01 ~ 2018.03.31 Iowa State University 장형석 교수
23 OSC기반 건설사업에서의 PM/CM체계 연구 2019.07.01 ~ 2020.06.30 Kim Project Consulting 김용우 교수
24 해외건설정보 획득을 통한 글로벌 건설시장 조사 용역 2020.2.1~2022.12.31 (35개월) 재미 한국건설관리학회 함영집 교수

 

다) 연구 결과 책자 발간 실적

No발간 책자명  발간일  발간처  

1 미국 건설산업 왜 강한가?    2003.07   보성각  
2 영국 건설산업의 혁신전략과 성공사례    2003.07   보성각  
3 한국 건설산업 대해부    2003.11   보성각  
4 미국의 설계경쟁력 어디에서 오나?    2005.10   보문당  
5 코리안스탠다드에서 글로벌 스탠다드로    2006.01   보문당  
6 삼풍사고 10년 교훈과 과제   2006.04   보문당  
7 Construction Management Best Practice 1 2006.06   보문당  
8 Construction Management A to Z   2006.06   보문당  
9 발주자가 변하지 않고는 건설산업의 미래는 없다 2006.10   보문당  
10 Construction Management Past and Future   2007.06   보문당  
11 일류 발주자가 일등 건설산업 만든다    2007.08   보문당  
12 일본 건설산업의 생존전략    2007.11   보문당  
13 중국 건설산업의 현황과 생존전략    2007.12   보문당  
14 미국 CM A to Z 2010.12   보문당  
15 Construction Management A to Z (2nd Edition) 2011.06   보문당  
16 Construction Management Best Practice 2 2011.06   보문당  
17 Sustainable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Path to the Future 2012.02   Earthscan  
18 지속가능한 건축과 인프라: 미래를 향한 로드맵 (국문본) 2012.04   매경출판㈜  
19 장애인을 위한 통합교육시설 공간계획 Guide 2013.02   보문당  
20 발주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턴키제도의 진실 2014.03   보문당  
21 CM은 전략이다 2017.05   건설경제
22 IPD-협력을 통한 프로젝트 성공 방식 2020.12 보문당
23 건설의 게임체인저 OSC 2021.10 e대한경제

 

7. 기타 참고사항

 

가. 회사 사업의 내용(지배회사 기준)
1) 회사의 업종 및 시장현황
 가) 업종의 구분

 건설사업관리는 건설산업의 한 분야인 기술용역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건설사업관리자가 발주자를 대신하여 건설사업의 관리를 대행하여 주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기 때문입니다. 즉, 계약에 의하여 발주자의 전반적인 또는 부분적인 권한을 위임 받아 대리인(Agent) 및 조정자(Coordinato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건설사업관리자는 최신의 건설공법, 시장분석, 원가 및 공정관리 등 여러 가지 필요한 지식을 갖추고 기획, 설계, 시공/감리, 사후관리 등 프로젝트 전 분야에 걸친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종합관리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즉, 건설사업관리는 전통적인 설계-시공의 공사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공사관리로서 사업초기부터 관여하여 공기단축, 원가절감, 품질향상 등을 목표로 하는 방식입니다. 

[건설사업관리의 효과]
 건설사업관리는 프로젝트에 대한 전문적인 경험과 관리능력을 바탕으로 사업 참여자간에 발생하기 쉬운 이해충돌과 의사소통 부족을 사전에 예방하며, 발주자의 입장에서 일관성 있는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발주자가 최선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ㅇ 프로젝트 전반적인 관리에 대한 일관성 제공
   ㅇ 프로젝트 전 과정에 있어 VE 및 Constructability Review 등을 통한 원  가 절감
   ㅇ 설계시공병합방식(Fast-track)을 통한 공기 단축 및 사업 유연성 확보
   ㅇ 불필요한 예산증액이나 설계변경 관리를 통한 예산범위 내 프로젝트 수행
   ㅇ Real-Time 정보 제공을 통한 합당하고 시의 적절한 의사결정 가능 


건설사업관리의 개념이 우리나라에 알려진 경로는 1970년대 중동사업 진출에 따른 해외사업 참여를 통해서였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건설사업관리는 건설산업 및 건설제도의 선진화 차원에서가 아닌 부실방지 대책의 일환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제도권에서 공론화된 것은 1994년의 성수대교 붕괴사고, 1995년의 대구지하철 가스폭발사고,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 일련의 대형사고 후 비등하는 국민여론으로 인하여 건설산업의 불신문제가 범 사회적인 이슈가 된 시점부터였으며, 이에 따라 정부는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건설산업의 발전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1996년 12월 관련 법을 공포하고, 1997년 7월부터 발효되어 우리나라에 건설사업관리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8항에는 "건설사업관리란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 타당성 조사, 분석, 설계, 조달, 계약, 시공관리, 감리, 평가 또는 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른 계약 형태와는 달리 건설사업관리는 발주자의 목적과 필요에 의해 다양한 계약의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가운데 대표적 건설사업관리의 종류와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방식 

건설사업관리자는 건설사업의 기획, 설계, 발주, 시공, 유지관리 전 단계 또는 일부 단계에 있어 발주자의 대리인으로서 주어진 예산과 공기 내에서 발주자가 요구하는 품질에 부합하는 건축물을 관리, 조정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때 건설사업관리자는 발주자를 제외한 시공자나 설계자 등 건설사업관계자와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공사결과 즉, 공사비 및 공사기간, 시공품질 등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지지 않고 궁극적인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최종 책임은 발주자의 몫이 됩니다. 이러한 방식의 계약체계를 우리나라의 경우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방식이라고 합니다. 

(2)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이것은 위의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방식과는 대조적으로 건설사업관리자가 기존의 건설사업관리업무는 물론 시공자가 공사를 수행하는 것과 같이 하도급자 또는 전문건설업체를 고용하거나 일부 시공을 직접 담당하면서 공사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계약체계를 'Constructor Construction Management' 또는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방식이라고도 하며, 건설사업관리자가 발주자에게 최대공사비상한보증(Guaranteed Maximum Price, GMP)을 약속한 후 시공의 많은 부분을 직접 담당함으로써 해당 공사의 공사비 및 공기에 대한 책임과 위험을 부담하게 됩니다. 

 

건설사업관리의 활용이 보편화된 미국 및 유럽각국에서는 예산 수립에서 설계관리, 시공에 이르기까지 건설사업관리사가 사업주를 대신하여 프로젝트를 총괄 (책임) 수행토록 하는 본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이는 기존에 수행중인 건설사업관리와의 수행업무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구매발주주체 및 책임시공 등 계약 상의 많은 부분이 일반 건설사업관리 및 사업관리형 건설사업관리방식과는 상이한 방식입니다.

 

이와 같이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서비스는 건설사업관리자가 프로젝트의 기획, 설계단계부터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시공성 검토 및 VE분석을 통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도서를 제공하며, Supply Chain 업체의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참가를 유도 및 관리함으로써 설계단계부터 시공성 및 예정 공사가격 등을 반영한 최대공사비상한보증액(GMP)을 제시함으로써 사업주의 원가상승의 부담 Risk를 해소하고 사업수행과정의 모든 정보를 공개(Open Book)하여 투명하게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따라 사업주의 의도에 따른 프로젝트 운영이 용이한 계약방식입니다. 

                  

나) 업종의 성장성

(1)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시장의 성장성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국내 건설사업관리시장 즉,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시장이 2018년까지 약 2조원 정도로 성숙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2018년 이후부터는 감리시장과의 역할관계에 따라 다소 변동은 있을 수 있으나, 2조원을 중심으로 용역형 건설사업관리/PM시장은 일정기간 동안 안정세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 국내 건설사업관리시장의 규모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예상한 것보다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건설사업관리시장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집계하는 공식기관의 부재로 정확한 건설사업관리 발주금액의 추정은 어렵지만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건설업계 및 사회전반적인 인지도가 늘어가고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시장확대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2)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시장의 성장성  

그 동안 우리나라의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시장은 법적인 제약에 의해 활성화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국토해양부가 마련한  '제3차 건설산업진흥 기본계획안(2008-2012년)'에 따르면 2010년 책임형 건설사업관리를 법제화하고 건설사업관리 공시제를 등록제로 전환, 건설사업관리자격제 도입 등을 거쳐 건설사업관리발주방식을 전면 개편해 시행키로 하는 등 현행 설계감리+공사감리 중심의 건설사업관리제를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중심으로 재편키로 하였으며,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서 건설산업기본법의 일부 개정(개정 2011.05, 시행 2011.11)을 통해 책임형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법규상 정의가 규정되었으며, 기타 관련법은 순차적으로 개정이 추진되고 있는 등 공공 및 민간공사 모두 관련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2016년부터는 국토교통부 주도로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산하기관이 중심이 되어 시범사업 발주를 진행하여 왔고, 2020년부터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본 발주를 준비하는 등 책임형 건설사업관리의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고 국내건설 기업들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도시형생활주택사업을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건설사업관리(건설사업관리)시장은 혁신적인 조달제도이기 때문에 건설산업의 선진화가 계속해서 요구되는 현재의 상황에서 향후 지속적인 증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국내 건설시장 침체지속으로 시장 여건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이 기존 시공자 우위의 건설사업환경에서 발주자 우위로 전환되는 시점이기에 발주자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는 건설사업관리시장의 전망은 더욱 밝다고 판단됩니다.

  

라) 경쟁요소

건설사업관리사업의 경쟁요소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기술력과 이를 보유한 인력입니다. 건설사업관리의 관리능력은 단기간 내에 배양될 수 없으며 특히, 건설사업관리관련 대학, 교육기관이 턱없이 부족한 국내의 경우 기업에서 직접 교육 및 양성을 담당하기 때문에 모방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양성에도 많은 시간을 요하는 분야라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지식경영의 정착 여부입니다. 업종의 특성상 건설사업관리산업은 대표적 지식기반 산업으로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의 효과가 가장 높은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즉, 경험과 기술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제반정보 축적이 건설사업관리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업체가 먼저 지식경영을 추진하고, 최고의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가가 경쟁력의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셋째, 기업의 시스템입니다. 우리나라의 감리업체는 건설사업관리전문업체가 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즉, 감리업체로 출발한 업체가 건설사업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우선 최고경영자의 관점(Frame)이 다릅니다. 즉, 건설사업관리전문업체는 모든 것을 발주자의 관점에서 판단하지만, 감리는 발주자와 시공자의 견제자의 입장에서 프로젝트를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로 감리업체가 건설사업관리전문업체로 성장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보유한 순수한 건설사업관리전문업체의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그 밖에 고객만족프로그램, 지식경영체계, 수백 종의 절차서, 프로젝트관리시스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리스크 관리 프로그램, 성과관리시스템 등 건설사업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 시스템의 보유유무가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당사는 1996년 6월 18일 국내최초의 건설사업관리 전문회사로 설립된 이후 26년간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명실상부한 국내최고의 건설사업관리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글로벌 PM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창립 당시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개념조차 없었던 우리나라에 26년이란 짧지않은 기간 동안 선진 건설사업관리 기법의 씨앗을 뿌리고 가꾸어 왔으며, 한미글로벌이 걸어 온 길이 곧 우리나라 건설사업관리의 발전사라고 이야기해도 무방할 정도로 건설산업의 선진화에 커다란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당사는 지난 2021년의 경영방침을  '창주사업 확대’, '글로벌경영 심화’, '견실경영 유지’로 정하고, 모든 구성원이 경영목표달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2021년은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 19 대유행과 반복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에따라 우리 경제와 생활 패턴은 큰 변화를 겪었으며, 이로 인한 비즈니스 질서와 관행이 흔들리는 등 글로벌 경제활동의 위축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었습니다. 중국의 성장 둔화에 따른 국내 기업의 수출 증가 둔화 우려 등의 경제적 리스크 요인과 더불어, 대만을 중심으로 한 남중국해 지정학적 리스크로 미-중 G2 간의 갈등 악화와 이로 인한 국제질서 급변 리스크 등 그 어느 때보다도 대내외 경영환경에 대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는 한 해였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경영환경의 리스크 극복을 위해 경영의 내실화를 기하는 한편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 1,392억원, 영업이익 106억원, 당기순이익 123억원 등 전년보다 더 높은 재무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 브랜드 런칭한 'HG 프리콘 서비스’와 적극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을 통해 탁월성 기반으로 우리의 서비스를 차별화하고 미래 성장 모멘텀을 가속화하기 위한 기반을 착실히 준비하였습니다.


당사는 창립 26주년을 맞는 올해의 경영방침을 2021년도와 동일한  '창주사업 확대’, '글로벌경영 심화’, '견실경영 유지’로 정하였으며, 이는 전 임직원이 한마음으로 단합하여 견실한 경영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내외에 상존하는 여러 경영상의 장벽을 극복함으로써 올해 설정한 경영목표를 반드시 달성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특히, 수동적인 경쟁이 아닌 적극적 사업 발굴과 창조를 의미하는 창주사업 확대를 통해 현재의 경쟁위주의 시장 한계를 극복하는 한편, 지속적인 글로벌 경영 심화와 함께, 새로운 미래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데 전력을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 더해 당사의 미션과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실행해 왔던 사회적 가치와 구성원 중심 경영을 ESG 경영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경영인프라를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2) 신규사업의 내용 및 전망
한미글로벌은 기존의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및 프로젝트 파이낸싱, 리스크 관리 등을 각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건설사업 전 Life Cycle의 모든 업무를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Total Solution Provider 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업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미래사업구조 설정을 위해 당사의 업을 '건설가치창출업'으로 재정의 하고 이에 맞춘 사업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관리자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건설 생산의 직접 당사자로서의 역할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또한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과정에서의 가치향상에 더해 전후방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건설자산을 창조하고 관리, 매매하는 과정에서의 가치 향상을 업의 정의에 포함시켰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당사의 장기 지향 사업모델은 ECD로 정의되었는데, 이는 선진 건설사들이 설계, 조달, 시공을 함께 수행하는 사업형태인 EC(Engineering Contractor) 모델에 개발사업분야(Development)가 추가된 것입니다. 

 

당사는 미래 사업모델인 ECD 사업모델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Engineering 분야에서는 현재의 주력사업인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사업 이외에 분야별 사업 컨설팅, 설계/엔지니어링 분야로 확대할 예정이며 Construction 분야에서는 현재의 건설사업관리 서비스를 책임 시공의 형태로 확장한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서비스, 설계시공 일괄 도급형태의 Design Build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Development 분야에서는 부동산 개발 분야와 함께 임대/운영 및 친환경/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개발 사업 등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다각화 노력의 일환으로 엔지니어링 선진 시장인 미국에서 설계 엔지니어링 전문기업 OTAK. Inc와 PM/건설사업관리 기업인 DAYCPM, 토목 구조 엔지니어링 기업 Loris and Associates를 인수하였으며, 국내 친환경 전문컨설팅 업체인 (주)에코시안과 건축설계업체인 (주)아이아크를 인수한 바 있습니다. 

 

이로써 한미글로벌은 주력 사업인 PM(건설사업관리) 외에도 한미글로벌D&I(부동산 개발 및 투자), 한미글로벌E&C(건축시공), 한미글로벌PMC(종합감리), 아이아크(건축설계), 에코시안(친환경 컨설팅), 터너앤타운젠드코리아(원가관리) 등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에도 미국의 종합 엔지니어링 전문기업 Otak을 비롯하여 DayCPM(PM), 영국의K2(PM) 등의 자회사를 보유하여 이들 회사와의 협업과 시너지를 통하여 지난 몇 년간 도시형생활주택, 주상복합시설 개발사업, 비즈니스호텔 개발사업 분야로 진출하였으며 자체분양사업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다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미글로벌투자운용이 리츠(REITs) AMC(자산관리회사, Asset Management Company) 본인가를 획득하고 리츠시장에 진출함으로써 부동산 개발, 설계, 건설사업관리, 시공, 운용, 매각 등 부동산 산업의 A부터 Z 까지를 총망라하는 부동산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 ESG 경영
당사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유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확립 등을 통해 주주가치를

극대화 하고자 금년 이사회내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사내에 ESG 실무협의체를
신설하여 ESG 경영체계를 정비하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에  2021년 10월 ESG 평가에서 당사는 전 항목에서 A 등급을 취득하였습니다.
 * 평가기관 : 한국기업지배구조원
 * 평가대상회사 : 국내기업(상장사 950사 대상)
 * 평가항목 :  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항목별 평가
 * 당사  취득등급 

구분취득등급비고

환경 A  
사회 A  
지배구조 A  
통합 A  



 
esg 등급

[주요 종속사 : OTAK. Inc]

1. 사업의 개요

- 사업의 개요 및 주요사업현황

 

OTAK Inc.는 미국 오레곤주 포틀랜드市에 본사를 두고 있는 도시계획/설계, 철도/도로/교량 등 SOC기반시설 설계, 수처리/친환경 자원 재생시설 설계 전문회사로서 미국 서북부(오레곤 주, 워싱턴 주 등)에서  상당한 명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난 1981년 설립되어 41년간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미국 오레곤 주에서 가장 대표적인 토목/건축(Engineering/Architecture) 설계회사입니다.

2017년 1월 1일, Otak은 PM/건설사업관리 서비스 전문회사인 DAYCPM을 인수함으로써,  PM/건설사업관리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 8월 1일, Otak은 콜로라도주에 기반을 두고있는 토목 및 구조 엔지니어링 회사  Loris and Associates를 인수하여 콜로라도주로의 확장을 추진하였으며 2021년 12월31 워싱턴주에 기반을 두고있는 PM서비스 회사 Tarr Whitman Group을 인수하였습니다.

2022년 6월말 현재, Oregon주, Washington 주 및 Colorado주에 5개의 미국 내 지사를 운영, 약 343명이 근무 중이며, 이들 상당수는 건축사, 기술사 등 건설분야 전문자격증 소유자로서 회사는 우수한 기술인력 및 특히 친환경분야에 탁월한 Knowhow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2022. 6. 30 현재]                                                                             (단위:USD)

2022년 상반기금액

자산 43,897,088
매출액 37,170,756
영업이익 2,685,243
당기순익 1,927,038

(*)상기의 요약재무정보는 내부거래 상계전 기준입니다.

3. 주요서비스 매출 상황 등

- 요약손익계산서

                                                                                                   (단위  : USD) 


2022년 상반기2021년2020년

매출액 37,170,756 66,324,547 60,252,450
매출원가 17,652,838 31,594,906 28,701,477
매출총이익 19,517,918 34,729,641 31,550,973
판관비 16,832,675 30,398,319 27,761,262
영업이익 2,685,243 4,331,222 3,789,711
기타수익 12,613 297,711 48,021
기타비용 10,334 0 5,854
금융수입 18,613 19,327            0
금융비용 106,097 379,726 322,616
세전이익 2,600,038 4,268,534 3,509,262
법인세비용 673,000 1,068,446 1,084,127
당기순이익 1,927,038 3,200,088 2,425,135

 

4. 기타사항 등
미국의 Post-Virus 경기회복을 위한 제반 Infra 투자와 경기부양정책, 미국내 글로벌 뉴딜사업 추진, 바이든 신정부의 정책기조 등 사업확대 기회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M&A등 미국내 성장 중심의 운영을 추구하고 있으며, 해외사업에서도 지배회사인 한미글로벌과의 Co-Work을 통한 신규계약 확보에 집중함으로써 성장을 추구할 것이며, Business Development에 대한 투자, 회사의 Infra 개선, 구성원 분위기 쇄신 및 동기부여로 장기성장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최근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 될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에 대한 정책적 수혜를 기대하고 있으며 2021년 12월31일 워싱턴주에 기반을 두고있는 PM서비스 회사 Tarr Whitman Group을 인수함으로서 좀 더 빠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예상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