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에스트래픽 22.08.16 사업개요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4.
반응형

1. 사업의 개요

 

1) 개요

SI(System Integration)는 기업이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화 시스템을 컨설팅하고 구축하는 사업으로, 기업의 부문별 정보화 계획 및 전략 수립에 대한 IT 컨설팅 서비스와 H/W 및 S/W을 포함한 시스템 구축, 운영 이관 및 유지보수까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IT시스템 설계 및 개발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시스템의 설계, 하드웨어 선정에서 발주, 조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이 포함되며 시스템의 구축에는 복수의 사업자가 컨소시엄의 형태로 분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고,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해 인력을 도급받는 형태로 사업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여러 개의 개체가 모여 하나의 완성된 제품이 이루어지듯이 여러 개의 완성된 제품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이 완성되기에 SI사업은 그 특성상 Software, Hardware, Integration, Maintenance 등 4가지 부분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성공적인 사업수행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한 가지라도 결여되어 국가의 SOC 또는 인프라 사업(고속도로, 철도 등)에 차질이 생기게 된다면 이는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국가의 문제로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입니다.

에스트래픽은 교통(도로/철도)관련 SI를 주요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인 도로사업(요금징수시스템, Hi-Pass 시스템, Smart Tolling), 철도사업(철도신호, 철도통신)에 관련된 숙련된 인력과 자체 솔루션을 보유, Software+Hardware+Integration+Maintenance를 아우르면서 총괄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교통SI의 Leading 기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2) 시장현황 및 주요 정부 정책

정부의 SOC 사업 중 교통 및 물류(도로, 철도, 해운, 항공 등)와 지역 개발(수자원, 산업단지 등) 사업의 소관 부서인 국토교통부의 예산 추이와 2021년 부문별 예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토교통부 예산 추이]
(단위: 조원)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본예산 추경(+) 본예산 추경(+) 본예산 추경(-)
20.9 20.0 21.0 1.0 20.9 22.5 1.3 21.9 20.1 16.4(주) 17.6 20.5 0.3
SOC 20.6 19.7 20.8 0.9 20.6 21.7 1.3 20.7 18.1 15.2 15.8 18.7 0.3
주택,주거급여 0.3 0.3 0.2 0.1 0.3 0.8 0.0 1.2 2.0 1.2 1.8 1.8 0.0
출처 : 국토교통부 2011년~2020년 '국토교통부 예산안' 공고 자료
주) 당초 본예산은 17.1조원이었으나, 수자원 예산 환경부 이체(6,824억원)로 최종 16.4조원으로 조정

 

[2021년 국토교통부 부문별 예산]
(단위: 억원, %)
부 문 2020년 본 예산
(A)
추경 2021년 예산
(B)
증감률
(B/A)
증가액
(B-A)
합계 204,963 202,194 235,984 15.1 31,021
SOC 도로 69,166 66,049 74,997 8.4 5,831
철도 69,474 67,000 80,956 16.5 11,482
항공ㆍ공항 2,691 1,899 3,564 32.4 873
물류등 기타 19,450 19,613 19,725 1.4 275
수자원 5,531 6,447 8,126 46.9 2,595
지역 및 도시 17,757 20,328 23,387 31.7 5,630
산업단지 3,103 3,048 4,239 36.6 1,136
사회
복지
주택 및 기초생활 17,791 17,808 20,990 18.0 3,199
출처 : 국토교통부 '2021년 국토교통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 (2020.12.02)


국토교통부 예산은 약 20조원을 웃도는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8, 2019년에 20조원을 하회하는 예산 규모를 기록하였습니다. 증감을 살펴보면, 2016년부터 2년 동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9년 17.6조원으로 전년 대비 1.2조원 증가하였습니다.2020년 역시 전년에 이어 20.5조원으로 2.9조원 증가했으며 3개년만에 20조원을 상회하는 예산이 편성되었습니다. 이후 2021년에는 23.5조원으로 3조원 증가하면서 예산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도로ㆍ철도ㆍ항공ㆍ수자원 등 SOC 예산은 2017년 18.1조원에서 2018년 15.2조원, 2019년 15.8조원으로 과거 2개년간 크게 감소 편성되었으나 2020년 18.7조원으로 증가한 이후 2021년 역시 21.5조원을 편성하여 2년 연속 SOC 예산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2021년의 SOC 예산 증액 내용을 살펴보면, 증감액 기준 가장 큰 증가를 보인 내용은철도였습니다. 철도 예산은 2020년 69,474억원에서 2021년 80,956억원으로 11,482억원 증가하였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도로 예산에서 큰 증가를 보였습니다. 도로 예산은 2019년 69,166억원에서 2020년 74,997억원으로 5,831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이 두 세부항목의 증가액이 2020년 SOC 예산 증가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55.81%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습니다. 국토교통부의 2021년 예산안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 국토교통부 예산안 분야별 주요 내용]
분 류 요 약 세부내용
위기극복과
미래준비
사회, 경제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 예산 2조 3,134억원으로 증액 코로나 19 위기 상황에서 사회, 경제적 변화에 대응하는 인프라 구축 및 생활환경 개선과 혁신 산업전환을 위해 한국판 뉴딜 예산이 전년 1조 2,865억원에서 금년 2조 3,134억원으로 대폭 증액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공조 및 국내 친환경 건축산업 육성을 위해 공공 건축물 그린모델링 예산 2,276억원, 공공임대 그린리모델링 예산 3,645억원이 확정되었으며, 노후 SOC 안전성 강화 및 주요 시설 관리와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주)SOC 스마트화 예산도 8,140억원에서 1조 5,010억원으로 증액
국토교통
안전강화
노후 SOC에 대한 선제적 안전 강화 및 안정적인 생활 환경 조성 도로분야는 사고 방지를 위한 위험구간 개선, 병목지점 개선, 포장 정비, 노후 교량, 터널 정비, 각종 안전설비 설치 등에 내년 2조 4,924억원이 투자
철도분야는 노후도가 높은 전기설비, 교량, 터널 등의 유지보수와 도시철도(지하철) 노후시설 개선 등에 내년 2조 939억원이 투자. 특히, 국회 심의과정에서 내구연한이 경과된 도시철도 전동화 교체 지원 예산이 1,132억원으로 새롭게 반영
그 외 홍수 예방 등을 위한 하천정비와 유지보수에 7,661억원, 무보험, 뺑소니 사고 피해자 보상 및 자동차 사고 피해를 입은 취약 계층 지원으로 517억원 자동차사고피해지원기금 확정
지역활력
제고
지역거점 육성과 간선 교통망 구축 '19.1월 발표한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15개 예타면제 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해 4,007억원 예산 확정
지방 광역시에 산업, 주거, 문화 등이 융합된 복합공간을 구축하는 도심융합특구 사업이 국회에 새롭게 반영
낙후된 도심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이 7,777억원에서 금년 8,680억원으로 확대되었으며, 지역 접근성 강화와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주요 간선교통망 건설 사업 증액
주거안전망
강화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주거급여, 공공주택 공급 확대 주거급여 예산은 수급자 증가 등에 대응하여 1조 6,305억원에서 금년 1조 9,879억원으로 확대
주거복지 로드맵을 차지없이 달성하도록 주택도시기금 투자가 19조 3,021억원으로 확정되었으며, 무주택 실수요자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시중은행 대비 저렴한 금리의 전월세 자금 및 구입자금 융자 관련 투자가 9조 9,000억원으로 확정
교통서비스
강화
대도시권의 이동시간 절약 등을 위한 인프라 구축 GTX-A 노선을 비롯한 광역철도와 도시철도 건설 예산이 9,171억원에서 금년 1조 2,315억원으로 증액. 광역BRT 5개 노선 구축에 내년 141억원, 환승센터는 GTX 역사 기본구상을 비롯한 5개 사업에 184억원 확정
지자체의 저상버스 도입 지원 660억원,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 40.5억원, 버스 벽지노선 지원 339억원의 예산 배정. 도심과 주거지 주차난 해소를 위해 공영주차장 건립 지원 예산 2,571억원 확정
출처 : 국토교통부 '2021년 국토교통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 (2020.12.02)
주) SOC스마트화 주요사업 예산 : 첨단도로교통체계(5,179억), 자율자동차 상용화(296억), 철도스마트
SOC(3,116억), 스마트 공항 구축(68억), 스마트홍수관리시스템(1,800억)


위와 같은 예산의 배분과 실제 집행은 다양하게 구분되어 있는 국가의 국토 및 교통 계획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종합계획에서부터 국가도로, 고속도로, 국가철도망에 대한 계획 등 당사의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기적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정부 국토 및 교통 계획]


 
출처 : 국토교통부 '제1차 국가도로종합계획(2016~2020)' (2016.08.31)


국토교통부는 2019년 12월 11일 제5차 국토종합계획을 공고하였고(「국토기본법」제12조제4항 의거), 동계획에 대한 세부실천과제를 설정하고 소관 기관별로 향후 추진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2020년 07월 13일에 국토교통부에서 제5차 국토종합계획 실천계획(2021~2025)을 공고하였습니다. 국토종합계획은 20년마다 수립되는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해당 계획을 바탕으로 고속도로, 국도, 철도 등의 세부 건설 계획이수립됩니다.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1~'30)이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었으며 9월 중 고시될 예정이었으나,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고시되지 않았습니다.

[제5차 국토종합계획의 비전과 목표]
 


출처 : 국토교통부 '제5차 국토종합계획' (2019.12.11)


국토교통부는 국가 주도의 성장과 개발시대 관성에서 벗어나, 지역과 함께 성숙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국토발전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균형 국토', '스마트 국토', '혁신 국토'를 3대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6대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해당 세부 전략 중 [전략5: 인프라의 효율적 운영과 국토 지능화] 전략은 당사의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인프라의 효율적 운용과 국토지능화 세부내용]
관리번호 세부실천계획 과제 목록 소관부서 당사 사업 연관 여부
5-1 기간교통망의 효율화와 대도시권 혼잡 해소    
 5-1-가 전국 2시간대 교통서비스 기반 확충(도로분야) 국토교통부 O
 5-1-나 전국 2시간대 교통서비스 기반 확충(철도분야) 국토교통부 O
 5-1-다 주요 환승거점에 환승센터 구축 국토교통부  
 5-1-라 도로 네트워크 보완 및 효율적 운영 국토교통부  
 5-1-마 국가 철도망 구축을 통한 이동성 강화와 효율적 운영 국토교통부 O
 5-1-바 협력·조정형 광역교통 거버넌스 구축·운영을 통한
대도시권 혼잡 해소
국토교통부  
5-2 인프라의 전략적 운영과 포용적 교통정책 추진(하부 내용 생략)   X
5-3 미래형 혁신 교통체계 구축    
 5-3-가 전국 주요도로에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확대 국토교통부 O
 5-3-나 미래형 교통수단에 대응한 교통체계 개편 국토교통부 O
 5-3-다 교통서비스의 혁신을 통한 교통이용자 편의 증진 국토교통부 O
 5-3-라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해양수산부

5-4 물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하부 내용 생략)

X
5-5 지능형 국토공간 조성 및 국토관리 혁신    
 5-5-가 스마트시티 조성을 통한 편리한 생활공간 창출 국토교통부 O
 5-5-나 한국형 스마트시티 개발과 확산을 위한 기반조성 국토교통부 O
 5-5-다 한국형 스마트시티의 글로벌 이니셔티브 강화 국토교통부

 5-5-라 디지털트윈 가상국토의 구축과 운영 국토교통부  
 5-5-마 공간빅데이터 관리체계 고도화 국토교통부  
출처 : 국토교통부 '제5차 국토종합계획 실천계획' (2020.07.13)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는 당사의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 철도 분야에 대한 사업 계획과 당사가 추진 중인 C-ITS(Cooperative ITS)와 스마트시티에 대한 계획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작년 코로나19에 따른 강도 높은 봉쇄조치 과정에서 심각한 경기침체 및 일자리 충격에 직면하였고, 이러한 상황 하에 온라인과 비대면 수요가 급속히 확대 및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강화되면서 경제와 사회구조 대전환에 직면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경제와 사회 구조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2020년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마련하였고,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로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를 발표하였습니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구분 SOC 디지털화
소관부처 국토교통부
총사업비 2025년까지 총 15.8조원(국비 10.0조원)
사업 목적 사회간접자본(SOC) 핵심 인프라 디지털화. 도시, 산업단지, 물류 등 스마트화로 연관 산업 경쟁력 향상
주요 내용 01. 4대 핵심 분야 인프라
-교통 : 차세대지능형교통시스템(C-ITS) 구축, 모든 철로 IoT센서 설치, CCTV, IoT 활용 국가어항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3개소)
-디지털 트윈 : 정밀도로지도, 지하구조물(15종)3D 통합지도, 지하공동구(120km) 계측기 설치, 향만 디지털플랫폼(29개항) 구축
-수자원 : 국가하천(73개, 3,600km), 저수지(27개 권역), 국가관리댐(37개), 원격제어 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재난 대응 : 급경사지 등 재해 고위험지역 재난대응 조기경보시스템 설치(510개소), 둔치주차장 침수위험 신속 알림시스템 추가 구축(180개소)

02. 도시, 산단의 공간 디지털 혁신
-스마트시티 : 교통, 방범 등 CCTV 연계 통합플랫폼 구축(108개),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및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조성(2개소)
-스마트산단 : 실시간 안전, 교통, 방범관리 통합관제센터(10개소), 노후산단 유해화학 물질 유, 누출 원격 모니터링 체계 구축(15개소)

03.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육상물류 : 중소기업 스마트 공동물류센터(11개소), 대형E-Commerce 물류단지 조성(의정부, 화성, 구리),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제 도입
-해운물류 : 항만배후단지 스마트 공동물류센터(2개소), 항만통합 블록체인 플랫폼 확대
-유통 : 농산물 등 공공급식 식자재 거래, 관리 통합플랫폼 및 축산물 온라인 경매플랫폼 구축
-물류R&D : 로봇, IoT, 빅데이터 활용 첨단배송 등 물류기술 개발
출처 : 기획재정부


이 중 차세대지능형교통시스템(C-ITS) 구축의 당사의 사업과 직결된 정부 정책 과제로 국토부의 '한국판 뉴딜 디지털 뉴딜 편 국토부 사업별 설명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요도로에서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C-ITS를 확대 및 구축할 계획이며, 세부적으로 2022년 국도 ITS 구축 9,361Km, 지자체 ITS 구축 12,995Km, 국도 C-ITS 구축 3,347Km, 지자체 C-ITS 구축 2,153Km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에는 국도 ITS, C-ITS, 지자체 ITS 구축완료 및 4차로 이상 시도도로(12,995,Km)에 C-ITS 구축 완료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차량이 인프라와 다른 차량과 통신하여 협력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데이터 취득, 통신을 통한 정보전달, 활용 단계까지 구축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고속철도 과제 투자계획]
(단위 : 억원)
세부 실천과제 사업
기간
공공 민간 합계 비고
국비 지방비 기타
고속철도(합계)   33,887 - 31,980 - 65,867  
호남고속철도 2단계 '18~'25 12,376 - 12,376 - 24,752  
인천발 KTX '18~'24 2,715 - 1,221 - 3,936  
수원발 KTX '18~'24 1,558 - 1,144 - 2,702  
평택~오송 2복선화 '19~'25 17,238 - 17,239 - 34,477  
출처 : 국토교통부 '제5차 국토종합계획 실천계획' (2020.07.13)


국토교통부는 전국 2시간대 교통서비스 기반 확충(철도분야)을 위해 호남고속철도, 인천발 KTX, 수원발 KTX 등에 2025년 말까지 65,867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이중 국비가 33,887억원(51.4%), 한국철도시설공단 출연금이 31,980억원(48.6%)으로 계획했습니다. 또, 현재 진행 중인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16~'25)에 총 704,440억원의 투자계획을 밝히며, 해당 계획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새롭게 수립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간선도로망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 억 원)
연 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비  고
투자계획 35,985 54,419 52,481 43,317 41,617  
국비 18,503 18,118 16,322 15,677 14,803  
도공 17,482 36,301 36,159 27,640 26,814  
출처 : 국토교통부 '제5차 국토종합계획 실천계획' (2020.07.13)


제5차 국토종합계획 실천계획(2021~2025)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국토간선도로망을 위한 투자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투자는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할 예정이지만, 2021년 이후 투자계획 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