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국어상식

게요 께요, 할거야 할꺼야, 갈거야 갈꺼야 쉽게 설명!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11. 25.
반응형

게요 께요, 할거야 할꺼야, 갈거야 갈꺼야 쉽게 설명!

 

'게요, 께요'에 대해서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게요'는 종결 어미로서 용언이나 '이다'의 어간 및

선어말 어미 '-으시', '-었'의 뒤에 따라오며 특정

사실에 대해 상대의 의도를 묻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벌써 학교로 돌아가시게요?"

어떤 사실이 부정적임을 드러내기 위해 상대방에게

반어적으로 묻는 뜻을 나타낼 때도 활용합니다.

"찬 밥이라도 주면 괜찮게요?"

'으시', '-었'의 뒤에 따라 붙어 상대방에게 추측 및

답을 하라는 태도로 사실에 대해서 묻는 상황에서

활용되기도 합니다.

"그랬다면 누가 그 일을 했게요?"

예문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러시아의 힘을 빌려 저 세력을 몰아내자는 게요.'

'내로라하는 사람들도 못 당했을 게요.'

'그 시절엔 실속을 취하는 것이 좋았을 게요.'

'다 알면서도 입을 다물고만 있었던 게요?'

'먹을 거라도 찔러주며 사과하는 게 좋을 게요.'

'지금은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방법이 없을 게요.'

그렇다면 '께요'는 무슨 뜻이며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하는 걸까요?

우선 '께요'라는 말은 없습니다. 틀린 표기법이죠.

단, 전라북도 방언으로 사용되긴 합니다.

"일로 와보라니께요!"와 같은 문장에서 쓰이죠.

'-니까요'의 종결 어미 방언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할거야', '할꺼야'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답부터 말씀드리자면 '할거야'가 정답입니다.

그리고 표기할 때는 '할 거야'이렇게 띄어 씁니다.

'할 거야'는 'ㄹ거야'의 관형사형 어미 '-ㄹ'과

의존 명사 '것'의 구어적 표현입니다.

'할 것이야.' -> '할 거야'이렇게 써 줍니다.

구어적인 표현이란 말은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좀 더 편하게 줄여진 대화체를 의미합니다.

발음은 '할꺼야'라고 발음하지만 단어 자체의

의미를 지켜주기 위해서 '거'를 써 '할거야'로

써줘야 한다는 것이죠.

예문을 살펴 보겠습니다.

'너가 그렇게 한다면 나도 할 거야.'

'이렇게 놀기만 하고 떨어지면 어떻게 할 거야?'

'여기서부터 다섯 시간은 걸어야 할 거야.'

'도움 받지 않고 나 혼자서 할 거야.'

'너의 힘을 빌리느니 차라리 내가 할 거야.'

'양심이 있는 인간이라면 그 짓은 못 할 거야.'

'그렇게 살면 큰 일을 해내지 못 할 거야.'

'할꺼야'가 아닌 '할거야'로 표기해야 하며 쓸 때는

'할 거야'로 띄어써 줘야 합니다.

 

 

'갈거야', '갈꺼야'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볼게요.

'할거야', '할꺼야'와 같은 맥락입니다.

정답은 '갈거야'이고 쓸 때는 '갈 거야'로

띄어 써 줍니다.

이 역시 발음은 '꺼야'로 하지만 자체의 본질적인

의미가 훼손되지 않도록 '거'로 써줘야 합니다.

예문을 함께 보시겠습니다.

'학교에 가긴 갈 거야?'

'일주일만 더 있다가 갈 거야.'

'너가 아무리 그래도 난 안 따라 갈 거야.'

'쉬지 않고 일하면 몸에 무리가 갈 거야.'

'이 성적을 유지한다면 원하는 대학에 못 갈 거야.'

'너와 함께 맛집 기행을 갈 거야.'

'초대장을 받았기 때문에 시사회에 갈 거야.'

'정말 혼자서 집에 갈 거야?'

'이런 식으로 나오면 너 안 데리고 갈 거야.'

예문을 통해서 보면 정말 쉽죠?

 

 

이번 시간에는 '게요, 께요', '할거야, 할꺼야',

'갈거야, 갈꺼야'에 대해 다뤄 봤습니다.

헷갈릴 땐 예문을 보는 것 만큼 좋은 공부법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께요', '할꺼야', '갈꺼야'는 틀린 표현.

'게요', '할 거야', '갈 거야'가 맞는 표현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