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LG전자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19.
반응형

LG전자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1. 사업의 개요

 

연결회사의 보고부문인 사업본부는 서로 다른 제품과 용역을 제공하는 전략적 사업단위입니다. 각 사업은 서로 다른 기술과 마케팅전략에 따라 별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각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
습니다. 

사업부문약 칭주요 생산 및 판매 제품 유형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A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등
Home Entertainment HE TV, Audio, 뷰티기기 등
Vehicle component Solutions VS 자동차 부품 등
Business Solutions BS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LG이노텍㈜와 그 종속기업 이노텍 카메라모듈, 기판소재, 모터/센서 등
기타부문 기타 설비 제작 등


H&A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이며, 건조기,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 건강ㆍ위생ㆍ스마트가전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H&A사업부문의 제21기 1분기 (이하 생략) 매출액은 79,702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대비 약 3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인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의 매출액은 61,104억으로 H&A사업부문 매출액의 약 76.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teel, Resin, Copper 등이 주요 원재료이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HE사업부문과 BS사업부문은 TV, Audio, 모니터, PC,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등 주로 영상 및 관련기기들을 생산ㆍ판매하며, 양 개 사업부문의 매출액은 60,816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대비 약 28.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인 영상기기의 매출액은 49,398억원으로 양 개 사업부문 매출액 대비 81.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LCD 모듈 및 Chip이 주요 원재료이며, 멕시코, 폴란드, 인도네시아, 중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텔레매틱스, AV, AVN 등 차량용 부품을 생산ㆍ판매하는 VS사업부문의 매출액은 18,776억원이며, 매출 비중은 약 8.9%입니다. 주요 원재료는 LCD 패널, Chip 등 이며, 주요 생산지는 한국, 베트남, 중국, 오스트리아 등입니다. LG이노텍의 주요 제품은 카메라모듈 등이며, 매출액은 39,524억원 그리고 매출 비중은 18.7%입니다. 주요 원재료는 Image Sensor 등이며, 주요 생산지는 한국, 중국, 베트남입니다.

연결회사는 금융담당 주관하에 4개의 해외 금융센터를 운영하며 재무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인 외환관리규칙에 의거 영업활동으로 인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며, 잔여위험 축소를 위하여 파생상품 활용 시 매월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으며,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해외 연결회사 간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해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 관리를 위해, 세계 3대 채권보험사 및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매출채권 잔액은 9,581,846백만원이며, 보험한도 및 담보금액은 24,558,139백만원입니다. 유동성위험 관리를 위해 국내외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연결회사는 생활가전 및 영상기기 분야에서는 저소비 전력, 소비자 편의성 증대 및 친환경 프리미엄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로봇, 차량용 부품 등 신규 사업분야에서는 고성능, 고효율, 스마트 기능의 차세대 혁신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본부 산하 연구소는 단기간내 출시되는 제품 및 기술을 집중 개발하고, CTO부문에서는 중장기적인 핵심기술을 선행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매년 약 3조원 이상의 연구개발비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2022년 3월 31일 기준 국내 23,362건, 해외 59,804건의 등록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사업장에 대한 환경 관련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EU를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시행중인 유해물질 규제를 충족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글로벌 폐가전 회수처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2018년 249,145톤, 2019년 355,197톤, 2020년 412,117톤을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감축하고 있습니다.

(단위 : tCO2e, TJ)

구분제20기 (2021년)제19기 (2020년)제18기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 733,035 898,619 1,002,614
에너지 사용량 14,255 15,210 15,536

주)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환경부의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사업장내 환경오염물질의 저감을 위해 2010년부터 본사 통합 운영을 통해 국내 생산사업장 및 연구소에 대한 환경 및 안전보건에 대한 통합인증을 완료하였으며, 녹색기업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의해, 회사는 2021년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 평가에서 환경부문 A등급을 받았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제품은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제/상품이며,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가.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매출유형품목구체적 용도주요상표 등제 21 기 1분기매출액비율

H&A 제품/상품/기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정용 전기제품, 냉난방기기 및 핵심부품 LG, DIOS, TROMM, LG SIGNATURE, CordZero, 오브제컬렉션, WHISEN, PuriCare 등 79,702 37.8
HE 제품/상품/기타 TV, Audio, 뷰티기기 등 영상기기, 멀티미디어, 뷰티케어 등 LG SIGNATURE, XBOOM,
Pra.L, TONE Free 등
40,649 19.3
VS 제품/상품/기타 텔레매틱스, AV, AVN,
모터, 인버터 등
차량용 통신 및
멀티미디어 제품 등
- 18,776 8.9
BS 제품/상품/기타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정보 전달 및 호텔 TV 등 LG, 그램, 시네빔 등 20,167 9.6
이노텍 제품/상품/기타 Optics Solution 등 Camera Module 등 - 39,524 18.7
기타 제품/상품/기타 설비, 부문간 내부거래 등 생산설비 등 - 12,296 5.7
합계 211,114 100.0

 

나. 주요 제품 가격변동 현황

냉장고/세탁기의 평균 판매 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7.2%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1.2% 상승하였습니다. 에어컨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9.8% 상승하였으나,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2.9% 하락하였습니다.


TV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26.4% 상승하였으나,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2.0% 하락하였습니다.


모니터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19.0%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4.0% 상승하였습니다. 사이니지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7.2%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9.9% 상승하였습니다. 

카메라모듈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13.7% 상승하였으며,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3.4% 상승하였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3.1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주요 원재료는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부자재이며,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가. 주요 원재료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품   목구체적 용도제 21 기 1분기매입액비율주요 매입처

H&A Steel H&A제품 철판물 5,147 13.2 ㈜포스코
Resin H&A제품 사출물 2,629 6.8 ㈜LG화학
Copper 열교환기 G/Tube 용 1,305 3.4 Golden Dragon, Naile
기타   29,818 76.6  
부문계 38,899 100.0  
HE LCD 모듈 TV Display 10,894 53.7 엘지디스플레이㈜, BOE
Chip TV 부품 1,211 6.0 Realtek, Media Tek
기타   8,196 40.3  
부문계 20,301 100.0  
VS LCD 패널 AV, AVN용 자재 2,060 21.4 엘지디스플레이㈜
Chip 텔레매틱스, AV, AVN용 자재 637 6.6 NXP
기타   6,917 72.0  
부문계 9,614 100.0  
BS LCD 모듈 Display 3,606 57.2 엘지디스플레이㈜, BOE
기타   2,699 42.8  
부문계 6,305 100.0  
이노텍 Image Sensor 광학 원재료 8,432 27.7 Sony, ST Micro 등
Lens 광학 원재료 3,599 11.8 Largan, Genius 등
VCM 광학 원재료 7,738 25.4 Alps, Mitsumi 등
기타   10,702 35.1  
부문계 30,471 100.0  

주1) 비율은 각 부문별 원재료 매입액에서 품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주2) 엘지디스플레이㈜, ㈜LG화학은 LG계열 소속 회사 입니다.

나.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 현황

 

H&A 제품의 주요 원재료인 Steel의 평균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21.9%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20.4% 상승하였습니다. Resin의 평균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18.2%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16.3% 상승하였습니다. Copper의 평균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15.1%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36.4% 상승하였습니다. 

LCD TV 패널의 평균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47.5% 상승하였으나,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15.6% 하락하였습니다. TV 및 AV 부품용 Chip의 경우, 2021년은 2020년 대비 2.8%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42.8% 상승하였습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주요 부품인 LCD 패널의 평균가격은 2021년 가격은 2020년 대비 23.7%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24.3% 상승하였습니다. Chip의 평균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6.7% 상승하였고,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27.3% 상승하였습니다.

 

카메라모듈의 주요 원재료인 Image Sensor의 평균가격은 2021년은 2020년 대비 3.9% 상승하였으며, 2022년 1분기는 2021년 대비 8.0% 상승하였습니다.

 

3.2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은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단위 : 천 대, MW, 천 개, 천 시트)

사업부문품목주요 생산지제 21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H&A 냉장고 한국, 인도, 중국, 멕시코 2,298 9,137 8,981
세탁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3,898 15,008 13,664
에어컨 한국, 인도, 중국, 태국 3,115 11,056 9,362
HE 영상기기 등 한국, 멕시코, 폴란드,
브라질, 인도네시아
6,842 27,458 24,850
VS 텔레매틱스,
AV, AVN 등
한국, 중국, 베트남,
오스트리아
8,606 35,414 29,565
BS 모니터 중국 1,554 6,344 5,755
이노텍 카메라모듈 한국, 중국, 베트남 170,439 584,058 497,780

주1) 생산능력 산출기준
    - H&A, HE, VS, BS : 이론 시간당 생산수량 × 일 작업시간 × 작업일수 × 목표 효율
    - 이노텍 : 시간당 평균 생산수량 ×1일 평균가동시간 ×월평균가동일수 × 당기간 월수
    * H&A, HE, VS, BS부문의 일 작업시간은 국가별 법규에 따른 정규 작업시간을 반영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천 대, MW, 천 개, 천 시트)

사업부문품목주요 생산지제 21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H&A 냉장고 한국, 인도, 중국 2,908 11,523 9,528
세탁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3,845 16,031 14,076
에어컨 한국, 중국, 태국 4,017 12,207 9,812
HE 영상기기 한국, 멕시코, 폴란드,
브라질, 인도네시아
6,009 26,520 25,428
VS 텔레매틱스,
AV, AVN 등
한국, 중국, 베트남,
오스트리아
7,587 31,597 24,937
BS 모니터 중국 2,100 8,099 7,176
이노텍 카메라모듈 한국, 중국, 베트남 102,163 407,407 270,266

 

(2)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천 대, MW, 천 개, 천 시트, %)

사업부문품목제 21 기 1분기생산 능력 수량제 21 기 1분기실제 생산 수량평균가동률

H&A 냉장고 2,298 2,908 126.5
세탁기 3,898 3,845 98.6
에어컨 3,115 4,017 129.0
HE 영상기기 6,842 6,009 87.8
VS 텔레매틱스, AV, AVN 등 8,606 7,587 88.2
BS 모니터 1,554 2,100 135.1
이노텍 카메라모듈 170,439 102,163 59.9


다. 주요 사업장 현황
(1) 주요 국내사업장 현황

사업장주소비고

LG트윈타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LG전자

국내자회사
LG서울역빌딩 서울특별시 중구 후암로 98 LG서울역빌딩
LG사이언스파크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0로 10 
가산B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22 가산-B
가산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1
서초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11길 19 
양재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38 
LG디지털파크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엘지로 222
인천 캠퍼스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 322번길
구미 사업장 A1 :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168
A3 :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77
LG스마트파크 LG스마트파크1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산패총로 170
LG스마트파크2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로 84
본사/R&D 캠퍼스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 중앙10로 30 이노텍
안산 R&D 캠퍼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구미1A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9길 66
구미1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7길 50-9
구미2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221
구미3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174
구미C4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77
광주공장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5번로 26
평택 진위공장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2산단로 111
파주공장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휴암로 570

 

(2) 주요 해외생산법인 현황

지역주소

미주 멕시코 멕시칼리/레이노사/몬테레이/케레타로(LGITMX)/실라오, 브라질 마나우스,
미국 테네시/헌츠빌
유럽 폴란드 므와바/브로츠와프(LGEWR, LGITPO), 오스트리아 비젤버그/비너노이슈타트,
슬로바키아 크르소비체
중동 및 아프리카 이집트 텐스오브라마단시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남아프리카 더반
아시아 인도 노이다/푸네, 태국 라영, 베트남 하이퐁(LGEVH, LGITVH),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찌까랑
중국 태주, 남경(LGENT, LGEPN), 진황도, 천진
러시아 루자

 

(3) 유형자산 증감현황 

  (단위 : 억원)

구분기초장부가액당기증감당기상각기말장부가액

토지 28,757 190 109 28,838
건물 및 구축물 67,760 756 1,496 67,020
기계장치 29,261 2,599 2,540 29,320
공구와기구 및 비품 8,866 925 1,191 8,600
기타 12,364 1,777 706 13,435
합계 147,008 6,247 6,042 147,213

주1) 당기증감은 연결회사의 유형자산 순증감액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2)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 판단이 곤란하여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주3) 유형자산의 담보제공 내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29. 우발상황」을 참조 바랍니다.

라. 설비 등의 신설, 매입 계획 
(1) 2022년 진행중인 투자 현황

  (단위 : 억원)

사업부문투자대상 자산투자효과총 투자액기 투자액향후 투자액

H&A 건물, 금형, 공구와 기구 등 생산능력향상 등 8,519 1,243 7,276
HE 건물, 금형, 기계장치 등  생산능력향상 등 3,131 403 2,728
VS 금형, 기계장치 등  신모델개발/연구개발 등 6,881 1,220 5,661
BS 금형, 기계장치 등  생산능력향상 등 1,003 130 873
기타 건물, 기계장치, 연구개발 등  신모델개발/생산성향상,
연구개발/인프라투자 등
26,135 3,355 22,780
합   계 45,669 6,351 39,318

 

4. 매출 및 수주상황

 

4.1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1) 유형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구 분제 21 기 1분기제 20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재화의 판매 195,351 173,497  727,592  564,036 
용역 및 기타 13,873  3,033  12,892  10,356 
임대수익 등 1,890  1,594  6,732  6,187 
합 계 211,114  178,124  747,216  580,579 

 

(2) 부문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제 21 기 1분기제 20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H&A 제품/상품/기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79,702 67,089 271,097 222,753
HE 제품/상품/기타 TV, AV, 뷰티기기 등 40,649 40,087 172,186 131,836
VS 제품/상품/기타 자동차 부품 등 18,776 17,308 67,004 53,810
BS 제품/상품/기타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20,167 16,301 62,917 52,569
이노텍 제품/상품/기타 카메라모듈 등 39,524 30,718 149,500 96,332
기타 및 내부거래 제거 12,296 6,621 24,512 23,279
합  계 211,114 178,124 747,216 580,579

주) 제21기 조직 기준으로 제20기 및 제19기를 재작성하였습니다.

(3) 주요 품목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품목제 21 기 1분기제 20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냉장고/세탁기/에어컨 61,104 52,133 209,044 171,821
 영상기기 49,398 45,859 197,094 150,478

주) 제/상품 매출액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4) 지역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지역제 21 기 1분기제 20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대한민국 82,487 64,139 276,085 217,263
 북미 45,541 37,325 177,255 126,674
 유럽 32,233 29,957 120,159 91,831
 아시아 22,935 20,039 66,716 58,110
 중남미 6,854 8,149 32,849 25,681
 중동 및 아프리카 9,678 7,851 27,809 22,153
 중국 6,466 6,357 26,008 22,233
 기타지역 4,920 4,307 20,335 16,634
합계 211,114 178,124 747,216 580,579

주) 지역별 매출액은 연결회사가 소재한 지역별 매출액입니다.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① 한국

구분판매경로소비

소매 BEST SHOP, 시스템전문점 최종 소비자
유통사(양판점, 대형마트)
온라인
납품

 

② 해외

구분판매경로소비

직수출 Massmerchant, Distributor, Buying Group,
Independent, 일반 Buyer 
최종 소비자
LG전자 해외
현지 판매법인

 

(2)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단위 : %)

구분판매경로비중

내수매출 소매 61.4
납품 38.6
100.0
해외매출 직수출 44.3
해외종속기업 매출 55.7
100.0

주1) 내수매출은 대한민국 내에서 판매되는 제ㆍ상품 매출의 비중입니다.
주2) 해외종속기업 내수매출은 현지 시장환경에 적합한 경로를 통해 거래하고 있습니다.

(3) 판매방법 및 조건
① 한국

구분유통망결제조건비용분담

B2C o BEST SHOP전문점
  (전문점/하이프라자)
o 온라인(가전/유통)
o 결제수단: 현금
o 수금기한
 - BEST SHOP(전문점)/온라인 30일

  - BEST SHOP(하이프라자) 익월 15일

  - BEST SHOP(하이프라자 백화점)
    익익월 1일
o 담보평가액 100%내 여신 적용
  (하이프라자는 신용여신 적용) 
o 인테리어지원
  - 공사비용 일부 분담
o 판촉지원
  - 카탈로그, POP 등 판촉물 지원
  - 판촉비 지원
o 유통사(양판점/대형마트)
o 온라인(무점포/IT,미디어)
개별 계약에 따름 o 원칙적으로 비용분담 계약은 존재
  하지 않으나, 사안별 상호 합의 하에
  판촉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음
B2B o 시스템 전문점
o 납품 전문점
o 기타 납품
개별 계약에 따름 해당사항 없음


② 해외
일반거래선은 직거래방식(은행의 지급보증이 있는 신용장 방식) 또는 현지 해외법인을 통하여 거래하며, 거래선별로 개별 계약에 따라 결제조건 및 비용부담이 결정됩니다.

(4) 판매전략

① 한국: 제품 차별화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구사 및 BEST SHOP, 백화점, 양판점뿐만 아니라 인터넷,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영업의 실행력을 극대화하여 당사 디지털 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② 해외: 글로벌 핵심역량 제고를 통해 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힘써 판매 증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5) 주요매출처
연결회사의 주요 매출처는 Best Buy, HOME DEPOT, LOWE'S 등 입니다. 2022년 1분기 주요 10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연결회사 매출액의 33.5% 수준입니다.

4.2 수주상황
연결회사는 완성차 업체에 차종별 제품 및 차량용 부품을 개발, 생산 및 납품하고 있으나, 계약 물량이 확정되어 있지 않고 대내외적인 경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자동차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수주물량, 수주잔고 등 별도 수주상황을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5.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재무위험관리는 주로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에 대해 전사 각 사업주체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동시에 재무구조 개선 및 자금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금융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사업의 원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재무위험 관리활동은 주로 회사의 금융담당이 주관하고 있으며 각 사업주체와 긴밀한 협조 하에 전사 통합적인 관점에서 재무위험 관리정책 수립 및 재무위험 식별, 평가, 헷지 등의 실행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담당 산하에 미국 뉴저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중국 북경, 싱가포르 등 4개의 해외 금융센터를 운영함으로써(센터별 2~5명의 담당자) 전 세계적 경영활동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재무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해외 종속기업의 금융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함으로써 해외 종속기업의 사업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정기적으로 재무위험 관리정책의 재정비, 재무위험 모니터링 등을 통해 재무위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와 관련된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가액 및 순손익과 차입금 세부 내역에 대한 정보는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5. 범주별 금융상품 및 12. 차입금」에 각각 기재하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다양한 통화의 환율변동위험에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주요통화는 미국 달러, 유로가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업 운영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는 외환위험의 측정과 관리 방법의 원칙 등을 규정하고 있는 연결회사의 외환관리규칙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규칙에 따라 연결회사의 일반적인 영업활동에서 비롯되는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를 우선적으로 일치시켜 외환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고,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파생상품 등을 통한 효율적 외환위험 축소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 적용하고 있으며, 매월 외환위험의 변동 및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연결회사의 화폐성 자산ㆍ부채에 대해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2022.3.312021.12.3110% 상승시10% 하락시10% 상승시10% 하락시

미국달러/원 24,930 (24,930) (3,521) 3,521
유로/원 1,080 (1,080) (2,378) 2,378


2)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변동성 축소와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해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자율 변동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포인트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예금 및 변동금리부 차입금으로부터 3개월 간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2022.3.312021.3.311%p 상승시1%p 하락시1%p 상승시1%p 하락시

이자수익 13,669 (13,669) 15,999 (15,999)
이자비용 1,876 (1,876) 1,465 (1,465)

 

3) 가격위험

 

연결회사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DAQ, NASDAQ, NYSE 주가지수 및 Austrian Traded Index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이 연결회사의 보고기간말 현재 자본(법인세효과 반영 전)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 하에 주가지수가 3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지 수2022.3.312021.12.3130% 상승시30% 하락시30% 상승시30% 하락시

KOSDAQ 6,399 (6,399) 6,789 (6,789)
NASDAQ 3,725 (3,725) 3,300 (3,300)
NYSE 4,023 (4,023) 3,343 (3,343)
Austrian Traded Index 160 (160) 165 (165)

 

상기 시장위험과 관련된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의 평가 등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2022년 1분기기초취득처분대체평가손익기타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60,441 - - - (6,536) 149 54,054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297 - (479) 129 (1,081) 51 917
(단위: 백만원)

구 분2021년 1분기기초취득처분대체평가손익기타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58,103 - (212) - (11,238) 453 47,106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400 5,912 (55) 6,257


(2) 신용위험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관된 전사신용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세계 3대 채권보험사(Euler Hermes, Atradius, Coface) 및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와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험 및 담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매출채권에 대해서도 내부 신용평가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매출채권 잔액은 9,581,846백만원 (2021년 말: 8,277,060백만원)이며, 동 채권은 24,558,139백만원(2021년 말: 24,367,747백만원) 상당의 보험한도 및 담보 내에서 적절하게 부보되어 위험관리되고 있으므로, 연결회사에 노출된 신용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상차손이 차감된 장부금액으로신용위험의 최대 노출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 유동성위험

연결회사는 유동성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금흐름 및 유동성 계획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사와 4개 해외 금융센터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가능한 자금관리 및 유동성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적정규모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과 Committed Line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발생 가능한 자금경색에 따른 유동성위험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말 현재 국내신용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로부터 AA를 부여받고 있으며,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로부터 BBB, Moody's로부터 Baa2 등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국내외 금융시장을 통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부채의 연도별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2022.3.31합 계1년 미만2년 이하5년 이하5년 초과

매입채무 9,106,054 9,106,054 - - -
차입금 11,347,253 2,139,268 1,704,753 3,657,695 3,845,537
리스부채 1,088,789 305,406 214,854 367,255 201,274
기타지급채무 4,167,016 4,047,347 1,115 113,683 4,871
기타금융부채 38,677 34,134 428 3,710 405
합 계 25,747,789 15,632,209 1,921,150 4,142,343 4,052,087


상기 현금흐름은 명목가액 기준으로 연결회사가 지급하여야 하는 가장 빠른 만기일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 중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금융부채 중 통화선도계약에 대한 부채는 계약상 만기가 파생상품의 현금흐름의 시기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 공정가치 32,373백만원이 1년 미만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생상품 계약은 만기보다는 순공정가치 기준으로 관리됩니다. 이자율과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 위험회피를 위한 파생상품은 관련된 차입금의 현금흐름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제3자 기업을 위해 제공한 금융보증계약한도의 연도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2022.3.31합 계1년 미만2년 이하5년 이하5년 초과

금융보증계약 46,000 46,000 - - -

금융보증계약은 보증의 최대금액을 보증이 요구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기간에 배분하였습니다.

5.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보고기간 말 현재 연결회사가 체결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계약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파생금융자산 및 파생금융부채
연결회사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내부평가모형을 통해 평가한 값을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이 평가한 값을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투입변수는 할인율 및 환율이며,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2022.03.31자산부채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926 -
  통화스왑계약 82,377 -
  이자율스왑계약 8,569 14,860
  소계 91,872 14,860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2,223 32,373
  이자율스왑계약 - 2,257
  풋옵션계약 - 4,047
  소계 2,223 38,677
 합 계 94,095 53,537


나.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

(1)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연결회사는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하여 통화선도,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계약별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계약처 계약금액(단위: 백만)계약환율지급이자율(%)계약시작일계약만기일 장부금액자산부채

통화선도 DZ Bank AG 등 CZK 365
(EUR/CZK)
25.7
~ 26.4
- 2021.10.14
~ 2021.10.27
2022. 4. 4
~ 2022.12. 2
926 -
통화스왑 MUFG Bank 등 USD 719
(USD/KRW)
1,067.9
~ 1,233.7
1.88 ~ 3.64 2017.10.23
~ 2022. 3.18
2022.11.22
~ 2031. 7.28
74,040 -
DBS SGD 140
(SGD/KRW) 
859.3 1.21 2020. 7. 9 2024. 1. 9 8,337 -
이자율스왑 우리은행 등 KRW 975,964
/ EUR 100
/ USD 231
- 1.00 ~ 4.53 2014. 1. 3
  ~ 2018. 5.24 
2023. 2.24
  ~ 2030. 7. 7 
8,569 14,860

스왑계약의 수취이자율은 차입금의 연이자율과 동일합니다.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2. 차입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계정장부금액가치변동(세후 손익기준)

통화선도 예상거래 (430)
통화스왑 차입금 994,394 (29,763)
이자율스왑 차입금 1,390,066 (28,905)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단위: 백만원)

구 분파생상품가치변동(세후 손익기준)당기손익 인식계정과목당기손익재분류금액(세후)기타포괄손익인식액(세후)기타포괄손익누계액 잔액

통화선도 430 외환차이 (265) 165 247
통화스왑 29,763 이자비용 및
외환차이
(9,247) 20,516 19,518
이자율스왑 28,905 이자비용 2,574 31,479 (2,730)


연결회사는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현금흐름 할인모형을 가치평가기법으로 활용하여 금융기관 등에서 평가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 특유 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계약기간 만료일까지 위험회피대상 자산 및 부채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손익과 상쇄됩니다.

(2)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연결회사는 환율변동 및 이자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 및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종속기업이 체결중인 통화선도거래 내역과 통화선도계약 및 이자율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기 중 인식한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매입매도평가이익(손실)거래이익(손실)

통화선도 636,549 667,222 (23,757) (7,393)
이자율스왑 - - 2,315 -


연결회사는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Stock Option이 부여된 직원에 대한 Put Option 부여에 따라 파생상품부채 4,151백만원을 인식하였고, 당기 중 동 계약에 대한 파생상품평가이익 103백만원을 인식하였습니다.

다. 옵션계약

연결회사의 주식 취득과 관련한 주요 옵션계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G-MRI LL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MRI)
계약일 2014.01.29
만기일 2019년 이후 행사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사업활동 촉진
계약내용 및 조건 성공적 사업운영 상황에서, 중대한 계약 위반이 발생하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또는 LG전자가 MRI의 역량을 충분히 흡수한 경우, MRI는 Put Option을 보유하고 당사는 Call Option을 보유하며, Put / Call Option 행사 시 당사는 MRI 주식을 인수해야 함
계약금액 옵션행사 직전, MRI의 3개년 평균 EBITDA x 8 (cash-free and debt-free basis with working capital adjustment)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주) 2017년 12월 12일 LG-MRI LLC 합작계약서를 부분 갱신하였으며, 옵션행사 금액 산출 시 사용되는 EBITDA 계산에 대한 상세 내용을 조정하였습니다.

2)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와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Lufthansa Technik AG
계약일 2018.10.23
만기일 2019.05.21(JV설립)이후 합작계약(JVA) 종료 시 행사 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상호간의 의무 담보
계약내용 및 조건 JV계약 종료 시, 합작계약으로 설립된 법인인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와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의 지분에 대해, 계약 종료의 책임이 없는 당사자는 계약 종료의 책임이 있는 당사자에 대해, 상대방 지분을 20~25%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하거나 보유한 지분을 20~25% 할증된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Put)를 갖게 됨
계약금액 합작법인 지분의 공정가치는 계약 종료 시점에 당사자간 합의를 통해 산출하며, 공정가치에 합의를 못하는 경우, 제3의 회계법인을 통해 공정가치 산정 후 가장 가까운 2개 값을 평균하여 공정가치 도출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3)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Lufthansa Technik AG
계약일 2018.10.23
만기일 2019.05.21(JV설립)이후 설립 5주년 시점부터 행사가능
계약 체결 목적 LG전자가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의 지분 과반수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합작계약으로 설립된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가 독자 항공인증 가능 시, Lufthansa Technik AG는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의 보유지분 2%를 LG전자에 매각(Put/Call)해야 함
계약금액 Lufthansa Technik AG가 LG전자보다 지분 1%를 더 보유함으로써 추가 투자하게된 비용 총계에 12개월 EURIBOR+2% 이자를 적용한 가격에,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와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의 지분 1%의 공정가치 차이를 반영하여 산정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4) Alphonso In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주주간 계약서(Shareholders' Agreement)
거래상대방 Alphonso Inc. 주요 주주
계약일 2020.12.19
만기일 2026.8.15 (마지막 회차 옵션 행사에 따른 정산 시한)
계약 체결 목적 Zenith Electronics LLC의 Alphonso Inc. 지분 100%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Alphonso Inc.의 주주는 보유하고 있는 Alphonso Inc.주식을 2024년부터 3년간 3회에 걸쳐 공개매수(Tender Offer)절차에 따라 아래 계약금액으로 Zenith Electronics LLC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신청기간 및 매도 한도는 다음과 같음
 - 1년차 : 2024년 3월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33%
- 2년차 : 2025년 3월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66%
- 3년차 : 2026년 3월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100%
계약금액 인수 시점의 Alphonso Inc. 회사 가치에 따라 산정된 주당가격 또는 그 이후에 결정되는 공정가격 중 높은 가격으로 정하며, 공정가격은 Alphonso Inc. 이사회 결의로 정함. 이사회에서 정하지 못한 경우, Alphonso Inc. 주요 주주측 이사와 Zenith Electronics LLC측 이사가 각각 선임한 회계법인이 합의하여 산출함. 두 회계법인이 산정한 공정가격의 차이가 10% 이내일 경우에는 평균값으로 정하고, 그 차이가 10% 초과시에는 제 3의 회계법인을 통해 평가를 받아 3개 중 가장 근접한 2개 공정가치의 평균값으로 정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IPO시 옵션계약 종료

 

5) LG Magna e-Powertrain Co., Ltd.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Magna Metalforming GmbH
계약일 2020. 12. 23
만기일 JV설립(2021.7.1) 후 합작계약 종료 시까지 행사 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상호간의 의무 담보
계약내용 및 조건 계약 당사자 일방의 중대 의무 위반 시, 비 위반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하거나 또는 비 위반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증된 가격으로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함.
단, 특정 경업금지의무 위반 시에는, Magna Metalforming GmbH가 위반 당사자인 경우는 당사가 Magna Metalforming GmbH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10~20%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당사가 위반 당사자인 경우에는 Magna Metalforming GmbH가 보유중인 지분을 당사에게 공정가치의 10~20% 할증된 가격으로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함.
교착상태 또는 경영권 변동 발생 시, 통지를 받은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에 인수(Call)하거나 또는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 보유.
계약금액 합작법인 지분의 공정가치는 해당 시점에 당사자들이 각자 선임한 회계법인의 공정가치 평가액의 평균액으로 산정함. 단, 그 편차가 10% 이상인 경우, 제3의 회계법인을 통해 공정가치 산정 후 가장 가까운 2개 값을 평균하여 공정가치를 도출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6) Rinse, In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우선주 신주인수계약서
거래상대방 Rinse, Inc.
계약일 2021.09.16
만기일 2024.09.16 (옵션1과 옵션2 중 최장 시한)
계약 체결 목적 사업 파트너십 구축 
계약내용 및 조건 옵션1. 당사는 2022년 9월 16일까지 기 합의된 가격으로 우선주 취득에 대한 권리를 보유
옵션2. 당사는 2024년 9월 16일까지 당사를 통한 신규고객 1명 유치 시 고객 1명당 보통주 100주를 기 합의된 가격으로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
계약금액 옵션1. $8.0M 규모 / 옵션2.$0.3M 규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7) Cybellum Technologies Ltd.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주주간 계약서 (Shareholders Agreement)
거래상대방 구주인수계약(Share Purchase Agreement) 체결일인 2021년 9월 17일 기준,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주인 창업자 및 스톡옵션(Stock Option) 보유자
계약일 2021.11.01
만기일 옵션 행사 기한 또는 IPO 시
계약 체결 목적 Cybellum Technologies Ltd. 지분 100%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주인 창업자(이하 '창업자') 및 스톡옵션 보유자는 2021년부터 7년간 3회에 걸쳐 당사에게 구주인수계약 체결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하 '주식') 또는 스톡옵션(이하 '스톡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Put옵션)를 가지고 있으며, 당사는 미행사 된 잔여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Call옵션)를 가지고 있음 

- 1회차 :
[Put 옵션] 2024년 11월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5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4년 12월 1일부터 30일 이내, 3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2회차 :
[Put 옵션] 2026년 11월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9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6년 12월 1일부터 30일 이내, 5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3회차 :
[Put 옵션] 2028년 11월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10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8년 12월 1일부터 30일 이내, 7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기타 Put / Call 옵션 발생 조건
[Put 옵션]
-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사업 종료시/ 청산시 또는 지분 50% 이상이 관계자가 아닌 제3자에게 양도되는 경우, 창업자는 해당 시점 30일 이내에 보유 주식의 100%까지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IPO 시 주당가격이,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이하로 산정되는 경우, 창업자는 보유 주식의 100%까지 인수 시점의 주당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창업자 중 1인 이상이 Put 옵션을 행사하는 경우, 스톡옵션 보유자도 동일 조건으로 스톡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Cybellum Technologies Ltd.가 창업자를 임의로 해고하거나 창업자가 계약상 인정된 사유로 사직하는 경우, 창업자는 고용 만료 120일 이내에 보유 주식의 100%까지 Call 옵션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Call 옵션]
-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가 본인의 귀책으로 해고되는 경우와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가(창업자인 경우에는 계약상 인정되지 않은 사유로) 사직하는 경우, 당사는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의 보유 주식 또는 스톡옵션을 고용 만료 120일 이내의 해당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80%로 보유 주식의 100%까지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스톡옵션에 대한 위 Put/Call 옵션은 스톡옵션 보유자가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한 경우(vested)에만 가능.
계약금액 [Put 옵션]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또는 옵션 행사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95% 중 높은 가격
[Call 옵션]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또는 옵션 행사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105% 중 높은 가격
※ 공정가격은 Cybellum Technologies Ltd.와 당사 간 합의한 가격으로 정하며, 합의되지 않을 경우, 당사와 Cybellum Technologies Ltd. 창업자(최소 한 명 이상)가 승인한 독립적인 가치평가 법인을 선임하여 공정가격을 정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IPO시 옵션계약 종료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6.1 경영상의 주요계약 

연결회사가 체결한 경영상의 비경상적인 주요계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상대방항목내용

구글 계약목적 및 내용 글로벌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
체결시기 및 기간 2014.11.05 / 특허 출원일로 부터 20년간
기타 주요 내용 기존 특허 및 향후 10년간 출원될 특허를 대상으로 함

기타 상표권 라이센스 계약 등은 다음과 같으며, 계약상 기밀에 해당하는 사항은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구 분관련 사업부문/제품기술 등 제공처기술 등 사용처

기술사용 가전, 통신기기 Qualcomm Incorporated 등 연결회사
기술제공 가전, 통신기기 연결회사 Panasonic Corporation 등


6.2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결회사는 지속적인 고객가치 창출 및 시장선도를 위해 고성장 분야의 신상품 개발과 핵심부품 및 핵심기술 역량 확보에 역점을 두고 아래와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세탁기, 냉장고 및 에어컨과 같은 주력 사업분야는 저소비전력 / 소비자의 편의성 증대 등 친환경 / 프리미엄 제품 개발을 통한 시장 리더십을 유지/강화하며, 건조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홈 뷰티 기기, 오브제컬렉션(공간 인테리어 가전) 등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신제품을 개발, 상용화하는 등  R&D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특히 전세계가 직면한 뉴노멀 시대로의 변화와 개인 및 환경 안전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신규 시장으로서의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홈 영역에서의 통합 솔루션 및 스마트 가전, 평안하고 안전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 및 기술 등의 신사업 영역 R&D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LG의 최신 제품, 서비스, 기술이 총집결된 스마트 홈인 판교에 위치한 스마트홈 LG ThinQ Home이 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단순 모델 하우스가 아니라 LG전자 직원이 실제로 거주하면서 리빙 데이터까지 수집/분석하는, 리빙 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냉난방, 환기, 조명 그리고 보안 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홈서비스가 모두 인공지능 기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통합 제어/관리되는 Total Home Solution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Home Appliance의 영역에서 나아가 Home자체의 개념을 바꾸는 새로운 차원을 여는 도전이 LG R&D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V, 세탁기, 냉장고 등 주력사업 분야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일등제품' 개발 및 핵심 기술역량 강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LG 올레드(OLED) TV, 롤러블 TV, 8K TV, webOS 스마트 TV, 차세대 통신/미디어표준 등 Global 핵심 Business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로봇, 차량용 인포테인먼트(텔레매틱스, 네비게이션, 디스플레이) 제품, 스마트카 및 모빌리티 서비스 등 신규 사업분야는 기존 보유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고성능, 고효율, 스마트 기능의 혁신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확대 중이며, 차세대 혁신 기술/제품 개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만의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서비스 브랜드인 'ThinQ'를 중심으로 기존 제품기술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컨버전스, 로봇 등의 기술을 접목해 집안은 물론 집 밖에서도 공간의 경계 없이(Seamless) 통합적 인공지능 경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특히 자사는 외부 개발자들을 위해 ThinQ 플랫폼을 오픈하며 생태계를 확대해 가고 있으며, 자사의 인공지능 비전인 진화(Evolve), 접점(Connect), 개방(Open)의 큰 틀 안에서, 꾸준히 진화하는 디지털 전환(DX) 및 모든 가전과 기기들이 상호 연결된 플랫폼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의 제품 및 서비스를 통합하는 플랫폼인 'LG씽큐'앱을 런칭하면서, 다양한 가전과 기기들이 상호 협력하고,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고객에게 맞춤화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제품 판매에서 고객과의 관계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전 기간에 걸쳐 안심, 편리, 재미 라는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케어하며, 서비스 종류와 제품군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사업 대응 및 글로벌 R&D협력 강화를 위해 북미, 유럽, 일본, 인도 등 전략지역에서 현지 R&D 체제를 구축하며 글로벌 R&D 역량을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LG전자는 기술의 지향점이 지속가능성이라는 목표에 기반을 둔 ESG 기반 지침에 착수했습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소비자는 물론 업계 동료들로부터 인정받고 존경받는 글로벌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조직
각 사업본부 산하에는 1~2년 내에 시장에 출시할 제품ㆍ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와 개발팀이 있으며,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핵심기술을 선행개발하는 CTO부문 산하 연구소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의 약 19개의 연구소를 통해서 제품 및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LG 전자만의 독창적인 기술확보와 기업전반에 응용 가능한 공통 핵심기술을 강화하고 미래를 위한 성장엔진 조기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서초, 양재, 가산, 인천, 창원, 마곡 등의 R&D 조직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유럽 등지의 해외 연구개발 조직은 긴밀한 협력체계를 통해서 제품 개발 및 기초기술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소 현황


주) 상세한 해외 연구개발 조직(법인) 현황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 일반사항, (1) 연결대상 종속기업 현황」을 참조 바랍니다.

다. 연구개발비용
연결회사의 연구개발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과       목제 21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연구개발비용 계 965,145 3,604,496 3,414,666
(정부보조금) (4,188) (16,808) (13,130)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960,957 3,587,688 3,401,536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550,382 2,095,682 1,913,126
제조원가 356,751 1,301,068 1,117,500
개발비(무형자산) 53,824 190,938 370,910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4.6% 4.8% 5.9%

(*)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중단사업부문의 연구개발비용은 제외한 기준입니다. 

라. 연구개발실적
연결회사의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건)

사업부문제 21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

H&A 11 27 30
HE 2 19 16
VS 1 2 1
BS 5 17 4
이노텍   11 14
기타 3 15 22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연구개발실적(상세)' 참조

 

7. 기타 참고사항

 

가.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LG전자는 'Life's Good'이라는 브랜드 철학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최고의 경험과 감동을 주고, 고객의 삶이 더 가치 있는 삶이 되도록 만들기 위하여 항상 노력합니다. 2021년부터는 중장기 ESG 지향점을 수립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과 변화의 의지를 표명하고 고객의 신뢰를 받는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초(超)프리미엄 가전 통합 브랜드인 'LG 시그니처(LG SIGNATURE)'는 2016년 한국, 미국의 성공적인 런칭 이후 유럽, 아시아 지역 등으로 확산하며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이태리의 프리미엄 가구 브랜드인 Molteni&C社와의 파트너십 체결, 디자이너, 아티스트 및 와인 평론가 등과의 협업을 통해 차별화된 프리미엄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리미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브랜드 헤리티지 구축을 위해 미국 국립 발레단 (American Ballet Theater), 영국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러시아 푸쉬킨미술관 (Pushkin Museum), 이태리 라 스칼라 극장 (La Scala Theatre)과 LPGA 메이저 대회인 에비앙 챔피언십 및 프로골퍼인 박성현, 고진영 선수를 후원하는 등 문화예술 및 스폰서십 활동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스마트 브랜드인 'LG 씽큐 (LG ThinQ)'는 한국과 미국 시장은 물론, 성장 잠재력이 큰 중아, 아시아, 중남미 지역 등 전 세계로 확산하며 브랜드 활동을 전개, 인공지능/스마트가전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서 위상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맞춤형 진화, 폭넓은 접점, 개방성에 기반해 안심, 편리, 재미 라는 고객가치를 제공한다는 신념 하에 다양한 'LG 씽큐 (LG ThinQ)' 제품군을 선보이고 있으며, 150여 국가 대상으로 스마트폰 플랫폼인 'LG ThinQ' App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연결회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2년 3월 31일 기준 누적으로 국내 23,362건, 해외 59,804건의 등록된 특허권이 있으며, 이 중 주요 특허권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취득일내용근거법령취득소요인력/기간상용화 여부 및 매출기여도

특허권 2021.04.15 카메라 장치 및 이미지 생성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39년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5명/1년 11개월 상용화 단계 
2020.08.18 렌즈 구동 모터용 탄성부재 및 렌즈 구동용
모터에 대한 특허로 2037년 8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명/3년 1개월 상용화 단계 
2011.02.22 LTE 제어 신호 송신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28년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0명/3년 8개월 상용화 단계, 통신기기 제조사 대상 Cross License로 활용 
2008.06.11 고화질 동영상 디코딩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2년 10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7명/3년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2009.06.02 디지털TV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4년 9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명/4년 9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2007.03.05 레퍼런스 픽쳐 이용 동영상 코딩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3년 3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6명/4년 1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연결회사는 상기의 중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 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스마트폰, 디지털 TV 등에 관한 특허로 회사의 주력 사업 제품에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4년 11월 LG전자와 구글은 광범위한 사업/기술 영역에서 '글로벌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기존 특허는 물론 향후 10년간 출원하는 특허까지, 출원일로부터 20년간 포괄적으로 공유합니다.
이 외에 차세대 통신 표준, 새로운 멀티미디어 코덱 관련 특허들은 회사의 신사업 진출 시 사업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유의 디자인을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디자인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 환경 관련 규제사항

 

연결회사는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사업장에 대한 환경 관련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1)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 

연결회사는 EU를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시행중인 유해물질 규제(RoHS*)를 만족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인체 위해성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독성물질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체 기술ㆍ부품을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염화비닐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브롬계 난연제(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 염소계 난연제(Chlorinated Flame Retardants, CFRs) 등과 같이 현재 규제 대상은 아니나 생태계에 유해한 물질에 대해서도 안전성 및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점진적으로 대체해 나가고 있습니다.

*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in EEE) : 전기전자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 제한을 위한 규제로,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브롬계난연제(PBBs, PBDEs), 프탈레이트(DEHP, DBP, BBP, DIBP)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2) 폐전기전자제품 관리 정책
연결회사는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규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각 규제 지역별 특성 및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폐가전 회수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품 설계 단계부터 재활용 가능률을 향상시키는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폐가전 회수처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경보전 및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글로벌 폐가전 회수처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2018년 249,145톤, 2019년 355,197톤, 2020년 412,117톤을 처리하였습니다.
글로벌 52개국 87개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회수ㆍ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규 지역에 대해서도 규제 분석 및 대상 국가의 정부, 산업단체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등 적법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폐전자제품을 회수하여 전국의 리사이클링센터에서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자원순환법에 따라 폐전자제품의 재활용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법: 제품의 설계생산단계에서 유해물질 사용제한 등을 유도하고, 폐기 시 적정한 재활용 등을 통해 제품의 환경친화성을 일정기준 이상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서, 「전기ㆍ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거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3) 온실가스 배출 관리

연결회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제42조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DNV GL Business Assurance Korea Ltd.의 제3자 검증 후, 배출량 명세서를 정부에 적기 제출하고,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부에 신고된 국내 사업장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tCO2e, TJ)

구분제20기 (2021년)제19기 (2020년)제18기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 733,035 898,619 1,002,614
에너지 사용량 14,255 15,210 15,536

주)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환경부의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2015년 1월부터 시행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관리 대상 기업으로, 2019년12월 기준 국내 7개 생산사업장(평택, 평택 칠러, 구미 A1, 구미 A3, 창원 LG스마트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2, 인천 캠퍼스)과 4개 연구소(서초 R&D 캠퍼스, 양재 R&D 캠퍼스, 사이언스파크, 가산 R&D 캠퍼스)는 국제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ISO50001)을 완료하였습니다. 회사는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감축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4) 사업장 내 환경

연결회사는 사업장 내 발생되는 환경오염물질의 저감, 자원의 효율적 이용, 환경경영체계 구축을 통해 환경 보전 및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있습니다. 2010년부터 국내 사업장은 환경, 안전, 보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위해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 및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45001) 인증을 본사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모든 생산사업장 및 연구소에 대한 통합인증을 완료 하였습니다. 또한, 대기, 수질분야의 환경오염물질 배출 항목에 대해서 사내 환경관리규칙에 따라 법적 배출허용농도보다 강화된 내부관리기준을 설정하여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폐기물은 최대한 재활용하여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경영체계에 입각한 관리를 통해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환경부에서 지정하는 녹색기업 지정제도에 구미 A1, 구미 A3, 창원 LG스마트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2(LG전자)와 구미1, 1A(LG이노텍)이 선정되었습니다.

 

라. 환경 관련 신사업 및 인증사항

(1) 친환경 기업 인정 현황

회사는 2009년 1월 국내 업계 최초로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발표하고, 지속적인 저탄소 그린 경영 전략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저탄소 경영성과 공개 프로그램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1년 탄소 정보공개 및 저감 성과가 우수한 국내 기업으로 선정되어 CDP Korea로부터 탄소경영섹터 아너스(선택소비재)를 수상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회사는 인도에서 고효율 냉장고 판매를 통해 UN으로부터 2018년 6만 2천톤, 2019년 39만 3천톤의 탄소배출권(C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공인인증감축량)을 발급받는 등, 이 사업을 통해 총 56만 5천톤(누적)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다우존스에서 발표하는 2021년 지속가능경영지수 평가결과, 8년 연속 '가전 분야 글로벌 1위 기업'에 선정되었으며, 2021년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 평가에서 환경부문 A등급을 받았습니다.

 

(2) 녹색기술 인증

연결회사는 정부가 2010년부터 시행하기 시작한 '녹색기술 인증' 제도에서 가전, TV 및 모니터 등에 대한 녹색기술 인증을 3건 보유하고 있습니다. 녹색기술 인증은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이용 효율화, 청정에너지 등의 사회ㆍ경제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대한 인증으로, 기술의 우수성 뿐만 아니라 녹색성까지 고려하는 인증 제도입니다.

또한, 녹색기술 인증을 받은 기술을 실제로 적용하여 상용화한 제품에 인증 마크를 부여하는 '녹색기술제품 확인' 제도에서 연결회사는 4건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녹색기술 인증 현황>

인증번호기술명칭인증일자유효기간

GT-18-00455 Control IC 내부 X-capacitor 방전 기능을 적용한 TV 대기전력 절감 기술 2018.05.17 2024.05.16
GT-21-01185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신개념 인버터 에어컨 기술 2021.07.29 2024.07.28
GT-22-01317 안면인식 기반 PC용 부재인식 대기전력 저감기술 2022.01.20 2025.01.19


<녹색기술 인증제품 확인 현황>

확인번호제품명확인일자유효기간

GTP-22-02846 대기전력저감 울트라 HD TV 2022.03.17 2024.05.16
GTP-20-01955 대기전력저감 울트라 HD TV 2020.10.15 2024.05.16
GTP-21-02509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고효율 인버터 에어컨 2021.07.29 2024.07.28
GTP-21-02508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고효율 인버터 에어컨 2021.07.29 2024.07.28

 

마. 사업부문별 시장여건 및 영업개황

-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1) 산업의 특성
H&A부문은 Home Appliance, Air Solution 제품과 가전 부품 Solution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ome Appliance는 냉장고ㆍ세탁기ㆍ오븐ㆍ식기세척기ㆍ청소기ㆍ전자레인지 가전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최근 건조기ㆍ의류관리기ㆍ정수기 등의 건강/위생 가전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연계된 스마트 가전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Home Appliance 산업의 경쟁 구도는 지역별로 현지의 강한 경쟁사가 존재하고 기술 혁신이 쉽지 않은 분야로 경쟁 강도가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쟁사들도 사업영역 다각화 및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하여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은 스탠드형/벽걸이형 에어컨ㆍ공기청정기ㆍ제습기 등의 가정용 제품과 상업용 에어컨ㆍ중앙 공조 시스템을 비롯한 산업용 냉난방 공조기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BECON(Building Energy Control) Cloud를 활용하여 고객의 에너지 사용 환경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효율적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은 궁극적으로 관련된 제품 및 시스템 등 모든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는 통합 에너지 솔루션을 지향하는 부문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야 하는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성장성
Home Appliance는 기본 백색가전 제품의 경우 시장 성장률이 낮으나, 스마트 가전ㆍ건조기ㆍ정수기ㆍ청소기ㆍ의류관리기ㆍ가정용 식물재배기 등 신사업의 경우 Life Style의 변화 및 COVID-19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고객이 가정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신규 시장으로서의 성장 잠재력이 풍부합니다.
Air Solution의 가정용 에어컨은 수요가 정체되고 있으나, 상업용 에어컨의 경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며, 통합 에너지 솔루션 제공 및 에너지 절감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어 미래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의 잠재력이 높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Home Appliance는 필수재 성향이 높은 제품으로 경기 변동에 민감하지 않아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이후 고객들이 가정에 오래  머무르면서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해당 가전의 수요가 증가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가전 제품의 프리미엄화 Trend는 신규 수요가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의 상업용 에어컨과 냉난방 공조기 사업은 건설 경기 변동에 민감하고, 가정용 에어컨은 계절적 특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나, 인버터, 에너지 고효율, 공기청정 기능 등을 갖춘 신제품이 지속 출시되면서 시장 확대가 예상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던 COVID-19 사태 이후, 보복소비(Pent-up demand) 효과로 인해 선진국 중심으로 수요 호조가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COVID-19 대응을 위해 크게 늘어났던 각 국의 정부 지출이 줄어들면서 가전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잇따른 신규 변이 바이러스의 유행 역시 Risk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의 우크라이나 사태와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는 미ㆍ중 갈등 등의 불안정한 국제 정세로 인하여 원자재 비용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사업 환경이 악화되었으나, 유연한 글로벌 생산지 운영을 통해 시장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높아진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은 엔데믹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언택트 트렌드로 인한 온라인 가전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 홈코노미의 발달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가전에 대한 수요 확대가 예상됩니다. 


최근 글로벌 사업 환경에서 대두되고 있는 ESG 경영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당사는 'LG 전자 2030 탄소중립' 선언에 맞춰 사업장별 에너지 감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제품 강화를 통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여 미래 세대에게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체의 특성이나 성별, 나이, 지식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전 제품의 '접근성'을 개선하여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당사는 인류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ESG 경영 활동을 지속 발전시켜 나갈 계획 입니다. 


<주요 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2015년부터 시장점유율 자료가 입수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Home Appliance는 핵심 부품 기술에 기반한 대용량ㆍ고효율 중심의 제품 차별화 및 지역 적합형 제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Global 가전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온 상품기획과 R&D 역량을 바탕으로 경쟁사를 압도하는 최고의 혁신 제품과 신규 Category 제품 개발, 브랜드 투자를 통해 성장 동력을 꾸준히 이어갈 것입니다.
Air Solution은 차별화된 기술과 디자인을 통해 가정용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Aircare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상업용 에어컨은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생산 혁신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Technology Leadership을 바탕으로 확고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칠러ㆍ스마트 그리드ㆍESCO(Energy Service Company)등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통합 에너지 솔루션을 통해 초대형 빌딩, 산업 시설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에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공조 솔루션 및 통합 에너지 제어ㆍ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새로운 고객 경험 제공을 위해 세탁기와 건조기, 얼음정수기 냉장고, 에어로타워 등 UP가전을 한국 시장에 우선 출시하였고, 앞으로도 꾸준히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UP가전은 쓸수록 나에 맞춤 진화하는 가전 플랫폼으로써 가전이 고객의 삶을 '업그레이드' 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또, 미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고객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를 지속 발굴 하여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사업운영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 관점에서는 제조 관점에서는 가전 생산기지인 창원 스마트파크가 국내 가전 업계 최초의 등대공장(세계경제포럼 WEF 선정)으로 선정되어 자동화ㆍ정보화ㆍ지능화를 포괄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자율 공장 시스템으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 HE(Home Entertainment)

(1) 산업의 특성
HE부문은 TV, AV제품 등의 멀티미디어 영상 음향기기와 홈뷰티 케어기기를 생산ㆍ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지식 및 기술 집약도가 높은 산업 분야이며, Display 및 음향 관련 최첨단 기술과 이를 상용화할 종합적인 하드웨어 Integration 기술을 필수로 하며, 더 나아가 "데이터, 네트워크, AI 기반의 디지털" 시대를 선도할 최신 S/W 플랫폼과 차별화된 UX(User Experience) 구현 기술의 확보가 중요한 경쟁요소인 산업 분야입니다.  

(2) 성장성
2021년에는 OLED TV 주도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 및 북미와 유럽의 선진시장 성장으로 인해  TV 전체 판매 금액이 성장하였습니다. 2022년 상반기 TV 시장수요는 선진 시장 COVID-19 규제 완화로 소비자의 야외 활동이 본격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 고성장 대비 성장율이 둔화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반기에는 수요 회복이 기대되고 제품 프리미엄화로 인해 천 USD 이상의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는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V의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High-end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제품 차별화를 통해  질적 성장 및 수익성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2022년에도 OLED TV와  퀀텀 나노셀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QNED TV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지속 확대하여  TV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자 합니다. 또한, 스마트 TV의 Home Entertainment 기능 확대  트렌드에 대응하여, 자체 플랫폼(webOS) 기능 제고와 함께 OTT 서비스 업체 및 클라우드 게이밍 업체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차별화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지속 강화할 예정입니다.

AV 사업은 시장 내 성장 제품인 퍼스널 오디오 및 사운드바 제품 군의 판매 비중을 확대하여 매출 성장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홈뷰티 사업은 뷰티 및 홈의료기기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효능 및 사용성 개선을 지속하며 신규 시장을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과 세계 경기 변화에 민감합니다. 글로벌 전 지역에 걸친 각국의 봉쇄 조치(Lock-down)로 인한 수요 둔화, 국제교역량 감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COVID-19 영향이 있었으나, 댁내 체류시간 증가 및 홈 업그레이드 경향으로 2020년 하반기 이후 TV 제품 수요는 선진 시장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2021년 4분기까지도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수요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만 2022년은 팬데믹 상황 완화에 따른 TV 수요 위축 및 양극화 심화, 국제분쟁/환경/재해 등의 대외 환경 불안정에 의한 공급망 리스크, 고객의 생활패던 변화 및 개인화 추세 등의 요인으로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2020년 글로벌 TV 수요는 COVID-19 확산에도 불구하고, 재택(Stay at Home) 장기화에 따른 Home Entertainment 중요성 증대 및 재난 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TV 수요가 성장하면서 글로벌 TV 시장이 확대되었습니다. 2021년에는 TV 수량은 전년비 소폭 역성장 하였으나, OLED TV 주도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 및 북미와 유럽의 선진시장 성장으로 인해  TV 전체 판매 금액은 성장하였습니다.

2022년 시장수요는 성장률은 둔화되겠지만, OLED TV를 중심으로 천 USD 이상의 프리미엄 수요는 지속 성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자발광(Self-Lit Pixels) 디바이스인 OLED TV 및 고색재현 기술에 기반한 QNED TV와 나노셀 TV(NanoCell TV)를 필두로 하여 프리미엄 TV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에는 OLED TV의 자발광(Self-Lit Pixels) 디바이스의 핵심 장점을 보유하면서 이에 더해 화질과 밝기 성능이 업그레이드 된 'OLED evo'와 형(Inch) 및 시리즈 다변화를 통해 OLED TV 판매에서 2020년 대비 2배가 넘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창출하였습니다. 2022년에도 OLED 종주 브랜드 및 9년 (2013년~2021년) 연속 OLED TV 일등업체로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기반으로 고객경험을 제공하여 프리미엄 TV 시장 주도권을 지속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LCD TV 신모델로서 퀀텀 나노셀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QNED TV를 지속 판매 확대하여 프리미엄 LCD TV에 대한 고객가치도 지속 제공하고자 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2022년 1분기2021년2020년비고

TV
(OLED TV포함)
18.7% 18.5% 16.5% 세계시장점유율
(금액기준)

주1) OMDIA (舊, IHS Technology)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회사는 Home Entertainment 관련 오랜 시간 동안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업계에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왔습니다.
먼저 주력 사업인 TV는 고객의 잠재 니즈 충족, Pain Point 해결 등 고객 만족을 목표로 차별화 된 시장 선도 제품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내 놓고 있습니다. 

OLED TV는 세계 최초로 출시 한 후 월 페이퍼 TV, 롤러블 TV 및 벽에 완전히 블렌딩되는 갤러리 TV 등 공간 관점에서의 고객 경험 혁신 제품과 디스플레이 및 SoC 기술이 진화된 OLED evo 라인업을 확대하여 프리미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로 TV에서 nVIDIA G-Sync와 AMD Free Sync 인증을 동시 획득하는 등 댁내 종합 Entertainment Device로서 다양한 고객 수요를 충족하고 있습니다.

2021년 출시된 QNED TV는 퀀텀과 나노의 장점을 결합해 고색재현, 고명암비의 화질 경험을 제공하는 신규 카테고리의 TV로 백라이트가 있는 LCD 제품군 중 가장 진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HDMI 2.1로 대표되는 8K 고해상도 기술과 끊김 없이 빠른 동영상 재생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5세대 α9 (알파 나인)' 프로세서로 더욱 선명한 화질과 사운드를 제공합니다. 여기에 더해 독자적인 스마트 TV 플랫폼인 웹OS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UX와 오픈파트너십과 함께 더 확장된  AI 서비스로 고객에게 컨텐츠 중심의 새로운 사용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1년 Stan-by-ME를 출시하여 새로운 폼팩터와 함께 모바일 연동/ 세로 모드/ 배터리/ 터치/ 무빙 휠/ 높낮이 조절 등을 통해 어떤 시청 환경에서도 나를 위해 맞춰주는 라이프스타일 스크린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확장해가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고객의 경험을 충족시키는 라이프스타일 스크린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AV 사업은 현재 주력 사업인 사운드바를 포함한 홈오디오 분야와 무선스피커와 무선이어버드로 대표되는 퍼스널오디오 분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운드바는 TV와의 디자인 및 기능적 시너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초소형 입체음향 모델로 잠재 수요층까지 고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무선스피커에서는 독자 솔루션 360도 무지향 사운드 스피커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업계 최초 보이스채팅 기능을 탑재한 게이밍 스피커로 사업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무선이어버드는 가장 개인화된 퍼스널 디바이스로서 음질, 통화, 디자인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UVnano 살균, Plug&Wireless 등의 차별화 경쟁력으로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뷰티 사업은 안티에이징과 클렌징으로 대표되는 뷰티 분야와 탈모치료기기와 같은 홈의료기기 분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1년 하반기에, 뷰티 분야에서는 복합 기술 적용을 통해 효능과 사용성이 강화된 신제품을 출시하며 시장을 확대해 가고 있고, 홈의료기기 분야에서는 탈모치료 의료기기에 이어 통증 치료 의료기기를 출시하며 홈의료기기 사업에 대한 경험과 역량을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

(1) 산업의 특성
VS부문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텔레매틱스ㆍ디스플레이 오디오ㆍ내비게이션 등), 전기자동차용 구동부품(모터ㆍ인버터 등), 자율주행 부품, 자동차 램프 및 보안용 S/W를 생산ㆍ판매ㆍ제공하는 부문입니다.
자동차 부품 산업은 품질과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공급 부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과 기존 사업 경험을 요구하는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자원의 선행 투입이 필요하고 사업화에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완성차 업체와 장기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산업입니다.

(2) 성장성
차량 내 통신 수요 증가 및 IT기기 사용 확대, 그리고 각국 정부의 환경 규제 정책과 보조금 지원 확대와 혁신적이고 편리한 차량용 램프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의 증가로 인해 당사 사업 영역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과 보안용 S/W, 친환경 전기차 부품, 그리고 차량용 램프 시장의 고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변동, 정부규제, 보조금 지원 규모 변동 등이 자동차 시장 수요에 영향을 미치며, 자동차 부품 사업은 완성차 업체의 매출 실적, 지역별 차량 판매량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경우, 차량용 5G/V2X 관련 Connectivity 기능 확대와 통신 수요 증가로 텔레매틱스 시장 성장이 예상되고,  스마트폰 연계 요구 확대와 계기판, 디스플레이 제품들의 통합/대형화 등으로 디스플레이 오디오 및 내비게이션 시장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2022년 1분기2021년2020년비고

텔레매틱스  22.7% 24.2% 21.8% 세계시장점유율
(금액기준)
AV/AVN 12.6% 11.0%   7.6%

주) Strategy Analytics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텔레매틱스 영역에서는 당사 모바일 사업의 통신 역량 및 차량용 5G 기술 선제 대응 등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오디오/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당사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BS(Business Solutions)

(1) 산업의 특성
BS부문은 모니터, 노트북, PC 등의 IT 제품 및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ID)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니터는 PC 및 스트리밍 기기의 성능향상과 소비 컨텐츠의 다양화 및 고화질화에 따라 대형화 및 고해상도로 시장이 전환 되고 있으며, 다양한 고객 Needs에 부합하여 게이밍 모니터, 고 색재현 / 고화질 모니터의  프리미엄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PC는 그래픽 성능 향상, 경량화, 배터리 용량 확대 등으로 성능향상과 더불어 모빌리티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데스크톱에서 노트북으로의 수요 이동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IT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속적인 시장 선도 제품 개발이 사업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는 B2B Commercial 제품인 모니터사이니지와 호텔 TV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패널 등의 Display 관련 기술과 소프트웨어 Integration 기술 등이 중요한 기술 집약도가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거래 관계 유지를 위해 고객과의 파트너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경쟁 요소이기도 합니다.
모니터사이니지는 QSR (Quick Service Restaurant)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현재는 기업/교육/방송/병원 등 다양한 산업군별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LED제품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비디오월 등 기존 LCD 제품과 경쟁하며 공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IT 사업의 경우 201년에는 COVID-19로 인한 원격근무와 온라인 학습, 게임 수요로 연간 시장 수요 증가 기조가 유지되었으며, 2022년에는 비대면/ 디지털 컨텐츠 소비 증가 , 온라인 학습 기조 유지 등으로 IT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산업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다양한 형태와 기술력이 접목되어 발전해 나가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호텔 TV 위주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모니터는 중국 중심 생산 오퍼레이션, 모듈 의존도 및 B2B 비중이 높은 사업이며, 글로벌 경기 변화에 민감합니다. 모듈가격 하락 및 POST-COVID-19 영향으로 B2C 시장의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나, 프리미엄 시장의 성장으로  성장의 기회 또한 있습니다. PC는 B2C/B2B 필수 소비재로 거시경제 지표에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대신 핵심 부품의 외부 의존도가 높아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부품 산업의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산업은 프로젝트 비중이 높아 정부/기업의 투자와 관련이 있어 글로벌 경기 지표 악화 시 매출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일반 소비재 산업과는 달리, 산업군별 물량의 비중이 큰 지역에서는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기도 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2022년 IT제품 시장은 POST COVID-19 영향으로 B2C 시장의 전반적인 축소가 예상되나, 프리미엄 제품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사이니지 및 호텔TV 시장은 COVID-19 영향으로 2020년 수요는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2021년 하반기 이후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기업회의실/ 비대면 화상장비 /교육 / Public 버티컬 시장에서의 성장이 진행 중입니다. 당사는 COVID-19 이후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사업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2022년 1분기2021년2020년비고

모니터 9.3% 7.7% 7.6% 수량기준
사이니지 21.0% 21.0% 17.8% 수량기준

주1) 모니터는 IDC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주2) 사이니지는 모니터사이니지와 TV사이니지이며, OMDIA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일본시장을 제외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모니터 사업은 고객 가치에 기반하여 에르고, Dual-up, OLED Gaming 모니터 등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지속 하고 있으며, 의료용/ 클라우드 디바이스를 신규 사업화하여 B2B 사업 기회 영역을 지속 발굴, 확대 하고 있습니다. PC 사업은 당사가 세계 최초로 경량 17형(inch) 노트북을 출시한 이후 지속 증가하는 대화면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16형(inch), 17형(inch) 경량 노트북 라인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프리미엄 윈도우 노트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를 확대 하고 있습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은 성장하는 사이니지 시장에서 차별화된 시장 선도 제품을 기획ㆍ개발ㆍ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솔루션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의 스펙 우위점을 지속 유지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의 빠른 접목을 통해 차별적 요소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점차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호텔 TV는 자체개발 솔루션을 비롯하여 자사의 독자 플랫폼인 웹 OS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UX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호텔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크루즈 및 헬스케어 등 신규 시장 진입도 본격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 이노텍

(1) 산업의 특성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산업은 고부가가치의 기술 집약적 산업이며 카메라모듈의 성능이 완제품의 경쟁력으로 직결되어 첨단기술 및 고객의 요구변화에도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즉각적인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카메라모듈은 새로운 기능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니즈에 대응하여 제품화 할 수 있는 개발 및 제조 역량이 요구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모바일 기기의 고성능화 및 복합화에 힘입어 카메라모듈 시장도 확대되어 왔습니다.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 차별화가 어려워 시장 성장 정체가 전망되고 있지만 카메라모듈은 고화소, 줌(Zoom), 3D 인식모듈 등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에 따라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량용 카메라는 자율주행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핵심 부품인 카메라모듈의 수요가 확대될 전망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카메라모듈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해외 시장의 경기 변동, 첨단 기술과 고객의 요구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이외 원자재 가격, 환율 및 국내 경기 변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기능(멀티 카메라, Auto Focus, 손떨림 보정, Zoom 등)을 갖춘 고화소 카메라의 적용 확대와 함께, 차량의 자율주행 단계가 진화할수록 카메라 요구 성능의 고도화 및 탑재 카메라 수의 증가로 인하여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2022년 1분기2021년2020년 비고

모바일 카메라모듈 25.9% 25.8% 14.9% 세계시장점유율
(금액기준)

주) 모바일 카메라모듈은 GFK, Strategic Analytics, CounterPoint 등의 연간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 입니다.

 

(5) 회사의 경쟁 우위 요소

카메라모듈 사업은 꾸준한 연구개발과 시장 선도 제품 출시,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략고객과의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하고 차별화 전략 제품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도하겠습니다.

바.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1) 사업부문별 매출, 영업이익

(단위 : 억원, %)

사업부문구분제 21 기 1분기제 20 기 1분기제 20 기제 19 기금액비율금액비율금액비율금액비율

H&A 매출액 79,702 37.8 67,089 37.7 271,097 36.3 222,753 38.4
  외부고객 매출 79,683 37.8 66,999 37.6 270,772 36.3 222,214 38.3
  내부고객 매출 19 0.0 90 0.1 325 0.0 539 0.1
영업이익 4,476 23.8 9,062 51.3 22,223 57.5 22,906 58.7
HE 매출액 40,649 19.3 40,087 22.5 172,186 23.0 131,836 22.7
  외부고객 매출 40,632 19.3 40,048 22.5 172,091 23.0 131,743 22.7
  내부고객 매출 17 0.0 39 0.0 95 0.0 93 0.0
영업이익 1,884 10.0 3,953 22.4 10,998 28.5 9,313 23.8
VS 매출액 18,776 8.9 17,308 9.7 67,004 9.0 53,810 9.3
  외부고객 매출 18,776 8.9 17,308 9.7 67,002 9.0 53,810 9.3
  내부고객 매출 - 0.0 - 0.0 2 0.0 - 0.0
영업이익(손실) (63) -0.3 (46) -0.3 (9,338) -24.2 (3,735) -9.6
BS 매출액 20,167 9.6 16,301 9.2 62,917 8.4 52,569 9.1
  외부고객 매출 20,154 9.6 16,296 9.2 62,875 8.4 52,549 9.1
  내부고객 매출 13 0.0 5 0.0 42 0.0 20 0.0
영업이익 370 2.0 1,108 6.3 1,033 2.7 3,057 7.8
이노텍 매출액 39,524 18.7 30,718 17.2 149,500 20.0 96,332 16.6
  외부고객 매출 38,125 18.0 29,303 16.4 144,128 19.3 90,889 15.7
  내부고객 매출 1,399 0.7 1,415 0.8 5,372 0.7 5,443 0.9
영업이익 3,668 19.5 3,453 19.5 12,594 32.6 6,067 15.5
기타 매출액 12,296 5.7 6,621 3.7 24,512 3.3 23,279 3.9
  외부고객 매출 13,744 6.4 8,170 4.6 30,348 4.0 29,374 4.9
  내부고객 매출 (1,448) -0.7 (1,549) -0.9 (5,836) -0.7 (6,095) -1.0
영업이익 8,470 45.0 143 0.8 1,128 2.9 1,443 3.8
합계 매출액 211,114 100.0 178,124 100.0 747,216 100.0 580,579 100.0
  외부고객 매출 211,114 100.0 178,124 100.0 747,216 100.0 580,579 100.0
  내부고객 매출 - 0.0 - 0.0 - 0.0 - 0.0
영업이익 18,805 100.0 17,673 100.0 38,638 100.0 39,051 100.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1)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부문간 매출액은 독립된 당사자 간의 거래조건에 따라 회계처리하였으며, 부문간 내부거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2) 각 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비용은 각 부문에 직접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비용은 배부기준(매출액, 인원수 등)에 따라 적절히 배부하였습니다.
주3) 기타부문은 보고부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영업부문과 영업부문에 대한 지원활동 및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는 부서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4) 제21기 조직 기준으로 제20기 및 제19기를 재작성하였습니다.

(2) 사업부문별 자산, 부채

(단위 : 억원, %)

사업부문제 21 기 1분기말제 20 기말제 19 기말자산비율부채비율자산비율부채비율자산비율부채비율

H&A 256,934 46.7 137,085 41.3 242,532 45.3 128,781 38.6 209,638 43.5 117,116 38.2
HE 137,690 25.0 94,280 28.4 136,201 25.5 96,387 28.9 118,241 24.5 87,555 28.6
VS 85,414 15.5 105,334 31.8 80,501 15.1 99,737 29.9 65,090 13.5 76,711 25.0
BS 58,053 10.5 48,592 14.6 57,250 10.7 47,451 14.2 47,950 9.9 38,361 12.5
이노텍 81,724 14.8 46,172 13.9 77,414 14.5 44,271 13.3 60,386 12.5 36,109 11.8
 기타 및 내부거래 등 (69,306) -12.5 (99,757) -30.0 (59,083) -11.1 (82,793) -24.9 (19,263) -3.9 (49,231) -16.1
합 계 550,509 100.0 331,706 100.0 534,815 100.0 333,834 100.0 482,042 100.0 306,621 100.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1) 각 부문의 자산, 부채는 부문간 내부거래 제거 전 내역입니다.
주2) 각 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자산, 부채는 각 부문에 직접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자산, 부채는 배부기준(매출액, 인원수 등)에 따라 적절히 배부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