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24절기 간단하게 요약해 드립니다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3. 2. 15.
반응형

24절기 간단하게 요약해 드립니다

24절기 간단하게 요약해 드립니다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4계절이

뚜렷한 나라에 속합니다.

요즘 들어서는 봄, 가을이 사라졌다는 말들이

많지만 그래도 아직까지는 따뜻한 봄의 기운과

센치해 질 수도 있는 분위기 물씬나는 가을이

우리 곁에 남아있다는 사실은 완벽하게 부정할

수 있는 분은 없으실거라 생각해요.

대한민국에서 살아간다면 24절기, 어르신들이나

각종 연례행사들 일상생활에서도 모르고 있으면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저도 어렸을 때는 크게 상관없었는데 사회에

나와 보니 일종의 은어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

모르고 있으면 의사소통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따르더라구요. 그렇다고 모른다고 대놓고 말하며

매번 설명을 요구 할 수도 없는 노릇이지요.

저처럼 24절기에 대해서 긴가민가 헷갈렸던

분들을 위해서 이미 나와있는 정보들이 있지만

보다 간편하고 쉽게 풀어서 정리해 보려고

글을 열고 있습니다.

24절기 관련된 정보가 필요하셨던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24절기 무슨 뜻일까

24절기를 정리해드리기에 앞서 24절기가

의미하는 바를 알고 들어간다면 보다 이해가

쉬울거라 생각됩니다.

어렵게 생각하실 것 없습니다.

24절기는 지구에서 바라보는 입장으로 태양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는 계절의 변화를 서로

의사소통하기 쉽게 나타낸 단어입니다.

24절기의 날짜를 음력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간혹

계시는데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점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양력이 중심이 된다는 사실 !

처음으로 절기를 사용했던 나라는 중국입니다.

중국의 천문학이 발달하던 주가나 시절, 황허강

유역의 기후를 바라보다가 동식물의 변화가

뚜렷한 것을 보면서 24절기를 나누기 시작했죠.

한반도에 24절기가 들어온 시기는 13세기 후반

무렵 고려시대 충렬왕이 들여 오기 시작했어요.

이 시기 고려에 24절기를 들여온 연유는 농사를

짓는 데 있어서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였기 때문입니다.

모두 아시다시피 농사란게 날씨의 영향을 정말

크게 받는 업종이잖아요? 씨앗을 심고 추수를

하기까지 날씨를 가늠해서 전체적인 틀을

잡아두는데 24절기가 유용하게 사용되었다네요.

24절기 나누는 기준

24절기를 나누는 기준에 대해서도 알고 가시면

24절기가 어렵지 않게 외워지실 겁니다.

지구가 1년 동안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돈다는

사실은 똑똑한 분들이니 다들 잘 아실 거에요.

이 궤도를 우린 황도라고 부르기로 했는데, 이

황도를 움직이는 각도가 15도일 때마다 절기를

하나씩 붙인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15도를 움직이는데는 대략적으로 14~15일의

시간 즉 보름이 걸린다고 합니다.

물론, 현대에 와서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15도

움직이는데 필요한 기간이 딱 떨어지게 15일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그 시기에 아무런

도구도 없이 대략적으로라도 이렇게 시기를

나눌 수 있었다는 것이 참 신기하기도 하네요.

24절기 전체의 기준은 동지로 정하고 나눕니다.

과거에는 천문을 담당하는 관청이라는 곳에서

이 일을 담당했었는데요.

태양의 고도를 측정하는 이 일은 한국천문연구원

기관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덕분에 우리는 달력을

통해서 24절기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것이죠.


봄 절기

24절기 입춘

입춘 시기, 입춘 뜻

입춘 시기는 양력 2월 3일 입니다.

입춘 뜻은 봄의 시작을 알린다는 의미입니다.

24절기 우수

우수 시기, 우수 뜻

우수 시기는 양력 2월 18일, 2월 19일 입니다.

우수 뜻은 비가 내리기 내려서 싹이 트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의미입니다.

24절기 경칩

경칩 시기, 경칩 뜻

경칩시기는 양력으로 3월 5일 입니다.

경칩 뜻은 개구리가 긴 잠에서 깨어난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24절기 춘분

춘분 시기, 춘분 뜻

춘분 시기는 양력 3월 20일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춘분 뜻은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4절기 청명

청명 시기, 청명 뜻

청명 시기는 양력으로 4월 4일을 가리킵니다.

청명 뜻은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라는 의미입니다.

24절기 곡우

곡우 시기, 곡우 뜻

곡우 시기는 양력 4월 20일을 가리킵니다.

곡우 뜻은 농사를 위한 비가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봄 절기 6개 였습니다. ^ㅡ^


여름 절기

24절기 입하

입하 시기, 입하 뜻

입하 시기는 양력 5월 5일 입니다.

입하 뜻은 여름의 시작을 알린다는 의미입니다.

24절기 소만

소만 시기, 소만 뜻

소만 시기는 양력으로 5월 21일 입니다.

소만 뜻은 본격적으로 농사를 시작함을 의미하죠.

24절기 망종

망종 시기, 망종 뜻

망종 시기는 양력 6월 5일 입니다.

망종 뜻은 씨 뿌리는 기간을 지칭합니다.

24절기 하지

하지 시기, 하지 뜻

하지 시기는 양력 6월 21일을 의미합니다.

하지 뜻은 1년 중 낮이 가장 긴 시기입니다.

24절기 소서

소서 시기, 소서 뜻

소서 시기는 양력 7월 7일 입니다.

소서 뜻은 본격적인 여름 더위의 시작을 알립니다.

24절기 대서

대서 시기, 대서 뜻

대서 시기는 양력 7월 22일 입니다.

대서 뜻은 년중 더위가 가장 심할 때를 의미하죠.

여기까지 여름 절기 6개였습니다. ^0^


가을 절기

24절기 입추

입추 시기, 입추 뜻

입추 시기는 양력 8월 7일 입니다.

입추 뜻은 가을의 시작이지만 사실 이 시기에도

뙤약 볕이 장난아닌 날씨가 지속되긴 하죠.

24절기 처서

처서 시기, 처서 뜻

처서 시기는 양력 8월 23일 입니다

처서 뜻은 더위를 물리친다는 의미인데요.

실제로 이 시기부터 일교차가 커지기 시작합니다.

24절기 백로

백로 시기, 백로 뜻

백로 시기는 양력 9월 7일 입니다.

백로 뜻, 이슬이 내려 앉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24절기 추분

추분 시기, 추분 뜻

추분 시기는 양력 9월 23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추분 뜻, 쉽게 밤이 길어지는 시기라고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4절기 한로

한로 시기, 한로 뜻

한로 시기는 양력 10월 8일에 해당합니다.

한로 뜻은 찬 이슬이 내려앉는 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요, 실제로 쌀쌀해집니다.

24절기 상강

상강 시기, 상강 뜻

상강 시기는 양력 10월 8일로 알려져 있어요.

상강 뜻, 서리가 내려앉기 시작한다는 의미에요.

실제로 새벽에는 겨울같은 날씨입니다.

이상 가을 절기 6개 였습니다.


겨울 절기

24절기 입동

입동 시기, 입동 뜻

입동 시기는 양력으로 11월 7일에 해당합니다.

입동 뜻, 겨울에 들어선다는 의미로 본격적으로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24절기 소설

소설 시기, 소설 뜻

소설 시기는 양력 11월 22일 입니다.

소설 뜻은 얼음이 얼어 붙기 시작한다는 의미죠.

실제로 이때부터 한파 주의보에 대한 경각심이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24절기 대설

대설 시기, 대설 뜻

대설 시기는 양력 12월 7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설 뜻은 큰 얼음이 언다라는 의미인데요.

실제로 함박눈이 내리는 시기가 바로 이 때죠.

24절기 동지

동지 시기, 동지 뜻

동지하면 팥죽이 생각나죠.

동지 시기는 양력 12월 22일 입니다.

동지 뜻은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시기를

의미합니다.

24절기 소한

소한 시기, 소한 뜻

소한 시기는 양력 1월 5일 입니다.

소한 뜻은 겨울 중에서 가장 추운 때를 의미합니다.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말이 있기 때문에 소한을 가장 춥게 봅니다.

24절기 대한

대한 시기, 대한 뜻

대한 시기는 양력 1월 20일 입니다.

대한 뜻은 앞서 말씀드렸듯이 가장 추운 시기를

의미하지만 소한보다는 덜 춥습니다.

24절기 관련된 정보를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어떻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나날 되시길 기원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