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티 반기보고서 기업분석
[1] ICT :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티는 무선통신, 초고속인터넷, 기업회선 등 개인과 기업고객 대상 유무선 통신서비스와 IPTV 등 유료방송 서비스, IDC, Cloud, AI/DX 등과 같은 플랫폼 기반의 B2B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KT는 2020년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으로 변화를 선언하고 미디어, 금융, B2B 등 다양한 사업에서 고객 중심의 플랫폼으로 혁신을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2021년 Telco 사업의 양적·질적 견조한 실적 성장을 바탕으로 2022년에도 B2B+DIGICO 사업 성장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위성방송서비스 사업: ㈜케이티스카이라이프
케이티스카이라이프를 통해 국내 최초로 H.264 기반의 다채널 HD를 사업화하여 국내 HD 방송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UHD 다채널 서비스를 출시하고, '30% 요금할인 홈결합' 상품으로 합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고객 트랜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2020년 10월에는 알뜰폰 서비스 '스카이라이프 모바일'을 출시하고, 알뜰폰과 위성방송, 인터넷을 더한 3종 결합상품(TPS)도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3] 기타 사업 : 부동산업, 커머스, 광고업 등
ㅇ 지니뮤직은 음악 서비스 플랫폼 'genie'를 통해 고음질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및 고객 음악감상이력 기반의 인공지능(AI) 큐레이션 기술을 적용한 차별화된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ㅇ KT SAT의 위성서비스 사업은 정부로부터 궤도 및 주파수를 할당 받아 이를 이용하여 위성을 확보하고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총 4기의 자체 보유 위성 및 해외사업자의 위성중계기서비스를 사용하여 위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ㅇ KT ESTATE는 부동산 상품의 기획, 설계뿐만 아니라 부동산 금융(Project Financing), 시공관리, 마케팅, 임대 및 관리 등 분야별 최상의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ㅇ 케이티알파(구 케이티하이텔)는 커머스 사업의 기반을 TV에서 모바일로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모바일쿠폰 사업 역량을 보유한 (주)케이티엠하우스와의 합병(합병기일 : 2021년 7월1일)을 통해 커머스 역량 결집 및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ㅇ 나스미디어는 디스플레이광고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및 모바일, IPTV, 디지털옥외광고 매체판매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문자 기반의 CPS 광고 상품 케이딜(K-Deal)을 2021년 출시했습니다. ㅇ KT 스튜디오지니는 그룹의 미디어/콘텐츠 사업(콘텐츠 제작/기획/투자/유통 등)을 총괄 주도하는 역할을 맡기 위해 2021년 1월28일자로 설립 되었습니다. ㅇ (주)케이티클라우드는 디지털시대/DIGICO에 필연적인 IDC와 Cloud에서 핵심경쟁력 강화를 통해 대한민국 최고의 DX전문회사로 도약하고자 2022년 4월 1일 출범하였습니다.
[1] ICT : 주식회사 케이티
당사가 제공하는 이동전화, IPTV, 초고속인터넷, 유선전화, 결합상품의 대표 요금제 가격 변동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위해서는 당사의 홈페이지(https://product.kt.com) 내 상품서비스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가격은 추가요금 할인이 반영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ㅇ 이동전화
- 2020년 | (단위: 원, VAT 포함) |
구분 | 월정액 | |
5G 슈퍼플랜 초이스 | 프리미엄 초이스 | 130,000 |
스페셜 초이스 | 110,000 | |
베이직 초이스 | 90,000 | |
5G 심플 | 69,000 | |
5G 슬림 | 55,000 | |
5G 세이브 | 45,000 |
※ 당사는 2020.09.25 5G 슈퍼플랜 초이스를 출시 후, 2020.10.28 넷플릭스 콘텐츠, 2021.6.2 현대카드 제휴형 혜택, 2021.11.12 디즈니+ 콘텐츠, 2022.2.14 삼성전자 제휴형 혜택, 우리카드 제휴형 혜택, 2022.5.2 유튜브프리미엄 콘텐츠를 추가 하였으며, 2020.10.05에 5G 심플, 세이브 요금제를 출시하였습니다.
- 2019년 | (단위: 원, VAT 포함) |
구분 | 월정액 | |
5G 슈퍼플랜 | 프리미엄 | 130,000 |
스페셜 | 100,000 | |
베이직 | 80,000 | |
5G 슬림 | 55,000 |
※ 당사는 2019년 4월 5일에 KT 5G 슈퍼플랜 요금제를 출시하였습니다.
ㅇ IPTV
- 초이스 형태로 TV 요금제 개편('22. 6. 2)
- 신규 요금제 출시: OTV 뮤즈 초이스, OTV 사장님 초이스 ('22. 6. 2)
구분 | 월 이용요금 | ||||
무약정 | 1년 약정 | 2년 약정 | 3년 약정 | 인터넷 결합시 | |
OTV 슬림 | 16,500 | 15,675 | 14,850 | 13,200 | 11,000 |
OTV 베이직 | 18,150 | 17,270 | 16,390 | 14,740 | 12,100 |
OTV 라이트 | 19,800 | 18,810 | 17,820 | 15,840 | 13,200 |
OTV 에센스 | 25,300 | 24,035 | 22,770 | 20,240 | 16,500 |
OTV 에센스플러스 | 28,160 | 26,730 | 25,300 | 22,484 | 18,700 |
OTV VOD 초이스 | 31,020 | 29,469 | 27,918 | 24,816 | 20,900 |
OTV 키즈랜드팩 초이스 | 31,020 | 29,469 | 27,918 | 24,816 | 20,900 |
OTV 뮤즈 초이스 | 34,540 | 32,175 | 29,810 | 25,080 | 20,900 |
OTV 슈퍼팩 초이스 | 36,300 | 34,540 | 32,890 | 29,480 | 25,300 |
OTV 사장님 초이스 | 47,300 | 43,450 | 39,600 | 31,900 | 25,300 |
OTV 넷플릭스 초이스HD | 37,300 | 35,265 | 33,450 | 29,680 | 25,500 |
OTV 넷플릭스 초이스UHD | 39,800 | 37,325 | 35,840 | 31,680 | 27,500 |
※ 위 가격은 출동비 등의 부대비용이 반영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ㅇ 초고속인터넷
아래 가격은 장비(모뎀) 임대료, 출동비 등 추가비용이 반영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2022년 추가 상품의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품명 | 무약정 | 1년약정 | 2년약정 | 3년약정 | T/M 결합 시 (3년약정 기준) |
비고 |
안심 인터넷 프리미엄 | 64,900 | 58,300 | 52,250 | 45,650 | 40,150 | '22.1.7 출시 |
안심 인터넷 에센스 | 59,400 | 52,800 | 46,750 | 40,150 | 34,650 | '22.1.7 출시 |
안심 인터넷 베이직 | 50,600 | 45,100 | 40,150 | 34,650 | 29,150 | '22.1.7 출시 |
안심 인터넷 슬림 | 44,000 | 37,950 | 32,450 | 23,650 | 23,650 | '22.1.7 출시 |
안심 인터넷 프리미엄 와이파이 | 73,700 | 65,450 | 57,750 | 45,650 | 40,150 | '22.1.7 출시 |
안심 인터넷 에센스 와이파이 | 68,200 | 59,950 | 52,250 | 40,150 | 34,650 | '22.1.7 출시 |
안심 인터넷 베이직 와이파이 | 59,400 | 52,250 | 45,650 | 35,750 | 30,250 | '22.1.7 출시 |
안심 인터넷 슬림 와이파이 | 52,800 | 45,100 | 37,950 | 24,750 | 24,750 | '22.1.7 출시 |
결제안심 인터넷 에센스 | 67,100 | 59,950 | 52,800 | 41,800 | 36,300 | '22.6.2 출시 |
결제안심 인터넷 베이직 | 58,300 | 52,250 | 46,200 | 36,300 | 30,800 | '22.6.2 출시 |
결제안심 인터넷 슬림 | 51,700 | 45,100 | 38,500 | 25,300 | 25,300 | '22.6.2 출시 |
결제안심 인터넷 에센스 와이파이 | 75,900 | 67,100 | 58,300 | 42,900 | 37,400 | '22.6.2 출시 |
결제안심 인터넷 베이직 와이파이 | 67,100 | 59,400 | 51,700 | 37,400 | 31,900 | '22.6.2 출시 |
결제안심 인터넷 슬림 와이파이 | 60,500 | 52,250 | 44,000 | 26,400 | 26,400 | '22.6.2 출시 |
- 2021년 추가 상품의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품명 | 무약정 | 1년약정 | 2년약정 | 3년약정 | 4년약정 | 5년약정 | T/M 결합 시 (3년약정 기준) |
비고 |
GiGA Wi 인터넷 최대 2.5G(ax) | 78,100 | 69,300 | 60,500 | 45,650(*) | - | - | 40,150(*) | '21.3.5 출시 |
GiGA Wi 인터넷 최대 1G(ax) | 72,600 | 63,800 | 55,000 | 40,150(*) | - | - | 34,650(*) | '21.3.5 출시 |
GiGA Wi 인터넷 최대 500M(ax) | 63,800 | 56,100 | 48,400 | 35,750(*) | - | - | 30,250(*) | '21.3.5 출시 |
GiGA Wi 인터넷 최대 100M(ax) | 57,200 | 48,950 | 40,700 | 24,750(*) | - | - | 24,750(*) | '21.3.5 출시 |
멀티넷 에센스 | 60,500 | 53,900 | 48,400 | 44,000(*) | 41,250 | 38,500 | 38,500(*) | '21.11.4 출시 |
멀티넷 베이직 | 51,700 | 46,200 | 41,800 | 38,500(*) | 35,750 | 33,000 | 33,000(*) | '21.11.4 출시 |
멀티넷 슬림 | 45,100 | 39,600 | 34,100 | 27,500(*) | 25,850 | 24,200 | 27,500(*) | '21.11.4 출시 |
(*) GiGA Wi 인터넷 최대 2.5G/1G/500M 상품의 3년약정 및 TV/Mobile 결합 기준, 멀티넷 에센스/베이직/슬림 상품의 3년약정 및 멀티넷 결합(TV) 기준
- 2020년 추가 상품의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품명 | 무약정 | 1년약정 | 2년약정 | 3년약정 | 4년약정 | T/M 결합 시 (3년약정 기준) |
비고 |
GiGA Wi 인터넷 최대 2.5G(ac) | 78,100 | 69,300 | 60,500 | 45,100(*) | - | 39,600(*) | '20.06.23 출시 |
GiGA Wi 인터넷 최대 1G(ac) | 72,600 | 63,800 | 55,000 | 39,600(*) | - | 34,100(*) | '20.06.23 출시 |
GiGA Wi 인터넷 최대 500M(ac) | 63,800 | 56,100 | 48,400 | 35,200(*) | - | 29,700(*) | '20.06.23 출시 |
GiGA Wi 인터넷 최대 100M(ac) | 57,200 | 48,950 | 40,700 | 24,200 | - | 24,200 | '20.06.23 출시 |
(*) GiGA Wi 인터넷 최대 2.5G/1G/500M 상품의 3년약정 및 TV/Mobile 결합 기준 금액은 GiGA WiFi Buddy 출시 프로모션 적용한 금액입니다.
- 21년 9월25일부터 인터넷상품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구 분 | AS-IS | TO-BE |
인터넷 단품 | 10GiGA인터넷 최대 10G | 인터넷 슈퍼프리미엄 |
10GiGA인터넷 최대 5G | 인터넷 프리미엄플러스 | |
10GiGA인터넷 최대 2.5G | 인터넷 프리미엄 | |
기가 인터넷 최대1G | 인터넷 에센스 | |
기가 인터넷 최대500M | 인터넷 베이직 | |
인터넷 최대200M | 인터넷 슬림플러스 | |
인터넷 최대100M | 인터넷 슬림 | |
와이파이패키지 | 10GiGA인터넷 최대 2.5G 플러스 | 인터넷 프리미엄 와이파이 |
기가 인터넷 최대 1G 플러스 | 인터넷 에센스 와이파이 | |
기가 인터넷 최대 500M 플러스 | 인터넷 베이직 와이파이 | |
인터넷 최대 100M 플러스 | 인터넷 슬림 와이파이 | |
GiGA Wi 인터넷 | GiGA Wi 인터넷 | 인터넷 와이드 |
가족안심패키지 | 가족안심 인터넷 플러스(10GiGA인터넷 최대 2.5G) | 가족안심 인터넷 프리미엄 와이파이 |
가족안심 인터넷 플러스(10GiGA인터넷 최대 1G) | 가족안심 인터넷 에센스 와이파이 | |
가족안심 인터넷 플러스(10GiGA인터넷 최대 500M) | 가족안심 인터넷 베이직 와이파이 | |
가족안심 인터넷 플러스(10GiGA인터넷 최대 100M) | 가족안심 인터넷 슬림 와이파이 | |
가족안심 인터넷 (10GiGA인터넷 최대 2.5G) |
가족안심 인터넷 프리미엄 | |
가족안심 인터넷 (10GiGA인터넷 최대 1G) |
가족안심 인터넷 에센스 | |
가족안심 인터넷 (10GiGA인터넷 최대 500M) |
가족안심 인터넷 베이직 | |
가족안심 인터넷 (10GiGA인터넷 최대 100M) |
가족안심 인터넷 슬림 |
ㅇ 유선전화
- 2019년 ~ 2022년 2분기 : 변동사항 없음
ㅇ 결합상품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22.02> ㅇ 프리미엄 싱글결합 프로모션 정규화(02.24~) - 인터넷 최대 속도 500M 이상과 5G모바일 80,000원 (LTE 65,890원) 이상 1회선 결합시, 모바일 월정액 25% 할인 <2022.04> ㅇ 신혼 미리 결합 프로모션 정규화(04.01~) - 예비 및 신혼부부 대상, 인터넷 없이 최대 6개월 간 총액 결합의 모바일 할인 제공 ㅇ 독점계약 집합건물 입주 관련 이용자 제도개선 - 22년 4월 이후 이전 설치 요청 건부터 할인반환금의 100% 감경 ㅇ 사장님 성공팩 프리미엄 싱글결합 추가 허용 - 사장님 성공팩 내 모바일 결합 시 선택 가능한 할인옵션 추가 <2022.05> ㅇ 5G 프리미엄 가족결합 청소년 할인 프로모션(22.05.02~22.10.31) - 만 18세 이하 청소년 모바일 회선 및 해당 회선의 법정대리인 모바일 회선이 다음 조건 모두 만족 시, 청소년 모바일 월정액 대상 5,500원(VAT 포함) 추가 할인 . 프리미엄 가족결합 할인 가입 . 월정액 80,000원 이상 5G 요금제 이용 ㅇ 프리미엄 가족결합 베이스 회선 할인 선택옵션 신설 - 인터넷 회선에 적용하는 총액결합 할인을 인터넷 대신 모바일 베이스 회선에 받을 수 있는 옵션 추가 |
<2021.04> ㅇ 친구사이 무선결합 프로모션 (04.01~09.30) - 동일국적 외국인 대상, 우리가족무선결합과 동일한 할인제공 <2021.05> ㅇ 사장님 성공팩 개선 - 모바일 결합제공 - VAN통합과금 및 할인조건 완화 <2021.8> ㅇ 프리미엄 싱글결합 프로모션 (21.8.24~22.2.23) - 인터넷 최대 속도 500M 이상과 5G모바일 80,000원 (LTE 65,890원) 이상 1회선 결합시, 모바일 월정액 25% 할인 <2021.10> ㅇ 신혼 미리 결합 프로모션 (21.10.1~22.3.31) - 예비 및 신혼부부 대상, 인터넷 없이 최대 6개월 간 총액 결합의 모바일 할인 제공 |
<2020.04> ㅇ 인터넷전화 Home 결합제도 개편 - 집전화와 3년 약정 결합시 인터넷전화 Home 결합할인액 변경(2,200원 할인 → 1,100원 할인/VAT 포함) <2020.06> ㅇ 홈결합 내 집전화 TPS 결합제도 개편 - IPTV 포함 3년 약정 TPS 결합시 집전화 결합할인액 변경 (4,620원 할인 → 1,320원 할인/8급지 이상, VAT 포함) <2020.07> ㅇ 사장님 성공팩 출시 |
[2] 위성방송서비스사업: ㈜케이티스카이라이프
ㅇ TV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
sky tv | Android | sky UHD Family A+ | 수신료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결합가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
sky UHD Blue A+ | 수신료 | 14,300 | 14,300 | 14,300 | 14,300 | 14,300 | 14,300 | 14,300 | 14,300 | 14,300 | 14,300 | ||
결합가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
sky UHD Green A+ | 수신료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
결합가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
UHD | skyFamily+HD + SkyUHD 팩 | 수신료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
결합가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
HD | sky On+ HD | 수신료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8,800 | |
결합가 | 8,250 | 8,250 | 8,250 | 8,250 | 7,700 | 7,700 | 7,700 | 7,700 | 7,700 | 7,700 | |||
OTS | - | UHD OTS 프라임키즈랜드/엔터(19) | 수신료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UHD OTS 에센스(15) | 수신료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
UHD OTS 라이트(12) | 수신료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
UHD OTS 슬림(10) | 수신료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
OTS 프라임키즈랜드/엔터(19) | 수신료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20,900 | ||
OTS 에센스(15) | 수신료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16,500 | ||
OTS 라이트(12) | 수신료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13,200 | ||
OTS 슬림(10) | 수신료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
OTS 베이직(11) | 수신료 | -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12,100 |
※ 수신료 : 3년 약정 기준(부가세 포함)
※ 결합가 : TV-인터넷 결합 기준(부가세 포함)
ㅇ 인터넷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
인터넷 | sky 100M | 이용료 | 28,050 | 28,050 | 28,050 | 28,050 | 28,050 | 28,050 | 28,050 | 28,050 | 28,050 | 28,050 |
결합가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
sky 기가 200M | 이용료 | 30,250 | 30,250 | 30,250 | 30,250 | 30,250 | 30,250 | 30,250 | 30,250 | 30,250 | 30,250 | |
결합가 | 22,000 | 22,000 | 22,000 | 22,000 | 22,000 | 22,000 | 22,000 | 22,000 | 22,000 | 22,000 | ||
sky 기가 500M | 이용료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
결합가 | 27,500 | 27,500 | 27,500 | 27,500 | 27,500 | 27,500 | 27,500 | 27,500 | 27,500 | 27,500 | ||
sky 기가 1G | 이용료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
결합가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33,000 |
※ 이용료 : 3년 약정 기준(부가세 포함)
- 임대료, 설치비 등이 반영 되지 않은 서비스 이용료 기준
※ 결합가 : TV-인터넷 결합 기준(부가세 포함)
※ AP 임대료 할인 프로모션 적용
- sky 100M, sky 기가 200M 결합가 2,000원 할인 프로모션 적용
ㅇ 모바일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
모바일 | 초슬림500M/60분 | 이용료 | - | - | - | - | 1,900 | 1,900 | 1,900 |
슬림 | 이용료 | 4,400 | 4,400 | 4,400 | 4,400 | 4,400 | 4,400 | 4,400 | |
이코노미 | 이용료 | 5,500 | 5,500 | 5,500 | 5,500 | 5,500 | 5,500 | 5,500 | |
베이직 | 이용료 | 9,900 | 9,900 | 9,900 | 9,900 | 9,900 | 9,900 | 9,900 | |
스페셜 | 이용료 | 21,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19,800 | |
통화충분1.5GB | 이용료 | - | - | - | - | - | - | 7,900 | |
통화충분2.5GB | 이용료 | - | - | - | - | - | - | 8,600 | |
통화충분4.5GB | 이용료 | - | - | - | - | - | - | 10,850 | |
데이터충분2.2GB+/100분 | 이용료 | - | - | - | - | 11,700 | 11,700 | 11,700 | |
데이터충분5GB+/100분 | 이용료 | - | - | - | - | 14,300 | 14,300 | 14,300 | |
데이터충분15GB+/300분 | 이용료 | - | - | - | - | 27,500 | 27,500 | 27,500 | |
데이터충분15GB+/100분 | 이용료 | 27,300 | 25,300 | 25,300 | 25,300 | 25,300 | 25,300 | 25,300 | |
모두충분0MB+ | 이용료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11,000 | |
모두충분1GB+ | 이용료 | 12,650 | 12,650 | 12,650 | 12,650 | 12,650 | 12,650 | 12,650 | |
모두충분2.5GB+ | 이용료 | 15,400 | 15,400 | 15,400 | 15,400 | 15,400 | 15,400 | 15,400 | |
모두충분7.0GB+ | 이용료 | - | - | - | - | - | - | 17,500 | |
모두충분11.0GB+ | 이용료 | - | - | - | - | - | - | 33,900 | |
모두충분7GB+(지니뮤직) | 이용료 | - | - | - | - | - | - | 20,900 | |
모두충분11GB+(포인트) | 이용료 | - | - | - | 35,200 | 35,200 | 35,200 | 35,200 | |
모두충분11GB+(기프티쇼) | 이용료 | - | - | - | 35,200 | 35,200 | 35,200 | 35,200 | |
모두충분11.0GB+(지니뮤직) | 이용료 | - | - | - | - | - | - | 36,300 | |
모두충분11GB+(왓챠) | 이용료 | - | - | - | - | - | 35,900 | 35,900 | |
모두충분100GB+(시즌) | 이용료 | 42,600 | 39,600 | 39,600 | 39,600 | 39,600 | 39,600 | 39,600 | |
모두충분100GB+(게임박스) | 이용료 | - | 39,700 | 39,700 | 39,700 | 39,700 | 39,700 | 39,700 | |
모두충분일5GB+(시즌) | 이용료 | - | - | - | - | - | 39,600 | 39,600 | |
모두충분일5GB+(왓챠) | 이용료 | - | - | - | - | - | 41,900 | 41,900 | |
5G통화충분5GB | 이용료 | - | - | - | - | 15,300 | 15,300 | 15,300 | |
5G통화충분7GB | 이용료 | - | - | - | - | 18,700 | 18,700 | 18,700 | |
5G모두충분10GB+ | 이용료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38,500 | |
골드500MB+ | 이용료 | - | - | 4,900 | 4,900 | 4,900 | 4,900 | 4,900 | |
골드2GB+ | 이용료 | - | 8,900 | 7,400 | 7,400 | 7,400 | 7,400 | 7,400 | |
골드4.0GB+ | 이용료 | - | - | - | - | - | 10,900 | 10,900 | |
골드8.0GB+ | 이용료 | - | - | - | - | - | 14,900 | 14,900 | |
스마트데이터충분10GB+ | 이용료 | - | 10,800 | 10,800 | 10,800 | 10,800 | 10,800 | 10,800 | |
스마트데이터충분20GB+ | 이용료 | - | 14,100 | 14,100 | 14,100 | 14,100 | 14,100 | 14,100 | |
인터파크10GB/100분 | 이용료 | - | - | - | 20,800 | 20,800 | 20,800 | 20,800 | |
인터파크15GB+/100분 | 이용료 | - | - | - | 27,300 | 27,300 | 27,300 | 27,300 | |
인터파크11GB+ | 이용료 | - | - | - | 35,000 | 35,000 | 35,000 | 35,000 |
※ 이용료 : 청구금액 기준(부가세 포함)
※ '22년 상반기 종료요금제(청구액) : 골드 4GB+(10,400), 통화 충분 300MB(8,880), 통화 충분 5GB(20,900), 모두 충분 11GB+(지니뮤직)(33,000), 모두 충분 7.0GB+(16,900원), 모두 충분 11GB+(33,000)
[3] 기타사업
○ ㈜지니뮤직
(1) 주요 서비스 판매가격 변동 추이
당사의 주요 서비스인 음원서비스 상품판매가격의 변동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30일권 정상가 기준 / 단위: 원, VAT별도)
서비스 구분 | 상품종류 | 음악이용권 상품구성 | 2022년 6월말 | 2021년 | 2020년 |
음악 서비스 |
무제한 음악감상 |
데이터 세이프 음악감상 | 10,900 | 10,900 | 10,900 |
음악감상(PC+모바일) | 8,400 | 8,400 | 8,400 | ||
스마트 음악감상 (모바일 기기 전용) |
7,400 | 7,400 | 7,400 | ||
MP3다운로드 +무제한 음악감상 |
월30곡 다운로드 +음악감상 |
판매종료 | 판매종료 | 10,800 | |
월50곡 다운로드 +음악감상 |
판매종료 | 판매종료 | 15,000 | ||
MP3다운로드 | 월5곡 다운로드 | 3,000 | 3,000 | 3,000 | |
월10곡 다운로드 | 5,500 | 5,500 | 5,500 | ||
월30곡 다운로드 | 판매종료 | 판매종료 | 8,800 | ||
월50곡 다운로드 | 판매종료 | 판매종료 | 12,500 | ||
횟수별 음악감상 |
1,000회 음악감상 | 16,000 | 16,000 | 16,000 | |
300회 음악감상 | 4,800 | 4,800 | 4,800 | ||
100회 음악감상 | 1,600 | 1,600 | 1,600 | ||
20회 음악감상 | 800 | 800 | 800 | ||
결합형 서비스 |
음악+전자책 무제한 감상 |
스마트 음악감상+전자책 (지니X밀리의서재) |
13,000 | 13,000 | - |
○ ㈜케이티씨에스
(1) 가격변동추이
품목 | 2022년도 | 2021년도 | 2019~2020년도 |
① 114번호안내 | 170원 (야간/공휴일 190원) *토요일 전일 할증적용 |
170원 (야간/공휴일 190원) *토요일 전일 할증적용 |
120원 (야간/공휴일 140원) *토요일 전일 할증적용 |
② 우선번호안내 | 기본업종 월 40,000원 알뜰업종 월 10,000원 (동 기준) |
월 30,000원 (동 기준) |
월 30,000원 (동 기준) |
※ 컨택센터의 견적은 업무의 유형별(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업종별(관공서, 일반기업 등)에 따라 업무의 특성상 단일업무로 볼 수가 없어 평균 가격의 산정은 큰 의미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통사업 또한 상품 판매에 대한 종류가 많고 통신시장의 환경변화 및 마케팅비용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따라 정확한 가격을 산정할 수가 없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가격 변동 원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가격변동원인
① 컨택센터도급
도급비의 견적내용은 직접인건비와 간접인건비, 제경비(복리후생비, 소모품비, 교육훈련비 등), 일반관리비, 이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인건비가 약 85~90%(고객사에 따른 차이) 정도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견적(가격)은 투입인력 1인당 비용을 기준으로 월간 비용으로 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타 PPC(Pay Per Call)로 응대 건수 또는 처리 건수에 의해 산출되기도 합니다.
컨택센터는 업무의 특성상 단일업무로 볼 수가 없어 평균 가격의 산정은 큰 의미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토탈 아웃소싱 컨택센터일 경우 구성하는 임대 시설에 대해 시스템 관리 및 운영 지원에 투입되는 비용을 추가하여 산출됩니다. 임대 시설에 대해서는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를 기준으로 단가가 산출됩니다.
② 114번호안내
과거 114번호안내의 요금 인상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2021.2.1 | 2016.12.01 | 2003.11.01 | 2002.05.01 |
요금 | 요금인상 (주간 170원, 야간/공휴일 190원), 부가서비스 인상 (직접연결 110원, 간접연결 80원) |
토요일 오전 평일요금 적용폐지 |
요금인상 (주간 120원, 야간/공휴일 140원) |
요금인상 (80원→100원, 월 3통화 무료 폐지) |
※ 1996년까지 무료로 제공하던 114번호안내를 1997년부터 원가보전 차원에서 유료화 시행하였습니다.
③ 우선번호안내사업
2022년 3월 1일부터 적용된 우선번호안내 요금 변경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비스 종류 | 서비스 내용 | 기존 | 변경(22.3.1 이후) | |
기본 업종 주1) | 알뜰 업종 주2) | |||
동(읍,면)구역 우선번호안내서비스 | 가입된 '동(읍/면)' 구역으로 우선번호안내서비스 제공 | 30,000원/월 | 40,000원/월 | 10,000원/월 |
구(군)구역 우선번호안내서비스 | 가입된 '동(읍/면)'과 해당 '구(군)' 구역으로 우선번호안내서비스 제공 |
40,000원/월 | 50,000원/월 | 15,000원/월 |
시(광역시/일반시)구역 우선번호안내서비스 | 가입된 '동(읍/면)'과 해당 '구(군)' 및 '시(광역시/일반시)' 구역으로 우선번호안내서비스 제공 |
50,000원/월 | 60,000원/월 | 20,000원/월 |
주 1) 이용요금 예외 적용 : 요금 변경일(2022.3.1) 기준 1년 이내 가입 이력이 있는 고객의 기본 업종 이용요금은 개정 전 요금을 적용. 다만 서비스 해지 1년이 경과한 후 재가입 시에는 변경 요금 적용
주 2) 알뜰 업종 : 요금 변경일 1년 내 가입 이력이 없는 비인기업종으로 별도 지정 운영
④ 유통사업
유무선통신사업은 단말기의 경우 제조사의 가격 정책을 따르며, 주요 통신 서비스의 경우 ㈜케이티 가격 정책을 준용합니다.
○ ㈜케이티아이에스
(1) 114번호 안내 가격: 주간 170원, 야간/공휴일 190원
※ 2021년2월1일자로 주간/야간/공휴일 요금이 50원 인상 되었습니다.
(2) 우선번호안내 가격
(단위: 원, VAT 별도) |
품 목 | 상세구분 | 2022년 | |||
우선번호안내 | 월정액요금 | 1그룹 | 2그룹 | 3그룹 | 4그룹 |
"시" 단위 | 55,000 | 53,000 | 50,000 | 45,000 | |
"구" 단위 | 44,000 | 42,000 | 40,000 | 36,000 | |
"동" 단위 | 33,000 | 31,000 | 30,000 | 27,000 |
* 우선번호안내서비스 가입요금은 서비스구역과 업종별 그룹에 따라 세분화 되어있습니다. 각 구역은 '시', '구', '동' 단위로 구분되며, 업종별 그룹은 이용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1그룹(이삿짐센터, 렌터카 등), 2그룹(꽃집/꽃배달, 정수기판매 등), 3그룹(퀵배달, 열쇠 수리 등), 4그룹(1~3그룹 외 업종)으로 구분됩니다.
* 우선번호 안내 상품 요금은 최근 3년 가격변동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3) 상기 외 컨택센터(아웃소싱) 사업은 업무특성에 따라 단일 서비스로 보기 힘들며 유통사업은 KT 및 단말기 제조사 정책에 따라 가격이 정해지는 경향이 뚜렷하여 평균가격 등의 산정으로 유의미한 수치를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 ㈜케이티엠모바일
(1) 이동전화(후불)
- 단말결합 요금제 | (단위: 원, VAT 포함)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요금제명 | 월정액 | 요금제명 | 월정액 | 요금제명 | 월정액 |
<2022.01> 5G 단말 (1GB/100분) 5G 단말 (2GB/200분) 5G 단말 (5GB/200분) |
19,000 21,000 27 000 |
<2021.02> 시니어 세이브 100분/500MB <2021.11> 5G 단말 (2GB/통화맘껏) 5G 단말 (4GB/통화맘껏) 5G 단말 (6GB/통화맘껏) <2021.12> 5G 단말(10GB+/통화맘껏) 5G 단말(110GB+/통화맘껏) 5G 단말(200GB+/통화맘껏) |
18,000 25,000 29,000 33,000 50,000 69,000 74,000 |
<2020.11> 3G 알뜰 180분/30MB 3G 알뜰 통화맘껏/30MB LTE 데이터 알뜰 500MB/60분 LTE 데이터 알뜰 500MB/100분 LTE 데이터 알뜰 500MB/200분 LTE 데이터 알뜰 500MB/300분 LTE 데이터 실속 1GB/60분 LTE 데이터 실속 1GB/100분 LTE 데이터 실속 1GB/200분 LTE 데이터 실속 1GB/300분 LTE 데이터 충분 3GB/100분 LTE 데이터 충분 3GB/200분 LTE 데이터 충분 3GB/300분 |
26,400 34,100 19,800 20,900 23,100 25,300 22,000 23,100 25,300 27,500 29,700 31,900 34,100 |
[요금제 명칭 변경 건_2020.11.02]
M 청소년 프리패스 → 3G 청소년 80분/500건, 3G 알뜰 18 → 3G 알뜰 30분/0MB, LTE 실용 18 → LTE 데이터 알뜰 500MB/30분
시니어 VIP 준헤비(3G) → 3G 시니어 100분/300MB, LTE 실용 8(음성) → LTE 데이터 알뜰 0MB/30분
LTE 실용 25(음성) → LTE 통화 맘껏0MB, LTE 실용 3GB → LTE 데이터 충분 3GB/60분, LTE 실용 5GB → LTE 데이터 충분 5GB/150분
LTE 안심 1.5G → LTE 안심차단 1.5GB/100분, LTE 안심 2.5G → LTE 안심차단 2.5GB/100분
[요금제 명칭 변경 건_2022.05.20]
3G 복지 50분/0MB → 복지 50분/0MB, 3G 시니어 100분/300MB → 시니어 100분/300MB
3G 알뜰 100분/30MB → 알뜰 100분/30MB, 3G 알뜰 30분/0MB → 알뜰 30분/0MB
3G 청소년 80분/500건 → 청소년 80분/500건, 3G 청소년 안심 10,000 → 청소년 안심 10,000
3G 표준 → 표준, 3G 알뜰 180분/30MB → 알뜰 180분/30MB, 3G 알뜰 통화맘껏/30MB → 알뜰 통화맘껏/30M
- 유심단독 요금제 | (단위: 원, VAT 포함)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요금제명 | 월정액 | 요금제명 | 월정액 | 요금제명 | 월정액 |
<2022.01> 시니어 모두다 맘껏 4GB+ 시니어 모두다 맘껏 8GB+ <2022.02> 키즈 안심 2GB+ 키즈 안심 4GB+ 키즈 안심 8GB+ 키즈 안심 10GB+ 통화 맘껏 10GB 통화 맘껏 15GB <2022.03> 모두다 맘껏 11GB+(왓챠 베이직) 모두다 맘껏 일5GB+(왓챠 베이직) <2022.04> 데이터 맘껏 15GB+/100분(지니뮤직_FREE) 데이터 맘껏 15GB+/300분(지니뮤직_FREE) 모두다 맘껏 11GB+(지니뮤직_FREE) 데이터 많이 5GB/100분 데이터 많이 10GB/180분 통화 맘껏 5.4GB 데이터 맘껏 안심 2.2GB+/100분 데이터 맘껏 안심 5GB+/100분 모두다 맘껏 안심 5.4GB+ <2022.05> 데이터 맘껏 15GB+/100분(시즌) 모두다 맘껏 7GB+(지니뮤직FREE) 모두다 맘껏 11GB+(왓챠프리미엄) 모두다 맘껏 일5GB+(왓챠프리미엄) 모두다 맘껏 100GB+(왓챠베이직) 모두다 맘껏 100GB+(왓챠프리미엄) <2022.06> 모두다 맘껏 안심 6GB+ 모두다 맘껏 안심 8GB+ 모두다 맘껏 안심 10GB+ 모두다 맘껏 7GB++ 모두다 맘껏 11GB+(배달의민족 5000P) 모두다 맘껏 11GB+(요기요5000P) |
24,000 30,000 20,000 22,000 28,000 30,000 26,400 31,900 55,000 66,000 56,100 60,500 51,000 22,000 26,000 33,000 22,000 24,000 35,000 47,300 35,200 60,000 69,000 66,000 69,000 33,000 35,000 37,000 35,200 51,000 51,000 |
<2021.01> 구글플레이(15GB+100분) 구글플레이(11GB+/통화맘껏) 구글플레이(100GB+/통화맘껏) 모두다 맘껏100GB+(게임박스) <2021.02> 시니어 안심 2GB+ 시니어 안심 4GB+ 데이터 맘껏안심3.5GB+/100분 데이터 맘껏안심5GB+/100분 <2021.03> M플랜 일5GB+(시즌) <2021.04> 데이터 맘껏 15GB+/300분 시니어 안심 0.5GB+ 초알뜰 500MB/60분 초알뜰 500MB/100분 초알뜰 1GB/60분 초알뜰 1GB/100분 초알뜰 1.5GB/100분 초알뜰 1.5GB/150분 초알뜰 2GB/200분 데이터 함께쓰기 120분 데이터 함께쓰기 240분 <2021.05> 데이터 함께쓰기 120분+400Kbps 데이터 함께쓰기 240분+400Kbps <2021.06> 데이터 맘껏 10GB+/180 <2021.07> 데이터 맘껏 안심 1GB+/300분 데이터 맘껏 안심 3GB+/300분 데이터 맘껏 안심 5GB+/300분 모두다 맘껏 7.0GB+ 모두다 맘껏 11GB+(지니뮤직 FREE) 모두다 맘껏 11GB+(기프티 5000P) 모두다 맘껏 11GB+(Pay쿠폰 5000P) 5G 통화맘껏 5G 5G 통화맘껏 7G 5G Simple M 청소년 데이터 맘껏 1GB+/300분 청소년 모두다 맘껏 1GB+ <2021.08> 모두다 많이 2.5GB/250분 모두다 많이 2.5GB/250분(안심차단) 데이터 맘껏 15GB+/100분(지니뮤직 FREE) 데이터 맘껏15GB+/100분(기프티쇼5000P) 데이터 맘껏15GB+/100분(Pay쿠폰5000P) 데이터 맘껏15GB+/300분(지니뮤직FREE) 데이터 맘껏15GB+/300분(기프티쇼5000P) 데이터 맘껏15GB+/300분(Pay쿠폰5000P) Data 함께쓰기 120분 Data 함께쓰기 240분 <2021.10> 모두다 맘껏 11GB+(블라이스Free) |
47,300 49,280 66,000 66,000 28,000 35,000 26,400 31,900 66,000 55,000 22.000 9,900 11,000 13,200 15,400 16,500 17,600 19,800 5,500 7,700 5,500 7,700 32,500 24,000 27,500 32,500 35,200 51,000 51,000 51,000 33,000 39,000 69,000 32,000 35,000 33,000 33,000 56,100 56,100 56,100 60,500 60,500 60,500 5,500 7,700 51,000 |
<2020.04> LTE 베이직 LTE 실용 1GB <2020.05> 데이터 맘껏 2.2GB+/100분 데이터 맘껏 5GB+/100분 데이터 맘껏 10G+ <2020.06> 모두다 맘껏 5.4GB+ 데이터 맘껏 12GB+/100분 모두다 맘껏 100GB+(시즌) <2020.07> 데이터 맘껏 15GB+ 실용 통화맘껏 3GB 실용 통화맘껏 5GB <2020.09> 통화 맘껏 6.5GB 모두다 맘껏 12GB+ <2020.10> 모두다 알뜰 1.5GB/100분 모두다 알뜰 2GB/200분 데이터 충분 2.4GB/100분 데이터 충분 2.4GB/200분 데이터 충분 3.5GB/100분 데이터 충분 3.5GB/200분 데이터 충분 5GB/100분 데이터 충분 5GB/200분 모두다 맘껏 안심+ 모두다 맘껏 안심 1.5GB+ 모두다 맘껏 안심 2.5GB+ 모두다 맘껏 안심4.5GB+ |
38,500 33,000 28,200 33,000 33,800 38,300 28,600 66,000 47,300 17,200 21,300 35,000 42,900 18,590 19,800 17,600 22,000 23,100 27,500 28,600 30,800 20,900 26,000 27,500 30,800 |
※ 데이터 연1GB/2GB/9GB 요금제는 요금 1회납부 후 12개월간 사용하는 요금제입니다.
[요금제명칭변경건_2020.10.01]
<18.05> 실용 USIM 6GB-> 데이터 많이 6GB/100분,
<18.08> 실용 USIM S 2.4-> 데이터 충분 2.4GB/50분, 실용 USIM S 3.5-> 데이터 충분 3.5GB/50분, 실용 USIM S 5.0 -> 데이터 충분 5GB/50분, 실용 USIM L 2.4 -> 데이터 충분 2.4GB/150분, 실용 USIM L 3.5-> 데이터 충분 3.5GB/150분, 실용 USIM L 5.0 -> 데이터 충분 5GB/150분,
<18.10> LTE 데이터전용 10GB-> 데이터 전용 10GB+, LTE 데이터전용 20GB-> 데이터 전용 20GB+
<19.04> LTE 실용 15GB+-> 데이터 맘껏 15GB+/100분,
<19.05> 실용 맘껏 1.5G -> 통화 맘껏 1.5GB, 실용 맘껏 2.5G-> 통화 맘껏 2.5GB, 실용 맘껏 4.5G-> 통화 맘껏 4.5GB
<19.10> 데이터 맘껏 1G+-> 데이터 맘껏 안심 1GB+/100분, 실용 맘껏 300M -> 통화 맘껏 300MB
<19.11> 데이터 맘껏 ON 톡-> 모두다 맘껏 3GB+, 데이터 맘껏 ON 비디오 -> 모두다 맘껏 100GB+
<20.05> 데이터 맘껏 250M+-> 데이터 맘껏 250MB+/100분, 데이터 맘껏 New 1G+-> 데이터 맘껏 1GB+/100분, 데이터 맘껏 10G+ -> 데이터 맘껏 10GB+/100분
<20.06> 데이터 맘껏 6G+-> 데이터 맘껏 6GB+/100분, 데이터 맘껏 ON 비디오(시즌)-> 모두다 맘껏 100GB+(시즌)
[요금제명칭변경건_2021.03.16]
<19.11> 모두다 맘껏 3GB+ -> 모두다 맘껏 7GB+
<20.05> 데이터 맘껏 250M+ -> 데이터 맘껏 2.2GB+100분, 데이터 맘껏 1GB+/100분 -> 데이터 맘껏 5GB+/100분
<20.06> 모두다 맘껏 1.4G+ -> 모두다 맘껏 5.4GB+, 데이터 맘껏 6GB+/100분 -> 데이터 맘껏 12GB+/100분
<20.09> 모두다 맘껏 6GB+ -> 모두다 맘껏 12GB+
[판매중단_2021.05.01]
데이터 함께 쓰기 120분, 데이터 함께 쓰기 240분
[판매중단_2021.07.01]
모두다 맘껏 7GB+(직영/유심), 모두다 맘껏 5.4GB+(전 채널)
[판매중단_2021.09.01]
모두다 맘껏 7GB+(직영/단말)
[판매중단_2021.11.01]
5G 통화맘껏 5GB, 5G 통화맘껏 7GB
[판매중단_2022.05.01]
모두다 맘껏 7.0GB+(직영/유심), 데이터 맘껏 15GB+/100분(직영/유심)
(2) 이동전화(선불)
2020~2022년 요금제 변동 내역은 없습니다.
○ ㈜케이티스튜디오지니('22.2Q)
구분 | 2022년 2Q | 2021년 | 비고 | ||
매출액 (백만원) | 비중 (%) | 매출액 (백만원) | 비중 (%) | 비고 | |
제작매출 | 17,437.0 | 89 | 10,578 | 89 | 당사 제작 미디어콘텐츠의 판매 |
유통대행매출 | 1,070.1 | 5 | 293 | 2 | 유통 위탁을 받은 콘텐츠의 판매 |
홍보매출 | 919.4 | 1 | |||
기타매출 | 285.6 | 5 | 952 | 8 | 홍보 및 PPL 등 |
합계 | 19,712.1 | 100 | 11,824 | 100 |
○ ㈜케이티클라우드
1) Cloud
Public | Cloud기반 IT 인프라(컴퓨팅/스토리지/NW 등)를 고객 니즈 맞춤으로 언제든, 필요한 만큼 사용 가능한 On-demand 서비스 고객의 IT 조달/운영/관리 걱정 없는 최상의 성능과 안정성 제공 |
CDN | 전세계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대용량 컨텐츠를 전송하는 Contents Delivery 서비스 제공 +100국가, +20만개 이상의 Edge 서비스를 지원 |
Private | 고객 위치에 독립적으로 구축하는 고객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보안으로 고객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 제공 |
Marketplace | 직접 검증한 업계 최고의 3rd Party 솔루션을 고객 중심으로 큐레이션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카탈로그 서비스 고객의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간편하게 제공 |
2) IDC
코로케이션 | KT IDC 인터넷 백본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하여 인터넷 접속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 공조, 보안 인프라 제공을 통해 보다 향상된 전산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 |
MSP | 고객이 IT시스템 및 각종 전산실 인프라 자원 전반에 대한 관리를 KT에 아웃소싱하여, KT가 보유한 전문 인력, 시설, 장비 및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는 모니터링 툴 임대, IT 인프라 운용, 유지보수, 이전대행, 컨설팅 등을 제공받는 IT 아웃소싱 서비스 |
DC/Infra | 고객 전용 맞춤형 DC/DR을 구축/제공하는 서비스. 기존 구분 On demand IDC |
[1] ICT : 주식회사 케이티
가. 생산설비의 현황
ㅇ 토지
(기준일 : 2022년 6월 30일) | (단위: 백만원) |
소재지 | 구분(㎡) | 기초장부가액 | 증가 | 감소 | 당기장부가액 | 공시지가 |
서울 | 243,907 | 471,824 | 10,743 | 15,055 | 467,512 | 2,877,386 |
경기 | 818,764 | 149,945 | 3,414 | 4,785 | 148,574 | 1,121,595 |
인천 | 138,763 | 27,586 | 628 | 880 | 27,334 | 197,734 |
경남 | 1,007,770 | 58,393 | 1,330 | 1,863 | 57,860 | 511,799 |
전남 | 808,715 | 36,472 | 830 | 1,164 | 36,138 | 217,889 |
경북 | 811,098 | 49,962 | 1,138 | 1,594 | 49,506 | 396,830 |
충남 | 785,214 | 45,963 | 1,046 | 1,467 | 45,542 | 683,866 |
전북 | 352,242 | 9,481 | 216 | 301 | 9,396 | 55,617 |
강원 | 554,415 | 18,671 | 425 | 596 | 18,500 | 135,348 |
충북 | 334,551 | 15,301 | 348 | 488 | 15,161 | 93,379 |
제주 | 137,521 | 5,198 | 118 | 166 | 5,150 | 66,533 |
합계 | 5,992,959 | 888,796 | 20,236 | 28,359 | 880,673 | 6,357,976 |
ㅇ 건물
(기준일 : 2022년 6월 30일) | (단위: 백만원) |
소재지 | 구분(㎡) | 기초장부가액 | 증가 | 감소 | 감가상각비 | 당기장부가액 |
서울 | 817,600 | 421,803 | 16,650 | 142,044 | 11,607 | 284,802 |
경기 | 629,501 | 275,159 | 10,861 | 92,660 | 7,572 | 185,788 |
인천 | 105,664 | 31,805 | 1,255 | 10,710 | 875 | 21,475 |
경남 | 416,420 | 129,351 | 5,106 | 43,559 | 3,560 | 87,338 |
전남 | 370,268 | 112,667 | 4,447 | 37,941 | 3,100 | 76,073 |
경북 | 410,972 | 151,725 | 5,989 | 51,095 | 4,175 | 102,444 |
충남 | 415,457 | 191,418 | 7,556 | 64,461 | 5,268 | 129,245 |
전북 | 113,044 | 36,948 | 1,459 | 12,442 | 1,017 | 24,948 |
강원 | 225,785 | 106,964 | 4,222 | 36,021 | 2,944 | 72,221 |
충북 | 126,292 | 51,790 | 2,044 | 17,440 | 1,425 | 34,969 |
제주 | 61,803 | 19,600 | 774 | 6,600 | 539 | 13,235 |
합계 | 3,692,806 | 1,529,230 | 60,363 | 514,973 | 42,082 | 1,032,538 |
ㅇ 그 외 항목
(기준일 : 2022년 6월 30일) | (단위: 백만원) |
구분 | 기초장부가액 | 증가 | 감소 | 감가상각비 | 당기장부가액 |
구축물 | 35,600 | 422 | 1,863 | 1,732 | 32,427 |
기계시설 | 4,953,146 | 817,261 | 236,536 | 799,693 | 4,734,178 |
선로시설 | 3,536,364 | 263,063 | 12,468 | 288,888 | 3,498,071 |
사용권자산 | 1,078,129 | 311,194 | 175,183 | 179,211 | 1,034,929 |
기타유형 | 80,696 | 14,652 | 5,047 | 15,744 | 74,557 |
소계 | 9,683,935 | 1,406,592 | 431,097 | 1,285,268 | 9,374,162 |
나. 설비의 신설, 매입 계획 등
KT는 2022년 2분기 누적 총 1조 4,022억원의 CAPEX를 집행하였습니다. 2022년 총 투자지출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전망하고 있으나, 향후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위성방송서비스사업: ㈜케이티스카이라이프
가. 생산설비의 현황
- 영업용 설비 현황 | (단위: ㎡) |
구 분 | 소재지 | 토지 | 건물 | 합계 | 비고 |
중부기획팀 수도권남부지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 - | 526 | 526 | 임차 |
수도권서부지사 | 서울특별시 금천구 | - | 352 | 352 | 임차 |
수도권북부지사 | 서울특별시 성동구 | - | 478 | 478 | 임차 |
남부기획팀 경북지사 |
대구광역시 북구 | - | 443 | 443 | 임차 |
부산울산지사 경남지사 |
부산광역시 동구 | - | 965 | 965 | 임차 |
강원지사 | 강원 원주시 | - | 180 | 180 | 임차 |
충청지사 | 대전광역시 서구 | - | 778 | 778 | 임차 |
충북지점 | 충북 청주시 | 52 | 52 | ||
전남지사 | 광주광역시 광산구 | - | 519 | 519 | 임차 |
전북지점 | 전북 전주시 | - | 512 | 512 | 임차 |
제주사무소 | 제주도 제주시 | - | 91 | 91 | |
합 계 | - | 4,896 | 4,896 | - |
- 기타 영업용 설비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소재지 | 시설물 가액 | 비고 |
방송센터 | 서울시 양천구 목동 | 26,521 | 건물은 임차 |
고객센터 | 경기도 수원 및 광주광역시 | 22 | - |
위성수신장치 | 전국 | 87,364 | - |
합 계 | 113,907 | - |
[3] 기타사업
○ ㈜케이티샛
가. 생산설비의 현황
- 투자부동산
2013년부터 토지 및 건물 일부를 임대사업에 사용하고 있으며, 임대건물 비중에 따라 건물과 토지를 투자부동산으로 분리하고 있습니다.
- 유형자산 | (단위: 백만원) |
구분 | 기초 장부가액 |
취득 및 자본적 지출 |
자산간 대체 |
처분 및 폐기 |
감가상각비 | 당기 장부가액 |
토지 | 2,912 | 0 | 0 | 0 | 0 | 2,912 |
건물 | 3,302 | 0 | 0 | 0 | (127) | 3,175 |
구축물 | 517 | 0 | 0 | (179) | (16) | 322 |
기계시설 | 453,555 | 2759 | 674 | (3) | (29,073) | 427,912 |
비품 | 1,629 | 11 | 0 | 0 | (321) | 1,319 |
투자부동산 | 645 | 0 | 0 | 0 | (16) | 629 |
건설중인자산 | 39,646 | 21,815 | (989) | 0 | 0 | 60,472 |
계 | 502,206 | 24,585 | (315) | (182) | (29,553) | 496,741 |
※ 건설중인자산 중 일부는 무형자산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케이티에스테이트
가. 생산설비의 현황
- 투자부동산 | (단위: 백만원) |
구분 | 기초 | 취득/대체 | 감가상각비 | 처분/대체 | 기말 |
토지 | 471,907 | 11,174 | - | (1,361) | 481,720 |
건물 | 654,610 | 13,886 | (19,787) | (3,148) | 645,561 |
구축물 | 8,135 | 216 | (335) | (121) | 7,895 |
건설중인자산 | 18,137 | (61) | - | - | 18,076 |
합계 | 1,152,789 | 25,215 | (20,122) | (4,630) | 1,153,252 |
- 유형자산 | (단위: 백만원) |
구분 | 기초 | 취득/대체 | 감가상각비 | 처분/대체 | 기말 |
토지 | 7,445 | - | - | - | 7,445 |
건물 | 62,649 | - | (1,263) | - | 61,386 |
비품 외 | 20,603 | 55 | (2,681) | (2) | 17,975 |
건설중인자산 | 199 | (72) | - | - | 127 |
합계 | 90,896 | (17) | (3,944) | (2) | 86,933 |
○ ㈜케이티알파(구 케이티하이텔㈜)
가. 생산설비의 현황
(단위: ㎡, 천원) |
구분 | 소재지 | 토지 | 건물 | 기초장부가액 | 상각 | 당기장부가액 | 비고 |
kt alpha 본사 | 서울 | - | 14,792.75 | 7,418,383 | 238,616 | 7,179,767 | 소유 |
서울 | 847.81 | - | 2,184,395 | - | 2,184,395 | 소유 | |
쇼핑 미디어센터 | 서울 | - | 8,309.61 | 864,350 | - | 864,350 | 임차* |
K쇼핑 콜센터 | 서울 | - | 4,002.31 | 569,000 | - | 569,000 | 임차* |
합계 | 11,036,128 | 238,616 | 10,797,512 | - |
※ 임차 물건은 계약 면적 합계이며, 장부가액은 임차 보증금임
○ 케이티텔레캅㈜
가. 생산설비의 현황
- 토지/건물 | (단위: 백만원) |
구분 | 소유 형태 |
소재지 | 기초 장부가액 |
당기증감 | 감가 상각비 |
당기 장부가액 |
공시지가 | |
증가 | 감소 | |||||||
본사(토지) | 자가 | 서울 | 1,093 | - | 175 | - | 918 | 3,609 |
본사(건물) | 서울 | 1,379 | - | 597 | 42 | 739 | 2,421 | |
본사외(건물) | 서울 | 348 | - | - | 5 | 343 | 254 | |
합계 | 2,820 | - | 772 | 47 | 2,001 | 6,284 |
- 기계장치 등 | (단위: 백만원) |
구분 | 소유 형태 |
소재지 | 기초 장부가액 |
당기증감 | 감가 상각비 |
당기 장부가액 |
비고 | |
증가 | 감소 | |||||||
기계장치 등 | 자가 | 전국 | 128,361 | 26,310 | 8,715 | 12,170 | 133,786 | - |
○ ㈜나스미디어
가. 생산설비의 현황
- 토지 | (단위: 백만원) |
구분 | 소유형태 | 소재지 | 구분(㎡) | 기초 장부가액 |
증감(누적) | 감가 상각비 |
당기 장부가액 |
공시지가 | |
증가 | 감소 | ||||||||
본사사업 | 자가소유 | 서울 | 568.68 | 6,760 | - | - | - | 6,760 | 9,463 |
합 계 | 568.68 | 6,760 | - | - | - | 6,760 | 9,463 |
※ 상기 면적은 대지권임
- 건물 | (단위: 백만원) |
구분 | 소유형태 | 소재지 | 구분(㎡) | 기초 장부가액 |
증감(누적) | 감가 상각비 |
당기 장부가액 |
공시지가 | |
증가 | 감소 | ||||||||
본사사업 | 자가소유 | 서울 | 2,317.46 | 1,978 | - | - | (72) | 1,906 | - |
※ 상기 면적은 전유면적임
- 집기와 비품 | (단위: 백만원) |
구분 | 소유형태 | 소재지 | 구분 | 기초 장부가액 |
증감(누적) | 감가 상각비 |
당기 장부가액 |
공시지가 | |
증가 | 감소 | ||||||||
본사사업 | 자가보유 | 서울 | - | 2,718 | 2,734 | - | (654) | 4,798 | - |
○ 지니뮤직
가.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단위: 백만원,%)
사업 구분 |
유형 | 품목 | 구체적 용도 |
주요매입처 (특수관계여부) |
원재료 매입액(비중) (2022년 당반기) |
기타사업 | 제품 | MD상품 | 판매상품 | CJ ENM(주주) | 855(100.0) |
합계 | 855(100.0) |
(주1) MD상품은 주요매입처 외에도 판권을 가진 다수의 업체로부터 매입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원재료 등 가격변동 추이
(단위: 원)
사업 구분 |
유형 | 품목 | 2022년 (당반기) |
2021년 (전기) |
2020년 (전전기) |
기타사업 | 제품 | MD상품 | 25,948 | 27,742 | 29,034 |
(주1) MD상품의 평균 매입단가 산출기준 : MD상품 누적 매입액 / MD상품 누적 매입수량
다. 생산설비의 현황 등
지니뮤직의 주요 수익원인 디지털 음악서비스 사업은 수익원이 물적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주요 서비스에 대한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등의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또한,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영업에 중요한 시설 및 설비, 부동산 등 물적재산과 관련하여 진행 중인 투자가 없습니다.
○ ㈜케이티스튜디오지니
케이티스튜디오지니는 무형의 상품을 제작하는 스튜디오로서 생산설비 등의 물적재산을 보유하지 않으며, 현재 투자 계획이 없습니다. 다만, 제작을 총괄하는 EP(Executive Producer) 3명과, PD(Production Designer) 10명을 보유하여 연간 10여편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능력을 확보
○ ㈜케이티클라우드
(단위 : 백만원)
용도 | 구분 | 주소/내역 | 담보권 설정 현황 | 기초가액(원) | 기말가액(원) |
IDC | 토지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4-4 외 4건 | - | 26,681 | 26,681 |
건물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4-4 외 4건 | - | 485,462 | 479,181 |
4.1 매출에 관한 사항
[1] ICT : 주식회사 케이티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
구 분2022년 상반기2021년2020년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
서비스의 제공 | 7,898,446 | 86.5 | 15,501,216 | 84.3 | 15,086,246 | 84.4 |
재화의 판매 | 1,227,795 | 13.5 | 2,886,218 | 15.7 | 2,793,035 | 15.6 |
합 계 | 9,126,241 | 100.0 | 18,387,434 | 100.0 | 17,879,281 | 100.0 |
※ 제41기, 제40기, 제39기는 K-IFRS 제1116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ㅇ 판매조직
당사는 2021년 11월 15일 고객중심으로 정기 조직개편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판매조직은 아래와 같습니다.
B2C 판매조직 |
B2B 판매조직 |
ㅇ 판매경로
B2C 판매경로 |
B2B 판매경로 |
다. 판매방법 및 조건
상기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며, 이동전화, 유선전화, 인터넷전화, 초고속인터넷, IPTV 사업의 요금은 현금, 은행자동이체, 신용카드 등을 통해 납부됩니다. 또한 월 이용료 외에 장비임대료나 설치비 등이 발생할 경우 함께 납부하며, 단말기 판매는 현금 또는 할부 결제 조건입니다.
법인 대상 사업의 경우 사업자와의 협정을 통해 제공조건 및 요금수준을 책정합니다.
라. 판매전략
당사는 본질적 유통 구조 강화, 광고 및 IMC 활동, 차별화 판매 무기 마련 등을 통한 영업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21년에는 "가치있는 성장"을 위해 사업의 본질적 경쟁력 강화 및 부가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매출 성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항목별 세부 판매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고, 대리점 확충 등을 통해 매출액 증대를 위해 영업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대표 상품별 세부 판매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동전화
ㅇ 디바이스 리더십: 차별화된 5G/LTE 스마트폰 및 전용 단말, 새로운 형태의 이머징 디바이스에 대한 선제적 도입을 통해 무선 통신 경험 차별화
ㅇ 네트워크 품질 차별화: 5G 최초 C-DRX(배터리절감기술) 적용 및 Edge 통신센터 기반의 5G 네트워크 품질, 촘촘한 전국망 광대역 LTE-A 네트워크
ㅇ 혁신적인 요금 상품: 국내 최초 5G 데이터 무제한과 전세계 데이터로밍을 제공하는 5G 슈퍼플랜, 전구간 데이터무제한을 제공하는 LTE 데이터ON 등
ㅇ 세그먼트 마케팅: Y슈퍼플랜, Y24 등 Young 타겟 전용 상품 선도, 가족 기반의 홈코노미 프로그램, 1인 가구에 최적화된 프리미엄 싱글결합 제공 등
ㅇ 로열티 프로그램: 업계 최고 수준의 멤버십 혜택, 장기고객 특별 혜택, 단말교체 불편을 줄여주는 렌탈 등 휴대폰 교체 프로그램과 다양한 할부제도
ㅇ 신규 부가서비스 : 5G 플랫폼 기반 추가 매출의 원동력이 될 신규 부가서비스(V컬러링 등)
ㅇ 차별화된 서비스: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CS 응대체계, 제휴 카드를 통한 통신비 절감 혜택, 차별화된 휴대폰 단말 보험 상품 등
(2) 초고속인터넷
ㅇ 선제적 기가 인프라 투자 및 유무선 결합경쟁력 강화를 통한 초고속인터넷 시장 선도
ㅇ 신개념 와이파이인 기가 와이파이 버디 에이엑스(GiGA WiFi Buddy ax)를 기본 제공하는 인터넷 와이드 등 새로운 인터넷 패러다임 제시
ㅇ 기업고객에 특화된 오피스 IP넷 보안패키지 및 사장님 성공팩 결합 상품으로 B2B시장 강화
ㅇ 모바일5G, IPTV 및 CCTV, IOT 등과 같은 통신/비통신 상품과의 연계판매 시너지 확대
ㅇ 스카이라이프 인터넷 재판매 시행으로 저가 요금 선호고객 대상 사업기회 확대
ㅇ '기가 와이파이 홈 에이엑스(GiGA WiFi home ax)', '기가 와이파이 버디 에이엑스(GiGA WiFi Buddy ax)'등 최신 홈 와이파이 공유기 지속 출시를 통한 최적의 무선 인터넷 환경 제공
ㅇ '안심 인터넷'등 고객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맞춤형 상품 제공으로 다양한 고객 편의 제공
ㅇ '사장님 성공팩' 결합 상품 및 '결제안심 인터넷' 출시 등 소상공인 전용 상품 확대
ㅇ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사업 등 B2B/B2G 수주사업 활용한 다량 신규 회선 획득
(3) 유선전화
ㅇ 유선전화 고객 선제적 Care 활동을 통한 이탈 최소화
- 인터넷과 TV상품 이용 고객 중 미결합 고객: 결합 추진
- 집전화 통화니즈 고객: KT 집전화 3000요금제 가입 추진
- 인터넷전화 재약정 고객: KT 인터넷전화 3000요금제 가입 추진
- 소호/소상공인 고객: 통화매니저/링고 포함 융합형 상품 가입 추진
ㅇ 요금구조개편에 따른 매출하락 방어
- 홈인터넷전화 통화료 초단위요율제 도입(20.2월)
(4) IPTV
ㅇ 미디어 환경 변화에 맞는, 고객중심 상품성 개선 및 전략적 제휴 추진
ㅇ 신규 미디어디바이스 활용, IPTV 판매 확대
ㅇ AI 기반 개인 맞춤형 콘텐츠 편성, 추천 기능 강화 등 기술 차별화
[2] 위성방송서비스사업: ㈜케이티스카이라이프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2022년 상반기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위성방송 | 서비스수익 | 193,997 | 56.6% | 364,983 | 55.7% | 349,277 | 52.9% |
플랫폼수익 | 107,963 | 31.5% | 219,218 | 33.5% | 216,968 | 32.9% | |
기타수익 | 41,091 | 12.0% | 71,153 | 10.9% | 94,159 | 14.3% | |
합 계 | 343,051 | 100% | 655,354 | 100% | 660,404 | 100% |
※ K-IFRS 별도기준으로 작성되었음
※ 서비스수익 : 방송 수익+인터넷 수익+모바일 수익
※ 플랫폼수익: 광고수익 + 홈쇼핑송출수수료 + T커머스송출수수료
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스카이라이프의 판매경로는 크게 본사 및 고객센터, 전국 9개 지사(서울3개소, 부산2개소, 대구, 강원, 대전, 광주, 각1개소) 및 2개 지점(전주, 청주 각 1개소) 소속 약 198 여개의 지역사업자, KT, HC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역사업자는 스카이라이프와 위탁계약을 통해 판매 및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고객센터는 2개 고객센터(수원, 광주광역시 각 1개소 소재)에서 고객 상담 등의 기본 업무뿐만 아니라 해지방어, 신규 가입자 유치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사업자인 KT의 사내외 판매채널 및 그룹사를 통해 결합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본사 홈페이지(www.skylife.co.kr)에서도 지속적으로 판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기업, 관공서, 온라인마켓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업체와 지속적으로 제휴하여 판매 경로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2년 6월말 기준 경로별 판매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ㅇ 판매 경로별 신규 가입자 현황(TV) (2022년 1~6월 누적)
구분 | 신규가입자(명) | 경로별 비중 |
지역사업자 | 120,387 | 75% |
KT | 1,778 | 1% |
본사 및 고객센터 | 37,798 | 24% |
합계 | 159,963 | 100% |
다. 판매방법 및 전략
스카이라이프는 TPS(Touble Play Service : TV+인터넷+모바일)양질의 가입자 확보, 기존TV 단독 가입자 대상 인터넷과 모바일 업셀링, 가전 생활용품 렌탈서비스 확대로 '종합 홈 솔루션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서 도약하였습니다 .
TV의 경우 기존 TV 실시간방송 제공 한계를 넘어 안드로이드TV 기반 가입자 중심 선택형 요금제(포인트, 초이스 : VOD포인트/OTT서비스 중 선택 가능)를 출시하여 고객 만족과 기반 수신료 및 부가매출 상승을 동시에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스카이라이프는2021년 7월 UHD 안드로이드TV 기반 서비스를 활용하여 '넷플릭스'와의 제휴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 고객의 콘텐츠 선택지를 확대하고 나아가 OTT 시장에서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Sky인터넷 가입자 및 기존 가입자의 IP연결이 지속 확대되어 TV가입자 시청패턴 다변화에 맞춘 UI/UX 고도화, 개인 추천형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을 통해 VOD 및 PPV 매출 상승의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TV와 연계한 App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sky 앨범, TJ노래방 등 고객이 만족할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촉발된 비대면 유통채널의 확대 요구에 대해 스카이라이프는 디지털마케팅 확대, 온라인 가입프로세스 개선 등 지속적인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였고, 이에 맞춰 DCS(Dish Convergence Service : 수도권+5대광역시 내 IP방식의 수신 서비스 가능 방식) 수신방식을 활용한 전략시장 내 가입자를 지속 확대 추진하였습니다.
고객대상 'sky 홈 렌탈 서비스'를 확대 제공하여, TV 제품 및 기타 생활가전(냉장고, 세탁기 등) 종합 판매를 통해 기존 가입자 유지, 이를 통한 매출 성장과 기존 고객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2020년 10월 30일 'skylife 모바일' 알뜰폰 출시를 통해 개인 단위의 고객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알뜰 결합'이라는 명칭으로 기존 센세이션을 일으킨 '30%요금할인 sky 홈 결합'을 통한 가구단위에서 더 나아가 개인 고객의 통신비 절감을 통한 '실속형 방송통신사업자'가 되기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딛었습니다. 2021년 스카이라이프는 본격적인 TPS(Triple Play Service : TV+인터넷+모바일) 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기존 위성방송 사업자의 한계를 넘어 방송통신시장에서 고객에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사업자로 거듭나겠습니다.
2022년 6월말 기준, 당사는 378만의 TV상품 유지가입자 중 안드로이드 TV 93만 가입자를 포함한 UHD 164만 가입자를 달성하여 고화질 및 양방향 TV 가입고객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 커버리지 고품질 KT 인터넷 망을 이용한 재판매 형식의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은 신규 월평균 1.1만건 가입, 유지가입자 34만으로 전년 동기(유지가입자 25만) 대비 약 1.4배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KT모바일 망을 활용한 알뜰폰 'skylife 모바일' 가입자는 신규 월 평균 2만건 가입, 유지가입자 21만으로 본격적인 TPS(Triple Play Service : TV+인터넷+모바일) 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기존 위성방송 사업자의 한계를 넘어 방송통신시장에서 고객에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사업자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3] 기타사업
○ ㈜케이티샛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반기 | 2021 년 | 2020 년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매출액 | 비율 (%) | |
중계기 | 51,468 | 59.0% | 102,372 | 58.6% | 96,853 | 55.8% |
데이터 | 10,075 | 11.6% | 24,565 | 14.1% | 20,778 | 12.0% |
비디오 | 4,169 | 4.8% | 8,161 | 4.7% | 9,467 | 5.5% |
해양위성 | 11,822 | 13.6% | 22,051 | 12.6% | 20,059 | 11.6% |
기타 | 9,658 | 11.0% | 17,506 | 10.0% | 26,391 | 15.2% |
합 계 | 87,192 | 100.0% | 174,655 | 100.0% | 173,548 | 100.0% |
※실적은 K-IFRS 기준으로 작성된 금액임
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케이티샛의 판매조직은 국내, 해외 등 지역별로 구분하여 고객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으며, 서비스 특성상 기업고객이 대부분으로 내부영업사원 및 외부 유통망(협력사)의 영업을 통해 신규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다. 판매방법 및 조건
서비스요금은 현금, 은행자동이체, 지로, 신용카드 등을 통해 납부됩니다. 설치비용역 등이 발생한 경우는 함께 납부하며, 일시 또는 할부 결제 조건입니다. 기타 매출의 경우 고객사와 협의한 계약에 따라 정합니다.
○ ㈜케이티에스테이트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반기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부동산임대수익 | 85,913 | 34.8 | 160,212 | 47.8 | 156,784 | 43.6 |
부동산분양수익 | 1,804 | 0.7 | - | - | 61,360 | 17.0 |
부동산위탁관리수익 | 26,232 | 10.6 | 45,513 | 13.6 | 106,506 | 29.6 |
용역수익 | 57,182 | 23.1 | 99,424 | 29.6 | 7,753 | 2.2 |
기타수익 | 75,965 | 30.8 | 30,224 | 9.0 | 27,551 | 7.6 |
합계 | 247,096 | 100.0 | 335,373 | 100.0 | 359,954 | 100.0 |
※실적은 K-IFRS 기준으로 작성된 금액임
○ ㈜케이티알파(구 케이티하이텔㈜)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반기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커머스 | 161,382 | 61.4 | 307,181 | 65.2 | 228,424 | 65.4 |
모바일기프트커머스 | 48,186 | 18.3 | 32,056 | 6.8 | - | - |
콘텐츠 | 24,095 | 9.2 | 43,769 | 9.3 | 37,486 | 10.7 |
ICT | 29,179 | 11.1 | 88,471 | 18.8 | 83,404 | 23.9 |
합계 | 262,842 | 100.0 | 471,477 | 100.0 | 349,314 | 100.0 |
※ 상기 실적은 K-IFRS 제1116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 2022년 2분기 중 조직개편에 따라 기존 ICT사업부문에 속했던 '미디어 편성운영사업'이 콘텐츠사업부문으로 귀속되었고 기존 ICT사업부문에 속했던 '통화부가사업'이 모바일기프트커머스사업부문으로 귀속되었습니다.
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1) 커머스
상품구매담당자(MD)가 업체와 물품 공급계약을 맺은 후 VOD, TV, 인터넷, 모바일 등의 플랫폼을 통해 일반 고객에게 직접 상품정보를 제공합니다. TV리모콘, 인터넷, 모바일 등으로 고객의 주문을 접수한 후, 결제가 이루어지면 택배회사를 통해 상품을 배송합니다.
(2)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구매 주체에 따라 B2B(기업)와 B2C(개인)으로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B2B 채널에서는 대량구매를 원하는 기업과의 직접영업을 통한 영업활동과, 온라인 구매서비스인 '기프티쇼 Biz'를 통해 비대면으로 기업의 프로모션 기획, 예산관리 등 기업 구매에 최적화된 모바일상품권 온라인 구매 서비스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B2C 채널에서는 자체 운영하는 기프티쇼 WEB/APP과 모바일커머스 채널, 오픈마켓 등의 다양한 제휴 매체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3) 콘텐츠
콘텐츠 수급담당자가 콘텐츠 제작사 또는 배급사와 판권 계약을 맺고 IPTV, OTT 등 150여개의 플랫폼사를 대상으로 콘텐츠 VOD 또는 라이브러리 서비스를 공급합니다.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 상품을 결제하면 일반 고객은 해당 콘텐츠 상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ICT
ICT 사업은 대부분 수주 산업(IT 프로젝트)에 해당하여 별도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는 기재하지 않습니다.
다. 판매방법 및 조건
(1) 커머스
구매를 원하는 고객으로부터 TV리모콘 또는 인터넷, 모바일로 주문을 받은 후 신용카드 결제 또는 무통장 입금 방식으로 상품대금을 회수하고, 택배회사를 통해 고객이 희망하는 장소로 상품을 배송하는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2)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B2C 고객에게는 표준약관에 따르는 일반상품을 취급하고 있으며, B2B의 경우에는 30~60일의 기간 제한용 상품을 위의 판매 경로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3) 콘텐츠
고객은 IPTV, OTT, 인터넷 웹하드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 상품을 결제하면 해당 콘텐츠 상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결제방법은 건당결제, 패키지결제, 구독결제 등을 제공하며 신용카드 결제 또는 무통장 입금 등의 방법으로 콘텐츠 이용 대가를 회수합니다.
(4) ICT
ICT 사업은 대부분 수주 산업(IT 프로젝트)에 해당하여 별도의 판매방법 및 조건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라. 판매전략
(1) 커머스
상품 구성의 다양화 및 차별화를 통해 고객을 유인하고 상품 구매 시 카드 할인, 모바일 구매 할인 등 다양한 할인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 기반 확대를 위해 TV 뿐만 아니라 인터넷, 모바일을 통한 마케팅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2)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B2B 채널에서는 상품, 할인율, 발송타입을 맞춤화하여 고객사에 제안하며 B2C 채널에서는 자체 매체와 판매 가능 매체 발굴을 통해 신규 매출을 확보하고 기존매체와는 상품 브랜드사와 3자 협의 후 고객들에게 경쟁사 대비 나은 조건으로 구매할 수 있게 판촉 이벤트를 지속하여 판매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콘텐츠
각 플랫폼사와 협의를 통해 건당할인, 패키지할인, 기간할인, 포인트차감 등 콘텐츠 판매 촉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OTT 사업자 신규 진출에 따라 국내 콘텐츠 판권 사업 영역이 더욱 확대될 계획입니다.
(4) ICT
ICT 사업은 대부분 수주 산업(IT 프로젝트)에 해당하여 별도의 판매전략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 ㈜지니뮤직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지니뮤직의 주요 사업은 음악사업으로 음악서비스 '지니' 플랫폼을 통한 매출과 콘텐츠 유통을 통한 매출로 구성되며, 그외 기타사업으로 IT 개발용역 및 MD상품 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 사업내용 | 구분 | 매출액 | ||
2022년 (당반기) |
2021년 (전기) |
2020년 (전전기) |
|||
음악 사업 |
음악서비스 및 콘텐츠유통 등 정기매출 |
국내매출 | 97,776 | 211,139 | 217,420 |
해외매출 | 14,751 | 24,119 | 19,232 | ||
합계 | 112,528 | 235,257 | 236,652 | ||
기타 사업 |
MD판매 등 비정기매출 |
국내매출 | 1,412 | 8,696 | 10,316 |
해외매출 | - | - | - | ||
합계 | 1,412 | 8,696 | 10,316 | ||
합 계 | 국내매출 | 99,189 | 219,835 | 227,736 | |
해외매출 | 14,751 | 24,119 | 19,232 | ||
합계 | 113,940 | 243,954 | 246,968 |
※ 상기 매출현황은 별도 기준이며, K-IFRS 제1115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나. 판매방법
(1) 음악사업 (음악서비스 및 콘텐츠 유통)
음악서비스는 음악서비스는 홈페이지, 자체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에게 음악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며, 통신사 등이 출시한 요금제 상품, 부가서비스 상품을 통해서도 음악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작사 등으로부터 확보한 음원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국내/해외 사업자에게 유통하고 있습니다.
(2) 기타사업 (IT 개발용역 및 MD 등)
기타사업으로 아티스트 등 MD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상품제작 업체로부터 구매한 상품을 온·오프라인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다. 판매방법 및 조건
구 분 | 매출유형 | 주요판매방법 | |
음악 사업 |
B2C 음악서비스 | 음원매출 | 온라인·모바일 통한 음원 이용권(스트리밍, 다운로드 등) 판매 |
B2B 음악서비스 | 제휴매출 | 통신사 등 기업간 제휴계약을 통한 음원 이용권 판매 |
|
콘텐츠 유통 | 음원유통매출 | 제작·기획사 등 권리자와의 유통계약을 통해 제공받은 음원 판매 |
|
기타 사업 |
IT개발용역 등 | 용역매출 | 기업간 계약을 통한 IT개발 용역서비스 제공 |
MD상품 등 | 기타매출 | MD 판매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구매한 MD 상품 등을 판매 |
라. 판매전략
지니뮤직은 자체 플랫폼(웹, 모바일) 운영을 통하여 고음질 음악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료가입자 확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 통신사 무선고객 대상 부가서비스 상품공급, 전략적 사업제휴 등을 진행하고 국내외 음원유통 채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매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디오 콘텐츠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등 서비스 다양화를 통해 플랫폼 확대를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 케이티텔레캅㈜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
과 목 | 2022년 상반기 | 2021년 | 2020년 | |||
매출 | 비율 | 매 출 | 비 율 | 매 출 | 비 율 | |
보안서비스 | 252,470 | 98.7 | 502,075 | 98.3 | 380,575 | 97.5 |
유통사업 | 3,138 | 1.2 | 8,318 | 1.6 | 9,098 | 2.3 |
기타 | 328 | 0.1 | 608 | 0.1 | 660 | 0.2 |
합계 | 255,936 | 100.0 | 511,001 | 100.0 | 390,333 | 100.0 |
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케이티텔레캅은 사업부서 및 지역본부 법인고객영업단/지사 등의 영업망을 운영하며 출동보안, 통합보안 등에 대한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구분 | |
출동보안, 통합보안, SI 등 | 강북법인고객영업단 및 지사 |
강남법인고객영업단 및 지사 | |
서부법인고객영업단 및 지사 | |
부산/경남법인고객영업단 및 지사 | |
대구/경북법인고객영업단 및 지사 | |
전남/전북법인고객영업단 및 지사 | |
충남/충북법인고객영업단 및 지사 | |
마케팅/기업사업본부 |
다. 판매방법 및 조건
케이티텔레캅의 판매조직은 국내 지역별로 구분하여 고객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으며, 서비스 특성에 따라 일반 SOHO형 가입자 및 기업고객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내부 영업사원 및 외부 유통망(협력사)의 영업을 통해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 ㈜나스미디어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
품목 | 2022년 상반기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디지털 광고 | 32,761 | 65.2 | 60,745 | 68.5 | 61,162 | 74.5 |
플랫폼 | 17,478 | 34.8 | 27,981 | 31.5 | 20,896 | 25.5 |
매출 총계 | 50,239 | 100.0 | 88,726 | 100.0 | 82,058 | 100.0 |
※ 상기 '매출액'은 K-IFRS 기준으로 작성된 금액임 (나스미디어 별도 기준)
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온라인광고 산업 체계는 광고회사, 미디어렙, 매체 등 세 영역으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미디어렙사는 매체 판매 대행을 통해 매체사로부터 대행수수료를 지급받고 있습니다.
나스미디어 및 주요종속회사는 일반적으로 광고주, 광고대행사 및 매체사와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2022년 6월 30일) | (단위: 백만원, %) |
구분 | 판매 경로 | 매출액 | 비중 |
디지털광고 | 광고주, 국내 매체사, 광고대행사와의 광고 B2B 거래 및 KT통신사 고객 기반의 B2C 상품 판매 |
32,761 | 65.2 |
플랫폼 | 17,478 | 34.8 | |
총 계 | 50,239 | 100.0 |
다. 판매방법 및 조건
나스미디어는 현재 1,000여개의 광고대행사 및 850여개의 매체사와 거래를 하고 있어 미디어렙사중 가장 폭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디어렙사는 매체사와 계약을 통해 디지털 매체의 판매를 대행하고 있으며, 광고대행사와는 공고한 파트너쉽을 통해 광고주의 광고물량을 수주하고 있습니다. 미디어렙사는 판매할 수 있는 광고 인벤토리 확보가 최우선으로 주요 매체와 연간 또는 반기 단위로 계약을 하고 있습니다. 나스미디어는 현재, 온라인DA, 디지털방송, 디지털옥외 매체에서 점유율 기준 상위 매체와 지속적인 계약 유지로 안정적인 인벤토리를 수급하고 있습니다.
라. 판매전략
광고효과가 입증된 다양한 매체의 인벤토리 확보를 바탕으로 광고주, 광고대행사의 광고 캠페인 제안 요청에 효율적인 미디어플래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광고대행사의 경우 나스미디어의 축적된 광고집행 경험과 데이터, 전문 인력의 노하우를 경쟁력으로 인지하여 단독으로 광고물량을 배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광고계약 또는 광고주의 요청, 광고대행사의 성향에 따라 비딩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나스미디어의 경쟁력을 피력하기 위한 제안서 작성 및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게 되며, 선정 시 광고를 수주하게 됩니다.
○ ㈜케이티스튜디오지니
(단위: 백만원)
구분 | 품 목 | 2022년 상반기 | 2021년 |
제작매출 | 수 출 | - | |
내 수 | 17,437 | 10,578 | |
합 계 | 17,437 | 10,578 | |
유통대행매출 | 수 출 | 337 | 50 |
내 수 | 733 | 243 | |
합 계 | 1,070 | 293 | |
홍보매출 | - | - | |
919 | - | ||
919 | - | ||
기타매출 | 수 출 | - | - |
내 수 | 286 | 952 | |
합 계 | 286 | 952 | |
합계 | 수 출 | 337 | 50 |
내 수 | 19,375 | 11,774 | |
합 계 | 19,712 | 11,824 |
○ ㈜케이티클라우드
22년 2분기 | 22년 1분기 | 21년 |
1,297억원 | - | - |
※ 상기 실적은 향후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2 주요 수주 현황
○ ㈜케이티에스테이트 | (단위 : 백만원) |
품목 | 발주처 | 계약일 | 공사기한 | 수주총액 | 진행률 | 초과청구공사 | 공사미수금 | ||
총액 | 손상차손 누계액 |
총액 | 대손 충당금 |
||||||
원주 관설 공동주택 | - | 2022.05.30 | 2024.11.30 | 177,278 | 1.02 | 15,914 | - | - | - |
※ 진행률 단위는 %입니다.
※ (주1) : kt estate의 보유토지(시행사)에 kt estate가 시공사를 선정하여 일반분양자에게 분양하는 사업으로서, 발주처의 개념은 별도로 없음
※ kt estate 수주계약건의 계약일과 공사기한 기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약일 : 수분양자 정당계약기간의 시작일
- 공사기한 : 시공사와의 공사계약기간 종료일
○ ㈜케이티서브마린 | (단위 : 억원) |
품목수주일자납기수주총액기납품액수주잔고수량금액수량금액수량금액
CANI/SJC2 해저케이블 건설공사 | 2019.03.29. | 2022.07.15. | 1 | 369.9 | - | 353.8 | 1 | 16.1 |
NCP 해저케이블 건설공사 |
2020.03.27. | 2022.12.31. | 1 | 35.6 | - | 15.8 | 1 | 19.8 |
제주_우도 해저케이블 시설공사 | 2021.04.05. | 2022.09.30. | 1 | 32.2 | - | 3.6 | 1 | 28.6 |
ECHO V#1 해저케이블 건설공사 | 2021.04.26. | 2022.10.19. | 1 | 111.0 | - | 60.1 | 1 | 50.9 |
DSCPA2 해저케이블 건설공사 | 2022.02.05. | 2022.08.17. | 1 | 39.2 | - | 17.3 | 1 | 21.9 |
원거리탐지용 음향센서 설치 기술지원 및 인허가 | 2022.04.12. | 2024.01.15. | 1 | 3.2 | - | - | 1 | 3.2 |
전남해상풍력 1단지 해저케이블 건설공사 | 2022.06.09. | 2024.09.30. | 1 | 580.0 | - | - | 1 | 580.0 |
COPP | 2014.12.22. | 2022.12.31. | 1 | 89.8 | - | - | 1 | 89.8 |
합 계 | 8 | 1,260.9 | - | 450.6 | 8 | 810.3 |
○ ㈜케이티씨에스 | (단위: 백만원) |
발주처내용품목수주일자금액
케이티 | KT 유/무선 고객센터 통합 CRG센터 등 | KT고객센터 | 2022.01.01 | 158,525 |
서울/수도권, 대전 이남지역 | 국세청, LG전자 등 25개 콜센터 위탁운영 | 콜센터 도급 | 2022.1.1 | 98,809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전 국민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사업(전북,제주,울산) | 정보화서비스교육 | 2022.03.11~15 | 7,220 |
※ KT고객센터는 다건의 계약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합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수주현황 중 주요한 수주현황에 대한 기준을 10억원 이상으로 보고 그 이상만 합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수주 후 연장되고 있는 계약내용에 대하여는 2022.1.1~2022.12.31까지로 기간을 설정하였습니다.
○ ㈜이니텍 | (단위: 백만원) |
품목수주일자납기수주총액기납품액수주잔고수량금액수량금액수량금액
SC제일은행 Business Banking Platform Refresh Project |
2021.11.18 | 2022.09.30 | - | 4,870 | - | 3,137 | - | 1,733 |
합계 | - | 4,870 | - | 3,137 | - | 1,733 |
※ 상기 프로젝트의 수주총액은 2021년 11월 1차 4,681백만원 수주하였으며, 2022년 1월 2차 189백만원 수주함에 따라 총액이 변동되었습니다.
※ 수주상황은 직전사업연도 재무제표상 매출액의 5% 이상인 수주계약 중 2022년 6월말 현재 수주잔고가 있는 계약 건만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수량은 수주 건별로 상품 및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어 그 단가가 상당한 차이가 나므로, 큰 의미가 없어 기재하지 아니하였습니다.
5.1 위험관리
[1] ICT : 주식회사 케이티
가. 연결기업의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1) 재무위험관리요소
연결회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위험평가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파생상품을 적용하여 재무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연결회사의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에 대해서 위험회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재무정책은 중장기적으로 수립되며 이사회에 매년 보고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의 재무실은 재무정책의 수행 및 지속적인 재무위험 관리를 책임지고 있으며, 특정거래의 심각성 및 현재 위험노출금액 등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의 재무실 자금IR담당에는 효과적인 재무위험 관리를 주요업무로 하는 인원이 있으며, 금융 시장 상황에 따른 효과의 추정을 위해 여러가지 시장상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연결회사의 시장위험 관리는 연결회사의 수익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노출 정도를 관리하는 데에 있습니다. 시장위험은 이자율, 환율 및 기타 시장 요소의 움직임에 대해 연결회사가 보유한 포트폴리오의 수익이나 가치가 감소할 위험을 의미합니다.
① 민감도분석
민감도는 각 위험 유형에 따른 시장 상황을 관측하는 방법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이자율, 환율 및 기타가격의 변동에 대해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변동범위를 판단하였으며 위험변수의 변동률이 안정적일 경우 결정된 변동 범위를 수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분석에서는 희박하거나 '최악의 상황' 시나리오 또는 '위기상황분석'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②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영업활동, 재무활동, 투자활동의 수행 중에 환율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화에서 발생하는 위험은 연결회사의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 내에서 위험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외화위험(즉, 해외사업자산 및 부채의 환산 등)은 위험회피를 사용하지 아니하나, 특수한 상황에서는 이러한 외화위험에 대해 위험회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③ 현금흐름 및 공정가치 이자율 위험
연결회사의 이자율 위험은 주로 연결 외화사채 등의 부채에서 비롯됩니다. 변동 이자율로 발행된 외화사채로 인하여 연결회사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동 이자율 위험은 일부를 제외하고 스왑거래를 통하여 헷지되었습니다. 또한 고정 이자율로 발행된 사채 및 차입금으로 인하여 연결회사는 공정가액 이자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금융비용의 최소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 및 운용하고 있습니다.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이란 고객이나 거래상대방이 금융상품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연결회사가 재무손실을 입을 위험을 의미합니다. 주로 거래처에 대한 매출채권과 채무증권 등에서 발생합니다.
① 위험관리
신용위험은 재무적 손실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연결회사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연결회사의 통상적인 거래 및 투자활동에서 발생하며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상 의무사항을 지키지 못하여 연결회사에 재무적 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연결회사는 거래시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및 기타 요소들을 포함한 거래상대방의 신용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파생상품, 은행 및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연결회사는 신용도가 높은 금융기관들과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보유하는 채무상품은 모두 낮은 신용위험의 상품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채무상품들에 대해서는 신용등급을 모니터링하여 신용위험의 하락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② 신용보강
일부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하는 경우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보증 또는 신용장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③ 금융자산의 손상
연결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 용역 제공에 따른 계약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가)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계약자산
연결회사는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계약자산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연결회사는 보고기간말 매출채권 등의 잔액에 대한 미래 회수불가능한 확률을 고려하여 기대손실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매출채권 등을 신용위험특성과 연체일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기대신용손실율은 2019년 12월 31일 기준으로부터 각 36개월 동안의 매출과 관련된 지불 정보의 확인된 신용손실 정보를 근거로 산출하였습니다.
(나) 현금성자산(보유현금 제외)
연결회사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에 대한 신용위험에도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기 현재 연결회사의 관련 최대노출금액은 해당 장부금액입니다.
(다) 상각후원가 측정 기타 금융자산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에는 정기예금, 기타 장기금융상품 등이 포함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은 모두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손실충당금은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경영진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낮고 단기간 내에 계약상 현금흐름을 지급할 수 있는 발행자의 충분한능력이 있는 경우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은 전기에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인식하였던 금액을 포함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은 모두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손실충당금은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경영진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낮고 단기간 내에 계약상 현금흐름을 지급할 수 있는 발행자의 충분한능력이 있는 경우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연결회사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에 대한 신용위험에도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기 현재 연결회사의 관련 최대노출금액은 해당 장부금액입니다.
(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연결회사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에 대한 신용위험에도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기 현재 연결회사의 관련 최대노출금액은 해당 장부금액입니다.
3) 유동성위험
연결회사는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통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연결회사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의 만기와 영업현금흐름의 추정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2) 자본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연결회사의 자본구조는 차입금을 포함하는 부채, 현금및현금성자산, 주주에 귀속하는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자금담당은 수시로 자본구조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검토의 일환으로써 연결회사는 자본조달비용과 각 자본항목과 관련된 위험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나. 지배기업의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지배기업인 ㈜케이티의 위험 노출 내역, 위험 관리 현황 및 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위험 노출 내역
ㅇ 환 위험 노출
외화사채 및 외화예금에서 발생하는 환위험은 다음과 같으며, 외화사채에 대한 위험은 일부(USD 0.8억)를 제외하고 스왑을 통하여 헤지되었습니다
종류 | 위험의 종류 | 시장 변동 영향 |
외화 사채 | 환율 상승 위험 | - 만기 전 기말 평가 시 환율이 전기 말 평가 환율보다 높을 경우 평가손실 발생 - 만기 상환 시 환율이 전기 말 평가환율보다 높을 경우 상환손실 발생 |
외화 예금 | 환율 하락 위험 | - 만기 전 기말 평가 시 환율이 전기 말 평가 환율보다 하락할 경우 평가손실 발생 - 만기 인출 시 환율이 전기 말 평가환율보다 낮을 경우 거래손실 발생 |
ㅇ 금리 위험 노출
변동금리부 부채의 경우 금리상승시 이자비용이 증가될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위험은 스왑을 통하여 헤지되었습니다.
(2) 위험 관리 현황 및 체계
ㅇ 위험 관리 현황
- 외화 자산 및 부채의 규모, 통화 및 만기 적정성 검토, 국내외 시장 동향 파악
등을 통하여 환, 금리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파생상품 계약을 통해 환, 금리위험을 관리하고 있는 외화사채는 [USD20.5억/JPY300억/SGD2.84억] 중 [USD19.7억/JPY300억/SGD2.84억]입니다.
ㅇ 위험 관리 체계
- 환, 금리 위험 관리 자문위원회 운영
- 환, 금리 위험 관리 지침 설정
- 재무실 자금IR담당 내 환, 금리 위험 관리 업무 담당 인원은 3명이며, 환, 금리
위험 관리 지침 등의 내부위험관리 운영 방침에 따라 파생상품거래를 시행하여
환, 금리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5.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 주식회사 케이티
가. 파생상품 거래현황
- 위험회피 목적 | (단위: 백만원) |
종류 | 계약 규모 | 공정가액 | 계약일 | 만기일 | 거래 기관 | 비고 |
USD 통화스왑 |
USD 20,000,000 | 6,513 | 2005-05-12 | 2034-09-07 | BOA ML | 원화/외화 만기 원금교환 |
USD 200,000,000 | 29,314 | 2016-07-12 | 2026-07-18 | KDB | ||
USD 200,000,000 | 29,314 | 2016-07-12 | 2026-07-18 | KEXIM | ||
USD 400,000,000 | 69,720 | 2017-08-07 | 2022-08-07 | Citi | ||
USD 100,000,000 | 18,305 | 2018-08-20 | 2023-08-23 | CA-CIB | ||
USD 250,000,000 | 44,073 | 2019-10-29 | 2024-11-01 | DBS | ||
USD 100,000,000 | 17,617 | 2019-10-29 | 2024-11-01 | Citi | ||
USD 100,000,000 | 9,055 | 2020-09-01 | 2025-09-01 | KB | ||
USD 100,000,000 | 9,055 | 2020-09-01 | 2025-09-01 | Shinhan | ||
USD 200,000,000 | 18,111 | 2020-09-01 | 2025-09-01 | Woori | ||
USD 50,000,000 | 5,494 | 2021-07-21 | 2027-01-21 | KB | ||
USD 100,000,000 | 10,989 | 2021-07-21 | 2027-01-21 | KDB | ||
USD 150,000,000 | 16,483 | 2021-07-21 | 2027-01-21 | JPM | ||
USD 통화스왑 합계 | USD 1,970,000,000 | 284,043 | ||||
JPY 통화스왑 |
JPY 19,600,000,000 | -27,981 | 2019-07-11 | 2022-07-19 | Citi | 원화/외화 만기 원금교환 |
JPY 10,000,000,000 | -14,276 | 2019-07-11 | 2022-07-19 | KB | ||
JPY 400,000,000 | -426 | 2019-07-11 | 2022-07-19 | Citi | ||
JPY 통화스왑 합계 | JPY 30,000,000,000 | -42,683 | ||||
SGD 통화스왑 |
SGD 284,000,000 | 22,043 | 2020-06-19 | 2023-06-19 | DBS | 원화/외화 만기 원금교환 |
SGD 통화스왑 합계 | SGD 284,000,000 | 22,043 |
※ 공정가액 평가주체: 한국자산평가
※ 2034년 만기 통화스왑 USD 20,000,000 계약은 2024년 9월 7일 BOA ML이 계약중도 해제권리 보유
나. 파생상품 계약으로 발생한 손익 현황
회사는 환율 및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통화스왑, 이자율스왑등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위험회피목적의 파생상품계약에서 발생된 손익은 당기손익과기타포괄손익으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2년 6월말 파생상품 관련 손익 내역입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평가이익(IS) | 평가손실(IS) | 평가손익(BS) | 거래손익 |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
이자율스왑 | - | - | - | - | - | - |
통화 스왑 | - | 227,650 | - | 25,137 | -2,419 | - |
합계 | - | 227,650 | - | 25,137 | -2,419 | - |
한편 파생상품 계약을 통해 위험회피목적으로 환, 금리위험을 관리하고 있는 외화사채의 2022년 6월말 외화환산손익은 -2,084억원입니다.
다. 파생상품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예상 손익구조
파생상품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당사는 스왑은행에게 원화로 이자와 원금을 지급하고 스왑은행은 외화로 이자와 원금을 당사에 지급합니다. 당사는 스왑은행으로부터 외화로 지급 받은 이자와 원금을 채권자에게 지급합니다. 환율변동에 따라 파생상품거래손익과 사채상환손익이 발생하지만, 해당 손익은 상계됩니다.
종류 | 통화스왑 만료일 손익 |
환율 상승 | - 스왑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외화표시 이자 및 원금 환산 가치 증가 (파생상품거래이익) - 외화사채 이자 및 원금 환산가치 증가 (사채상환손실) |
환율 하락 | - 스왑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외화표시 이자 및 원금 환산 가치 감소 (파생상품거래손실) - 외화사채 이자 및 원금 환산가치 감소(사채상환이익) |
○ ㈜케이티샛
가. 시장위험관리
(1) 환, 금리위험 관리 현황
당사는 영업활동, 재무활동, 투자활동의 수행 중에 환율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화에서 발생하는 위험은 회사의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 내에서 위험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2) 위험관리 체계
회사의 재무정책은 중장기적으로 수립되며 이사회에 매년 보고되고 있습니다. 회사의 자금담당은 재무정책의 수행 및 지속적인 위험관리를 책임지고 있으며, 특정거래의 심각성 및 현재 위험노출금액 등을 주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자금담당은 효과적인 시장위험의 관리를 주요업무로 다루고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른 효과의 추정을 위해 여러 가지 시장상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나. 위험 노출 내역
(1) 위성 고장 위험
당사는 총 4기의 위성을 보유 운용 중에 있으며, 이러한 위성은 고장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위성 고장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위성궤도 보험을 들고 있습니다.
(2) 환위험 노출내역
[외화금융자산 및 부채] (단위: 백만원)
구분 | USD | EUR | 합계 |
외화 금융자산 | 6,013 | - | 6,013 |
외화 금융부채 | (2,973) | (14,688) | (17,661) |
순 외화자산 | 3,040 | (14,688) | (11,648) |
[외화금융자산(부채)의 원화기준 10% 절상(하)시 당기 손익에 미치는 영향
(단위: 백만원)
구분 | 원화기준 10% 절상시 | 원화기준 10% 절하시 |
세전순이익(손실) | (1,165) | 1,165 |
(3) 금리위험 노출내역
변동금리부 부채의 경우 금리상승 시 이자비용이 증가될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위험은 스왑을 통하여 헤지되었습니다.
다. 파생상품 거래현황
해당사항 없음
○ ㈜케이티에스테이트
가. 파생상품 거래현황
- 위험회피 목적 | (단위 : 백만원) |
종류 | 총 계약 금액 | 평가손익 | 계약일 | 만기일 | 거래기관 | 비고 |
이자율 스왑 | 70,000 | 995 | 2022.04.29 | 2025.04.29 | 신한은행 |
※ 공정가액 평가주체: 신한은행
나. 파생상품 계약으로 발생한 손익 현황
회사는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파생상품계약의 시가평가에서 발생된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2년 2분기말 파생상품 평가 손익 내역입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 거래이익(IS) | 거래손실(IS) | 평가이익(BS) | 평가손실(BS) | 비고 |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
이자율 스왑 | - | - | - | 995 | - | - | - |
다. 파생상품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예상 손익구조
파생상품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케이티에스테이트는 이자율스왑 거래은행에게 고정 이자율로 이자를 지급하고 거래은행은 변동 이자율로 케이티에스테이트에 지급합니다. 이자율 변동에 따라 파생상품평가손익이 발생하지만, 해당 손익은 상계됩니다.
구분 | 종류 | 만료일 손익 |
이자율 스왑 | 이자율 상승 | 거래은행에 지급하는 이자비용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평가이익 발생하나 만기 상환 시 해당 차익은 상계됨 |
이자율 하락 | 거래은행에 지급하는 이자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평가손실 발생 만기 상환 시 해당 차익은 상계됨 |
○ 케이티텔레캅㈜
가. 파생상품 거래현황
- 위험회피 목적 |
종류 | 총 계약 규모 | 평가손익 | 계약일 | 만기일 | 거래 기관 | 비고 |
통화스왑 | USD 25,917,926 | 66,291,907원 | 2019-11-06 | 2022-11-04 | 신한은행 | - |
통화스왑 | USD 8,910,000 | 144,236,289원 | 2020-12-28 | 2023-06-23 | 신한은행 | - |
통화스왑 | USD 4,470,000 | (50,652,187)원 | 2021-06-01 | 2024-05-27 | 신한은행 | - |
통화스왑 | EUR 7,700,000 | 337,055,785원 | 2021-12-06 | 2024-12-05 | 우리은행 |
※ 공정가액 평가주체: 신한은행, 우리은행
나. 파생상품 계약으로 발생한 손익 현황
회사는 환율 및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통화스왑(외화차입금)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위험회피 목적의 파생상품계약에서 발생된 손익은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당 분기 말 파생상품 평가 손익 내역입니다.
(단위: 원) |
구분 | 거래이익 (IS) |
거래손실 (IS) |
평가이익(IS) | 평가손실(IS) | 평가손익 (B/S)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통화스왑 | - | - | - | 4,349,815,951 | - | - | 496,931,793 |
다. 파생상품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예상 손익구조
파생상품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케이티텔레캅은 통화스왑 거래은행에게 원화로 원금을 지급하고 거래은행은 달러화로 원금을 케이티텔레캅에 지급합니다. 케이티텔레캅은 거래은행으로부터 달러화로 지급받은 원금을 차입은행에 지급합니다. 환율변동에 따라 파생상품거래손익과 차입금상환손익이 발생하지만, 해당 손익은 상계됩니다.
구분 | 종류 | 만료일 손익 |
통화스왑 | 환율 상승 | 거래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달러표시 원금 환산 가치 증가 (파생상품거래이익) |
외화차입금 원금 환산가치 증가 (차입금상환손실) | ||
환율 하락 | 거래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달러표시 원금 환산 가치 감소 (파생상품거래손실) | |
외화차입금 원금 환산가치 감소 (차입금상환이익) |
○ ㈜케이티엠앤에스
가. 파생상품 거래현황
- 위험회피 목적 | (단위: 백만원) |
종류 | 총 계약 규모 | 평가손익 | 계약일 | 만기일 | 거래 기관 | 비고 |
통화스왑 | $ 25,000,000 | 2,157 | 2020.03.13 | 2023.03.09 | 신한은행 | - |
통화스왑 | $ 13,000,000 | 2,183 | 2021.03.15 | 2023.03.10 | 신한은행 | - |
※ 공정가액 평가주체: 신한은행
나. 파생상품 계약으로 발생한 손익 현황
회사는 환율 및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2년 2분기말 파생상품 평가 손익 내역입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평가이익(IS) | 평가손실(IS) | 평가손익 (B/S) |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
통화스왑 | - | 4,301 | - | - | - |
다. 파생상품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예상 손익구조
파생상품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케이티엠앤에스는 통화스왑 거래은행에게 원화로 원금을 지급하고 통화스왑 거래은행은 달러화로 원금을 케이티엠앤에스에 지급합니다. 케이티엠앤에스는 통화스왑 거래은행으로부터 달러화로 지급 받은 원금을 차입은행에 지급합니다. 환율변동에 따라 파생상품거래손익과 차입금상환손익이 발생하지만, 해당 손익은 상계됩니다.
구분 | 종류 | 만료일 손익 |
통화스왑 | 환율 상승 | 스왑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달러표시 원금 환산 가치 증가 (파생상품거래이익) |
외화차입금 원금 환산가치 증가 (차입금상환손실) | ||
환율 하락 | 스왑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달러표시 원금 환산 가치 감소 (파생상품거래손실) | |
외화차입금 원금 환산가치 감소 (차입금상환이익) |
○ ㈜케이티디에스
가. 파생상품 거래현황
- 위험회피 목적 |
종류 | 총 계약 규모 | 평가손익 | 계약일 | 만기일 | 거래 기관 | 비고 |
통화스왑 | $ 20,000,000 | 1,848,635,760원 | 2021.08.26 | 2024.08.30 | 신한은행 | - |
※ 공정가액 평가주체: 신한은행
나. 파생상품 계약으로 발생한 손익 현황
회사는 환율 및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통화스왑(외화차입금)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파생상품계약의 시가평가에서 발생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2년 2분기말 파생상품 평가 손익 내역입니다.
구분 | 거래이익 (IS) |
거래손실 (IS) |
평가이익(IS) | 평가손실(IS) | 평가손익 (B/S)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통화스왑 | - | - | - | 1,848,635,760원 | - | - | - |
다. 파생상품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예상 손익구조
파생상품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케이티디에스는 통화스왑 거래은행에게 원화로 원금을 지급하고 거래은행은 달러화로 원금을 케이티디에스에 지급합니다. 케이디에스는거래은행으로부터 달러화로 지급 받은 원금을 차입은행에 지급합니다. 환율변동에 따라 파생상품거래손익과 차입금상환손익이 발생하지만, 해당 손익은 상계됩니다.
구분 | 종류 | 만료일 손익 |
통화스왑 | 환율 상승 | 거래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달러표시 원금 환산 가치 증가 (파생상품거래이익) |
외화차입금 원금 환산가치 증가 (차입금상환손실) | ||
환율 하락 | 거래은행으로부터 수취하는 달러표시 원금 환산 가치 감소 (파생상품거래손실) | |
외화차입금 원금 환산가치 감소 (차입금상환이익) |
6.1 경영상의 주요계약
○ ㈜케이티
㈜케이티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클라우드 및 IDC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별도법인 kt cloud를 신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kt cloud의 지분은 kt가 100% 보유하게 됩니다.
* 관련공시
2022.02.15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 지니뮤직
구분 | 체결시기 | 계약상대방 | 주요계약내용 | 계약금액 | 비고 |
주식매매 및 신주인수계약 |
2021.9.10 | 서영택 외 39명 및 ㈜밀리의서재 |
1) 계약목적: 사업경쟁력 강화 2) 거래방식: 구주 및 신주인수 3) 발행회사: ㈜밀리의서재 4) 주식수: 253,697주(지분율38.63%) 5) 대금지급방식: 현금지급 |
46,427백만원 | 주식 인수 완료 |
○ ㈜케이티알파(구 케이티하이텔㈜)
ㅇ 흡수합병
2020년 11월 30일 케이티하이텔은(주)는 계열회사인 (주)케이티엠하우스를 흡수합병 하기로 결정하고 합병계약서 승인을 이사회 의결하였습니다. 온라인 및 모바일 중심으로 급변하는 경영환경을 고려, 피합병회사인 (주)케이티엠하우스의 모바일쿠폰 사업 역량과 합병회사인 당사의 커머스사업 역량을 결집하여 상호 보완 및 시너지를 창출함으로써 온라인 및 모바일 사업 전체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변화하는 소비패턴에 대응하여 경쟁력 있는 광고 서비스 및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기업가치 향상과 주주가치를 제고하고자 본 합병을 결정하였고 2021년 7월 1일 합병을 완료하였으며 케이티하이텔은(주)와 (주)케이티엠하우스의 합병비율은 1 : 13.3042618 (보통주) 입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 공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공시 : 2020.11.30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
2021.03.26 증권신고서(합병)
2021.05.07 투자설명서
2021.07.02 증권발행실적보고서(합병등)
ㅇ 분할
2022년 4월 7일 당사는 당사의 사업 부문 중 ICT 부문 내 AI/DX 사업을 분할하여 신설회사를 설립하고 분할존속회사는 그외 사업부문을 수행함으로써 경영효율성 및 투명성을 극대화하고, 장기적 성장을 위한 사업구조 개선을 추진할 목적으로 물적분할을 진행하기로 이사회 결의하였습니다. 분할기일은 2022년 9월 1일이며 분할 후 분할존속회사는 상장법인으로 존속하고 신설회사는 비상장법인으로 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 공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공시 : 2022.04.07 주요사항보고서(회사분할결정)
2022.07.11 임시주주총회결과
○ ㈜케이티아이에스
가. 유형자산(부동산) 양도
케이티아이에스는 2021년 3월 12일, 자산운용 효율성 강화를 위해 이사회 결의로 유형자산(숭인빌딩)의 양도를 결정하였으며 양도예정일은 2021년 11월 30일입니다. 양수자는 ㈜케이리얼티임대주택제5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며, 양도가액은 71,500백만원입니다.
* 관련공시: 2021.03.12 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도결정)
2021.08.05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도결정)
2021.09.28.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도결정)
2021.11.30 합병등종료보고서(자산양수도)
나. 유형자산(부동산) 양수
회사는 2021년 3월 30일, 임차비용 절감 및 임대수익 창출을 위해 이사회 결의로 유형자산(강동그린타워) 양수를 결정하였으며 양수일은 2021년 6월 30일입니다. 양도자는 ㈜케이알제5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며, 양도가액은 85,000백만원입니다.
* 관련공시 : 2021.03.30 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수결정)
2021.06.30 합병등종료보고서(자산양수도)
○ ㈜케이티디에스
가. 타법인 주식 취득
ㅇ 계약상대방 : ㈜에이치엔씨네트워크
ㅇ 계약의 목적 및 내용
- 목적 : 사업 시너지 강화
- 내용 : ㈜에이치엔씨네트워크가 보유한 이니텍㈜ 주식 중 보통주 5,937,275주를 취득
ㅇ 거래일자 및 계약체결일
- 계약체결일 : 2021. 8. 19
- 거래일자 : 2021. 8. 19
ㅇ 취득금액: 44,886백만원
* 관련공시: 2021.08.25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주식의 취득
나. 특수관계인에 대한 영업양도
ㅇ 계약상대방 : ㈜케이티클라우드
ㅇ 계약의 목적 및 내용
- 목적 : 그룹지배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
- 내용 : ㈜케이티디에스의 Cloud사업 일부를 ㈜케이티클라우드에 양도
ㅇ 거래일자 및 계약체결일
- 계약체결일 : 2021. 4. 11
- 거래종결일 : 2022. 5. 31
- 거래금액 : 10,746백만원
* 관련공시 : 2021.04.13 "특수관계인에 대한 영업양도"
(정정공시) 2021.07.06 "특수관계인에 대한 영업양도"
○ 이니텍㈜
이니텍은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새로운 성장기반 마련을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하여, 2021년 9월 16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당사가 보유중인 ㈜스마트로 지분 50.2%(626,736주)를 비씨카드㈜에 2021년 12월 29일 96,841,993,248원에 매각 완료하였습니다..
* 관련공시 : 2021.12.29 합병등종료보고서 (자산양수도)
2021.12.29 주요사항보고서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양도결정)
2021.12.29 특수관계인에 대한 주식의 처분
○ 브이피㈜
2021년 12월 29일 브이피 주식회사는 KT 계열회사인 후후앤컴퍼니와 합병 계약을 체결하고 합병계약서 승인을 이사회 의결하였습니다. 합병을 통해 양사의 경영자원을 통합하여 사업 시너지 극대화와 경쟁력 강화로 회사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합니다.* 관련 공시: 2022.03.21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
○ ㈜케이티클라우드
그룹 내 클라우드 관련 역량 결집을 통한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식회사 케이티디에스의Cloud서비스 및 관련 인프라 공급 사업 관련 자산, 부채, 근로계약등을 영업 양수함. 양수일은2022년5월31일이고 양수가액은10,746백만원입니다.
* 관련공시
2022.07.28 [기재정정]특수관계인으로부터영업양수
6.2 연구개발 활동
※ 연결 기준 연구개발 비용
(단위: 백만원, %) |
과목 | 2022년 상반기 | 2021년 | 2020년 | |
원재료비 | - | - | - | |
인건비 | 39,019 | 83,774 | 82,225 | |
감가상각비 | 13,127 | 22,685 | 20,732 | |
위탁용역비 | - | - | - | |
기타 | 38,316 | 97,673 | 120,477 | |
연구개발비용 계(*1) | 94,678 | 213,969 | 230,473 | |
(정부보조금) | 4 | 8 | 211 | |
회계처리 | 판매비와관리비 | 79,296 | 168,969 | 156,940 |
개발비(무형상각) | 15,378 | 44,992 | 73,322 | |
연구개발비/매출액비율(*2)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0.63 | 0.68 | 0.66 |
(*1) 정부보조금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 총액
(*2) 정부보조금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및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비율 산정
○ 주식회사 케이티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융합기술원
KT R&D는 고객의 꿈을 창조하고 실현하는 회사의 성장 엔진으로서 상상력과 창의성 지향의 문화를 정착시키고, 현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및 사업 지원, 그리고 중장기 기술 발굴을 통하여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융합기술원 산하 인프라 DX연구소, 컨버전스연구소, AI2XL연구소, 기술경영담당으로 구성되어 전사 CTO 기능과 KT그룹 기술에 대한 Signpost 역할을 수행하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통하여 핵심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합니다.
kt 연구개발조직 |
[주요 임무]
○ 미래사업 및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확보
- 미래기술을 Leading할 수 있는 중장기 기술전략 수립
-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중장기 미래 핵심기술 개발 및 확보
○ Smart Connectivity 기반 시장과 고객을 만족시키는 NW Platformer
- Infra 경쟁력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효율화 및 최적화 기술 개발
- AI/SDN2.0 기반 Operation Excellence 실현 및 지능형 관제 운영체계 완성
- OSP 안정운용/양자암호 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 5G Access/Core망 및 5G Mobility 기술 연구 및 개발
- 5G 코어/무선/제어 지능화 기술 및 SW기반 인프라 구조혁신
○ 고객중심의 기술 차별화로 B2X 사업 혁신
- B2B 사업 혁신을 위한 차별화 Biz 솔루션/플랫폼 개발
- Industry Biz 혁신을 위한 Industry AI 핵심 기술/플랫폼/서비스 개발
○ AI Core 기술 기반 '혁신 파이프라인'을 통해 미래 성장엔진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Fast Delivery 실현
- 융복합 미래 성장엔진 발굴
- 1등 AI Core 기술 역량화
- 신성장 사업으로Fast Delivery
나. 연구개발 실적
※ 20201.1~2022.6.30 누적 실적 기준
구 분 | 연구개발 실적('20.1.1~'22.06.30)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인프라DX (Fixed&Mobile, Virtualization,Operation 등) |
차세대 우정 기반망 사업에 자동화·지능화 솔루션 적용 | T-SDN의 핵심 기술인 스케줄 기반 동적 대역폭 제어 기술 적용으로, 우편 물류 집중 기간 대량 트래픽 발생시 전송 대역폭을 늘려 즉각적 처리 가능 |
양자암호통신 표준화 기술 14개중 6개 개발 주도 |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기술과 표준의 국제적인 리더십 확보 언택트 시대의 필수 요소인 안전한 NW 환경 보장을 위한 양자암호통신 기술과 서비스 지속 개발 예정 |
|
기지국 원격관리 솔루션 '기지국 트윈(Twin)' 개발 | 원격 기지국 관리 기술, AI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최신 기술들을 5G 네트워크 운용 업무에 적극 적용 계획 | |
기가 와이(GiGA Wi) 출시 (GiGA Wi 인터넷단말 제어 기능개발) | 2022년까지 전체 인터넷 신규 가입자 중 기가와이 인터넷 가입자 비중을 50%까지 확대하고, 누적 가입자 100만 달성 계획 |
|
닥터코어 IP상용적용 | 품질 문제를 수 분 이내 탐지 가능하게 되어,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품질 개선 예상 '20.12월 이후 전국KT 기가인터넷 네트워크로 확대 적용 예정 |
|
전국기반 5G 융합서비스 테스트베드 구축 수주 | 중소벤처 기업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5G 산업 활성화에 기여 | |
수원시와 5G MEC 기반 공공 융복합 사업 협력 | 수원시 공공시설에 5G의 빠른 속도와 초저지연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얼굴인식, 발열 스크리닝, 자동출입기록 관리 등 비대면 방역 플랫폼 구축(46곳 예정) |
|
양자 기반 채널 자동 절체 복구 기술 개발 | 회선에 문제가 생겨도 서비스 중단 없이 백업회선에서 새로운 양자키를 만들어 보급하는 기술 개발. 양자암호 통신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회사와 협업 노력 |
|
와이파이 6E 무선 공유기 개발 | 와이파이 6E 규격을 따르고 노트북과 스마트폰에 2.88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차세대 와이파이 무선 공유기' 개발. 6E기술에 대한 검증을 진행한 뒤 상용 서비스 예정 |
|
KT-SKT V컬러링 공동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 V컬러링은 고객이 미리 설정한 영상을 본인(수신자)에게 전화한 상대방(발신자) 휴대전화에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보여주는 '영상 컬러링' 서비스. KT는 대상 단말을 지속해서 확대할 예정 |
|
28GHz 대역 '5G 시범망' 구축 광화문 사옥 중심 상용화 테스트 | KT-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화문 사옥 일대 28GHz 기지국 2~3개를 설치하고 옥외환경 위주 실증 진행. 광화문을 비롯해 수원, 대전, 대구, 세종 등 전국 5~6개 지역 시범 인프라 구축 및 상용화 준비 |
|
상하이 MWC 5G 진화백서 출간 | 세계TD-LTE통신사업자연합회(GTI) 회원사들과 5G의 미래상을 담은 '5G 진화를 위한 백서 (5G Evolution White Paper, 5G 진화 백서)'를 발간 |
|
KT-강원도청, 양자정보통신 등 디지털뉴딜 분야 협력을 위한 MOU체결 | 강원도청과 함께 디지털뉴딜 분야 중 양자정보통신 기술의 개발과 확산 보급, 인력양성에 이르는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하는 등 협력을 강화 |
|
KT-현대중공업, 조선업계 최초 양자암호통신 구축 | 현대중공업,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함께 현대중공업에 양자암호통신망 시범 구축 완료 | |
AI로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탐지 | 서울경찰청과 보이스피싱 예방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협약을 통해 서울경찰청은 보이스피싱 범죄유형, 신고번호, IP 등 수사로 확보한 정보를 KT에 제공하고, KT는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아직 경찰청 등에 신고되지 않은 보이스피싱 의심번호를 탐지하는 방안을 추진 |
|
QS-VPN '5G 모바일 양자폰' 기술 개발 | 양자암호통신 전용 단말 없이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하나로 양자암호통신을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QS-VPN' 앱을 실행하면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전 구간(E2E, End-to-End)에서 안전한 양자암호통신 환경 구현.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을 계기로 디지털 전환(DX) 시대에 고객이 안심하며 사용할 수 있는 양자보안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상용화할 계획 |
|
올레TV 등에 AI관제 시스템 구축 | 미디어 플랫폼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빠르게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미디어 플랫폼 인공지능(AI) 관제 시스템'을 구축. 올레tv와 기가지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즌(Seezn) 등 주요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에 적용. 국내 최초로 미디어 플랫폼 품질 관리에 AI 기술 적용하여 고객에게 더 안정적인 고품질 서비스 제공 |
|
국내 첫 5G통신 단독모드 상용화 | '21.7.15일부터 5G 단독모드(SA) 상용서비스 시작. 5G SA는 우선 삼성 갤럭시S20, S0+,S20울트라 등 3종의 단말에서 제공. SA는 5G망만 단독 사용해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
|
SDN 기술 양자암호 네트워크에 적용 완료 (Q-SDN) | 국내 최고수준의 IP/전송 등 SDN 자동화 경험 양자암호네트워크에도 적용하여, Q-SDN을 통해 중앙 집중적인 양자암호네트워크 통합 감시/제어 등 운영 자동화. 글로벌 표준(ETSI, ITU-T)과 국내 환경에 맞는 다기종 연동 TTA 고유표준까지 탑재하였으며, 뉴딜 2차 양자암호 네트워크 시범망 구축사업에 적용 예정 |
|
안랩 "양자난수생성기 암호모듈검증 국내 첫 획득" | 양자난수생성기(QRNG) 추가한 암호모듈로 '암호모듈검증' 국내 첫 획득. 안랩은 양자난수 생성 기능을 이용한 양자암호통신 기반 VPN(가상사설망)기술을 KT와 개발 중 |
|
KT, 글로벌 수상으로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력 입증 | 세계 초고속 무선사업자 협의체(Wireless Broadband Alliance)가 주관하는 '인더스트리 어워드 2021'에서 '최고 와이파이 네트워크 사업자상' 수상. 국내최초 와이파이6E 적용 무선공유기 개발 등의 성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향후에도 디지털혁신 서비스 개발 위해 앞선 네트워크 기술력 제공 위해 노력할 예정 |
|
"KT 마이오피스" 2 Factor인증 서비스 개발 및 상용 | 재택근무 솔루션인 'KT 마이오피스' 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SMS OTF를 통해 2차인증을 제공하는 2Factor 인증 서비스 개발 ('22.3월) |
|
Open RAN을 통한 멀티벤더 기지국 상호 연동 시험 성공 | KT가 일본 NTT도코모, 후지쯔와 Open RAN(개방형 무선접속망) 테스트베드를 구축. Open RAN은 다양한 제조사의 기지국 장비를 상호 연동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방형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로, 4G보다 더 많은 기지국 설치가 필요한 5G의 핵심 기술 중 하나임 | |
30km 장거리 프론트홀 상용망 검증 성공 | 기존 20km 프론트홀의 한계를 넘어 30km 검증. 프론트홀은 무선 기지국에 설치된 RU(Radio Unit)와 지역국사에 설치된 DU(Distributed Unit) 사이 구간. 즉, 중앙국사부터 기지국까지 직접 연결해 빠른 장애원인 분석과 조치 가능. LTE·5G 무선 네트워크 운용 효율성 증가 기대 | |
'양자암호통신 품질평가 기준' ITU 국제표준 승인으로 핵심 영역 경쟁력 강화 | '독자 개발 세계최초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기술 ITU-T 국제 표준 승인. 이전에는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이 없었으나, 고객 중심의 상용 서비스를 위한 객관적 서비스 평가 지표를 만들고 국제표준화 성공 | |
마이크로웨이브(MW) AI 관제 시스템 '닥터로렌 MW'업계 최초 상용화 | 닥터로렌 MW는 도서산간 등 통신 취약지역 케어를 위한 AI기반 네트워크 장애 원인 진단 및 조치사항 추천 시스템으로 장애시 즉시 복구. 더욱 고도화하여 네트워크 이상징후 예측, 시설점검 자동화까지 확대계획 | |
MWC 2022서 AI 기반 5G 운용 솔루션 '닥터와이즈' 선보여 | MWC 2022 부스에서 닥터와이즈로 5G 기지국과 장비의 품질 이상, 장애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빠른 조치 방법을 추천하는 과정을 전시. '21년 말부터 부산/경남 권역 전체 5G 기지국과 무선국사에 시범, 단계적으로 전국에 확대 적용할 계획 | |
KT, 서울-부산 구간 양자암호통신 구축…국내 최장 490㎞ | KT, 대한민국 국토 내 최장거리(490km) 구간 양자암호통신 구축. 서로 다른 국내외 4개 제조사의 장비 통해 구축한 양자암호통신 품질 평가. 양자 인터넷 구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위해 계속 노력할 예정 | |
NW AI 빠른 최적화 및 상용을 위한 Auto-Labeling 시스템 구축 | 네트워크 도메인 대상 AI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자동 축적할 수 있는 Labeling 자동화 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구축하여 NW AI 개발시간 단축 및 투입비용 절감이 예상되며 NW AI 全 분야에 적용할 계획 | |
기업전용5G '속도선택' 부가서비스 출시 | 기업전용 5G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B2B) 고객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더 빠른 속도 선택해 이용할 수 있는 기업전용 '속도 선택'부가서비스 출시 | |
KT·나스미디어 광고 플랫폼 혁신 위한 AI기술개발 MOU 체결 | KT AI 기술을 그룹사에 확대 적용하여 광고 사업 매출 향상에 기여. 광고 허수 유입량 검출 시스템, 실시간 광고 경매 입찰·낙찰 최적화 시스템, 광고 매체 효율성 예측·추천 시스템 등 7개 R&D 과제 공동 개발 | |
신한금융그룹과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범죄 예방 MOU 체결 | 불법사금융·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범죄 대응을 위한 금융기관과 디지털 기업의 전략적 협업. 금융사기대응시스템 고도화, 보이스피싱 탐지, App보안강화 등 다양한 기술개발 추진 | |
기업용 지능형관제 AiON 솔루션 시범 | 통신 DX를 선도하는 지능형관제 솔루션 AiON 개발을 완료하고, 서울 금천구 D빌딩에 시범서비스 수행. '아이온'은 기업특화망의 운영 및 관리 효율성을 높여주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핵심 구성 요소는 KT의 네트워크 인프라 운영을 통해 검증된 AI와 자동화(SDN) 기술임 | |
국내 최장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 확보 | 국내 통신사 중 최초로 국내 최장 거리인 1㎞ 구간에서 무선 양자암호 전송에 성공. 다양한 대기 조건과 초정밀 지향의 어려움 등으로 유선보다 기술 난도가 더 높은 무선 환경에서 이뤄짐 | |
AI2XL (Mobile, Home, XR, Media 등) |
AI 활용한 당뇨환자 식단관리 솔루션 개발 | KT의 AI 식단관리 솔루션(AI FoodTag)을 개발하여 강원 디지털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의료정보 기반의 당뇨관리 서비스 실증' 사업에 API 제공 지원 (관련 기관: 휴레이포지티브, 원주세브란스병원) |
용산구와 AI 기반 치매 돌봄 서비스 시행 | 용산구가 선정한 100명의 치매 어르신 중 50명에게 '114안부확인 서비스', 나머지 50명에게는 기가지니 1년간 제공 | |
올레TV(기가지니)에서 넷플릭스 서비스 제공 | 유료방송 1등 사업자라는 위치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UHD2, 기가지니2, 테이블TV 셋톱박스부터 적용, 이외 셋톱박스는 순차적으로 제공 확대 |
|
초등교육 전용관 '올레tv 홈스쿨' 론칭 | 1등 교육 업체(아이스크림에듀)의 교육 콘텐츠 입수/편성으로 IPTV이용률 증대 기대 홈스쿨 Pad 서비스 체험 및 상품 안내와 가입유도를 위한 체험관 제공 |
|
KT-현대로보틱스, 5G 스마트팩토리 산업용로봇 출시 | KT의 기업전용 5G와 클라우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현대로보틱스의 산업용 로봇과 연동한 서비스형 상품. AI·빅데이터·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사업 강화할 계획 |
|
TV Screen向 '보는 게임' 서비스 출시(뷰플레이) | TV 대화면을 통해 게임 관련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서비스 아프리카TV 협업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차별화된 콘텐츠 제공 예정 |
|
Seezn PC WEB서비스 출시 (베타) | PC에서 별도의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로 Seezn 서비스 제공 실시간 채널과 주문형 비디오(VOD)서비스를 제공하며 TV다시보기, 영화, 애니메이션, 스포츠, Seezn의 오리지널 콘텐츠 이용 가능 |
|
기가지니 테이블 TV2 단말 출시 | 전작 대비 화면이 11.6인치에서 13.3인치로 확대하여 AI 서비스 이용 경험을 개선하고, 일반 TV와 연결해 대화면으로 즐기는 것도 가능. 배터리 내장해 전원 없이 최대 1시간가량 이용 가능 |
|
기가지니 호텔 미니 단말 출시 | 기존 11.6인치 대비 7인치 LCD(터치 지원) 적용으로 화면 사이즈를 축소하고, 6W 스피커 적용으로 오디오 출력 축소하여 가격을 최적화하고, IR Blaster 4개 (전면 2, 측면 2) 탑재하여,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사용성을 개선하여 AI B2B분야 단말 라인업을 확장 |
|
KT-현대홈쇼핑 'AI콘택트센터' 구축 업무협약 체결 | AI 콘택트 센터는 음성인식, 음성합성, 텍스트 분석, 대화엔진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센터 전체 업무를 최적화하는 시스템. KT와 현대홈쇼핑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코로나 확산에 따른 고객센터 이용량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 콘택트 센터를 선제적으로 도입 계획 |
|
KT AI 산후조리원 구축 | 기가지니를 통한 TV, 커튼, 냉난방 등의 객실 시설 음성제어와 함께 컨시어지 서비스도 제공. AI 기술을 각 산업영역에 적용해, 고객의 니즈에 맞춘 차별화된 서비스와 편의성을 제공 |
|
KT-광주 서구청, 'AI 돌봄 서비스' 시범 | KT가 광주 서구청과 시작한 인공지능(AI) 취약계층 돌봄 서비스. KT 'AI 돌봄 서비스'는 AI 스피커 '기가지니'와 결합해 더 정교한 서비스로 고도화 |
|
기가지니 홈트레이닝 서비스 출시 | KT의 인공지능(AI) 플랫폼 기가지니에 '칼로리 태우기'를 비롯한 7,000여 개 홈트레이닝 운동 콘텐츠와 GX 프로그램, 스트레칭 프로그램 준비 |
|
노다멘 '우리집 갤러리' 첫 IPTV (기가지니) 출시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노다멘'이 KT 인공지능 스피커 '기가지니'를 통해 국내 첫 IPTV 비대면 미술전시 서비스 '우리집 갤러리' 출시. 우리집 갤러리 서비스 출시로 비대면으로 미술 작품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코로나19로 위축된 전시업계에 새로운 활로를 열어줄 전망 |
|
AI기술로 청각장애인 음성 복원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청각장애인에게 맞는 목소리를 찾아주는 프로젝트 진행. KT의 차별화된 인공지능(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ABC 기술을 활용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계획 |
|
'TV 채팅' 출시 | TV 프로그램을 보는 사람들과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을 할 수 있는 'TV채팅' 서비스 시작. TV채팅 서비스를 Seezn(시즌) 오리지널 콘텐츠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사의 프로그램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맞춤형 기업간거래(B2B) 형태로 제공하는 등 서비스 확대를 지속해 나갈 계획 |
|
올레 tv 탭 단말/서비스 출시 | IPTV와 LTE 태블릿 기능을 겸비한 '올레 tv 탭'을 출시. 삼성전자의 갤럭시탭 A7에 KT의 IPTV 플랫폼을 탑재한 국내 최초 유무선 컨버젼스 상품 |
|
대한연하장애학회와 사운드 AI 기반 공동연구 협력 | 대한연하장애학회와 손잡고 '사운드 AI(음향 인공지능)' 기술 활용한 연하장애(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기도에 걸리거나 잘 삼켜지지 않는 등 '삼킴 기능'의 이상을 보이는 증상) 스크리닝(선별) 및 재활 공동연구 협력 |
|
KT-아마존웹서비스 전략적 협력 계약(SCA) 체결 | KT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인공지능(AI)·클라우드·미디어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 B2C·B2B를 아우르는 AI 솔루션과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해 양사의 AI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계획 |
|
더 똑똑하고 편리해진 '기가지니3' 출시 | 듀얼 어쿠스틱 에코 캔슬러(Dual AEC) 기술을 적용해 TV와 기가지니 스피커에서 나오는 에코(소리울림)를 동시에 제거해 안정적으로 목소리를 알아듣게 하고, 최신 음성 전처리(음향신호를 받아 가공해 음성인식기에 전달하는 과정) 솔루션을 적용해 음성보다 소음이 더 큰 상황에서도 호출어를 훨씬 잘 인식할 수 있는 등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한 AI기기 출시 |
|
KT-㈜직방, 부동산 분야 AICC 사업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직방 전용 KT AICC 보이스봇 플랫폼 구축, KT AI 빅데이터 기술과 직방의 부동산 지식을 결합한 제휴 서비스 공동 개발 등의 협력을 진행할 예정 |
|
키즈랜드 5.0 영어놀이맵 세이펜 서비스 출시 | 올레 tv 키즈랜드의 사용자 경험 환경(UX/UI)을 전면 개편하고 사용 편리성을 대폭 높인 키즈랜드 5.0 출시. 세이펜으로 전용 영어놀이맵을 찍으면 영유아들도 쉽게 영어 콘텐츠 재생 가능. 키즈랜드의 차별화된 콘텐츠와 솔루션을 지속 확대할 계획 |
|
KT-아이지에이웍스 데이터 제휴 기술기반 제공 | KT, 아이지에이웍스와 미디어광고 산업 혁신 위한 협력을 통해, TV와 모바일 이종 영역 데이터 연계, 최적의 미디어 플래닝 등 새로운 방향 제시. KT AI 연구소가 개발한 TV와 모바일 간 근거리 매핑 기술과 익명화 기술을 활용하여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 예정 |
|
KT 올레 tv - K쇼핑, 새로운 연동형 T커머스 론칭 | KT가 'K쇼핑'을 운영하는 KT알파와 함께 중소PP와 협력하여 연동형 T커머스 제공(연동형T커머스란 방송 시청하면서 리모컨으로 노출 상품의 정보를 얻거나 상품을 구매하는 서비스). 이번 협력으로 IB스포츠 골프채널(ch55)에서 골프용품 판매 |
|
AI One Team '초거대 AI모델 구축'을 위한 협약 체결 | KT, ETRI, 카이스트, 한양대 AI OneTeam이 초거대 AI모델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 진행. 초거대 AI란 대용량의 연산이 가능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처럼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공지능을 의미. 2021년 말까지 1차로 초거대 AI의 학습을 완료, 2022년 상반기 내 초거대 AI 모델 상용화 계획 |
|
KT 100번 고객센터 AI 상담사(보이스봇) 전면 적용 | 국내 최대 통신 컨텍센터에 차별화된 KT 내재화 기술(STT/TTS/대화/TA/화자인증) 기반 AI 가상 상담사의 적용으로, AICC 기술의 리딩 및 B2B 사업 확장을 위한 Reference 확보 |
|
금융/지자체 AICC B2B/G 사업 수주를 위한 AICC 기술 개발 | NH투자증권, 신한생명, 백신 접종 확인 AICC 등 금융/지자체 대상 AICC 기술 개발로, AICC B2B/G 사업화 | |
AIㆍSW 교육 플랫폼 'KT AI 코딩블록' 대규모 개편 | KT AI코딩블록 대규모 업데이트 (데이터 사이언스 및 AI 모델 학습 기능 강화, KT 코딩교육 캐릭터 '코디니' 적용, 플랫폼 내부구조 개편, AI 비서 기능 확대, 반응형 UI 적용) |
|
Amazon Dual agent platform 개발 | 아마존의 AI음성인식 동맹 ‘음성상호운용 이니셔티브(VII)’ 가입 및 지속적 인공지능 기술 개발 협력. 기가지니3 향 Dual Agent Platform 개발 |
|
KT, KSPO-아프리카TV와 '스포츠 코칭 스튜디오' 구축 | XR(혼합현실)에 기반을 둔 실감 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스포츠 코칭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스포츠 코칭 스튜디오' 구축. 비대면 스튜디오 구축을 계기로 올해부터 다양한 비대면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 |
|
KT-광명시청, '디지털 힐링' 프로그램 협력 | KT ESG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들을 위한 디지털 힐링 공간 조성으로 MZ세대 청소년들의 트랜드를 반영한 'K-POP댄스' 실내 스포츠 서비스 개발 및 구축, 더불어 수어(수화)의 진입장벽 해소를 위한 수어 통역기, AI 로봇, VR 심리상담 등 체험을 통한 디지털 사회 안전망 구축 K-POP 댄스 서비스는 ‘22년 상반기 ‘Real Dance’라는 서비스로 상용 출시 예정 |
|
바리스타 로봇 영상 AI솔루션 상용화 | 바리스타 로봇 무인운영을 위한 이상상황 감지, 사람군집 검출 AI엔진 개발 및 상용적용, 향후 딜리버리 로봇, 방역로봇과 같이 KT로봇 사업에 영상분석 AI솔루션 적용을 확대할 계획 ※국내 상용적용 사이트: 국내 1호 바리스타 로봇 바바라코코 청주점, KT송파사옥 |
|
"AI가 알려주는 K팝 댄스"- MWC서 '리얼댄스' 공개 | 댄스 안무를 보면서 따라 추면 AI가 피드백을 주는 "KT Real Dance 서비스". AI 분석을 통해 동작의 유사도 및 신체 부위별 운동량 예측. 영상 기반의 AI/XR 기술을 활용, 교육/엔터테인먼트 분야를 시작으로 메타버스 시대 리딩 | |
GTC 2022에서 새로운 초거대 AI 언어모델 기능 공개 | 엔비디아社 GTC2022에서 새로운 초거대 AI 언어모델 기능 공개(인코더-디코더 아키텍처). 사람이 하는 언어를 이해하고 데이터를 토대로 언어 생성 가능. 300억 개 파라미터로 학습 중이며, 2000억 개로 늘릴 예정 | |
AI 기술로 루게릭병 환우 목소리 복원 | 루게릭병 환우를 위한 비영리재단법인 승일희망재단과 협력해 점차 목소리를 잃어가고 있는 루게릭병 환우 8명의 목소리를 복원. 모바일 앱 '마음톡(TALK)'을 통해 이 목소리를 일상에서 활용하도록 무상 지원 | |
중증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케어서비스 보급 |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10여 곳에 AI 스피커와 IoT 기기를 연동해 중증장애인의 생활 공간을 스마트홈으로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365일 24시간 AI 케어서비스를 무상 제공 | |
메타버스 플랫폼 "지니버스" 공개 | '지니버스'는 KT의 대표적인 브랜드인 '지니'와 '메타버스'를 합성한 용어로, 홈트윈 기반의 나의 삶과 가장 닮은 메타버스 플랫폼이 될 예정 | |
AI 연구개발 포털 'Genie Labs'(지니랩스) 오픈 | AI 스타트업과 협업을 위한 개방형 AI 연구포탈 'Genie Labs' 오픈 | |
KAIST와 'AI 공동연구센터' 개소 | KAIST-KT 공동연구센터 Co-workspace 및 GPU Farm 오픈, 1차 연구과제 성과분석 및 2차 연구과제 선정을 위한 공동워크샵 개최 | |
컨버전스 (물류, Edu, Energy, Mobility, Security 등) |
K-드론시스템 기술 시연 | 다양한 K-드론시스템 구축·실증 사업 참여로 미래 UAM 관제 기술 기반 확보 ('20.4 GS칼텍스 인천항 물류센터 실증,'20.6 영월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안전성 시연,'20.11 드론 택시 한강 시연) |
기가아이즈, 전국 매장 CCTV등 한눈에(멀티뷰 출시, '20.6) POS뷰 ('20.9), 금고뷰 ('20.10), KT-KTT 그룹공동상품('20.11) 출시 |
다수의 매장을 보유한 프랜차이즈 본사나 점주들의 매장 관리 효율성이 한층 향상될 것으로 기대 단순 CCTV 영상 보안이 아닌 매장/고객 생활 친화적인 차별화 서비스로 영상보안시장 리딩 |
|
KT, GS리테일과 AI 플랫폼 통한 디지털 물류혁신 협력 | AI에 기반을 둔 운송 최적화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물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위한 AI?빅데이터 활용, 친환경 물류 시장 선도를 목표로 EV 기반 모빌리티 협력 및 물류와 모빌리티를 융합한 미래 신성장 사업영역까지 사업협력 본격화 |
|
제주도에 스마트디지털 도로 구축(C-ITS) | C-ITS를 통해 구축된 '디지털 도로'는 향후 도래할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기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
온라인 교육 플랫폼 '랜선에듀' 중소학원 서비스 오픈 | 온라인 교육 플랫폼 'KT 랜선에듀(구 KT 에듀)' 중소학원 전용 서비스 론칭. KT 랜선에듀는 학생 출결관리 시스템, 온라인 화상 서비스 등 파편화된 개별 서비스들을 통합 플랫폼으로 제공하고 학원 현장에 특화된 서비스들을 추가할 예정 |
|
㈜엘디티-KT, 청주시 10개 전통시장에 IoT 화재감지시스템 설치 | ㈜엘디티-KT와 함께 충북 청주시 10개 전통시장에 화재알림시설 설치(800여 점포). 청주시 전통시장 대형화재를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의 일환으로 진행 |
|
에너지 절감 'AI 엔진' 개발 및 공익성 높은 건물에 무료 제공 | '20년도에 AI를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1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AI 엔진 '로보오퍼레이터' 개발 및 상용화해 국내 빌딩 곳곳의 온실가스 저감을 도울 예정. 공익성 높은 건물에는 AI 솔루션 무료로 제공 |
|
KT-존슨콘트롤즈, AI플랫폼 기반 융복합기술 및 소방산업 DX화 사업협력 | KT와 존슨콘트롤즈코리아는, 소방분야의 지능화 및 디지털화, 건물통합안전관리, 양사간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융복합 기술 사업 협력, AI 기반의 소방안전 플랫폼 개발, 비화재보(화재가 아닌 상황에서 경보가 울리는 것) 연구 등을 함께 추진할 예정 |
|
K-드론시스템 실증 지원 사업 '공항분야' 선정('21.6) 및 UTM 기술 기반 실증 | 국토교통부 지원 사업인 'K-드론시스템 실증 지원 사업' 공항분야 수행 사업자로 선정. 미래 모빌리티와 관련된 여러 Use Case 실증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을 추진할 계획('21.11 인천공항 유인기 관제시스템 UTM(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 관제연동 및 UAM(Urban Air Mobility) 시연 | |
K-드론시스템 실증 지원 사업 '공항 특수시설 분야' 선정('22.4) | 국토교통부 지원 사업인 'K-드론시스템 실증 지원 사업' 공항 특수시설 분야 수행 사업자로 선정. 육군본부 항공사령부와 실증 사업 추진, 서로 다른 공역에서 비행하는 군용 헬기과 드론의 통합 교통관리 실증 추진 | |
KT, AI 기반 Smart Cooling 기술인 Air Neuron개발로 IDC ESG 선도 | '20년 KT는 IDC 항온항습 정밀 제어 및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AI 기반 Smart Cooling 기술인 Air Neuron을 개발하여 '21년 KT 목동IDC2센터에 시범 적용. '22년 KT 전IDC 확대 적용 계획 | |
3D LiDAR 기반 Virtual Fence 개발로 산업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강화 | 산업현장에 최적 설계된 LiDAR H/W와 객체인식 AI 기술을 결합한 Virtual Fence기술을 개발하여 기아차, 두산중공업 대상 시범 적용 및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차별적 솔루션 확보 |
|
World IT Show 2021 C-ITS 전시 출품(4월. 디지코 KT, '월드 IT 쇼 2021'서 차세대 C-ITS AI 영상분석 소개) | 영상분석AI 가 도로에 적용되었을 때 달라지는 교통경험을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C-ITS' 기술로 소개, 지자체 (울산, 광양 등) ITS/C-ITS 사업 수주 협력 | |
World IT Show 2022 ITS 전시 출품(4월) | AI영상 분석 및 교통 트윈기술 전시 | |
SSME 2021 UTM 미래관제 기술로 전시 행사 참여 (6월. 미래모빌리티 솔루션 전시 체험) |
드론택시와 같은 미래 항공 모빌리티 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을 관제하는 '무인 비행체 교통관리(UTM, 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 플랫폼 소개 Sales 시연 |
|
KT 자체 솔루션기반 공공 DaaS 상품화 추진 | KT 보유 솔루션(K-VDI) 기반 공공 DaaS 상품 출시 및 보안인증 획득 추진 | |
KT-디지털대성, '대치 in live' 론칭 | 국내 대표 교육기업 '디지털 대성'과의 협력을 통해 KT 랜선에듀를 활용한 대규모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서비스 '대치 in live' 제공. KT는 '대치 in live'를 통해 강사와 학생들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양방향으로 소통하며 실제 오프라인과 유사한 수업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KT가 개발한 수업 전용 화상 솔루션을 적용 |
|
소방시설안전·옥상비상문안전 출시 | 소방시설안전ㆍ옥상비상문안전 서비스 출시. 세이프메이트의 화재예방에 이어 '종합소방안전플랫폼' 물류센터 적용 논의.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쾌적하게 지내도록 생활환경 디지털혁신 가속화 예정 |
|
KT 로드아이즈, 지능형 교통체계 기본성능평가 '최상급' 획득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지능형 교통체계(ITS) 차량검지기 분야 기본성능평가에서 '최상급' 평가. 분석 대상이 겹쳐 있어도 분리 식별이 가능해 인식률이 높고 가로등 조명이나 차량 전조등, 악천후, 안개 및 스모그 환경에서도 교통량과 속도 측정 정확도가 98%. 울산 차세대지능형교통시스템(C-ITS) 사업에 로드아이즈를 상용화하고, 광양, 성남시의 관련 사업에도 적용할 계획 | |
서빙로봇에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 | '서빙', '퇴식', '순회' 등에 대해 음성 만으로도 KT 서빙로봇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로 로봇사업의 차별화 서비스 제공 |
|
케어로봇 '다솜이' 음성AI inside 서비스 상용 | 실버 대상으로 음성으로 복약 시간을 알려주거나 말벗이 가능한 음성인식 가능한 ‘다소미’ 케어로봇 상용 출시로 기기제어에 익숙하지 않은 실버 계층도 AI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대국민 서비스 확대 기여 |
|
Cloud x AI 콜라보 사업을 위한 SaaS形, PaaS形 Cloud AI API 상용 | KT 기가지니 음성인식, 음성합성AI API를 Cloud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지니 Dictation', '지니 Voice', '지니 Custom Voice'상용 출시를 통해 AI 기술력이 없는 기업이나 학교에서도 kt cloud와 AI의 장점을 이용 가능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
금융/회계 분야 웹케시의 'ask avatar' 음성AI inside 상용 출시 | 간단한 음성인식만으로도 웹케시社의 금융/회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음성 AI inside 기반 'ask avatar' B2B 서비스 상용 출시로 금융/회계 분야로 음성 AI 확대 기반 마련 |
|
'AI One Team' KT-LG전자 Dual AI 시범 사업 | 홈에서 이용할 수 있는 LG 전자 스마트미러 단말에 KT의 기가지니와 LG전자의 ThinQ AI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Dual AI 시범사업 출시 |
|
벤츠 차량에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 | 벤츠 차량에서도 KT의 기가지니 음성 AI, 지니뮤직 등을 이용할 수 있는 KT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로 차량에서 KT의 우수한 음성 AI 서비스와 KT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
코맥스 스마트미러 단말에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 | 홈영역의 월패드 기능이 가능한 코맥스 스마트미러 단말에 KT 기가지니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로 홈영역에서 KT와 상생할 수 있는 협력사 단말 확대 가능 |
|
기가지니 App에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 | 기가지니 단말/서비스 설정이 가능한 기가지니 App에 음성으로 채팅, 날씨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로 기가지니 App의 편의성 향상 |
|
'kt홈스쿨 x 홈런' ('KT홈스쿨')App에 음성 AI inside 상용 출시 | KT 음성 AI inside 기술을 결합해 'KT 홈스쿨'의 'AI 튜터(아이뚜루)'를 통해 학습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아이들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양방향 코칭을 제공하여 초등 교육에 KT 음성 AI 서비스 제공 |
|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지능원)의 디지털정보 접근성 개선 사업에 음성 AI inside 시범/실증 사업 |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지능원) 주관으로 고령자/장애인 등의 정보취약계층의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한 디지털 정보 접근성 개선 시범사업으로 미사도서관의 키오스크단말(CI Tech社)에 '메뉴 확인' 및 '주문' 서비스 등을 위한 KT 음성 AI 서비스 제공 |
|
'AI 빌딩 오퍼레이터' 녹색기술인증 획득 | 빌딩(오피스, 쇼핑몰 등) 에너지 17% 이상 절감, 설비 최적제어(33개 항목)성능 및 신뢰성 검증을 통해 `22년 1월 20일 녹색기술 인증 획득 | |
[MWC 22] AI 기반 '트래픽 디지털 트윈 및 영상 기술' 선보인 KT | 기존에 지자체/경찰청 등 경험과 인력에 의존했던 교통 신호운영 방식을 "이제는 AI로 해결할 수 있는 지능형교통솔루션"을 확보하였고 상용화 된다면 연료비 절감, (배기가스 감축 등) 탄소배출 절감, 운전자 시간 절감 등 연간 67조 사회적 비용 절감 가능 CCTV기반의 교통/돌발/위험 상황 AI 영상 분석 서비스 소개 |
|
인천교통공사 로봇역무원 시범 운영에 KT 인공지능 적용 | 인천교통공사는 비대면 서비스 로봇 시범 운영을 실시하며, 시범 운영되는 서비스 로봇에 KT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능 탑재 | |
KT, 코딩블록으로 AI·IoT·로봇 융합 교육 제공 | AI 코딩블록 IoT 키트는 AI 제어 스마트 하우스, AI 팩토리, AI 비서로봇 등 다양한 기기들을 직접 제작하고 작동. 전국 112개 지역에서 AI 코딩블록 IoT 키트 활용 오프라인 교육을 진행 | |
울산에 스마트디지털 도로 구축(C-ITS) | 2020년 제주특별자치도 C-ITS 실증사업을 완료한 데 이어 2022년 울산광역시에 C-ITS 구축완료. 광양시와 성남시에도 적용 될 계획 | |
타타대우대상 원격 차량 관리·진단 서비스 제공 | 타타대우 상용차 대상 원격으로 관리하고 운행 정보를 확인해 차량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상용차용 커넥티드카 솔루션 '쎈링크'(XENLINK)와 내비게이션 서비스 공급 | |
AI기반 건물설비 최적제어 기술, 녹색기술인증에 이어 신기술 인증도 획득 | 건물가상모델 Digital Twin 기반 기술 우수성 확인, 상용화 수준의 제품성 및 경제성 확보로 `22년 5월18일 신기술 인증 획득 | |
KT 랜선야학, AI 코딩 수업 신설 | KT-서울시교육청, 비대면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에 AI 코딩교육 과정 신설. 20년 첫 시행 후 전국단위로 확산되어, 1700명의 학생들이 3만 3천여 시간 멘토링. 교육DX 사업 확대해 대한민국 미래세대 디지털 경쟁력 강화와 격차 해소 앞장설 계획 | |
'아이스크림에듀社'의 '홈런북' 단말에 KT 음성 AI-inside 상용 출시 | KT 음성 AI inside 기술을 결합해 '아이스트림에듀社'의 '홈런북' 단말에 'AI 튜터' 전용으로 학습현황/학습퀴즈/컨텐츠 재생 등 음성 AI서비스와 날씨, 날짜/시간, 위키피디아, 환율, 지식QA 등 음성 AI 서비스 제공 | |
Android TV기반 '기가지니A' 단말 상용 출시 | '기가지니 A' 단말 출시를 통해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인기 OTT 서비스에 대한 고객니즈를 신속하게 수용하여, 1등 미디어 사업자 입지를 한층 강화하였음. 또한, SW방식 기가지니 음성인식 적용을 통해 글로벌 반도체 수급이슈를 해소하는 등 안정적인 단말 수급환경을 구축하였음 | |
'기가지니3 단말의 Android TV전환' 상용 출시 |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SW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기존 기가지니3 단말 고객이 쉽게 Android TV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기존 고객도 구글앱 및 인기 OTT 서비스를 확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 향후 Android TV기반으로 단말 플랫폼을 일원화하여 사업효율을 극대화해 나갈 계획임 | |
랜선에듀On 서비스 기반 B2B 전용상품화 (상품명: 랜선 미츠) | SaaS 형 온라인 교육 플랫폼 'KT 랜선에듀On' 서비스를 B2B 고객 대상 확대하여 서비스 신규 출시. B2B 대상 구독형 실시간 화상 수업, 학생/강사 관리자 페이지, 학습 로그 확인 등 통합적으로 제공가능한 원스톱 온라인 교육 플랫폼 | |
교육부 "K-Edu 통합플랫폼 ISMP" 사업 수주 | 교육부 국가단위 개방형 교수학습플랫폼 설계(ISMP) 사업 수주. 공교육의 통합교육환경 및 AI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예정 | |
신한라이프 화상상담(보이는 상담) 상용화 | 신한라이프 상담사 및 전국 FC 대상(총 148개 지점) 상용 오픈. AICC 연계 고객 DX 기반 토탈 솔루션 패키징 가능으로 금융권/CC 대상 경쟁력 강화 | |
음향 및 위치 검출 기술 글로벌 챌린지(DCASE2022) 참가로 KT Sound AI 기술력 인정 및 상위권 랭크 | DCASE는 IEEE주관 음향분야 국제 챌린지로 KT는 멀티마이크(4ch)로 13개의 음향 이벤트(비명, 깨짐, 기침 등)의 발생 여부와 그 방향을 구분하는 Task 3에 참여하여 최종 6위의 성적으로 KT AI 기술력 입증, 향후 방범 로봇에 이상/위험 음향 검출 기술이 적용될 계획 | |
AI(Media, Mobile, Home, AIT 등) -미디어플랫폼사업본부 |
'올레 tv play' 서비스 고도화 버전 상용 출시 | 콘텐츠/월정액 이용권 사용을 통해 앱 내 콘텐츠 구매 방식의 다양화로 사용성 증대 및 마케팅에 적극 활용 예정 |
'올레 tv' 헤드엔드서버 플랫폼 고도화버전 상용 적용 | 올레tv UX/상품/결제수단 제공을 위한 API 서버 개발로 신규 UX 등 이용자의 사용성 증대 기여 |
○ ㈜케이티알파(구 케이티하이텔㈜)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부문 | 본부 | 팀 |
전사 | - | 연구개발팀 |
나. 연구개발 실적
ㅇ 빅데이터솔루션(데이지) 개발 :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으로써 olleh tv 시청률 분석, 홈쇼핑 시청패턴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및 상용화 완료 후 업그레이드 개발 지속
ㅇ CS솔루션 개발 : 빅데이터솔루션(데이지)에 A.I.기술을 접목하여 비정형 데이터인 고객 VOC를 분석하는 CS 특화 솔루션으로 상용화 완료 및 지속 기능 추가
ㅇ 불완전판매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 : 비대면 녹취시스템을 통해 유입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완전 판매 모니터링 솔루션 상용화 완료. 금융권 대상 상용적용.
ㅇ 주소자동변환 솔루션 개발 : 고객이 녹음한 주소를(배송지) AI기반으로 물류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는 주소로 자동변환하는 솔루션. 상용화 완료
ㅇ 추천솔루션개발 : 고객경험(CX)에 기반한 상품 추천 솔루션. 상용화 완료
○ ㈜지니뮤직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지니뮤직은 최상의 디지털 음원 서비스 제공과 안정적인 플랫폼 운영을 위하여 디지털 스트리밍 기술 등 음원 서비스 제공 전반에 걸친 기술 개발 수행과 관련 개발인력 확대 및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조직
(1) 연구개발 조직 개요
지니뮤직의 개발조직은 1개 본부 및 2개 팀, 1개 센터 및 5개 그룹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디지털 음원서비스 제공 등에 필요한 기술개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조직구성](기준일 2022.6.30)
연구개발조직명 | 팀명 | 주요 업무 | |
플랫폼 기술본부 |
플랫폼 기술본부 직속 |
IT기획팀 | IT기획,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용 등 |
정보보호팀 | 정보보호 기획,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운용, 개인정보 관리 등 | ||
플랫폼 개발센터 |
서비스1그룹 | 지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신규 개발 및 유지보수 | |
서비스2그룹 | 지니 서비스 API, 웹 신규 개발 및 유지보수 | ||
서비스3그룹 | STAYG(온라인 공연 플랫폼)개발/유지보수 및 온라인 공연 운영 | ||
백앤드그룹 | 지니뮤직 백오피스 개발/유지보수 및 운영 | ||
아키텍쳐그룹 | 검색/추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운용 |
(2) 연구개발 조직도(기준일2022.6.30)
연구개발 조직도 |
다. 연구개발 실적
구분 | 상용시기 | 주요 서비스 개발 세부 내용 |
genie app (Android, iOS) |
2020년 | 큐레이션 음악서비스(For You) 신설, 광학문자인식(OCR) 기능 적용, 지니TV 서비스 고도화, 뮤직허그 UI/플레이어UI 개선, 애플로그인 기능 적용, 데이터세이프 요금제 적용, 플레이리스트 공유 기능 적용, 데이터/WIFI 음질 설정 기능 적용, 지니 App 5.0 리브랜딩, 큐레이션 음악서비스(For You) 마이컬러 추천 서비스 적용, 플레이리스트 개선 등 |
2021년 | 애플워치 단독재생 기능 적용, 내음악/플레이리스트 UI/UX 개발, 큐레이션 음원서비스 (For You) 개편디자인 적용, 홈화면 개선, 검색중복곡 노출 개선, App 플레이어 품질개선(Quick Player 지원), 큐레이션 음악서비스(For You) 컬러 추가, App 회원탈퇴 프로세스 적용,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스토리G) 런칭 등 |
|
2022년 | 검색 탭/ 라디오 서비스 개편, 큐레이션 음악서비스(For You) 추천 기능 고도화 등 |
○ 케이티텔레캅㈜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케이티텔레캅은 서비스DX연구소를 설치하여 솔루션/플랫폼 개발 및 IT시스템 지원/구축 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실적
연도 | 프로젝트명(연구개발명) | 기대효과 |
2019 | All-In-1 ↔ GiGAeyes Pro 연동 | 영상저장/모니터링(VMS), 지능형 영상분석(VA), Customizing(3rd Party)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대학교/공동주택/공장 등 중대형 고객 이상에게 서비스를 패키징化하여 제공 |
KTT-KT 기가아이즈 공동상품 프로젝트 | 그룹 공동 상품 출시를 위한 영업전산 및 기타 시스템 (모바일app, 온라인 가입센터 통합 등) 개발 | |
홍채 리더 개발 | 생체인증 기술 중 보안성, 정확성 뛰어난 홍채리더 개발 (출입, 방범, 근태, 식수 서비스 제공) | |
All-In-1 고도화 개발 (1단계) | 주 52시간 복무관리, 모바일 알림톡, 영상 연동 기능 개발 | |
2020 | 원격지 IP카메라 연동기능 개발 | DDNS 서버 연동을 통한 원격지 IP카메라-녹화기 연동 기능 개발 |
All-In-1 고도화 개발 (2단계) | 외부 ERP 추가 연동 및 근태기능 개발, 기타기능 업그레이드 | |
All-In-1 알림톡 Cloud 구축 | 무인 PC방 서비스 출시를 위한 All-In-1 알림톡 Cloud 구축 완료 - 모바일 알림톡 발송 시스템 구축(WEB, WAS, DB) |
|
Dual LTE 무선통신장치 개발 | 통신안정성 확보를 위한 Dual 통신 장치 개발 - 주장치 연동 개발 - HW, SW 개발(PCB/LED 구현 및 관제, DMS 연동) 및 KC인증 완료 |
|
홍채인식 리더-열화상카메라 개발 | 홍채인식리더-열화상 카메라 연동 개발 - 이상온도 감지시 알람 발생 및 식수모드 추가 개발 - All-in-1 연동 개발 (홍채인식리더 기준 온도 제어, 식수제어 등) |
|
온/습도 알람 솔루션 개발 및 시범운영 | 온/습도 알람 서비스 개발 및 구축 - IP-GW401 (온/습도센서 연동 개발) - 구축형 SW 주장치 (온/습도 신호 처리를 위한 연동 개발) - All-in-1 연동 개발 (알림톡, 온/습도 상황 모니터링) |
|
구축형 인공지능 보안관제 플랫폼 개발 및 PoC 운영 | 구축형 S/W 주장차에 감지신호 침입이벤트에 대해 실경보 예측율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연산처리 시스템 개발 | |
KTT CMS PRO(영상모니터링시스템) 개발 | 영상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장치등록 및 동시 모니터링 카메라 채널수(max 256ch.) 확장 개발 - H.265 영상표출 및 녹화기능 개발, UI/UX 개발 |
|
2021 | 금융권 보안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A-IPC 고도화 개발 | A-IPC 주장치 기능 고도화 개발 - 분전반 제어장치 1종, 프린터 1종 H/W개발 - 안내방송을 위한 음성송출장치 연동개발 |
All In 1 고도화 개발(V3.0) | 고객 편의 기능 개선 개발 - 근태처리 고객편의 기능 추가, 원격지 클라이언트 관리 기능 연동 단말 추가 개발 - 홍채리더 열화상 캠 연동, 무인PC방용 QR리더 연동개발 등 |
|
신규얼굴인식리더 (Nova Face) All In 1 연동개발 |
All In 1 연동 개발 - 사용자 등록 및 인증 - 체온 체크, 마스크 미착용자 출입제한 및 이력관리 |
|
IP-GW 고도화 및 확장기 3종 개발 |
IP-GW401 고도화 개발 - 방범(경계/해제) 및 전등 스케줄 제어 기능 - 확장기 3종 연동 및 존 딜레이 기능 485 통신 확장기 3종(유선센서확장기, 음성송출장치, 설비제어) 개발 - H/W 개발 및 KC 인증, IP-GW401 연동기능 |
|
무인PC방 알림톡 발송시스템 서비스 고도화 |
심야시간 출입자 인증정보 중앙관제 연동개발 - 알림톡 발송시스템과 중앙관제 API 개발을 통한 출입자 정보 연계 |
|
로컬 영상장치 정보보안 개선 개발 |
영상장비 정보보안 강화를 위한 3단계 자동화 프로세스 개발 - 장비초기화, 자동 장치등록, OTP 인증 |
|
All In 1 고도화 개발(V3.1) | 고객/운영 편의기능 개선개발 - 클라이언트 마스킹 On/Off 설정기능, DB 백업/복원 경로변경 처리 연동 단말 추가 개발 - 신규 얼굴인식리더(Nova Face), 신규 지문인식리더(IF-2000R) 연동개발 |
|
GiGAeyes i-pass 출입리더 개발 | SW주장치 연동 개발 및 UI/UX 변경 개발 | |
2022 | 무인매장용 QR리더(IR-2100B) QR발급서버 개발 | QR발급서버 개발 - QR발급, 인증이력, 이력확인 서버 QR리더 개발연동 - QR코드/카드인증, 경계/해제, DMS 연동 |
A-IPC 금융버전과 홍채리더 연동개발 | A-IPC 주장치와 홍채리더 간 연동개발 - 금융기능 : A-IPC 통신연동, 스케쥴 경/해제 기능, 자동경계시스템 연동 |
○ ㈜나스미디어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은 애드테크실 내 3개 팀과 모바일테크실 내 2개 팀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나스미디어의 R&D는 광고효과 분석 및 다양한 광고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광고시장의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타사대비 차별화된 역량 보유와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실적
연구개발 과제 | 내용 | 기대효과 | 비고 | 연도 |
ReMix 고도화 동영상 효과 솔루션 고도화 |
동영상 캠페인의 통합 노출 효과 분석 | 온라인 예산 분배에 따른 tv대비 효과측정, 온라인 동영상 캠페인 미디어 믹스 평가 |
개발완료 | 2020 |
ADFork고도화 (애드포크) 페이스북 광고 운영솔루션 고도화 |
맞춤 타겟 오디언스를 이어 유사 타겟 오디언스까지 제공 | 확장된 타겟을 대상으로 광고 집행이 가능 | 개발완료 | 2020 |
나스TV애드 디지털 방송광고 플랫폼 개발 |
매체비 배분, 매체별 소재조회 및 차단 기능 | 다양한 유형의 TV광고 재원을 등록 판매할 수 있는 기본구조 마련 (효율적인 광고판매 시스템) IPTV/SO사업자의 플랫폼과 연동하여 신유형 TV광고 서비스의 청약 및 송출 시스템 마련 (PP사업자들에게 새로운 광고수익원 제공) 광고주/대행사는 디지털광고처럼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TV광고를 손쉽게 청약 가능 |
개발완료 | 2020 |
NT 오디언스 타겟 추출 솔루션 개발 |
모바일 오디언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커스텀 타겟 추출이 가능한 솔루션 | 원하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정확한 타겟을 추출하여 광고 집행 가능 | 개발완료 | 2020 |
NT 고도화 오디언스 타겟 추출 솔루션 고도화 |
어도비용 데이터 적재 및 타겟 추출 | 어도비용 데이터 적재 및 타겟추출 기능을 적재하여 이분화된 솔루션 통합기능 | 개발완료 | 2021 |
NOTE 매체 정보 솔루션 개발 |
나스미디어 매체 통합정보 제공 솔루션 | 나스미디어의 온/모바일 매체 정보와 주요 매체별 벤치마크 데이터, 미디어 큐레이션 검색 기능 제공 | 개발완료 | 2021 |
미정 캡차 연습 프로그램 개발 |
NOSP, 스페셜DA 캡차 연습 프로그램 | 실제 NOSP, 스페셜DA 캡차와 흡사한 캡차 이미지로 향상된 트레이닝 효과 기대 | 개발완료 | 2021 |
Clink 고도화 광고주,대행사 리포팅 시스템 고도화 |
넥슨 제공용 NOTE 개발 LG전자 소재별 리포트 개발 |
다양한 형태의 리포트 데이터 추가 제공 | 개발완료 | 2021 |
ReMix 고도화 동영상 효과 솔루션 고도화 |
데이터 업데이트 기능 고도화 | 데이터 업데이트 기능에 수작업을 제거하여 운영부서의 데이터 관리 편의성 증대 | 개발완료 | 2021 |
나스TV애드 T:ON(신유형TV광고) 서비스 고도화 |
수익배분, 재고관리, 소재관리 고도화 | 시청자 시청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 노출제어 장치(광고빈도, 광고간격 등) 마련 제휴사업자들과의 투명한 광고수익 배분 및 실시간 정산결과 조회, 셀프 광고차단 기능 탑재 집행 데이터를 기초로 한 미래(7주간) 광고재원의 예측 및 잔여재고 모니터링 기능 구현 다양한 효과분석 지표를 통한 디지털광고 방식의 리포트 제공 |
개발완료 | 2021 |
Data Kit 나스미디어 외부 제공 솔루션 개발 |
데이터 기반(효과예측, 벤치마크데이터, 리포트 제공) 솔루션 제공 | 주요 광고주 대상 서비스로 캠페인 운영보고, 벤치마크 데이터, 미디어 플래닝 툴 자사 데이터 관리 서비스 등으로 1차 서비스 시작 |
개발완료 | 2022 |
나스TV 애드 T:ON(신유형TV광고) 서비스 고도화 |
T:ON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한 서비스 보완, 광고스케줄의 최적 배포 및 목표 관리 알고리즘의 적용 |
운영관리자의 편의성 제고 및 분석 리포트의 다양화로 고객 만족도 제고 광고 스케줄 배포 부하의 효율적인 분산 및 광고 보장량의 자동관리 가능 청약편성의 템플릿 공유를 통한 보다 편리한 Self-Buying 프로세스 구현 |
개발완료 | 2022 |
K-Deal 리포팅 시스템 개발 | 구매 데이터 기반 분석 리포트 개발 | 주문/결제 주요 지표를 기간단위로 제공하여 구매 성향 분석 가능 | 개발완료 | 2022~ |
Adpacker (애드패커) 입찰 로직 고도화 |
매체 효율과 전환 효율을 고려한 입찰 로직 최적화 개발 | 입찰을 통한 광고 거래 활성화 및 광고 효율 증대 | 개발완료 | 2022~ |
Admixer (애드믹서) PMP Deal 개발 |
SSP와 DSP간의 광고 거래시 Deal ID를 통한 입찰 기능 개발 | PMP로 프리미엄 인벤토리를 원하는 DSP와의 거래 가능 | 개발완료 | 2022~ |
Admixer 기능 고도화 AI 기반 RTB 광고낙찰 솔루션 탑재 |
적정 낙찰가 예측 및 낙찰율 제고를 위한 AI 기반 광고거래 최적화 솔루션 제공 | RTB 기반 광고거래 매출 증대 및 비용 절감 추진 | 진행중 | 2022~ |
N플랫폼 기능 고도화 AI 기반 Fraud Traffic 검출 솔루션 탑재 |
AI Fraud 검출 및 제거를 위한 AI 기반 트래픽 분석 솔루션 제공 | Fraud Traffic 검출로 광고주 신뢰도 확보 및 장기 수익성 향상 | 진행중 | 2022~ |
통합 DMP(가제) 구축 모바일플랫폼 Data 통합 및 빅데이터 솔루션 고도화 |
내부 DMP 일원화로 통합관리체계 구축 KT그룹사 및 외부데이터 융합 가능한 D/B 시스템 구축 |
오디언스 등 광고 관련 Data 정교화 및 사업적 활용성 확장 | 진행중 | 2022~ |
광고 타겟 오디언스 자동 확장 사용자 분류 | 오디언스 타겟팅 자동으로 확장하는 사용자 분류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대한 KT-나스미디어 공동특허 |
오디언스 모수 확대 및 새로운 유형의 오디언스 발굴 | 진행중 | 2022~ |
Admixer (애드믹서) ATC 기능 개발 |
DSP 입찰률 및 SSP 낙찰률 기반 ATC(Auto Traffic Control - 트래픽 자동 제어) 기능 개발 | RTB 거래 트래픽 최적화를 통한 인프라 운영 비용 절감 및 서버 가용량 확대 |
개발완료 | 2022 |
Adpacker (애드패커) Native 광고 상품 개발 |
DSP와의 Native 형태 타겟팅 광고 상품 개발 | 애드패커 Native 트래픽 거래 볼륨 확장 및 매출 증대 |
개발완료 | 2022 |
Adpacker (애드패커) 3rd Party DMP 데이터 연동 |
3rd Party DMP 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능 개발 | 타겟팅 모수 확대 및 거래 볼륨 확장 | 개발완료 | 2022 |
Nswitch (엔스위치) 신규 어뷰징 기능 탐지 기능 개발 |
디바이스 모델 기준 어뷰징 탐지 프로세스 개발 |
어뷰징 탐지를 통한 광고 트래픽 최적화 및 광고주 신뢰도 확보 |
진행중 | 2022~ |
Admixer (애드믹서) Native 상품 RTB 연동 |
RTB 기반의 Native 광고 연동 프로세스 개발 |
신규 Native 트래픽 거래 볼륨 확장 및 매출 증대 |
진행중 | 2022~ |
Nbridge (엔브릿지) 뷰스루 기여 전환 상품 개발 |
클릭스루 전환 측정 기반 광고 상품에서 뷰스루 전환 측정 기여 추가 광고 상품 개발 |
매체 트래픽 확대를 통한 거래 볼륨 확장 및 매출 증대 |
진행중 | 2022~ |
커머스 몰 개발 | 나스미디어 자체 커머스몰 개발 | 커머스 사업 확장을 통한 수익성 향상 | 진행중 | 2022~ |
Admixer (애드믹서) 광고 SDK 개발 |
네이티브, 동영상 광고 노출을 위한 SDK 고도화 개발 | 다이렉트 트래픽 볼륨 확장 | 진행중 | 2022~ |
○ ㈜플레이디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플레이디 연구개발 담당조직 |
나. 연구개발 실적
구 분 | 연구개발기간 | 연구개발 실적 | 기대효과 |
광고 운영 솔루션 고도화 (A-Square pro) |
2020.01~2020.09 | - Keyword Square 고도화: 파워컨텐츠 데이터 추가, 이커머스 상품 키워드 조회 기능 추가, 예상 실적 조회 기능 개선 - 구글 대량관리 기능 추가 - 카카오 광고효과 데이터 확장 (카카오톡 비즈보드) - 네이버 쇼핑검색 보고서 고도화 |
- 업무 효율성 향상 및 솔루션 경쟁력 강화 |
데이터 통합 분석 솔루션 고도화 (TUBE) |
2020.01~2020.09 | - 대시보드 링크 공유 기능 추가 - 대시보드 테이블 편집 기능 추가 - 대시보드 컴포넌트 각주 기능 추가 - 사용자 지표 설정 기능 개선 |
- 사용자 편의성 및 활용성 향상 - 업무 효율성 향상 및 솔루션 경쟁력 강화 |
캠페인 트래킹 솔루션 오픈 (SEED) |
2020.01~2020.06 | - DA 광고 캠페인 관리와 노출, 클릭 등의 트래킹 및 리포트 제공 신규 솔루션 오픈 | - 외주업체 솔루션 내재화를 통한 비용 절감 - 업무 효율성 향상 및 솔루션 경쟁력 강화 |
온라인 마케팅활동 분석 솔루션 고도화 (TERA) |
2020.01~2020.12 | - 소셜 로그인 데이터 제공 - 캠페인 및 페이지그룹핑 기능 추가 - 서비스 버전 확장 (LITE, LITE+) - 기여 모델 분석 및 전환/구매 경로 분석 기능 추가 - UTM 트래킹 분석 기능 추가 |
- 데이터 분석 범위 확장 및 신규 기능을 통한 솔루션 경쟁력 강화 - 서비스 버전 확장을 통한 시스템 효율성 향상 및 인프라, 유지보수 비용 절감 |
온라인 마켓 분석 솔루션 고도화 (VOICE 2.0) |
2020.01~2020.09 | - 이커머스 키워드 견적 데이터 추가 - 네이버 통합검색 광고현황 조회 기능 추가 |
- 사용자 활용성 향상 및 솔루션 경쟁력 강화 |
크리에이티브 아카이브 서비스 오픈 (CRED) |
2020.05~2020.12 | - 내부 제작 광고소재에 대한 포트폴리오 서비스 오픈 - 사용성 개선 및 콘텐츠 강화 등의 고도화 |
- 자사 콘텐츠 공개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및 서비스 강화 |
키워드 기반 마켓분석 솔루션 오픈(VOICE-S) | 2020.04~2020.11 | - 업종, 이슈, 경쟁사 키워드 기반의 마켓 및 경쟁사 분석 솔루션 오픈 - 키워드에 대한 노출, 순위, 점유율 등의 기본 광고효과와 실제 광고 노출 현황 및 자체 수립한 광고 지수 지표 등의 인사이트 제공 |
- PlayD만이 제공 가능한 솔루션으로 시장에서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유료 서비스화를 통한 매출 기여 예상 |
중소형 광고주 전용 광고대행 서비스 오픈(SENSE.N) | 2020.08~2020.12 | - 중소형 광고주 대상 광고 운영 등의 비대면 대행 서비스 오픈 - 무료 광고 진단, 자동 최적화, 챗봇 등의 특화 서비스 제공 |
- 비대면 및 자동화 대행 서비스를 통한 내부 운영 리소스 절감과 기존 광고주의 Lock-in 및 신규 광고주 유치에 따른 매출 증대 예상 |
중소형 광고주 전용 광고대행 서비스 고도화 (SENSE.N) | 2021.01~2022.06 | - 자동화 기능 고도화(입찰, 운영 관리 기능) | - 자동화 기능 고도화를 통해 리소스 절감과 신규 광고주 수 증대 및 매출 증대 예상 |
내부 성과 관리 솔루션 PLUM 고도화 |
2022.02~2022.06 | 개발언어 JAVA 버전 오픈 사용자 의견 수렴을 위한 인터뷰 진행 및 기능 고도화 |
사용 편의성이 높아짐에 따라 업무 생산성 향상 |
○ 이니텍㈜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이니텍은 본 사업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연구개발 담당조직으로 PKI개발팀과 IAM팀 내에 IAM개발 파트를 두고 있으며, 기술개발 및 기술지원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니텍 연구개발조직 |
나. 연구개발 실적
연도 | 연구과제 | 연구결과 | 기대효과 |
2020 | 통합인증 플랫폼 | SSO(Single Sign-On) 제품과 맞춤형 통합인증플랫폼 개발 완료 다양한 인증수단에 대한 통합인증체계를 일원화 - 인증수단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 자사 인증수단 통합 지원 - OAuth기반 외부 인증수단 연계 지원 - 타사 인증수단 연계지원 |
FIDO, 사설간편인증, ID/PW 인증, 공인인증, 휴대폰 본인인증, 계좌인증, 신분증 진위 확인 등 다양한 인증 솔루션을 고객이 원하는 대로 구성가능 함 전자서명법 개정, 공인인증서 폐지 등 환경변화에 의한 인증시장의 다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고객의 인증수단 추가 도입에 대한 위험요소(비용, 관리)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인증플랫폼 제공으로 인증시장 활성화에 대한 사업기회 확대 |
사설인증 플랫폼 | 사설인증서 발급 시 본인확인 기능 개발 완료 -사설인증서 발급 시 본인확인 EVID값 추가 -사설인증서 서명데이터 검증 기능 개선 -사설인증서 검증 모듈 기능 개선 사설인증서 발급 CA Admin 툴 제공 -사설인증서 Life Cycle 이력 관리 -사설인증서 효력 검증 및 게시 기능 |
공인인증서 폐지에 따른 인증시장 다변화로 사설인증 수요가 증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사설인증서 Life Cyle에 대한 관리 및 인증서 유효성 검증 및 게시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사 자체 운영 플랫폼 제공으로 사업기회 확대 |
|
단일 사설인증서 | 사설/간편인증의 단일 사설인증서에 대한 인증수단을 PIN, Pattern, Bio등 다양화 |
고객 업무시스템의 기 인증수단(PIN, Pattern, Bio)을 이용하여 사설/간편인증 솔루션 구축의 비용 절감 및 편의성 제공 |
|
생체기반 공인인증서 | 생체기반 공인인증서 발급 서비스 기능 제공 및 공인인증 발급부터 폐기까지의 통계 모니터링 툴 기능 제공 개발 |
공인인증서 발급서비스 및 이용현황에 대한 통계 및 모니터링 기능 제공으로 향후 사설인증 서비스에 제품 확장 기틀 마련 |
|
통합로그인(SSO) SAML2.0 Spec 확장 |
Arifact Binding 지원 Enhanced Client or Proxy Profile 지원 |
ECP Profile을 지원하여 웹 브라우저가 아닌 클라이언트 또는 XML 전자서명 미 지원 시스템 등 다양한 환경에서도 제품을 연동 지원 범위 확장과 시스템 안정성 측면에서 제품의 보다 높은 완성도를 기대 |
|
통합로그인(SSO) Office365 기술 |
웹 브라우저형 MS Office365 SSO 연동 지원 | Office365 제품과 SSO연동을 하여 다양한 업무와 SSO연동 가능 Office365 및 MS-Cloud System인 Azure환경에 대한 이해 SAML2.0 연동을 통한 다양한 Application연동 |
|
통합로그인(SSO) OAuth2.0 Spec 기술 |
신규 인증 Protocol로 OAuth2 Protocol을 개발 | 인증 Protocol의 다양화를 통한 솔루션 품질 향상 고객사의 다양한 업무시스템 연동 시 OAuth2를 연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 절감 효과 발생 |
|
통합로그인(SSO) SAML2.0 IIS SP |
신규 인증 Protocol로 SAML2.0 Protocol을 개발 - 자사 솔루션에 SAML2.0 IIS용 Agent Filter 개발 |
인증 Protocol의 다양화를 통한 솔루션 품질 향상 고객사의 다양한 업무시스템 연동 시 SAML2.0 IIS를 연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 절감 효과 발생 |
|
DB 암호와 ViewTrigger 기능 |
오라클 DB의 View/Trigger 기능 개발 완료 인덱스 암호화 기능 지원 추가컬럼 암호화 기능 지원 원복 기능 지원 |
DB 테이블 View/Trigger에 대한 암호화 기능지원으로 제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사업기회 확대 | |
계정관리 솔루션 고도화 | NexID 2.0 고도화 개발 완료 HTML5 웹표준 지원 Croos Browsing 지원 Bootstrap 프레임워크 UI 디자인 적용 프레임 워크 전환 개발 (Struts to Spring) |
브라우져 지원 범위 확장 최신 UI 지원으로 제품 완성도 기대 최신 Spring 프레임워크로 전환하여 접근성 기대 |
|
권한관리 솔루션 고도화 | EAM 권한관리 솔루션 고도화 개발 완료 - 권한관리 솔루션 기능 통합 진행 - 감사로그 기능 강화 - 결재 기능 강화 |
IAM 제품군의 하나로 EAM(권한관리)은 계속해서 고객의 니즈가 있는 실정임. 따라서 자사 솔루션인 MMS의 권한관리 기능중 감사, 결재등에 대한 기능을 고도화하여 경쟁력을 확보 |
|
No-Plugin 구간 암호화 |
No-Plugin 기반(HTML5) 구간암호화 기능 개발 -IniPlugin 프로토콜 기반 기능 지원 -파일 암.복호화 기능 지원 |
No-Plugin 기반(HTML5) 구간암호화 기능에 대한 고객 수요 요건이 증대함에 따라 기존 C/S 방식에서 지원하였던 IniPlugin 프로토콜 기반 구간암호화 및 파일 암.복호화 기능 지원으로 향후 고객사 영업 및 수주기회 확대 |
|
서버구간 암호화 솔루션 고도화 |
서버 구간 암호화 솔루션 고도화 - TLS V1.0~1.2 보안 취약점 발생에 따른 V1.3 통신 지원 - 하위 버전 호환성 유지 기능 지원 |
서버구간 암호화 제품 통신 프로토콜인 TLS V1.0~1.2에서 보안취약점 발생에 의한 업데이트 권고로 TLS V1.3 통신 프로토콜 지원 및 하위 버전 호환성 유지 기능 지원으로 유지보수 고객사 업데이트에 대한 사업 기회 확대 |
|
모바일 App 전용 가상키패드 |
가상키패드(INISAFE CrossKey) 솔루션 고도화 -모바일 App(Android,Ios)전용 가상키패드 제공 |
웹 전용 가상키패드 Core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App 환경에서 가상키패드를 제공으로 자사 모바일 App솔루션 경쟁력 강화 및 모바일 App 가상키패드 고객사 영업 및 수주기회 확대 |
|
금융인증서비스 SDK | 금융결제원 금융인증서비스 출시에 따른 연동 SDK개발 - 금융인증서비스 API 기능 지원 - 전자서명 검증 솔루션 기존 공인인증서비스와 호환 지원 - 고객사 공인인증서비스 특화 기능 지원 |
전자서명법 개정에 의한 금융인증서비스 출시에 따른 기존 고객사 지원을 위한 비용 최소화 및 기존 공인인증서비스 프로세스에서 병행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제시로 수주기회 및 매출 확대 |
|
2021 | Nexess V4.3 Single Logout Service 개발 | 신규 인증 Protocol로 SAML2.0 Protocol을 개발 - 자사 솔루션에 Single Logout Service Protocol 개발 |
인증 Protocol의 다양화를 통한 솔루션 품질 향상 인증 Protocol 부가기능 확장을 통한 솔루션 경쟁력 강화 |
Nexess V4.3 C/S지원 SSO 연동 모듈 개발 | 자사 솔루션의 스펙 확장을 위한 Agent 개발 - 자사 솔루션에 C/S용 Agent 개발 |
인증 Protocol의 다양화를 통한 솔루션 품질 향상 고객사의 다양한 업무시스템 연동 시 C/S 지원을 통해 제품 경쟁력 강화 |
|
INISAFE Cloud HSM | 클라우드 전자서명 솔루션 개발 - 자사 HSM(Paccel)과 연계한 클라우드 인증서 관리 시스템 개발 |
전자서명법 개정 및 인증시장 다변화에 의한 사설인증센터 구축 관련한 시장 요구사항이 발생하고 있으며 인증서 관리의 편리성 및 효율성 강화를 토대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여 수주기회 및 매출 확대 |
|
INISAFE Paccel 고도화 | HSM 키 생성 관련 인증 기능 강화 - 키 생성 관련 다중 인증 기능 개발 |
HSM 장비를 통한 키 생성 및 관리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다중 인증 절차 기능 구현을 통하여 제품 경쟁력 강화 | |
INI-HuB 고도화 | 통합인증 플랫폼 고도화 - 간편인증수단(카카오페이,패스,네이버,토스,페이코) 연동 지원 - 사용자 인증 통계 기능 지원, 사설인증서 기반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지원 -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전자서명 표준 API 연동 |
인증시장 다변화에 의한 통합인증 플랫폼을 제공하여 고객사의 인증 수단 도입에 대한 비용 절감과 사용자에게 다양한 인증수단 제공을 통한 이미지 제고로 통한 기회 비용 창출을 통한 매출 확대 전자서명인증을 획득한 기관의 사설인증서를 통한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지원을 통한 통합인증플랫폼 고객 수요 확대 및 매출 기여 |
|
Nexess V4.3 고도화 | SSO 솔루션 v4.3 3차 고도화 개발 진행 - OAuth 2.0 인증 수단을 요구하는 고객사가 증가함에 따라 지원을 통해 제품 확장성 확대 개발 - 기존 4.2 에서 지원하던 API 중 일부를 4.3에서 지원하여 제품 기능 향상 개발 - SAML2.0 스펙 확장 Admin 개발 진행 |
인증 프로토콜의 다양화를 통한 솔루션 품질을 향상 고객사의 다양한 업무시스템 연동 시 OAuth 2.0 을 통한 손쉬운 연동이 가능 과거 협력사를 통해 연동하는 경우 비용 지출이 증가하는 반면에 자체 지원을 통해 비용을 절감 지원 범위 확장과 시스템 안정성 측면에서 제품의 보다 높은 완성도를 기대 기업들의 제품 선택 시 성능 대비 비용절감을 목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H/W, OS, WAS, DB 등의 비용 절감 효과) 표준 SAML 기반Session 형태의 인증 정보 발행으로 인한 보안성 향상 |
|
INISAFE UCPID 솔루션 |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솔루션 - 공동인증서 기반 본인확인 서비스 기능 개발 |
마이데이터 사업자와 정보제공자 간의 본인확인을 위한 금융보안원의 가이드에 따른 통합인증 솔루션 제공으로 마이데이터 사업 진출 고객사의 수주 확대로 보안사업 매출 확대 기여 | |
INISAFE Crypto for C 고도화 (개발중) |
LSH 운영모드 및 SHA-3 알고리즘 지원 - 해쉬함수 키길이 및 운영모드 확장 기능 개발 KCMVP 암호화 검증 - 검증 산출물 및 개발 기능 증적 자료 작성 |
암호화모듈 기능 강화를 통한 보안솔루션 안전성 증대 및 KCMVP 검증을 통하여 공공사업부문 고객 수요 확대 및 매출 강화 | |
2022 | NexID V4.0 2차 고도화 | NexID V4.0 2차 고도화 개발 - 통계 기능 강화 개발 - NexID 관리작업 향상을 위한 통계 조회 기능 개발 - 감사 로그 관련 기능 개발 - 관리자 기능 항목 강화 |
제품 경쟁력 강화 통계 조회 기능을 이용하여 NexID 관리 포탈의 관리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조회 관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지원 기능 확장과 제품의 보다 높은 완성도를 기대 |
INISAFE Crypto for JAVA 고도화 (개발중) |
LSH 운영모드 및 SHA-3 알고리즘 지원 - 해쉬함수 키길이 및 운영모드 확장 기능 개발 ECC 암호화 알고리즘 지원 - ECC 암호화 및 전자서명 알고리즘 개발 |
암호화 모듈 기능 강화를 통한 보안솔루션 안전성 증대 및 KCMVP 검증을 통하여 공공사업부문 고객 수요 확대 및 매출 강화 | |
INI-HuB 고도화 1차 (개발중) |
간편인증(EasyAuth) 기능 통합 - 기기 및 사용자 인증서 기반 간편인증 서비스화 - 위치기반(GPS) 인증 기능 추가 개발 - 단말기 소유기반 인증 기능 추가 개발 |
인증통합플랫폼의 서비스화를 위한 간편인증 기능 통합 및 단말기 소유 기반 및 GPS위치기반 인증기능을 도입하여 MFA 인증서비스로 고객 수요 확대 및 매출 기여 | |
INISAFE Public PKI고도화 1차 (개발중) |
RootCA 고도화 - CTL 생성 및 배포 기능 추가 개발 |
RootCA CTL 생성 및 배포 추가 기능 지원을 통한 공동인증센터 및 사설인증센터 구축 수요 요건 충족 및 고객수요 확대 |
○ 브이피㈜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브이피는 다양한 결제인증 솔루션을 개발 및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최고의 결제인증서비스를 제공하며 통합인증서비스 1등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더불어 새로운 고객 및 시장확보를 위해 조직개선을 시행하여(9월) 구독사업 및 ISP 서비스 역량을 활용한 신 사업기획에 노력하겠습니다.
나. 연구개발 조직
- NFT사업팀, 데이터사업팀, 디지털신사업TFT, ISP신사업TFT
(기준일 : 2022년 3월 31일)
다. 주요 연구개발 실적
ㅇ HCE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 개발: 이통사 USIM에 제한받지 않는 HCE방식의 실시간 서버통신 기반의 모바일 교통서비스로 현재 상용화 중이며, 4개 카드사(삼성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KB국민카드)에 서비스 중입니다.
* HCE (Host Card Emulation): NFC 통신 기반의 카드 에뮬레이션 기법으로 기존 방식과 달리 모바일 기기 내에 '보안요소'라 불리는 별도의 하드웨어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작동하는 방식
6.3 지적재산권 현황
○ 주식회사 케이티
2022년 6월 30일 현재, KT는 국내 등록특허 4,116건 및 해외 등록특허 1,754건을 보유 중입니다.
대부분 유무선 통신 인프라 및 서비스, 미디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에너지 등에 관한 특허로써 당사 사업에 적용되었거나 향후 활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국내 등록상표 2,746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상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 취득일 | 명칭 | 상품분류 | 등록번호 | 근거법령 |
상표권 | 2007.01.22 | KT | 38류 | 41-0143446 | 상표법 |
○ ㈜케이티스카이라이프
2022년 6월 30일 현재 KT skylife는 국내 등록 기술특허 16개를 보유 중으로 주요 특허로는 위성과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방송 시 미디어 재생 장치 및 UI/UX, 개방형 미디어 방송 플랫폼 기술 등이 있습니다. 또한 국내 등록상표 255건과 국내 등록디자인 17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상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 취득일 | 명칭 | 상품분류 | 등록번호 | 근거법령 |
상표권 | 2014.07.31 | skylife | 38류 | 41-2015-0068594 | 상표법 |
○ ㈜케이티알파(구 케이티하이텔㈜)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특허 84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합병에 따른 피합병사 기보유 특허 9건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중 등록된 T커머스 관련 특허권 33건으로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발명의명칭 | 등록번호 |
특허권 | 셋톱박스 ID기반 T커머스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101475449 |
특허권 | 날씨정보를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역마다 상이하게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 101475450 |
특허권 | 셋톱박스 ID기반 데이터방송 홈쇼핑의 추천 콘텐츠 제공 방법 | 101532593 |
특허권 |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 101539182 |
특허권 | 모바일 페어링을 이용한 스마트폰과 TV의 쇼핑 콘텐트 연동방법 및 연동시스템 | 101589878 |
특허권 | 티커머스의 상품 구매를 위한 TV로 보는 실시간 주문 방법 | 101635320 |
특허권 | 디지털 TV의 화면분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복수의 홈쇼핑방송 VOD를 동시에 시청하는 방법 | 101651371 |
특허권 | 시청자 맞춤형 양방향 텔레비전의 오버레이 사운드 광고 방법 | 101674301 |
특허권 | 키워드 추출에 의한 온라인 쇼핑 장바구니의 자동 생성 방법 | 101695570 |
특허권 |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 101708130 |
특허권 |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선택적 시청을 제공하는 방법 | 101708152 |
특허권 |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 101708153 |
특허권 | 홈쇼핑 방송의 슈퍼배송 시스템 | 101709872 |
특허권 | 디지털TV에서 방송 중인 디지털데이터방송의 홈쇼핑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스마트단말에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 101716617 |
특허권 |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배송현황을 제공하는 방법 | 101724237 |
특허권 |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앱채널 제공방법 | 101733920 |
특허권 | 고객의 오프라인활동 데이터에 기반한 온라인쇼핑상품 추천방법 | 101740148 |
특허권 |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콘텐트를 사용자의 리얼 아바타에 매핑하여 표시하는 홈쇼핑서비스 제공방법 | 101785822 |
특허권 |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의 사용자 손글씨체 적용방법 | 101793792 |
특허권 | 워터마킹을 이용한 TV 쇼핑 간편 결제 방법 | 101797361 |
특허권 | 디지털TV에서 방송 중인 VOD 콘텐츠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스마트단말에 구현하는 방법 | 101797425 |
특허권 |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데이터방송 홈쇼핑의 상품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101845157 |
특허권 |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 101845158 |
특허권 | 서비스 서버가 추천한 복수의 홈쇼핑방송 VOD를 디지털 TV의 화면분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동시에 시청하는 방법 | 101855585 |
특허권 |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 101873098 |
특허권 | 원터치 버튼을 이용한 TV 홈쇼핑용 실시간 통합 장바구니 | 101878573 |
특허권 |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 101969222 |
특허권 |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방송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 101980430 |
특허권 | TV 애플리케이션에서 리모컨 특가상품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101980443 |
특허권 |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 101988795 |
특허권 | 비디오 커머스에서 행해지는 인터랙티브 쇼핑 방법 | 102242931 |
특허권 | TV광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매칭되는 TV앱을 호출하는 티커머스 경험 제공 방법 | 102285172 |
특허권 | TV광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매칭되는 지역 광고를 호출하는 티커머스 경험 제공 방법 | 102358181 |
○ ㈜지니뮤직
지니뮤직은 영위하고 있는 사업과 관련하여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국내 69건의 등록상표 및 국내 특허 4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음악 서비스 제공에 적용되는 주요 특허 세부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종 류 (국가/등록번호) |
취득 일자 | 주요 내용 | |
특허권 (KR/1018040640000) |
2016.08.05 | 명칭 |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금융상품 운용 시스템 및 방법 |
내용/ 기대효과 |
금융상품 운용 시스템은 모바일 또는 웹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상품에 가입한 가입자가 현금이자를 대신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
○ 케이티텔레캅㈜
케이티텔레캅이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총 114건(특허 37건 [기재한 특허 27건], 디자인 5건, 상표 72건)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주요한 특허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취득일 |
특허권 | 홈오토메이션 보안기기 알에프 카드리더 모듈 | 2006.02.16 |
특허권 | 인증수단을 이용한 실린더형 도어락의 시/해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2006.07.10 |
특허권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문 컬러링 시스템과 그 제공방법 | 2006.10.11 |
특허권 | 홈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주문관리 및 기계경비시스템과 그 제공방법 | 2006.10.11 |
특허권 | 유/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 2005.07.15 |
특허권 |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의 보안방법 | 2006.03.10 |
특허권 | 기계 경비 서비스를 이용한 고령 가입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2009.07.22 |
특허권 | 경비효율을 높인 로컬 경비시스템 | 2009.07.22 |
특허권 | 기계 경비용 무선 경비지원 시스템 | 2009.07.22 |
특허권 | 지역 경비원을 통한 경비지원 시스템 | 2009.08.03 |
특허권 | 단선상태 파악을 통한 침입감지 시스템 | 2009.08.03 |
특허권 | 아이피 기반의 기계경비 신호전송망 다중화 시스템 | 2009.08.03 |
특허권 |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 2009.09.02 |
특허권 | 무선망을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의 장애체크 시스템 및 그 방법 | 2009.10.19 |
특허권 | 기계 경비기반의 개선형 신호 이중화 시스템 | 2010.08.18 |
특허권 | 가경계 자동 수행기능이 구비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 2011.01.13 |
특허권 | 단일 경비주장치를 이용한 확장 감시시스템 | 2011.01.25 |
특허권 |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 시스템 | 2011.05.17 |
특허권 | 자가 인증 등록기능을 갖춘 보안 시스템 | 2012.01.11 |
특허권 | 스마트폰과 비상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비상신호 전송시스템 | 2013.02.20 |
특허권 | 기계 경비 시스템의 통신 접속장치 | 2013.12.27 |
특허권 | 스마트 패드를 이용한 댁내 방범 시스템 | 2011.12.23 |
특허권 | 센서 연동 데이터 다중 관리장치 | 2014.01.15 |
특허권 | 경비기능을 갖춘 이중기기 통합장치 | 2014.03.13 |
특허권 | 인터넷 TV를 이용한 보안 이벤트 영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 2014.04.25 |
특허권 | 무인경비용 포터블 카메라 장치 | 2014.04.25 |
특허권 | 조명 및 IR 저조도 카메라 연동 컬러영상 획득장치 | 2016.02.15 |
○ ㈜케이티씨에스
가. 실용신안등록
- 관련 법령: 실용신안법 제15조, 특허법 제66조
- 고안의 명칭: 음성 증폭 수단
- 개요: 마이크에 부착하여 목소리가 더 잘 들리도록 소리를 모아주는 장치 (명칭: 소리모아)
- 인증부처: 특허청
- 인증일자: 2018.06.29
- 유효기간: 2018.06.29 ~ 2028.06.28
나. 특허 출원
- 관련 법령: 특허법 제66조
- 고안의 명칭: 음식배달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 개요: 음식배달정보 공유 시스템
- 인증부처: 특허청
- 인증일자: 2020.05.04
- 유효기간: 2020.05.04 ~ 2039.12.04
○ ㈜케이티엠모바일
케이티엠모바일이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브랜드 상표 3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 등록번호 | 등록일 | 내용 |
상표 | 제41-0325188호 | 2015.06.23 | 상표명칭 "엠모바일" |
상표 | 제41-0325189호 | 2015.06.23 | 상표명칭 "M mobile" |
상표 | 제41-0325190호 | 2015.06.23 | 상표명칭 "M mobile" (올레체) |
○ ㈜나스미디어
구 분 | 명칭 / 등록번호 | 등록일 |
특허권 | 인터넷 광고 시청률 제공 방법 | 2012.02.14 |
실시간으로 수집된 온라인 유행어 및 시사용어를 이용한 타겟팅 광고 방법 및 장치 | 2007.12.31 | |
상표권 | 41-0196305-0000(상품분류35류) | 2010.04.21 |
45-0031928-0000(상품분류35류) | 2010.08.03 | |
40-2020-0166200(상품분류35류) | 2021.10.25 | |
40-2020-0166201(상품분류35류) | 2021.10.25 | |
40-2020-0166199(상품분류35류) | 2021.10.25 | |
40-2022-0039218(상품분류 35류) | 2022.03.02(출원일) | |
40-2022-0039219(상품분류 35류) | 2022.03.02(출원일) |
○ ㈜플레이디
플레이디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특허는 국내 5건이 있으며 이 특허의 기술은 플레이디가 이용하고 있는 내부 솔루션의 기술에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습니다. 해당 특허에 대한 기술은 별도의 제품 형태로 완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판매의 방식으로 제공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방법론에 대한 부분을 차용하여 솔루션 개발 시 활용하고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적용 제품 | 주무 관청 |
특허권 | 2차원 코드의 인식 방법 | ㈜플레이디 | 2009.01.22 | 2009.09.30 | 해당 없음 | 특허청 |
특허권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코드 제공 방법 등 | ㈜플레이디 | 2009.01.22 | 2011.08.19 | 해당 없음 | 특허청 |
특허권 | 광고순위 자동 관리장치 및 광고순위 자동 관리방법 | ㈜플레이디 | 2015.06.02 | 2017.04.05 | 해당 없음 | 특허청 |
특허권 | 키워드 광고 입찰 | ㈜플레이디 | 2015.06.02 | 2017.06.23 | 해당 없음 | 특허청 |
특허권 | 업종 주요 키워드 제공과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 ㈜플레이디 | 2020.08.20 | 2021.01.13 | VOICE S | 특허청 |
○ ㈜케이티디에스
권리 | 발명의 명칭 | 출원/등록일자 |
상표/서비스표 | SmartZone | 2012.06.28 |
특허 | 도체가 부착된 휴대 단말의 터치 입역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터치 스크린 장치 |
2012.11.14 |
특허 | 서비스 중단없이 안정적으로 회원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이전이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 |
2013.01.02 |
특허 | CCTV 영상 데이터의 백업 방법 및 시스템 | 2013.03.08 |
특허 | 스마트 미터키의 측정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미터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2013.03.08 |
특허 | 툴바를 이용한 주소록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단말 및 주소록 사용방법 |
2013.04.30 |
특허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 푸시 장치 및 방법 | 2013.04.30 |
특허 |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광고방법 | 2014.02.26 |
상표 | N-Root | 2015.07.20 |
상표 | N-Tree | 2015.11.18 |
서비스표 | N-Root | 2015.11.18 |
상표/서비스표 | N-Watch | 2016.04.28 |
상표/서비스표 | BigFence | 2016.09.09 |
상표/서비스표 | Q-BPM | 2016.11.03 |
서비스표 | Q-SSO | 2016.11.03 |
상표/서비스표 | Q-Messenger | 2016.11.03 |
상표/서비스표 | Q-Officeware | 2016.11.03 |
상표/서비스표 | Q-Mobile | 2016.11.03 |
상표/서비스표 | Q-Mail | 2016.11.03 |
상표/서비스표 | Q-Portal | 2016.11.03 |
상표/서비스표 | AIcentro | 2018.08.01 |
상표/서비스표 | COUP | 2018.09.12 |
상표/서비스표 | 협업&엔쿱 | 2018.08.16 |
상표 | TARGET AI | 2019.09.26 |
상표 | AntBot | 2019.11.14 |
특허 | 웹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답시간 분포 정보 생성 방법 (공동특허권자 ㈜케이티) |
2020.01.08 |
상표 | 바람개비 | 2020.09.01 |
상표 | TARGET LINE | 2020.11.23 |
상표 | TARGET ATOM | 2020.12.01 |
상표 | K-VaRam | 2022.05.19 |
○ 이니텍㈜
이니텍은 본 반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과 관련하여 총 33건의 특허권과 35건의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한 특허권과 상표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특허권
구분 | 명칭 | 등록번호 | 등록일 |
특허권 | 데이터 사이즈 및 형태 변경이 없는 암호화 인코딩 및 복호화 인코딩 방법 | 10-1315683 | 2013.10.01 |
웹 표준 인증서 저장 방법 및 전자 서명 방법 | 10-1676832 | 2016.11.10 | |
서버단 세션 관리 방식 및 쿠키 정보 공유 방식을 병행 지원하는 싱글 사인온 인증방법 | 10-1839049 | 2018.03.09 |
- 상표권
구분 | 명칭 | 상품분류 | 등록번호 | 등록일 |
상표권 | INISAFE | 제09류 | 40-0898934 | 2012.01.11 |
INISAFE Paccel | 제09류 | 40-1004541 | 2013.11.01 | |
INIPASS | 제42류 | 40-1494023 | 2019.06.28 |
○ 브이피㈜
브이피는 작성기준일 현재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과 관련하여 총 22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한 특허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등록번호 | 명칭 | 출원일 |
특허권 | 10-0733129 | 안전결제처리 시스템 및 방법 | 2006.12.19 |
10-0715359 | 모바일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2006.12.19 | |
10-0802555 | 신용카드 인터넷 안전 결제처리 방법 | 2007.06.22 | |
10-0802556 | 인터넷콘텐츠 신용카드포인트 안전결제 서비스 방법 | 2007.06.22 | |
10-0852880 | 플러그인 기반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결제 시스템 | 2008.01.16 | |
10-1843660 | HCE 모바일 교통카드 결제 방법 | 2016.12.20 |
[1] ICT : 주식회사 케이티
가. 산업의 특성
ICT가 속한 통신 산업은 이동전화, 초고속인터넷, IPTV, 전용회선, 유선전화,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서비스 영역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유선전화, 초고속인터넷,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격한 기술 발전과 고객 니즈의 변화에 따라 유무선 통합, 통신과 방송의 융합 등 컨버전스 영역으로 산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터미널로 구성된 통신산업의 밸류 체인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금융, 보안,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간 확장과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ㅇ 가입자 현황 | (단위 : 천명) |
구분 | 2022년 2분기 | 2021년 | 2020년 | |
가입자수 | 초고속인터넷 | 23,264 | 22,944 | 22,327 |
시내전화 | 11,903 | 12,212 | 12,859 | |
이동전화 | 74,158 | 71,920 | 69,542 | |
IPTV | 21,053 | 20,628 | 19,365 |
※ 이동전화: 기타회선(통신설비관리용)은 미포함, MVNO 포함
※ 출처
- 초고속인터넷, 시내전화, 이동전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자료(msit.go.kr)
- IPTV: 통신 3사 홈페이지 가입자 자료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통신서비스는 현대 생활의 필수재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경기변동 및 계절에 따른 수요 변화의 민감도는 타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국내 경기 침체와 이에 따른 국민들의 가처분 소득 감소, 기업들의 긴축운영에 따른 ICT 수요 감소가 이어질 경우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통신사업은 대부분 사업지역이 국내로 한정되어 있으며, 크게 개인과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B2C 사업과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B2B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B2C 사업은 성별/연령/소득/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전국민과 가정을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 통신시장은 B2C와 B2B 사업 모두 유선전화, 초고속인터넷, 이동통신 등 주요 서비스가 성숙기에 진입하고 사업자간 가입자 확보 경쟁으로 전반적으로 성장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사업자간 서비스의 품질, 가격, 유통, 판매정책 등이 가입자 확보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유선전화는 유무선 대체 현상에 따라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초고속인터넷과 IPTV, 이동통신 모두 가입자 증가폭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신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단말의 출현, 소비자들의 무선 데이터 사용량 증가에 따라 프리미엄 서비스 위주로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경쟁상황
ㅇ 경쟁사업자
- 시내전화: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 시외, 국제전화: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LG유플러스, 온세텔레콤 등
- 인터넷전화(VoIP):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LG유플러스 등
- 초고속인터넷, IPTV: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SO사업자 등
- 이동통신: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ㅇ 시장진입
- 기간통신사업자: 방송통신위원회의 인·허가 사업
- 별정통신사업자: 등록
- 부가통신사업자: 신고
(3) 시장점유율 추이
ㅇ 가입자수 기준 | (단위 : %) |
구분 | 사업자 | 2022년 2분기 | 2021년 | 2020년 |
시내전화 | KT | 80.5 | 80.7 | 80.8 |
SK브로드밴드 | 15.5 | 15.4 | 15.4 | |
LG유플러스 | 4.0 | 3.9 | 3.8 | |
이동전화 | KT | 30.9 | 31.0 | 31.4 |
SK텔레콤 | 43.9 | 44.3 | 45.1 | |
LG유플러스 | 25.2 | 24.7 | 23.5 | |
초고속인터넷 | KT | 41.3 | 41.2 | 41.1 |
SK브로드밴드 | 28.5 | 28.7 | 29.0 | |
LG유플러스 | 20.9 | 20.7 | 20.3 | |
SO 등 | 9.3 | 9.4 | 9.6 | |
IPTV | KT | 44.3 | 44.3 | 45.3 |
SK브로드밴드 | 30.1 | 29.8 | 29.2 | |
LG유플러스 | 25.6 | 25.9 | 25.5 |
※ 이동전화: 기타회선(통신설비관리용)은 미포함, MVNO 포함
※ 초고속인터넷: SK브로드밴드 점유율은 SK텔레콤 재판매가 포함된 수치
※ 출처
- 초고속인터넷, 시내전화, 이동전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자료(msit.go.kr)
- IPTV: 통신 3사 홈페이지 가입자 자료
마. 경쟁력
KT는 지속적인 LTE망의 진화와 함께, 2013년 세계 최초 이종망(TDD-FDD) LTE 로밍 및 VoLTE 통화 성공, 2014년 5G 네트워크 CA 핵심기술 개발/시연, 2015년 VoLTE 3사 연동, LTE-M과 NB-IoT 상용화, 2019년 세계 최초 5G 상용화 등 기술 혁신을 통해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7년 4월에는 국내 최초로 배터리 절감기술인 C-DRX(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를 전국 LTE망 및 모든 LTE 단말에 상용 적용하여, KT 고객의 배터리 이용 시간을 최대 45%(갤럭시S8, Youtube 연속 구동 기준) 증가시키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2017년 10월부터는 LTE망을 통한 음성 서비스(VoLTE) 이용시에도 배터리 절감이 가능하도록 C-DRX 기술을 더욱 고도화 적용하였습니다.
KT는 그동안 쌓아온 LTE 네트워크의 혁신 노하우를 통해 평창 올림픽을 세계 최초 5G 올림픽으로 만들었으며, 글로벌 장비사 및 통신사들과 함께 5G 규격을 만들고 시범망을 구축하며 가장 먼저 5G 시대를 준비하였습니다. 2019년 4월 3일에는 세계최초 5G 상용화에 성공하였고, 국내 최대 주파수 대역 확보와 국내 최다 8개의 5G 엣지통신센터 구축을 통해 최고 품질의 5G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KT는 차별성 있는 요금제 및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중심의 이동통신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15년 5월에 음성,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고, 데이터 제공량에 따라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는 'LTE 데이터 선택' 요금제를 3사 최초로 출시했습니다. 또한, 남은 데이터는 이월하고 부족한 데이터는 당겨 쓰는 '데이터 밀당' 서비스, 매일 선택한 시간대에 데이터를 무제한 이용하는 'My time plan' 등 KT만의 차별화된 데이터 혜택을 제공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16년 3월 국내 최초 24세 이하 전용 요금제인 "Y24" 요금제를 출시하며 Young 타겟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였습니다. 당사는 2018년 5월, 기존 데이터선택 요금제 대비 데이터의 혜택을 강화했을 뿐 아니라 전 라인업에서 초과 과금 없이 데이터를 완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ON' 요금제를 출시하였습니다. 여기에 기존 데이터선택 32.8과 비슷한 금액인 월 33,000원으로 약 3.3배의 데이터 혜택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LTE 베이직' 요금제도 함께 출시함으로써 데이터 중심의 이동통신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9월에는 '데이터ON' 요금제를 기반으로 24세 이하 전용 요금제인 'Y24 ON'을 출시하여 Young 타겟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2020년 9월에는, 5G 데이터무제한에 영상, 음악, VR까지 이용할 수 있는 '슈퍼플랜 초이스' 요금제를 출시하였습니다.
슈퍼플랜 초이스는 5G 슈퍼플랜 요금제을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시즌 초이스'를 제공합니다. '시즌 초이스'는 ▲ 실시간 TV부터 최신영화, 드라마까지 초고화질로 즐길 수 있는 '시즌 믹스', ▲ 무손실 원음의 실시간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지니 스마트 음악 감상', ▲ 인기 웹소설/웹툰을 무제한으로 즐기는 '블라이스 스토리', ▲ 콘솔/PC 고사양 대작 게임을 모바일에서 플레이 할 수 있는 '게임박스', ▲ 국내 최대 독서 플랫폼으로 베스트 셀러, 오디오북, 매거진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모두 무제한으로 이용하실 수 있는 '밀리의 서재' 중 2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2020년 10월에는 넷플릭스 혜택이 추가된 넷플릭스 초이스를 추가 출시하였고, 2021년 6월에는 현대카드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통신비 할인 혜택이 추가된 현대카드 초이스와 2021년 11월에는 디즈니+ 혜택이 추가된 디즈니+ 초이스, 2022년 2월에는 삼성전자 제휴를 통한 삼성가전 할인 혜택이 추가된 삼성초이스, 우리카드와 제휴를 통한 우리카드 초이스, 2022년 5월에는 유튜브 프리미엄 혜택이 추가된 유튜브 프리미엄 초이스를 출시 하였습니다. 2022년 2월에는 삼성전자와 제휴를 통한 삼성 디바이스 할부금 할인 혜택이 추가된 삼성초이스, 우리카드와 통신비 할인 혜택이 추가된 우리카드 할인을 출시하였습니다. 향후 고객들의 선택권을 넓힐 수 있도록 선택가능한 서비스의 종류를 지속 추가해 나갈 예정입니다.
시내전화는 가정과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로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신뢰를 확보하고 있으며, 2022년 2분기 현재 80.5%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동전화의 음성통화 무제한 제공과 SNS/메신저 등 음성에서 데이터로의 통화 대체로 인한 유선전화 트래픽 감소로 인해 유선전화 매출과 고객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다양한 결합상품과 정액형 요금제(3000 요금제 등)를 통해 요금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KT는 국내에서 가장 먼저 1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기가 인터넷을 상용화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가격 할인 중심의 혼탁한 경쟁상황 속에서도 품질 경쟁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며 업계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KT는 '22년 6월 초고속인터넷가입자 960만을 돌파하였고, 기가 인터넷 가입자 점유율 66%를 달성했습니다. 강력한 유선 인프라를 토대로 기가 인프라 공급을 전국으로 확대하며,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으로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이 활성화되면서 KT 기가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였습니다.
KT는 언택트 시대에 맞는 최적의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2020년 인터넷 공간(커버리지)을 확장하는 '인터넷 와이드[1]'와 가정용 와이파이6 공유기 '기가 와이파이 홈 에이엑스(GiGA WiFi home ax)'를 출시하였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고객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홈 와이파이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 속에 '인터넷 와이드'는 출시 후 현재 약 60만 가입자가 이용 중입니다. 또한, 2022년 1월에는 온라인 이용환경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자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심 인터넷'을 출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KT는 코로나19로 힘든 소상공인의 가게 운영을 돕고 비용도 절감해주는 소상공인 서비스 결합 패키지 '사장님 성공팩'을 2021년 5월 확대 개편했습니다. '사장님 성공팩'은 소상공인 대상 매장 운영에 필요한 인터넷, 전화, CCTV 등 통신 상품 외에도 '링고 비즈 프리미엄', '카드결제기(VAN)' 등 매장 운영에 도움되는 서비스들을 함께 제공하는 결합 상품으로, 고객은 이 중 필요한 것만 골라서 결합해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 6월에는 안정적인 결제환경이 중요한 소상공인을 위해 '결제안심 인터넷'을 출시하였습니다. 유선망 상태가 좋지 않을 때, LTE라우터를 통해 무선망으로 연결성을 유지하여 카드결제기나 POS를 지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KT는 2020년부터 과기정통부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 사업'에 참여하여 코로나 이후 확대된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벽지 등 농어촌 284개 마을에 초고속인터넷망을 구축 및 고도화하였고, 2021년에 379개소를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과기정통부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사업'에도 2019년부터 참여해 지역 주민들의 통신 접근성 강화 및 가계통신비 경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국 공공장소 1.3만 개소에 공공 WiFi 존을 구축하였으며 2021년에도 1.2만 개소를 추가 구축하였습니다. KT는 '초고속인터넷 보편역무의무 제공사업자'로의 책임 의식을 가지고 정보 격차 해소에 힘쓰고 있으며 국민 통신기업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당사는 유료방송과 관련하여 방송 서비스의 품질뿐 아니라 고객 볼거리 및 체험의 폭을 확대 하기 위해 글로벌 제휴 및 새로운 서비스 도입 등 소비자가 체감하는 차별화 요소를 강화하였으며, 933만 가입자를 확보하여 IPTV 시장을 리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VOD, 광고, 홈쇼핑 등 플랫폼 매출 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할 전망이며, 중장기적으로 채널/서비스/STB 등 핵심 상품성 개선 및 차별적 기술 경쟁우위 확보를 통해 차세대 미디어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바. 신규사업 내용 및 전망
2019년 4월, KT는 평창올림픽부터 쌓아온 5G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B2C 5G 서비스를 상용화하였습니다.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5G 기술에 맞춰 국내 최초로 5G 데이터 완전 무제한 요금제 '슈퍼플랜'을 발표하였고, 5G 커버리지맵을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오픈하여 5G 선도자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였습니다. 당사는 대용량, 초저지연 등 5G의 네트워크 특성과 네트워크 슬라이싱, 엣지 클라우드 등 차별화 기능 적용을 통해 그동안 LTE가 충족하지 못한 산업적 니즈의 수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커넥티드카 등 5G B2B Use Case 를 지속 발굴해오고 있습니다. 2019년 4월 상용화에 맞춰 서울 전역, 수도권, 6대 광역시 및 85개 시 일부 지역과 주요 인구 밀집 장소인 전국 70개 대형 쇼핑몰 및 백화점에 5G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KTX·SRT 지상 구간, 경부·호남고속도로 전 구간, 전국 6개 공항과 같은 주요 이동경로에도 네트워크를 구축해 최대 커버리지를 확보하였습니다. KT는 2019년 전국 85개 주요 도시 아웃도어 커버리지를 구축했으며, 올해에는 음영지역 해소 및 인빌딩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고객에게 국내 최고 품질의 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또한 KT는 음성시장의 성장 한계 및 초고속 인터넷서비스의 성장세 둔화라는 시대적 패러다임을 극복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성장사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습니다. 특히 KT는 5G를 기반으로 KT의 모든 상품/서비스에 AI를 접목할 수 있도록 추진함으로써, 혁신 및 경쟁력 제고를 통해 AI company로 거듭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KT의 대표 AI 서비스인 기가지니 단말확대 및 사업영역 다양화로 AI 시장 1위 위치를 공고히 할 것입니다. 기가지니를 피벗으로 초고속인터넷/IPTV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기업시장 AI 레퍼런스 고도화를 통해 성장과 사업혁신을 위해 노력할 것 입니다. 또한 국내1위 IPTV 사업자로서 상품구조 혁신 및 특화 STB 개발 등 고객가치혁신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고자 합니다. 제휴 등을 통해 플랫폼 및 볼거리 서비스를 혁신하고, 기가지니 등 AI 기술을 활용하여 지능형 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핵심 경쟁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KT가 보유한 유무선 GiGA 인프라와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등의 ICT 융합 기술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통신과 이종 산업 간의 시너지 창출을 통한 미래융합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사. ESG 경영
(1) 환경분야
1) 기후변화 대응
ㅇ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케이티는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ㅇ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KT는 내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 및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을 준수하여 매년 전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KT의 온실가스 배출은 전국 사옥의 냉난방에너지와 전진배치사업장, 기지국, 중계기 등 통신시설의 전기 사용에 기인하며 이 중 전기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사 배출량의 약 97%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구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
온실가스 배출량(tCO2eq) | Scope I (직접배출) | 38,094 | 36,059 | 36,087 |
Scope II (간접배출) | 1,305,870 | 1,185,659 | 1,098,215 | |
합계 | 1,343,964 | 1,221,718 | 1,134,302 | |
에너지사용량(TJ) | 27,848 | 24,978 | 23,225 |
※ 검증 기관: 한국품질보증원(KQA)
또한, KT는 매년 정부가 지정한 검증기관으로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검증을 받음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최종 검증 완료된 배출량은 KT ESG보고서, CDP, 환경정보공개제도 등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2) 환경규제 대응
KT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해 2015년부터 시행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대상 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KT는 2020년에 정부로부터 3기(2021~2025년) 온실가스 배출권(배출허용량)을 할당 받았으며, 할당 받은 배출허용량을 지키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지속적으로 이행하고 있습니다.
3) 재생에너지 사용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RE100에 정식으로 가입했습니다('22.6월).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기를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하자는 글로벌 캠페인입니다. 케이티는 현재 전국적으로 85개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RE100 이행을 위해 지속적으로 태양광 발전소를 추가 구축할 예정입니다. 또한, PPA, REC 구매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지속 늘려가도록 하겠습니다
4) 환경분야 임직원 친환경 캠페인
2021년 4월, 노사 공동 ESG경영 선언을 통해 임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ESG경영
'친환경 캠페인 지.우.개 (지구.우리.개인을 지키는 작은 실천)'를 시행중입니다.
ㅇ 캠페인 상세 내용
- 일회용품 지우개: 사회적 기업 트래쉬버스터즈와 협업을 통해 광화문 사옥과 우면 사옥, 분당 사옥, 송파사옥등 사내 카페 및 각 층 탕비실에 다회용컵을 도입하였으며, 2022년에는 kt wiz park(야구장) 스카이박스와 그룹사 kt 스포츠 사무실에도 다회용컵을 적용
- 이메일 지우개: '매주 금요일, 불필요한 이메일을 삭제'하여, 탄소 배출 저감 활동에 임직원의 동참을 유도하는 캠페인
- 대기전력 지우개: 퇴근 시, 미사용 콘센트 전원을 끄는 활동을 독려하여, 대기전력을 줄이고 사옥의 전체 전기 사용량을 절약하는 캠페인
- 탄소발자국 지우개: KT 임직원이 함께 이용하는 '만보기' APP을 개발하고, 출퇴근 시 도보&자전거 이용을 권장하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캠페인. 사회적 나눔이 필요한 곳에 걸음을 기부하는 캠페인을 추가 시행하여, 밀알복지재단 (시청각 중복 장애인 지원사업)에 1천만원의 기부금을 집행('22.6월)
ㅇ 기대효과
- 일회용품 지우개 : 월 평균 약3.7만개/일회용컵 대체 효과. 캠페인 시작 후, 총 36만 개의 일회용품을 다회용으로 대체('22.6월 기준)
- 이메일 지우개 : 144만 건 이메일을 삭제 (탄소 5.8톤 배출 저감 동일 효과로, 30년 생 소나무 875그루의 탄소 흡수량)
- 대기전력 지우개: ESG포털을 통한 실천서약과 실천 인증샷을 받고 있으며, 캠페인 시작 후, 총 1,023회의 친환경 실천 서약&인증샷 등록
- 탄소발자국 지우개: 임직원 1,857명이 5.5억 걸음을 함께 걸음으로써, 약 13,104 그루의 소나무 식재효과 발생
(2) 사회분야
1) 게이츠 재단 '감염병 대비를 위한 차세대 방역연구' 모바일앱 출시
ㅇ 게이츠 재단 공동 펀딩을 통한 120억원 규모의 보건 연구추진 ('20.4월 ~ '23.4월)
ㅇ 감염병 증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바일앱 SHINE 출시 ('21.1월)
- 앱에서 수집한 독감 데이터를 기반으로 팬데믹 대비를 위한 솔루션 개발 목적
ㅇ 코로나19 중심의 연구 추진을 위한 SHINE앱 리뉴얼 출시 ('21.10월)
- 코로나19 증상, PCR 검사결과, 백신접종 이력 및 이상반응 등의 데이터 수집을
통한 셀프체크 알고리즘, 확산예측 모델 개발 중
- 4.1만명의 연구 참여자 리쿠르팅 및 코로나19 관련 데이터 확보를 통한 연구기반 구축(~'22.4월)
2) KT 따뜻한 기술 전략의 글로벌 전파를 통한 테크 리더십 강화
ㅇ 대한민국의 ICT를 통한 COVID-19 성공적 대응 사례 글로벌 전파
- WEF, USAID, 하버드대학, OECD 등 국제기구 및 정부대상 소개 및 적용 논의
- UNGC COVID-19 기업대응 사례 모음집(국/영문) 내 KT 사례 반영
ㅇ 2020 다보스포럼 참석 및 연설을 통한 KT 5G/AI기반 DX선도 전략 제시
ㅇ 2020 WEF 회원기업 활동 계획 수립
- 디지털경제, AI거버넌스/리더십, 보건안보 등 3개 플랫폼 참여
- WEF COVID-19 플랫폼 참여를 통한 KT GEPP 기반 K-방역 사례 공유
ㅇ 2020 UNGC 회원기업 활동
- 2020 UNGC 한국협회 정기총회 참여
- UNGC Target Gender Equality 이니셔티브 참여 및 참여기관의 사내 성평등
프로그램 논의
- 2020 UNGC Korea Leaders Summit 참여 및 2년 연속 Lead 회원사 위촉(11.24)
ㅇ 2021 UNGC 회원기업 활동
- 2021 UNGC 한국협회 정기총회 참여
- UNGC Target Gender Equality 이니셔티브 2년('20, '21)연속 참여
- UNGC 한국협회 회원사 ESG 실무그룹 참여
- 반기문ESG아카데미 (UNGC 한국협회, 반기문재단, 연세대학교) 참여
- 2021 UNGC Korea Leaders Summit 참여 및 3년 연속 Lead 회원사로 위촉(11.15)
ㅇ 2022 UNGC 회원기업 활동
- UNGC Korea Lead 기업그룹 간담회 참여(1.13)
- UNGC Target Gender Equality 프로그램 Round II 워크샵 참여(2.22)
3) 국내 최초 프로보노 활동, IT서포터즈의 IT 나눔 및 사회적 책임 이행
ㅇ 전.현직 KT그룹 임직원들이 우리나라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 및
과의존 예방 활동, 미래세대 주역 아동/청소년 대상 첨단IT지식나눔 활동 추진
ㅇ KT IT서포터즈 141명(직원 19명, 은퇴자94명, 그룹28명) 운영을 통해 2022년 6개월간 전국 6대 권역에서 25,610명 대상 IT나눔 활동 추진('22.6월 기준)
[당해년도 주요 활동 내역]
ㅇ 정보소외계층 대상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 활동 추진 : 총 25,610명(2,164회)
- 찾아가는 초, 중 대상 AI 코딩/ 메타버스 활용 교육 : 6,471명(584회)
- 지역사회 시니어 ICT강사 양성 및 스마트뇌활력 교육 : 15,806명(1,222회)
- 장애인 IT자격증 취득교육 지원 : 화성장애인 학교 등 810명(97회)
- 결혼이주민 여성의 사회적응을 위한 OA 자격증 교육 : 남구다문화지원센터 등 830명(80회)
- 소상공인 대상 AI통화비서 활용 교육 : 통인시장, 인천시 소상공인 연합회, 등 148명(33회)
ㅇ 교육부 주관 교육기부 우수기관 연속선정('22~'24, 3년마다 인증) : 초중고 대상 AI코딩교육 공적인증으로 교육기부 우수기관 선정에 따른 평가가점 항목 및 대내외 영향력 제고
ㅇ 정부산하기관 및 지자체 협력, 경력단절여성 및 노인 일자리 창출 지원
- 강원도 일자리재단 협력, 경력단절여성 IT강사 240명 양성
- 보건복지부 노인인력개발원 협력,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시니어ICT강사' 325명 양성 : 성남시니어클럽 등 전국16개소
- 경기도사회서비스원 협력 노인일자리센터 AI 치매예방 서포터즈 양성 : 광교노인복지관 등 총 26명
ㅇ 대외 협력기관 확대를 통해 DIGICO KT로서 디지털역량 강화 교육 추진
- 대구 교육청 (대구창의융합교육원)과 미래 교육 협력 MOU시행, 교원 AI자격인증 (KT AIFB)도입
- 메타버스 도서관 '메타북스' 구축.운영 : 대구북부도서관 공간을 가상으로 구현
- KT-동아대 산학연계를 통한 ESG경영 협력 활동, ICT기반 치매예방 교육 시행
- 참여연대 등 56개 단체 NGO 150명 대상 홍보를 위한 디지털역량 강화 교육 시행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협력, 사회서비스 분야 266명 사회복지 종사자(시니어, 아동 분야) 대상 디지털역량 강화 교육 시행
4) '임직원 사랑의 봉사단' 활성화 추진
ㅇ 목적 : 자발적 봉사 참여, 참여 동기부여 강화를 통한 지역기반 이슈해결 및 ESG 인지도 제고
ㅇ 추진 방향
- 함께 나눔을 실천하는 트랜디한 봉사 프로그램 다양화
광역본부 | ㅇ 노사공동 자율적 봉사활동 (전국 광역본부 쪽방촌 봄맞이 행사_ 화분1,200 / 도시락1,200개) |
4대사옥 | ㅇ 릴레이 봉사활동 추진 |
개별선호봉사 | ㅇ 디지콩 활용을 통한 봉사 및 다양한 DIY 봉사 제공 (언제나 쉽게 참여) |
Together | ㅇ UCC회원사 & 광화문 원팀(노사 및 광화문 인근 회사와 협업) |
DIY 봉사 | ㅇ 임직원 참여 DIY 봉사활동(누적: 2,413명 참여/ 봉사활동6,030시간) |
5) 미래인재 양성 지원을 위한 비대면 학습플랫폼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 추진
ㅇ 학습격차 해소를 위해 대학생과 중등학생을 동시에 지원하는 '랜선야학' 프로그램 시행
- ('20.10월~'21.3월) 서울시교육청 협력 하 300명 중학생 멘티 선발하여 총 100개 그룹을 매칭하고, 9,195시간 비대면 스터디 코칭 시행
- ('21.5월~'21.11월) 전국 10개 교육청으로 단계적 확대하여 '랜선야학 시즌 2' 운영, 멘토293명 및 멘티 852명 선발하여 21,883시간 멘토링 운영
- ('21.11월~'22.4월) 수혜학생을 중학생에서 중/고등학생으로 확대하여 서울시교육청과 '22년 1차수 263명 대학생과 748명 중고등학생 선발 및 19,141시간 멘토링 운영
- ('22.5월~'22.11월 예정) 경기, 강원, 충남, 전남, 대구, 부산, 울산으로 전국 교육청 확대하여 391명 멘토와 1,131명 멘티 학생 대상 멘토링
ㅇ 서울시와 협력하여 서울소재 대학생과 지방 지자체 중학생 매칭하여 국/영/수 학습지도를 지원하는 '랜선나눔캠퍼스' 시행
- ('21.7월~'21.11월) 서울 소재 대학생 162명, 전국 29개 지자체 소재 중학생 멘티 425명 대상 10,956시간 멘토링 추진
- ('22.5월~'22.10월 예정) 서울 소재 대학생 199명, 전국 비수도권 162개 기초자치단체 소재의 중학생 507명 선발
6) 공동 참여 기반 지역사회 이슈해결을 위한 '뭉치면 센 나눔' 지원 활동
ㅇ 지역사랑 1탄 『고향愛 팔도장터』
- 개요 : 전국 11개 지역특산물 판매 농수산 소상공인 지원
- 방식 : 온라인/오프라인 장터 운영을 통한 매출 지원
- 지원 결과 : 총 수량 600ea , 2천만원 매출 지원
ㅇ 지역사랑 2탄 『산불피해지역 지원을 위한 지역사랑 나눔장터』
- 개요 : 동해권 산불피해지역(울진, 동해, 강릉, 삼척) 농수산물 생산자 위기극복 지원
- 방식 : 온라인/오프라인 장터 운영을 통한 매출 지원
- 지원 결과 : 총 1억원(장터 판매 8천만원, 산불지역 쌀 구매 후 소외계층 기부 2천만원)
ㅇ 기업이 주도하고 민, 관이 함께 하는 '『광화문 One』팀 출범'('21. 5월)
- '22년 6월 기준 18개 기관 참여 (행정안전부, 서울시, 종로구청, 종로경찰서,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세종문화회관, KMI한국의학연구소, 서울YMCA,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언론진흥재단, KT, 매일유업, 법무법인태평양, 법무법인세종, 라이나생명, 매일유업, 서울관광재단)
- 광화문 One팀 벤치마킹 지역 원팀 추가 출범 지원(세종원팀 나눠정 플랫폼 제공, 강원도 원팀 조직구성 협력, 대구원팀 조직구성 협력 등)
7) 문화 나눔 활동을 통한 지역 사회 기여와 그룹임직원 로열티 제고
ㅇ KT와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마음을 담은 클래식'
- KT체임버오케스트라가 목동에서 예술의전당으로 자리를 옮겨 KT심포니
오케스트라로 매월 넷째 주 금요일 11시 클래식 공연 진행(22.6월 기준 6회 개최)
- 당해년도 누적 관람객 12천여명 / KT임직원가족 참여인원 2.2천명, 공연만족도 : 98%
- 부서별 핵심가치 실천 우수임직원 초청 및 상반기 입사 신입사원 & 가족 초청으로 진행
8) 장애인 대상 사회공헌 활동
구분 | 주요활동 |
목소리 찾기 프로젝트 |
ㅇ 청각장애인 소통을 위한 마음TALK 앱 개선 - 기가지니 남성 공용목소리 개발 - Play스토어를 통한 앱 설치로 편의성 향상 ㅇ 루게릭 환자 대상 '목소리 보관 서비스' 제공 - 대상 : 초기발병 환자 8명 - 내용 : 본인 목소리 생성/보관 및 마음TALK 앱 전달 ㅇ 농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마음TALK 앱 방송홍보(KBS, MBN 등) |
소리찾기 | ㅇ KT 소리찾기 활성화 - KT 꿈품교실 비대면 교육 수혜자 전국 확대 - 수혜자 모집공고, 공지사항, 커뮤니티 등 인터넷 소통채널 마련 ㅇ 청력재활 수술 및 치료비 지원 : 총 누계 506명 ㅇ 청각장애인 병원 진료시 수어통역 지원 : 총 누계 597명 ㅇ 꿈품교실 재활 프로그램 (세브란스/캄보디아/제주대병원) : 총 누계 연인원 21,997명 ㅇ 가족지원 프로그램 : 총 누계 106명 ㅇ 어린이날 기념 소리찾기 아동 및 가족 대상 KT 위즈파크 야구경기 관람: 18명 |
그 외 | ㅇ 중증장애인 일상생활 편의성 향상을 위한 AIoT 구축 추진 - 대상자 선정 : 손과 보행이 불편한 중증장애인 10명 - 제공 서비스: AIoT(스마트홈+AI케어서비스) |
9) KT 사회적 경제기업 육성 프로그램 'KT 따뜻한 기술 더하기 챌린지'
ㅇ 1기 운영 : '기술중심형 사회적 경제기업' 육성 및 사회적 경제생태계 발전 도모('20.5~'21.9)
- KT, (재)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주관, 중소벤처기업부 후원
- 대상 : 사회적경제기업(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소셜벤처)
- 6개 선발기업 중간 성과 발표회 개최(4.21)를 통해 사업연계 및 협력 기회 창출
- 최종성과발표회 시행 (11.10) : 6개 기업 주요 성과 발표 및 우수팀 시상, 우수팀
대상 추가 사업지원금(총2억원) 지원
*3개 우수팀: 에코피스(1억원), 오파테크(7천만원), 포인핸드(3천만원)
ㅇ 2기 시행 : KT ESG경영과 연계, 에너지/환경/사회안전/디지털 포용 분야 육성('22.2~'22.11)
- 6개 기업 선발하여 육성 지원 (에너지·환경 3개, 사회·안전 3개)
분야 | 기업명 | 사업 내용 |
에너지/ 환경 |
잇그린 | 배달/음식점 용 다회용기 |
딥비전스 | 영상기반 미세먼지 측정 | |
브라더스키퍼 | 식물 기반 공기정화 | |
사회/ 안전 |
에이치에이치에스 | 산업현장 안전 스마트화 |
디플리 | AI/IoT 돌봄 케어 | |
언어발전소 | 비대면 언어재활 치료 |
[2] 위성방송서비스사업: ㈜케이티스카이라이프
가. 산업의 특성
방송시장은 크게 유료방송시장, 방송채널 거래시장, 방송프로그램 거래시장, 방송광고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skylife_산업의 특성 |
유료방송시장은 유료방송 플랫폼(종합유선방송사업자, 위성방송사업자, IPTV제공사업자)이 다채널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입자를 확보하는 시장으로, 아날로그 방송시장에는 현재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있으며, 디지털 방송시장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위성방송사업자, IPTV제공사업자 등이 경쟁하는 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방송채널 거래시장은 유료방송 플랫폼사업자가 지상파방송 및 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로부터 제공받은 채널 및 자체 채널 등에 대해 채널묶음상품(channel package)으로 구성한 후 시청자에게 전송하는 대가로 수신료 수입을 획득하며, 그에 대한 대가로 지상파방송 및 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에게 채널사용료(수신료)를 지급합니다.
방송프로그램 거래시장은 지상파방송 및 방송채널사용사업자가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거나 외주 프로그램 제작사 등으로부터 콘텐츠를 공급받아 채널을 편성·제공하고, 시청률을 기반으로 한 광고 및 유료방송 수신료 배분을 통해 수익을 획득합니다.
방송광고 시장은 지상파방송 및 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이 각기 채널에서의 광고 제공을 통해 수익을 획득하고 있으며,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들도 별도의 자체 채널이나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부터 할당 받은 광고시간 등을 통하여 방송광고를 통한 수익을 획득합니다.
위의 시장 이외에도 홈쇼핑 사업자와 유료방송 플랫폼(종합유선방송사업자, 위성방송사업자, IPTV제공사업자) 사이에 체결되고 있는 홈쇼핑채널 송출시장이 있습니다. 홈쇼핑송출수수료는 홈쇼핑사업자가 플랫폼에게 매출기여도에 따라 별도로 지급하는 대가로 매년마다 계약되고 있습니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OTT(Over-the-top) 서비스가 보편화 되고, 스마트TV,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디바이스가 발달함에 따라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TV Everywhere 시대가 본격화 되었습니다. 개인의 욕구와 관심사가 다양화 되며, 콘텐츠의 수요도 보다 폭 넓고 전문적으로 변모해가고 있습니다. 이에 주요 PP들은 양질의 콘텐츠를 독점 수급하거나 자체 생산함으로써 시장을 선점하고, 방송뿐 아니라 온라인과 모바일, 해외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유통함에 따라 수익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방송 서비스는 유선망을 기반으로 한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뿐만 아니라, 모바일, OTT(Over The Top)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다중융합서비스(Multiple Play Service) 형태의 스마트 미디어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네트워크에서 축적된 지식을 통하여 개인의 상황정보 및 선호도에 최적의 서비스가 능동적으로 제공되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으며, Full HD방송에 비해 4~16배 이상 선명한 초고화질 UHD(Ultra HD) 다채널 서비스와 같은 차세대 방송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습니다. 방송 서비스 시장은 필수재의 성격으로 가입자 수 기준 전체 시장의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있으며 '21년도 기준 전년 대비 3.0% 증가하였습니다.
ㅇ 유료방송시장 가입자 증가 현황 | (단위: 명) |
구분 | 가입자수(단자수 기준)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유료방송 가입자수 | 32,490,544 | 33,601,484 | 34,583,329 | 35,637,342 |
성장률 | 3.6% | 3.4% | 2.9% | 3.0% |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료방송사업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공고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유료방송시장은 사치재가 아닌 필수재이기 때문에 극심한 경기불황이 아닌 상황에서는 가입해지 발생률 또한 상승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입자 수신료 수익에 기반한 사업이기 때문에 계절적 요인에 크게 변동되지 않는 편입니다.
다만 신규가입자 영업 관련하여서는 여름, 겨울철에는 영업이 둔화되다가 봄, 가을철에는 영업이 활성화되는 계절적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및 경쟁상황
방송시장은 크게 지상파방송과 유료방송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등의 지상파방송 사업자와 지상파 DMB 사업자로 구분되고, 유료방송은 유선방송, 위성방송, IPTV로 구분되며, 유선방송은 종합유선과 중계유선으로 구분됩니다. 중계유선방송사업자는 매년 종합유선방송사업자와의 합병 또는 폐업 등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위성방송은 케이티스카이라이프(2002년 3월 개국)가 있으며, 위성이동멀티미디어사업자인 SK텔링크(2010년 11월 티유미디어가 SK텔링크에 합병)는 2012년 8월 31일 서비스를 종료하였습니다.
IPTV는 2008년 9월 사업승인을 받아 2009년 1월부터 상용화하였으며, 해당 사업자는 KT(Olleh TV), SK브로드밴드(B TV), LG유플러스(LG U+) 3개 사업자가 있습니다.
최근 떠오르는 경쟁사업으로는 OTT 서비스가 있으며, 'Seezn', 'wavve', 'tving' 등의 국내 서비스와 'Netflix' 등 글로벌 서비스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모바일을 통한 콘텐츠 소비행태의 확산에 따라 OTT 시장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KISDI 2021년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젊은 층의 낮은 유료방송가입률과 높은 OTT 서비스 이용률, 유료방송 가입률이 낮은 1인가구 비중 증가, 인터넷 등 인프라 발전에 따른 OTT 이용환경 개선 등을 고려할 때, OTT 서비스의 유료방송서비스에 대한 경쟁 압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 시장점유율 추이
ㅇ 유료방송시장 총 가입자 현황 | (단위: 단말장치·단자) |
구분 | 2021년 하반기 평균 | |
가입자 | 점유율 | |
위성 | 3,020,224 | 8.47% |
IPTV | 19,689,655 | 55.25% |
케이블 | 12,927,463 | 36.28% |
합계 | 35,637,342 | 100% |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년 하반기 유료방송사업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공고
마. 경쟁력
스카이라이프는 2015년 6월 세계 최초 3 채널 위성 UHD 방송을 상용화 한 이후, 6월말 기준 UHD 비디오 6 채널, Ultra Audio 2 채널로 국내 최다 UHD 채널을 제공하는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 6월에는 TV가입자 378만명 중 43%인 UHD 방송 가입자 164만명을 돌파함으로써 UHD 방송 시장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최근 유무선통신 서비스 기반의 IPTV 사업자들은 유무선+방송 결합상품 판매 및 양방향 VOD 등 부가서비스 경쟁력을 통해 가입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7년 KT 인터넷 재판매, 2020년 알뜰폰 출시를 통해 알뜰폰과 위성방송, 인터넷을 더한 3종 결합상품(TPS)도 판매하기 시작하여 실속형 유무선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또한 VOD 및 경쟁력 있는 OTT(토핑) 서비스 제공을 통해 결합상품 판매시장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바. 신규사업 내용 및 전망
스카이라이프는 2015년 6월 UHD 방송을 상용화하여 위성의 광대역성과 전국 커버리지의 이점을 살려 기존 HD 시장선도자의 입지를 UHD로 이어가고자 합니다.초고화질 UHD방송과 Google의 최신영화,게임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Android TV' 를 2016년 11월 출시하였고 이는 세계 최초로 위성방송 셋톱박스에 Android 운영체제를 탑재한 상품입니다. 스카이라이프는 Android 상품(스카이UHD A+)을 통해 단방향 위성방송의 약점을 극복하고 TV와 모바일을 넘나드는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8년 10월, 선택약정할인제도를 유료방송 업계 최초로 도입한 '30% 요금할인 홈결합'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초고속인터넷과 위성 방송을 동시 가입할 때 할인해 주는 결합상품으로 합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고객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입니다. 이러한 상품 전략으로 당사의 인터넷 가입자는 2022년 6월말 기준, 전체 34만 인터넷 유지가입자 중 약 20만명이 '30% 요금할인 홈결합' 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품질경쟁을 주도하는 차별화 서비스 전략은 스카이라이프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입니다.
2019년 4월, OTT 통합 플랫폼 '토핑'을 출시하여 안드로이드 UHD 상품인 'sky A'에 OTT 콘텐츠(왓챠플레이, 푹, 유튜브)를 자유롭게 추가해서 시청할 수 있으며, 이용과 관점의 편의성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2021년 7월 UHD 안드로이드TV 기반 서비스를 활용하여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통한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 고객의 콘텐츠 선택지를 확대하고 나아가 OTT 시장에서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2020년 10월에는 알뜰폰 서비스 '스카이라이프 모바일'을 출시하고, 알뜰폰과 위성방송, 인터넷을 더한 3종 결합상품(TPS)도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존 위성방송과 인터넷 30% 요금할인 홈결합의 평생할인 혜택을 모바일에도 적용하여 실속형 유무선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 거듭날 계획입니다.
[3] 기타사업
○ ㈜케이티샛
가. 산업의 특성
위성서비스 사업은 정부로부터 궤도 및 주파수를 할당 받아 이를 이용하여 위성을 확보하고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따라서 정부로부터 기간통신사업자 위성통신 서비스 역무 인가를 받아야 하며, 위성 궤도 및 주파수 역시 정부로부터 할당 받아야 합니다. 현재 케이티샛은 2017년 5월 및 10월에 발사된 위성을 포함하여 총 4기의 위성을 자체 보유(2017년 10월에 발사된 위성은 기존위성 대체목적)하고 있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해외사업자의 위성중계기서비스를 사용하여 위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2021년 세계 위성중계기 시장은 $12.4 Billion 규모이며 글로벌 위성 커버리지를 보유한 3개 사업자(Intelsat/SES/Eutelsat)가 시장 지배적 위치에 있으며 나머지 위성 사업자들에 의해 전략 지역을 중심으로 경쟁이 치열합니다. 위성중계기의 수요는 DTH, Video Distribution, Enterprise Data 등 서비스의 대역증가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향후에도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인도차이나 지역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케이티샛의 주요 서비스인 중계기 고객은 대부분 3~5년 이상 장기계약을 하고 있고, 주로 정부, 방송사 등이 고객으로 경기변동 또는 계절 특성을 적게 받고 있습니다. 다만, 선박회사 대상의 해양서비스 경우 경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케이티샛은 KT 위성역무 부문을 2012년 12월 1일 KT로부터 물적 분할한 회사입니다. KT 위성사업 매출을 기준으로 볼 때 전년대비 국내매출은 정체된 반면, 해외매출은 지속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위성시장은 UHD 채널 증가 및 무인기(UAV)에 따른 중계기 수요로 다소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는 DTH 사업자 및 방송채널 증가에 따른 중계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아시아, 인도 시장을 주요 타깃으로 2017년 5월 및 10월에 총 2대의 신규위성 발사에 성공하였고, 위성 고유의 강점 분야인 해양 위성 통신 서비스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추이
위성사업 분야는 사업 특성상 별도의 신뢰할 만한 국내 시장점유율 자료는 존재하지 않고, 국내 유일의 위성을 보유한 사업자로서 국내 위성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전세계 시장점유율 약 1% 입니다.
마. 경쟁력
케이티샛은 1995년 무궁화위성 1호를 시작으로, 2호, 3호, 5호, 2010년 무궁화위성 6호에 이르기까지의 총 5개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국내 위성사업 시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왔습니다. 해외사업자와 콘도미니엄 위성사업에 참여하여 사업영역을 아시아뿐만 아니라 중동, 아프리카 등 전세계로 확장하고 있으며, 2017년 5월에 7호, 2017년 10월에 5A호를 각각 발사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케이티샛에서 제공 중인 주요 위성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ㅇ 위성 중계기서비스: 고객사가 필요한 중계기 대역을 제공
ㅇ 위성 전용서비스: 비디오전송 및 데이터전송
ㅇ 해양서비스: 해상 위성통신
ㅇ 용역/구축형/기타: 위성통신시설 구축 및 운영
주요 매출거래처는 케이티스카이라이프, 국가기관 및 군사기관 등 입니다.
○ ㈜케이티에스테이트
가. 산업의 특성
부동산 산업이란 일반적으로 부동산이라는 재화 및 관련 서비스를 생산하는 주체가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부동산이라는 재화와 부동산의 개발, 기획, 이용, 관리 및 유통 등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산업으로 산업분류 상 부동산 공급업과 임대·관리업으로 구분됩니다.
부동산 공급업은 직접 개발한 농장, 택지 및 공장용지 등의 토지와 타인에게 도급을 주어 건설한 건물 등을 분양·판매하는 산업활동으로 주거용과 비주거용 그리고 토지와 관련된 기타 부동산으로 세분화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아파트, 판매시설, 오피스텔 등과 같이 구분 소유권이 가능한 부동산들에 대하여 신문광고나 모델하우스 등의 마케팅 수단을 통해 선분양 하는 형태의 사업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는 산업으로 투입 자본의 규모가 크고 개발계획부터 완료까지 장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부동산 경기 현황뿐만 아니라 금리, 자본가용성 등 금융환경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사업 성공 시 도급사업에 비해 높은 수익률이 보장되지만, 위험 역시 높은 사업으로서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산업입니다.
임대·관리업은 부동산 자산관리(AM, Asset Management), 부동산 임대관리(PM, Property Management) 및 부동산 시설관리(FM, Facility Management)로 구분할 수 있으며, AM은 부동산의 취득, 소유, 매각의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관리행위로서 소유주가 직접 수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하는 자산관리회사(AMC, Asset Management Company)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리츠나 부동산펀드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PM은 부동산의 임차인을 발굴, 선정하고 임대차계약, 임차인 클레임 대응, 퇴거업무 등을 수행하고, 해당 부동산사업의 회계, 세무 및 유지보수 전반에 대한 운영관리의 책임을 지는 행위로 상대적으로 FM이 청소, 경비, 유지관리라는 단순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비해 해당 부동산의 핵심 업무를 담당하며, FM업무도 실질적으로 총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부동산 산업은 사회·경제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존 부동산 산업은 건설회사의 아파트 개발 공급 중심의 산업구조 및 영세사업자 중심의 임대 및 관리 서비스업 제공의 양상을 띠고 있었으나, 향후 부동산 시장은 저출산 및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중장기적으로 저성장기조와 성숙화 시장 국면으로 점진적인 전환이 예상되며, 이에 부동산 산업은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아파트 건설 및 분양 중심에서 도시재생, 수요맞춤형 임대주택 공급, 소규모 개발, 관리 및 유통 부문으로 중요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부동산 공급업 및 임대·관리업은 일반 경제활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거시 경제 지표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산업구조 및 경제환경의 변화와 정부의 정책, 금융 환경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변동하는 특성을 가진 경기 의존형 산업입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부동산 공급업 및 임대·관리업은 해당 부동산의 입지조건, 건물 용도, 면적, 건축양식 및 구조형식 등 개별 부동산의 고유 특색에 따라 민감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2) 경쟁상황
ㅇ 경쟁사업자
- 임대: 신세계센트럴센터시티, 롯데물산
- 개발: 에스케이디앤디
- PM/FM: 포스메이트, 젠스타, 신영에셋, 서브원 등
(3) 시장점유율 추이
부동산 개발사업, 임대관리사업 분야는 사업특성상 별도의 신뢰할 만한 시장점유율 자료는 없습니다.
마. 경쟁력
케이티에스테이트는 2010년 8월 부동산개발 전문법인으로 설립되어, 2012년 12월 KT로부터 95개 Site의 주요 부동산을 현물출자 받아 종합부동산 전문법인으로 새롭게 출범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부동산 개발' 중심이었던 사업영역이 '부동산 종합진단, 개발과 투자, 운영관리 및 유동화' 등 부동산 사업의 전 부문 Value Chain을 총괄하는 Business Portfolio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설립 이래 부동산 개발사업의 성공적 추진, 오피스, 임대주택, 호텔의 안정적 운영, 통합관제센터 등을 활용한 사업확장 등 자생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바. 신규사업 내용 및 전망
케이티에스테이트는 KT로부터 2012년 약 2조원(감정가 기준) 가량의 부동산을 현물출자 받음에 따라 기존 KT 부동산의 개발시행 대행 및 컨설팅 사업에 추가하여, 자체 부동산 개발사업 및 부동산 임대 ·관리, 부동산 위탁관리업무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일본의 소형 임대주택 사업 전문회사인 Daiwa Living과의 합작회사 KD Living 설립을 통해 소형 임대주택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였습니다. 향후 케이티에스테이트는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단순히 부동산을 유지·운용하는 차원을 넘어 자산의 설계, 투자 및 관리를 포함하는 종합적 자산관리로서 최적의 투자전략과 운영을 통한 추가적인 수익창출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 ㈜케이티알파(구 케이티하이텔㈜)
가. 산업의 특성
ㅇ 커머스
T커머스 사업은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유료방송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거래로 TV홈쇼핑과 인터넷쇼핑의 중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친숙한 TV라는 매체를 통해 상품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는 TV홈쇼핑과 유사하지만 일방적으로 홈쇼핑사가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TV홈쇼핑과 달리 T커머스에서는 소비자가 관심이 있는 상품정보를 찾아 쇼핑을 할 수 있고 ICT기술 활용을 통해 차별화된 쇼핑 콘텐츠와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ㅇ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사업은 일반적인 종이 형태 상품권(지류교환형, 잔액형) 또는, 실물상품(교환형, 배송형), 가상재화(각종 서비스 이용권)을 바코드(Pin번호)가 포함된 이미지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모바일(휴대전화)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신유형 상품권 서비스 입니다. 모바일 상품권을 휴대전화로 수신한 이는 해당하는 온라인, 오프라인 교환처를 통해 실물상품 또는 가상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은 종이 상품권과 달리, 휴대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전송되어 수발신자의 기록이 명확하기 때문에 오남용의 소지가 없는 투명한 거래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IT기술이 적용된 혁신 서비스 입니다.
ㅇ 콘텐츠
콘텐츠 사업은 영상콘텐츠의 디지털 판권을 수급하여 유통플랫폼에 공급하고 수익을 배분하는 사업으로 국내 콘텐츠 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콘텐츠 산업은 OSMU(One Source Multi Use)의 특성으로 다양한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해 우리나라 성장동력의 한 축으로 부상했습니다. OSMU의 특성과 함께 콘텐츠 소비플랫폼의 증가, 콘텐츠 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하는 프로슈머 유입, 모바일 디바이스 대중화 등의 영향으로 산업 팽창에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영상콘텐츠 IP판권의 국내 최다 보유 사업자로 산업 성장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ㅇ ICT
ICT 사업은PC, 스마트폰, IPTV 등 다양한 단말이 생겨나면서 디지털환경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시장의 요구에 따라 지속 변화해왔습니다. 또한Big Data와5G를 기반으로 한AI 기술 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기업과 개인 대상의 다양한 서비스 및 플랫폼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글로벌 이동통신 회사인KT의 계열사로써 그룹 내ICT 전략사업 추진에 따른 사업 개발 및 운영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ㅇ 커머스
일평균 TV이용시간의 감소에도 T커머스 시장은 고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유통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자심리지수/소매판매액/카드사용액이 증가하고 있으며, 메인 타겟인 40~50대에서도 모바일 중심의 생활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IPTV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방송의 커버리지 확대와 리모컨 쇼핑이 용이한 고성능 셋톱박스 및 음성 쇼핑을 가능케 하는 AI스피커 내장 셋톱박스의 보급 증가, TV와 모바일 간 융합 서비스 확대는 T커머스 이용 고객의 접근성 및 쇼핑경험을 크게 개선하여 성장을 지속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ㅇ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는 모바일 기반으로 남녀노소 구분 없이 누구나 쉽게 접하고 사용할 수있다는 점에서 그 편의성과 실용성을 바탕으로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식음료 중심의 교환형 상품 뿐 아니라 서비스 이용권, 배송형 상품 등 그 범위가 확대 되고 모바일 선물하기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하면서 사용하는 개인 고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업에서도 대 고객 마케팅 선장품, 명절, 생일 등에 실물이나 현금 대신 제공하는 등 내부 임직원의 복지용도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앞으로도 시장은 꾸준히 확대될 전망입니다.
ㅇ 콘텐츠
기존 IPTV 시장 성장과 CATV의 디지털 전환 증가에 힘입어 충분한 콘텐츠 소비 채널이 확보되어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또한 스마트 미디어 보급 및 1인 가구 확산으로 기존 고정형 TV 시청에서 벗어나 비실시간 모바일 중심 개인화 주문형 콘텐츠 소비의 대중화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OTT, MCN(Multi-Channel Network) 등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확대로 웹드라마, 웹예능 등 온라인 전용 콘텐츠 제작 및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산업의 팽창을 자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사는 IPTV, 모바일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영화, 해외드라마 등 다양한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권)를 국내 최다 보유한 사업자로 산업 성장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ㅇ ICT
AI, Big data, Cloud에 기반한KT 그룹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 전략에 따라 관련 서비스 및 플랫폼 개발 사업 수주 및 운영 사업 확대에 따른 지속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ㅇ 커머스
T커머스 시장의 경우 비대면 유통 서비스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 결제 수단 등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른 쇼핑수단에 비해 경기변동이나 계절적인 영향은 낮습니다. 상대적으로 상반기에 비해 동절기가 포함된 하반기를 성수기로 볼 수 있습니다.
ㅇ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모바일상품권은 휴대전화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므로, 계절에 따른 수요 변화의 민감도는 타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당사의 경우, 기업의 대고객 판촉 상품, 내부 임직원 복지용도 등 B2B 시장에서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 경기 활성화 정도에 따라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ㅇ 콘텐츠
콘텐츠 산업 특성상 저관여 상품으로 다른 산업에 비해 경기 민감도가 낮고 계절적인 요인의 영향이 적습니다. 대신 인기 있는 콘텐츠 또는 사회적 분위기에 의한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ㅇ ICT
ICT 사업은 개발 프로젝트 수주 사업 특성상 KT 그룹 내 의존도가 높은 사업으로써 경기변동 및 계절성의 영향이 적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ㅇ 커머스
T커머스 사업은 IPTV, 위성, 케이블 등 국내의 TV를 시청하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사용편의성과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T커머스 사업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ㅇ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사업은 기업의 프로모션 용도의 사은품, 개인간 소액유형의 선물수단으로 각광을 받아 매년 20% 이상 거래규모가 성장하고 있으며 정부의 소비자 권리 보호 강화정책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ㅇ 콘텐츠
콘텐츠 사업은 17,000여편의 국내최다 2차판권 및 150여 유통처를 확보하고 있으며 OTT의 확산으로 대형 글로벌 유통처들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코로나19 등 사회 분위기에 따라 극장 개봉 지연, 취소 등에 따른 배급 시장 축소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ㅇ ICT
ICT 사업은 KT 그룹 내 개발 프로젝트 수요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신규 프로젝트 수주 및 운영 사업을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2) 경쟁상황
ㅇ 커머스
T커머스 경쟁사업자로는 TV 플랫폼을 기반으로 쇼핑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TV홈쇼핑과 T커머스사업자들이 있습니다.
ㅇ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사업은 상품권 원청 발행사와 유통(대행)사들이 함께 입찰 등의 유형에서 상품권 고객사를 두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ㅇ 콘텐츠
콘텐츠 사업은 2차판권의 획득 및 유통 단계에서 콘텐츠 배급사, 콘텐츠 판권 유통 사업자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ㅇ ICT
ICT사업은 주로KT 그룹 내ICT 개발 프로젝트 수주 및 운영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므로 경쟁사업자를 기재하지 않습니다.
(3) 시장점유율 추이
ㅇ 커머스
T커머스는 총 10개 사업자들의 상장 여부, 홈쇼핑 사업병행 여부, 취급고 산정 기준 등에 따라 정확한 시장 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보고서에서는 당사 T커머스 사업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ㅇ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모바일쿠폰 사업은 원청 상품권 발행사의 발행금액과 유통(대행사)의 거래금액이 중첩되어 있어 시장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보고서에서는 당사 모바일쿠폰 사업에 관한 시점점유율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ㅇ 콘텐츠
콘텐츠와 같은 무형의 권리는 시장의 정의와 상품의 범위에 따라서 집계된 수치가 달라, 객관적인 자료를 찾기 어려운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보고서에서는 당사 콘텐츠 사업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ㅇ ICT
ICT사업은 KT그룹 내 개발 프로젝트 수주 사업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므로 시장점유율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마. 경쟁력
ㅇ 커머스
IPTV를 비롯한 디지털방송 가입자의 확대와 고성능 셋톱박스의 확산은 TV리모컨과 AI스피커로 편리하게 구매 및 결제가 가능한 T커머스와 같은 양방향 데이터 쇼핑방송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것입니다. 또한 T커머스 각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사업 투자는 T커머스에 대한 인지도를 증가시키고 시장 규모를 키움으로써 장기적인 시장 전체의 이익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 됩니다.
ㅇ 모바일기프트 커머스
당사는 KT그룹 시너지와 함께 상품권 자체 기능을 차별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백화점 등의 대형유통채널 상품권(6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KT그룹의 유료서비스에 분할, 교차 사용이 가능한 '범용상품권', 고객의 취향 및 자가 선택권을 고려한 '고객선택형상품권', 외식브랜드를 선택, 교차 사용이 가능한 '외식상품권' 등 당사만의 상품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인 'ISMS-P'인증을 획득해 업계 최고 수준의 고객 정보보호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였습니다.
ㅇ 콘텐츠
당사는 국내 최다 IP판권 유통 경쟁력 유지를 위해 핵심 콘텐츠 수급을 위한 IP판권 투자를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영화 제작 단계부터 투자해 디지털판권 확보 및 영화 흥행에 따른 추가 수익을 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콘텐츠 유통 플랫폼에 대한 판권 유통 뿐만 아니라 신규 유통 채널을 지속 발굴하고 있습니다.
ㅇ ICT
당사는 인터넷 포털, 모바일 앱 개발 등 자체 IT 사업과 KT그룹 ICT솔루션사업, ICT플랫폼사업을 영위한 경험을 바탕으로 KT그룹의 ICT 전략사업 추진 및 확대를 위한 enabler로써 그룹 ICT 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바. 신규사업 전망
2021년 7월 모바일쿠폰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케이티엠하우스와의 합병에 따른 모바일기프트커머스 사업과 T커머스 사업 간의 시너지 및 콘텐츠/ICT 사업역량을 통한 새로운 시장 기회를 모색하고, 신사업 추진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가능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지니뮤직
가. 사업 관련 법령 또는 규제
1) 저작권법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한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만든 법률로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를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로서 음악, 영상 등 지적재산권 등록을 통해 타인에게 저작권의 이용을 허락할 수 있고 이용자는 그 저작물에 대한 이용권리를 얻어을 수 있습니다.
2) 음악저작물 사용료 징수규정
음악 등의 저작물 사용에 따른 공정한 사용료 산정 및 징수하기 위하여 만든 근거규정으로 음악 서비스 사업자의 수익 배분율은 정부(문화체육관광부)가 허가한 신탁단체(한국음악저작권협회 등)의「음악저작물 사용료 징수규정」에 의하여 권리자와 사업자간 수익이 배분되고 있습니다.
나.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등
1) 산업의 특성 등(산업특성, 성장성, 경기변동 특성 등)
[음악사업부문]
- 산업의 특성
음악산업은 음반, 공연, 작곡 등 음원을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산업을 지칭하며 다양한 산업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음악산업은 '창작-생산-유통-소비' 라는 가치사슬(Value Chain)구조에서 미디어를 통해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한다는 산업적 특성으로 인하여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산업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음악파일 저장포맷 다양화, 소비자 인식변화, 네트워크 통신기술 발달로 과거 LP, Tape, CD 등 음원을 소유하는 개념에서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의 개념으로 변화되어 현재 국내 음악산업의 디지털화가 보편화 되었습니다.
- 산업의 성장성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성장해온 한국 음악산업은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형태로 디지털 음악파일을 감상할 수 있는 디바이스(스마트폰 등) 대중화, 음원 저작권법 개정, 불법 음원유통 근절, 이동통신사의 디지털 음악시장 참여, 20, 30대 등의 문화/생활방식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음악 콘텐츠 소비 증가와 함께 급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국제음반산업협회가(IFPI) 발표한 『Global Music Report 2022』에 따르면, 2021년 세계 음악시장 성장율은 전년대비 19% 성장, 총 매출 259억달러('21년말 한화 기준 약 31조원)를 기록하여 2020년 성장을(7%) 크게 상회하였고, 연평균 13%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표] 글로벌 음악 및 스트리밍시장 수익규모(Global Music Market Revenues)
(단위: US$ billion, YoY %)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CAGR |
글로벌 음악시장 (Global Music Totaled) |
15.7 (+5.9%) |
17.3 (+10.2%) |
20.2 (+16.8%) |
21.6 (+6.9%) |
25.9 (+19.9%) |
+13.3% |
글로벌 스트리밍시장 (Global Streaming) |
7.8 (+17.7%) |
9.4 (+20.5%) |
11.4 (+21.3%) |
13.4 (+17.5%) |
16.9 (+26.1%) |
+21.3% |
(출처: IFPI-'Global Music Report', 각 연도별 발간 보고서)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발간한 『2020년 기준 콘텐츠산업조사』에 의하면, 2020년 국내 음악시장 규모는 6조원으로 2016년 이후 연평균 3% 이상의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향후 한국의 대중문화 위상증가와 KPOP 수요증가로 한국의 음악산업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표] 국내 음악산업 매출현황(단위: 백만원,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CAGR |
음악산업 | 5,308,240 | 5,804,307 | 6,097,913 | 6,811,818 | 6,064,748 | +3.39%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20년 기준 콘텐츠산업조사, 2021.1)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음악산업은 대중문화의 소비욕구를 쉽게 충족시키는 산업으로 경기/계절적 영향 보다는 시대적 유행과 세대별 가치관의 변화, 국가 인지도 향상 여부, 여타산업과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타사업부문-MD 등]
- 산업의 특성
머천다이즈(MD, Merchandise)는 아티스트와 관련된 상품을 기획, 생산 및 유통하는 산업으로, 일반적인 소비재 상품과 달리 특정 아티스트의 팬덤(Fandom)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수단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MD 상품은 굿즈(Goods)라는 용어로도 통칭하며 아이돌 가수의 이미지 등 지적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을 활용하여 화보집, 의류/액세서리, 문규류 등 다양한 형태로 특정 브랜드와 협업하거나 아이돌이 직접 기획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산업의 성장성
머천다이즈(MD)산업은 음악산업과도 밀접한 영향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음악시장 성장과 함께 머천다이즈(MD) 상품 및 판매채널도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한류문화 확산에 따른 팬문화 형성으로 머천다이즈(MD)산업 역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베스트증권은 국내 굿즈(Goods)시장이 2014년 약 750억원 규모에서 20% 이상 성장하여 2019년 약 2천억원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IBK증권은 2020년 국내 팬덤시장 규모를 약 7.9조원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머천다이즈(MD)상품은 계절 또는 경기변동 영향 보다는 특정 아티스트의 인기와 앨범 흥행여부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 특성으로 일반 소비재 상품과 달리 상품판매 주기가 짧은 특성이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등)
[음악사업부문]
- 시장의 안정성
음악시장은 국민소득 증가와 음악문화의 대중화 영향으로 디지털 음악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시장입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환경개선으로 음악 스트리밍 이용이 증가하고 최근에는 AI스피커, Connected Car 등의 Multi-device 다변화로 음악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경쟁상황
국내 디지털 음원 서비스의 주요 사업자로 지니뮤직(서비스명: genie), 카카오엔터테인먼트(서비스명: Melon), 구글(서비스명: Youtube music), 드림어스컴퍼니(서비스명: FLO) 4사가 음악시장 대부분을 점유중으로 음원서비스사업과 음원 유통사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유료가입자 모객을 위하여 다양한 제휴상품 출시 및 이용권 할인상품, 개인화 큐레이션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등을 통해 서비스 차별화 및 사업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 시장점유율 등
주요 사업인 온라인 음원스트리밍 시장에 대한 공신력 있는 기관의 발표자료나 신뢰성 높은 시장점유율 관련 자료가 부재하고, 코리안클릭, 앱애니, 닐슨코리아 등 개별 온라인 리서치 기관이 발표한 MAU(Monthly Active User, 월 실사용자수) 수치 등이 시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각기 다른 분석기준 및 집계방식으로 상당한 편차가 존재 합니다. 한편, 국내 음원 사업자의 시장점유 자료로 음원/음반 판매량을 집계하여 발표하고 있는 가온차트(Gaon Chat)자료가 시장점유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022년 1월 가온차트가 발표한 국내 유통사별 점유율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표] '21년 국내 음원/음반 유통점유율(400위권 기준)
구분 | 지니뮤직 (스톤뮤직 포함) |
카카오엔터 | YG PLUS | 드림어스컴퍼니 | 기타 |
음원유통 | 18.5% | 37.2% | 10.6% | 7.8% | 25.9% |
앨범유통 | 9.8% | 17.1% | 28.3% | 41.0% | 3.8% |
(출처: 2022.01.12, 가온차트 '2021년 연간차트 리뷰')
[기타사업부문-MD 등]
- 시장의 안정성
머천다이즈(MD)상품은 아티스트의 활동시기에는 공연과 함께 판매되며, 평상시의 경우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온라인/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꾸준히 소비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아티스트의 비대면 형태의 온라인 공연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머천다이즈(MD)시장 역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경쟁상황
국내 MD시장 성장이 확대 될수록 경쟁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침체, 펜데믹 여파 등 단순히 음반과 공연으로 수익을 유지하기 어려워진 기획사가 직접 MD시장에 참여하면서 주요 연계기획사들의 공식 온/오프라인 쇼핑몰 운영 등 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시장점유율 등
MD상품은 일반 상품과 달리 아티스트의 팬덤을 기반으로 하는 만들어지는 상품으로공신력 있는 외부 시장점유 지표가 공표되지 않아 시장 점유율을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3) 회사의 경쟁력 등
[음악사업부문]
지니뮤직은 자체 음원플랫폼 지니(genie)를 통해 고음질 음악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0만곡 이상의 음원에 341가지 컬러(Color)를 매칭하는 인공지능(AI) 기반 뮤직컬러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음악감상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음악 외에도 MZ세대 관심 트렌트를 반영한 오디오 북/예능/드라마 등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21년 10월 소통형 온라인 라이브(Live) 공연 플랫폼 '스테이지(STAYG)' 런칭으로 대규모 공연 뿐만 아니라 팬미팅 등의 아티스트와 팬 사이의 소통창구를 넓히는 등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하며 KT, CJ ENM 등 주주사와의 전략적 협업을 기반으로 사업 경쟁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기타사업부문-MD 등]
머천다이즈(MD)사업은 경쟁력 있는 아티스트 상품과 다양한 유통채널 확보 여부가 시장경쟁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당사는 음악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국/내외 다양한 유통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주주사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머천다이즈(MD)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케이티텔레캅㈜
가. 산업의 특성
보안산업은 국가/기업/개인 등을 대상으로 시설물, 재산 및 인적자원의 안전을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크게 출동보안, 영상보안, 통합보안, 보안 SI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출동보안은 가정집, 상점 등에 감지기나 CCTV를 설치하여 위급 상황 발생 시 통합관제센터에서 출동사원을 급파하고 신속 정확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영상보안은 고객이 원격지에서도 가정집, 상점 등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보안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필요 시에는 출동사원이 직접 대처하는 출동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통합보안은 경비 인력이 고객 건물에 직접 상주하며 순찰, 출입 통제를 하는 서비스이며 보안 SI는 각종 건물에 CCTV, 출입통제시스템, 에너지절감시스템 등을 통합적으로 설계하고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물리보안산업은 가족구조 변화에 따른 1, 2인 가구 증가, 흉악범죄의 증가, CCTV 설치 의무화 대상 확대 등에 따라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AI, IoT, Cloud, Big data 등 기술 진전에 따른 서비스 다양화에 따라 지속적 안정 성장이 예상됩니다. 높은 시장 진입 장벽(경비업 허가, 대규모 네트워크 시스템, 전국망 인프라, 출동구역 확보 등)과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어 성장성과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단순한 출동/인력경비에서 융합보안, 얼굴/홍채인식 등 바이오 인식 분야, 언택트/무인화 분야 등 신규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산업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안전에 대한 needs 및 정부정책 등의 영향으로 물리보안 시장은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국내 보안산업은 기본적인 안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산업이므로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이나, 사회의 불안심리 확대 등 보안 이슈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국내외 내수경기 위축, 다양한 업체들의 경쟁 및 경쟁사의 저가영업은 보안산업의 성장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CCTV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 내부, 수술실, 가금농장 등 CCTV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장소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시장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국내 보안산업은 다양한 보안사업자의 시장 진입 및 통신사업자들의 보안산업 진출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1,2인 가구의 증가, 무인매장의 증가 등으로 가정용/매장용 IoT 기반 상품이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으며, 지능형 영상감시 및 출입통제를 중심으로 기업용 시장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보안산업은 클라우드 기반의 영상보안과 지능형 보안솔루션 및 물리/정보보안이 결합된 융합보안으로 발전해 나가며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경쟁상황
ㅇ 출동보안, 영상보안, 통합보안: 에스원, SK쉴더스 등
(3) 시장점유율 추이
국내 보안산업은 공인된 시장점유율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시장점유율 산정이 불가능합니다.
마. 경쟁력
그 동안 물리보안회사들은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가격 중심으로 치열한 경쟁을 해왔으나 현재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통신사업과의 융/결합이 경쟁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 물리보안시장이 통신사와 보안사업자간의 결합상품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경쟁사들은 출동/영상, 정보보안, 통신 등을 결합한 상품들을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케이티 그룹의 ICT 기술과 당사의 보안역량을 기반으로 출동특화 상품, 클라우드 기반 영상보안 상품, 케어상품, 무인솔루션, 통합Offering 서비스 등 제휴상품을 중심으로 시장을 공략하여 사업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예정입니다.
바. 신규사업 내용 및 전망
케이티텔레캅은 2017년 9월, 세계최초로 플랫폼 기반의 All-IoT 보안상품을 출시하였습니다. 이 상품은 IoT Platform을 내재화하여 H/W 기반의 주장치를 S/W化하였고, S/W주장치에 다양한 IoT센서를 결합하여 고객이 원하는 IoT센서를 무한대로 부착(이용)하도록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한 GiGAeyes상품은 지능형 영상분석, IoT센서, 영상저장/모니터링, 주차관제 등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향후 케이티텔레캅은 보다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보안시장을 주도해 나가겠습니다.
○ ㈜나스미디어
가. 산업의 특성
최근 전통적인 4매체(TV, 라디오, 신문, 잡지) 광고시장의 성장성은 정체를 나타내고 있으나 PC, 모바일, IPTV 등의 뉴미디어 광고시장은 사용자가 확대되고 광고주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성장성이 높습니다. 특히, 디지털광고가 국내 광고 시장 성장의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디지털광고는 약 7.5조원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PC와 모바일을 아우르는 디지털 광고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지상파 TV를 넘어서 최대의 광고 매체로 도약하였으며 동영상, SNS등과 결합한 유형의 검색형 노출형광고 모두 디지털광고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나스미디어는 현재 Data-tech 기반의 통합 디지털광고를 집행을 통해 온라인 DA/SA 주요 광고주와의 파트너십 강화 및 방송광고, 옥외광고 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있으며 더욱 고도화된 오디언스 타겟팅을 위해 지속적인 자사 플랫폼 개발 및 사업확장을 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2021년 국내 광고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20.4% 증가한 13조 9,889억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021년 당사의 사업영역인 디지털 광고는 2020년 대비 31.5% 성장하였으며, 그 중 디지털 노출광고가 39.3% 성장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발맞춰 광고 시장이 디지털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2022년 광고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9.3% 성장한 15조 2,842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은 광고주의 퍼포먼스향 마케팅 집행 확대와 커머스 기업들의 경쟁 심화로 검색형 광고와 노출형 광고가 동반 성장해 올해에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국내 디지털 광고 시장은 전년대비 13.1%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 전체 광고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방송 광고 시장은 코로나 팬데믹 장기화로 인해 다소 회복이 더뎠던 OOH광고 시장은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 재개와 신규DOOH (디지털옥외광고)로의 전환 가속화와 아파트 LCD 등 생활접촉 매체의 꾸준한 수요 증가로 인해10%대 성장이 전망됩니다.
당사 사업영역인 디지털 광고 시장의 최근 전망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억원)
구분 | 2022년(F) | 2021년 | 2020년 |
디지털 광고비 | 90,506 | 80,054 | 61,513 |
출처) 제일기획 「2021년 대한민국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2022.02)」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일반적으로 광고산업은 광고비가 경기 변동에 선행한다고 판단되고 있으며, 실물경기에 매우 민감한 편입니다. 특히 대표적인 전통 광고매체(TV, 신문, 라디오, 인쇄)는 비수기인 1~2월, 7~8월 줄었다가, 4~5월, 9월 이후 집중되는 N자형 패턴을 나타내며 경기 변동에 따라 집행 규모에 큰 차이를 보여왔으나 온라인 광고는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의 민감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경기 불황일수록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매체에 광고를 집중하기 때문인데, 현재 디지털 중심의 환경에서 소비자는 구매 행동 과정에서 PC와 모바일 기기를 통한 광고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으로 나타나며 광고효과도 데이터로 측정되고 리포팅이 되기 때문에 광고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온라인 광고 시장은 경기변동에 큰 상관없이 안정적인 매출 창출이 가능한 시장입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디지털 기기 이용량 증가에 따라 소비자 접점 채널로 디지털 미디어가 활용되는 추세이며 복잡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가 존재함에 따라 미디어 플래닝과 효과 측정을 담당하는 디지털 광고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 중 인터넷광고는 특성상 타겟형 광고, 양방향 광고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광고단가가 낮기 때문에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및 영세상인들의 이용이 늘고 있습니다.
IPTV는 단순 광고 노출형 매체가 아니라 양방향적인 성격을 활용해야 하는 매체이기에 IPTV 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개발하는 형식으로 집행 시 훨씬 의미가 강화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옥외란, 기존 옥외광고(OOH)에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광고 매체를 통칭합니다. 과거 고정된 이미지를 노출하던 것에서 벗어나 동영상, 홀로그램 등 다양한 형식을 통해 장소,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또한 모바일 중심의 시대로 변화한 현 시점에서 온라인 동영상 광고시장의 고성장에 힘입어 모바일 광고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모바일광고 시장은 이미 2016년 PC 광고시장 규모를 넘어섰고 2020년 5.7조원, 2021년에는 7.3조원 규모로 집계되었으며 2022년은 9.0조원 규모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출처) 코바코 「국내 방송통신 광고 시장 규모(2019년~2022년)」
이런 트렌드는 당사의 새로운 성장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2) 경쟁상황
ㅇ 경쟁사업자
- 디지털광고
* 온라인 DA광고: 메조미디어, DMC미디어, 인크로스 등
* 디지털 방송광고(IPTV등): 인크로스, 메조미디어 등
* 디지털 옥외광고: 전홍, 유진메트로 등
- 플랫폼
* 모바일플랫폼: 와이더플래닛, TNK Factory, 버즈빌, NBT 등
* K-DEAL: 인크로스 (T-DEAL) 등
ㅇ 시장진입
- 디지털방송(IPTV등) 광고사업자: 방송통신위원회의 인·허가 사업
- 디지털옥외 광고사업자: 관할구청 인·허가 사업
ㅇ 경쟁요인
- 디지털 광고: 미디어 플래닝 역량 및 매체 협의 능력, 광고 효과 예측/분석 시스템 등
- 플랫폼: AI기술 도입 통해 퍼포먼스광고 효율향상 및 오디언스 타겟을 통한 수익극대화 능력 등
(3) 시장점유율 추이
광고매체별로 경쟁사가 상이하며, 회사별로 주력 판매하는 광고매체가 달라 시장점유율 산정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마. 경쟁력
나스미디어가 영위하고 있는 미디어렙 사업은 기본적으로 광고 솔루션의 기술력, 미디어플래닝 역량, 매체 네트워크 기반, 그리고 영업력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입니다. 나스미디어는 산업 내 핵심경쟁력에서 모두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격차를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사업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하고 있습니다.
(1) 광고솔루션의 기술력
미디어렙 비즈니스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기술적 차별력은 미디어플래닝 능력에 있습니다. 이러한 미디어플래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광고효과의 측정 및 분석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나스미디어는 자체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광고 솔루션을 개발 운용하고 있으며 분석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고서버 역시 자체적으로 개발,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스미디어는 기술개발을 위해서 기술 기획 및 개발을 전담하는 별도의 부서를 두어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디스플레이 광고가 기존 타 매체인 TV, 라디오, 신문 등에 비해 우수한 점은 광고주와 소비자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기존 매체에서는 불가능했던 광고에 대한 반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지표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동사는 국내 광고시장의 특성에 맞게 자체적으로 개발한 'Nsmart', 'ReMix', 'oasis', 'wave', 'nthology', 'IAM' 등의 광고 솔루션을 구축하여 최적화된 뉴미디어 광고 전략 수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경쟁사 대비 다수 확보된 광고 집행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미디어플래닝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경쟁력에서 우위성을 가지게 되어 업계 1위 시장 지위를 더욱 굳건히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효과의 측정 및 분석을 위한 솔루션 이외에도 온라인광고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관련 기술 등도 개발하여 매체사 등에 공급함으로써 고객사와의 네트워크 강화에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2) 미디어플래닝 역량
당사의 인원은 2022년 6월 말 현재 416명이며 이중 미디어플래너는 212명으로 약 51.0%의 비중이며, 미디어플래너 중 5년 이상 경력자가 약 55.7%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 매체 네트워크 기반
나스미디어는 미디어렙사 중 선도 업체로서 경쟁사 대비 폭넓은 매체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디지털광고 시장 내에 주요 매체사들을 포함하여 약 760여개의 매체사와의 거래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매체 네트워크 수 및 다양성 면에서 국내 미디어렙사에서 압도적인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광고 매체 확보는 나스미디어의 수익 다변화 및 안정화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종매체 간의 미디어 믹스 및 전 매체를 통합 집행하는 크로스미디어 광고를 집행하는 데 있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영업력
나스미디어는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업계 1위의 지위를 유지함으로써 업계 내에서 경쟁력을 이미 입증하였으며, 이러한 시장 지위는 많은 매체사 및 광고대행사와의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미디어렙사로서의 경쟁력을 다시 강화시키는 선순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KT와의 협업을 통해 통합 DMP 구축 및 AI 기술을 접목시켜 오디언스 타겟팅에 특화된 플랫폼을 고도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당사가 자체 운영중인 모바일 플랫폼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서비스업의 특성상 업계 내의 영업력은 서비스 품질을 기반으로 한 시장지위가 지표로 보여지는 것으로 나스미디어의 서비스 품질 및 영업력이 타사대비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미디어렙사 업무의 주요 내용이 광고주와 광고대행사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반영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미디어플래닝 및 광고 효과 측정/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나스미디어는 단순히 인적 영업에 의존하지 않고 서비스 품질 제고를 바탕으로 나스미디어의 시장지위를 강화한 것이며 이는 다시 시장 내 영업력이 강화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 신규사업 내용 및 전망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시장인 디지털 광고 시장내에서 나스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렙 사업을 통해 축적한 다양한 광고 캠페인 데이터를 통해 광고주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상품과 매체 추천 솔루션 개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KT 융합기술원과 AI 솔루션 도입 협업을 통해 자사 모바일 플랫폼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자체 DMP 시스템을 구축하고 광고효과를 고도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플레이디(구, 엔서치마케팅㈜) 인수를 계기로 온라인 디스플레이광고와 검색광고 역량을 응집한 통합 광고효과측정 솔루션 개발, KT가 보유한 온·오프상의 효율적인 미디어(매체)와 나스미디어의 폭넓은 영업 네트워크를 결합시켜 시너지 창출을 도모할 것입니다.
또한 나스미디어는 태국현지법인(Nasmedia (Thailand)Co., Ltd.)을 2018년에 설립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나스미디어는 다년간 축적해 온 온라인 광고에 대한 기술적 노하우와 광고 캠페인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태국을 교두보로 동남아 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태국은 모바일 기기를 통한 미디어 이용 부분에서 전세계 상위권에 해당하며 특히 인구수 대비 페이스북 활성 이용자 비율이 세계 평균보다 높은 지역으로 향후 나스미디어가 아시아를 선도하는 디지털 전문 광고 회사로 발돋움할 기반이 되어 줄 것입니다.
나스미디어는 KT와 함께 KT고객 대상 문자메세지 기반 폐쇄형 커머스 상품 케이딜(K-Deal)을 2021년 2월 출시했습니다. KT의 통신 가입 고객 대상으로 맞춤화된 추천 상품과 URL이 담긴 광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품 정보 확인부터 구매까지 가능한 온라인 페이지로 연결시켜주는 광고 상품입니다. 통신사들은 가입자 빅데이터를 활용해 성별, 연령, 지역은 물론 구매 내역, 가구 정보, 주요 상주 위치, 모바일 방문 사이트와 검색어 등을 통한 쇼핑 관심사 파악 등을 통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 후 정교한 타깃팅을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상품을 소싱한 뒤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 고객에게 타깃 마케팅 문자를 발송 하게 됩니다. KT의 빅데이터 분석과 당사의 광고사업 역량 결합을 통해 광고주의 매출을 극대화해 줄 사업 모델로 나스미디어의 커머스 사업 진출의 발판이 되어 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옥외광고 디지털화를 주도하며 디지털동영상광고인 엔스퀘어(N.square)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엔스퀘어는 기존 지하철 영상 매체 대비 큰 사이즈와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통해 높은 광고 주목도를 제공하며 신규 디지털 사이니지 매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8호선 54개 주요 역사내 승강장 상단, 대합실 출구 등 승객 밀집 장소에 120대 엔스퀘어(N.square)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품별, 금액대별 다양한 패키지로 합리적인 광고 집행이 가능하다는 이점으로 대형 광고주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 ㈜케이티스튜디오지니
케이티스튜디오지니는 제작 스튜디오로서 채널, OTT 등에 미디어콘테츠(드라마)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제작사업과 미디어콘텐츠의 국내외 유통을 대행하는 유통대행사업을 주요 사업군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미디어콘텐츠 제작사업은 IP의 확보로부터 최종 콘텐츠의 제작완료까지의 기간이 길고, 건별 대규모 투자재원이 필요한 바, 충분한 재원, 우수IP, 경쟁력있는 제작인력, 안정적 유통파이프라인의 확보가 중요 사업성공요소입니다. 당사는 '21년 모회사인 KT로부터 설립출자금과 주주배정 유상증자로 2,000억원을 마련하여 제작과 채널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22년부터 추가 외부 재원조달 활동을 통해 IP, 제작 경쟁력의 지속 보강을 꾀하고 있습니다.
○ ㈜케이티클라우드
가. 산업의 특성
인터넷데이터센터(IDC)/클라우드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증가한 디지털시대/DIGICO의 필수 인프라입니다. DIGICO 사업을 기업의 핵심 포트폴리오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IDC와 Cloud의 주도권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케이티클라우드는 국내 사업자 중 클라우드·IDC(인터넷데이터센터)·네트워크 세 가지 역량을 모두 갖춘 유일한 사업자로서 IDC 부터 Cloud서비스까지 고객 맞춤 서비스를 E2E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Cloud 부문에서는 공공클라우드 전환 활성화에 발맞춰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 및 공공분야 전담 사업체계를 구축하였으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AI 클라우드 등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IDC 부문에서는 CDC 포함 전국 총 14개의 IDC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도권 IDC 공급부족을 해소할 26MW급 초대규모 '가산 IDC'를 착공하는 등 빠르게 늘어나는 클라우드 및 IT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1) Cloud
Cloud 는 디지털 산업의 필수 인프라로서,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되며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도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 차원에서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활성화를 추진하며 공공클라우드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발표한 바와 같이 정부는 8,6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모든 행정·공공기관의 정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예정이며, 특히 올해 전환 규모가 가장 크기 때문에 공공 클라우드의 확산이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또한, 여전히 규제의 벽이 높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확대와 공공/지자체들의 클라우드 이용 니즈가 더해져 과거 대비 높은 성장성이 전망됩니다. 더불어 기업들의 인공지능(AI) 및 머신 러닝(ML) 활용의 증가는 Private 클라우드 IT 인프라 투자 확대로 이어지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IDC
IDC 시장 역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및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요 증가와 함께 지속해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Digital Transformation의 가속화로 인한 데이터 저장량 및 트래픽 증가와 VR/AR,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등과 같은 AI, IoT, Big Data 기반 신규 비즈니스 출현은 IDC, 클라우드와 같은 디지털 인프라 수요 증가 요인입니다. 또한, 시장 환경변화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IT 인프라 이용 필요 증가,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 중심의 확장 수요 지속 등과 같은 이유로 꾸준한 시장 확대가 예상됩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해당없음
라. 경쟁요소
1) Cloud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글로벌 CSP(AWS, MS, Google 등)가 IaaS/PaaS/SaaS 경쟁력을 기반으로 시장을 빠르게 점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CSP사(네이버 클라우드, 카카오 등) 중심으로 코로나19 이슈로 비대면 업무 증가에 따른 PaaS/SaaS 수요 증가 및 관련한 정부 디지털 뉴딜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공공분야 사업 수주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주요 SI 3사(삼성SDS, SK C&C, LG CNS)는 CSP 사업자와 협업하여 금융/공공 클라우드 시장뿐만 아니라 의료, 제조 등 업종 특화된 SaaS/PaaS 시장도 공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국내 SW 및 솔루션 기업들은 기존 자사 솔루션의 SaaS화 추진을 통해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케이티클라우드는 전면적인 경쟁보다 '선택과 집중'으로 공공/금융 시장을 타겟팅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 시장은 클라우드 도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확대 및 공공기관/지자체들의 클라우드 이용 수요 증가로 시장 성장/확대가 전망됩니다. 한편, 현재 공공/금융 시장은 보안 문제로 인한 정책 규제 등으로 글로벌 사업자의 진입이 제한되어 있으나 향후 시장 규제가 완화될 경우 글로벌 사업자와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IDC
기존에는 ISP 사업자들이 기존 IDC 시장을 주도해왔으나 최근 자산운용사, 건설사 등 신규 플레이어들이 데이터센터 산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Equinix, Digital Realty 등의 글로벌 리츠 사업자들이 글로벌 네트워크 강점을 활용하여 국내 시장에 참여하면서 국내 데이터센터 공급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IDC는 디지털 전환 활성화로 인한 수요 폭증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케이티클라우드는 시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 외에 시장 Top Player와 협력해 Brand IDC 비율을 높이고 부지/전력을 기확보한 자산운용사와 협력하는 형태의 DBO 사업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또한,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대응하여 친환경 탄소저감 IDC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하며, 신축 고양 IDC를 글로벌 Top-Tier 수준의 탄소저감 IDC로 구축하고, 다양한 에너지 절감기술과 신재생 에너지를 도입해 에너지 효율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최근 Multi/Hybrid 클라우드 고객 수요 대응을 위해 글로벌 사업자와 제휴하여 네트워크 상호 연결서비스를 확대하고, 축적된 설계/구축/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IDC 사업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
마. 경쟁력
1) Cloud
케이티클라우드는 국내 사업자 중 유일하게 클라우드·IDC(인터넷데이터센터)·네트워크 세 가지 역량을 모두 갖춘 유일한 사업자입니다. 아직 많은 기업과 기관이 Legacy 인프라를 이용하고 있어, Cloud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일정 기간 Hybrid 형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 케이티클라우드가 보유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IDC 그리고 KT의 안정적인 네트워크 품질까지 연계해서 고객의 환경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E2E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AWS, MS Azure 등 글로벌 경쟁사의 경우 수많은 글로벌 레퍼런스를 보유하여 서비스 경쟁력 측면에서는 국내 사업자보다 우위이나, 규제대응 및 커스터마이징 역량은 다소 미흡합니다. 당사는 차별화된 5G 기술과 Cloud를 기반으로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를 결합한 'KT DX 플랫폼'을 구축하여 업종별 고객 맞춤형으로 DX 니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공공사업 분야에서는 국내 최초로 'G-클라우드(G-Cloud)'를 개시하고 국내 공공 클라우드 1호 사업 관리 운영 사례인 '서울시 따릉이'를 시작으로, 평창동계올림픽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등 굵직한 사업들을 맡아오며 공공 클라우드 산업 확대와 관련 규제 해소를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현재 케이티클라우드는 22년도 공공 클라우드 퍼블릭 1차/2차 사업에 대해서 공공기관의 70% 이상을 수주(KT 자체 집계)하였고, 국내 최초로 금융권 중요시스템을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 구축하여 상용화 단계까지 완료한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IDC
케이티클라우드는 IDC 코로케이션 시장 1위 사업자로, 매출 및 M/S의 견실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다 데이터센터(전국 13개, 그중 수도권 7개)를 운영 중으로 고객이 원하는 위치에 고객 전용 Zone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산업별 최다 고객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20년간 쌓아온 기술과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 Top 수준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국내 최초로 글로벌 고객사 유치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CP 시장을 선점하고 가장 많은 물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IDC 사업 특성상 신규 고객유치뿐 아니라 입주 고객 성장이 중요한데,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고객들의 성장세가 높아 KT IDC도 동반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자산운용사 등과 협력, 2024년까지 대규모 IDC 공급을 추진하는 등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전략적 투자를 통해 시장을 지속 선도할 계획입니다. 또한 글로벌 사업자와 제휴로 해외 연결 서비스를 확장하고, 우즈베키스탄 등에 IDC 구축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글로벌 IDC 시장에도 본격 진출할 계획이며 에너지 절감 기술과 신재생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친환경 탄소저감 IDC를 통해 ESG 경영 실현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바.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Cloud
[HAC서비스]
2021년 12월, 고객 AI 융합서비스 개발을 위한 대규모 클러스터링이 가능한 종량제 GPU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AI 산업 발전에 따른 GPU Computing 수요의 급격한 증가 및 초거대 AI 모델 트렌드에 맞추어 대규모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자원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 서비스로 실 사용량 기반의 종량제 서비스입니다. AI 모델 개발 스테이지에 따라 필요한 자원 규모를 자원 live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별도 개발 없이 HAC 내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GPU 자원을 분산처리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HAC 서비스를 필두로 AI 인프라에 집중 투자하고 AI 플랫폼과 서비스 영역까지 사업을 확대할 예정으로, 향후 초대규모 'GPU 팜'을 구축하고 전용 AI 반도체 칩 개발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제공하는 '풀스택 AI' 사업자로 거듭날 계획입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CloudFarm' 서비스]
2022년 7월,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강력한 보안성과 퍼블릭 클라우드의 비용·운영 효과를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팜(CloudFarm)'을 출시하였습니다. '클라우드팜'은 기관·기업의 니즈에 맞춰 고객사만의 클라우드 서버를 내부에 구축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로 케이티클라우드의 클라우드·IDC(인터넷데이터센터)·네트워크를 모두 활용한 올인원 패키지입니다. 고객사 상면에 케이티클라우드 서비스와 동일한 인프라 패키지(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제공·구축하고, 데이터센터와 고객사를 전용회선으로 연결·관리하기 때문에 보안 이슈를 해소할 수 있으며 프라이빗 클라우드 대비 약 20%의 구축 기간과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빠르게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할 수 있고, 보안성과 경제성을 갖춘 솔루션으로 공공/금융 클라우드 가속화하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AWS SCA]
2022년 6월, AWS와 SCA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AWS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미팅을 추진하는 등 AI, 클라우드, 미디어/콘텐츠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기반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AI/DX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B2C, B2B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 발굴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KT DX 플랫폼' 서비스]
2020년 11월, 고객의 DX 혁신을 돕기 위한 비즈니스 도구인 '인프라-플랫폼-솔루션'을 통합한 플랫폼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세부 상품으로는 GPU 기반 고성능 인프라, AI 개발환경, API 서비스, Data Lake 기반 Big Data 플랫폼, MSA Container 개발플랫폼, IoT+AI 기반 환경/건설/예지보전 플랫폼, 산업분야별 특화솔루션 등이 있습니다.
2) IDC
[Brand IDC 추진 (DBO 사업)]
'Brand IDC'는 제휴사의 데이터센터 혹은 제휴사의 자본으로 함께 구축한 센터를 케이티클라우드의 기술력과 노하우로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2021년 5월, 타사 IDC 임대 후 KT의 네트워크와 운용체계를 적용한 '코로케이션 + Managed' 서비스를 정식 오픈했습니다. KT Brand를 활용한 해당 IDC 서비스는 수전 계통 및 내부 전력/공조설비 다중화로 가용성을 극대화하였고, 높은 수준의 UPS, 변전소 이원화/이중화 등을 통해 완벽한 네트워크 연동과 DCI를 통한 멀티 IDC를 구현하였습니다. 2022년 7월, 26MW 규모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가산 IDC를 착공하였습니다. 가산 IDC는 시행법인·건설사와 협업해 금융권 PF(Project Financing)를 통한 자금 조달로 설립되는 'Brand IDC'로 지상 10층·지하 5층 규모로 2025년 준공 예정이며, 10만 대 이상 서버 수용이 가능한 초거대(Hyper scale) 데이터센터입니다. 앞으로도 케이티클라우드는 이처럼 IDC 공급 방식 다각화를 통해 발 빠른 대응으로 시장을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 신규사업 전망 관련 내용은 각 회사의 예측(분석, 추정 등)하에 설명된 사항으로, 오직 현재를 기준으로 각 회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재한 것일 뿐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투자결정을 함에 있어서 각 회사의 예측(분석, 추정 등) 자료에만 의존하여 판단하여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비씨카드는 여신전문금융업법상의 ① 신용카드가맹점의 모집ㆍ관리업무, ② 신용카드 이용과 관련된 대금의 결제업무를 수행하는 매입업무, ③ 여신전문금융업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사업자들에게 신용카드 발행ㆍ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신용카드 발행 및 회원에 대한 자금공여업무, 보험업무, 통신판매업무, 여행업무 등을 수행 하고 있는 여신전문금융업법상의 여신전문금융업자입니다.
가. 최근 3사업연도 매출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반기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매입업무수익 | 1,563,182 | 82.6 | 3,154,561 | 88.1 | 2,961,791 | 87.4 |
서비스수수료수익 | 82,282 | 4.3 | 176,610 | 4.9 | 199,934 | 5.9 |
부가사업수수료수익 | 28,877 | 1.5 | 68,972 | 1.9 | 77,032 | 2.3 |
회원서비스수수료수익 | 27,921 | 1.5 | 57,182 | 1.6 | 49,860 | 1.5 |
자체카드수익 | 9,793 | 0.5 | 9,051 | 0.3 | 4,591 | 0.1 |
금융수익 | 25,080 | 1.3 | 29,935 | 0.9 | 24,186 | 0.7 |
외화관련이익 | 2,610 | 0.1 | 4,062 | 0.1 | 4,679 | 0.1 |
기타영업수익 | 153,700 | 8.2 | 79,065 | 2.2 | 67,986 | 2.0 |
합계 | 1,893,445 | 100.0 | 3,579,438 | 100.0 | 3,390,059 | 100.0 |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결재무제표 기준
나.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비씨카드는 회원사와 카드업무에 관한 기본 계약을 바탕으로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 발행 및 매입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회원사 이외의 신규 고객사 확대를 통하여 신용카드 업무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다. 경영상의 주요계약
1) 계약상대방 : ㈜케이뱅크
o 내용 : ㈜케이뱅크 유상증자 참여
o 출자일자 : 2021.7.9
o 취득주식수 : 보통주 65,377,980주
o 취득금액 : 424,957백만원
2) 계약상대방 : 이니텍㈜
o 내용 : ㈜스마트로 주식 취득
o 거래일자 : 2021.12.29
o 취득주식수 : 626,736주
o 취득금액 : 96,842백만원
-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매매목적 또는 위험회피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파생상품 종류 | 계약내용 |
매매목적 | 동반매각청구권 (Drag-Along Right) |
당사가 ㈜케이뱅크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재무적투자자들에게 동반매각청구권(Drag-Along Right)을 부여한 거래로 ㈜케이뱅크가 인수 완료일로부터 합의한 조건으로 상장되지 못하는 경우, 재무적투자자들은 당사에 동반매각청구권(Drag-Along Right)을 행사할 수 있으며, 당사는 이에 응하거나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재무적투자자들이 동반매각청구권(Drag-Along Right)을 행사하는 경우, 당사는 매도청구권을 행사하거나 재무적투자자들에게 합의한 조건의 수익률을 보장해주어야 하는 계약 |
현금흐름위험회피 | 이자율 스왑 | 당사가 발행한 변동금리부 원화사채에 대한 이자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계약 |
-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파생상품 계약의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동반매각청구권(Drag-Along Right)
구분 | 거래상대방 | 부여일 | 행사가능일 | 만기일 | 행사가능주식수 | 주식옵션가치 (1주당) |
동반매각청구권 (Drag-Along Right) |
㈜케이뱅크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재무적투자자 |
2021-07-09 | 2026-07-08 | 2026-10-08 | 111,538,464주 | 865원 |
② 이자율 스왑
(단위 : 백만원)
구분 | 계약처 | 계약체결일 | 계약만기일 | 약정금액 | 금리 | |
계약금리 | 스왑금리 | |||||
이자율 스왑 | 신한은행 | 2022-03-25 | 2025-03-25 | 60,000 | CMS(5Y) | 2.70% |
2022-03-25 | 2032-03-25 | 40,000 | CMS(10Y) | 2.64% |
-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파생상품 계약의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반기말
(단위 : 백만원)
구 분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
동반매각청구권 (Drag-Along Right) |
- | 96,479 | - | - |
이자율 스왑 | - | - | 2,019 | - |
합 계 | - | 96,479 | 2,019 | - |
2) 전기말
(단위 : 백만원)
구 분 | 매매목적 | 위험회피목적 |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
동반매각청구권 (Drag-Along Right) |
- | 158,284 | - | - |
-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파생상품 관련 손익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 2022년 1분기 | 2021년 1분기 | ||||
평가손익 | 거래손익 | 기타포괄손익 | 평가손익 | 거래손익 | 기타포괄손익 | |
동반매각청구권 | 61,805 | - | - | - | - | - |
이자율스왑 | (481) | - | 2,500 | - | - | - |
합계 | 61,324 | - | 2,500 | - | - | - |
가. 생산설비의 현황
ㅇ 지점 등 설치 현황
지역 | 지점 | 출장소 | 사무소 | 합계 |
경상 | 2 | - | 1 | 3 |
전라 | 1 | - | 1 | 2 |
제주 | - | - | 1 | 1 |
합계 | 3 | - | 3 | 6 |
ㅇ 영업설비 등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합계 |
본점 | 310,041 | 186,076 | 496,117 |
지점 | 465 | 2,989 | 3,454 |
합계 | 310,506 | 189,065 | 499,571 |
※ 본점은 투자부동산 포함, 지점은 서고 등 포함 (취득원가 기준)
[주요 경영지표 현황]
(단위: %) |
구분 | 제40기 반기 | 제39기 | 제38기 | 산출방법 | |
자본의 적정성 |
조정자기자본비율 | 32.69 | 35.80 | 44.19 | 조정자기자본 / 조정총자산 x 100 |
단순자기자본비율 | 31.98 | 35.44 | 41.43 | 자기자본 / 총자산 x 100 | |
자산의 건전성 |
손실위험도가중부실채권비율 | 0.14 | 0.08 | 0.12 | 가중부실채권등 / 총채권등 x 100 |
고정이하채권비율 | 0.19 | 0.11 | 0.15 | 고정이하분류채권등 / 총채권등 x 100 | |
연체채권비율 | 0.41 | 0.31 | 0.30 | 연채채권 / 총채권액 x 100 | |
대주주에 대한 신용공여비율 | - | - | - | 대주주 신용공여액 / 자기자본 x 100 | |
대손충당금적립비율 | 146.09 | 171.83 | 158.34 | 대손충당금잔액 / 대손충당금 요적립액 x 100 | |
수익성 | 총자산이익률 | 3.46 | 2.47 | 2.15 | 당기순이익 / 총자산(평잔) x 100 |
자기자본이익률 | 12.33 | 7.46 | 6.32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 |
총자산경비율 | 4.58 | 5.44 | 6.24 | 총경비 / 총자산(평잔) x 100 | |
수지비율 | 94.66 | 95.82 | 96.69 | 연간세전비용 / 연간세전수익 x 100 | |
유동성 | 원화 유동성비율 | 121.24 | 114.90 | 112.27 | 원화유동성자산 / 원화유동성부채 x 100 (만기 90일 이내) |
업무용유형자산비율 | 34.43 | 36.31 | 38.25 | 업무용유형자산 / 자기자본 x 100 | |
발행채권의 신용스프레드 | 1.05 | 0.65 | 0.39 | 신용카드사채권수익률-동일만기 국고채 수익률 |
가. 산업의 특성
신용카드업은 신용카드의 발행 및 관리, 신용카드 이용과 관련된 대금의 결제, 신용카드 가맹점의 모집 및 관리하는 사업입니다. 이외에도 카드사는 회원에게 단기카드대출·장기카드대출 등의 신용대출을 제공함과 동시에 통신판매·보험대리·여행알선 등의 부수업무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시장진입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사업영위를 위한 신용리스크 관리능력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진입장벽은 높은 상황입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현재 카드 시장은 2000년대 초기 정책 당국의 가맹점 가입 의무화 조치로 확대되었다가 2005년 카드사태가 일단락된 후 현금영수증제도 도입, 소득공제 혜택 등으로 인해 압축성장을 이어왔으며, 2010년 이후에는 가맹점 수 증가세 및 평균결제금액 하락세 둔화로 성숙기에 진입하였습니다.
카드사의 마케팅 전략이 과도하지 않다면 경기방어적인 카드마케팅의 성향은 오히려 경제의 선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을 해주어 경기 침체기 및 회복기 등 경기순환기 사이의 변동폭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합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신용카드업은 전형적인 내수기반 산업으로 민간소비 및 전반적인 국내 경제상황의 변화 등 경기변동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ㅇ 카드 및 가맹점수
국내 신용카드 발급 수 및 가맹점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추계인구 (만명) |
경제활동인구(*1) (만명) |
신용카드수 (만매) |
경제활동인구 1인당카드수(매) |
가맹점수(*2) (만점) |
2016 | 5,125 | 2,742 | 9,564 | 3.5 | 250 |
2017 | 5,145 | 2,775 | 9,946 | 3.6 | 257 |
2018 | 5,164 | 2,758 | 10,506 | 3.8 | 269 |
2019 | 5,171 | 2,819 | 11,098 | 3.9 | 281 |
2020 | 5,178 | 2,801 | 11,373 | 4.1 | 290 |
2021 | 5,174 | 2,831 | 11,769 | 4.2 | 299 |
※ 출처 : 여신금융협회
(*1) 만 15세 이상 생산가능 연령 인구 중에서 구직활동이 가능한 취업자 및 실업자
(*2) 가맹점으로부터의 매출전표 매입건수 1건 이상(연간) 발생기준, 2022.1Q 기준 실적공시 없음
신용카드 발급수는 2021년 누적 기준 11,769만매, 경제활동인구 1인당 평균 카드 소지 매수는 4.2매 수준이며, 신용카드 가맹점 수는 2021년말 기준 299만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ㅇ 신용카드 이용실적
연도별 신용카드이용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십억원) |
구분 | 신용카드 이용실적 | 민간최종소비지출 대비 신용카드 이용 비중 (%) |
||||||
계 | 일시불 | % | 할부 | % | 현금서비스 (단기카드대출) |
% | ||
2016 | 655,361.0 | 489,442.9 | 74.7 | 106,589.2 | 16.3 | 59,328.9 | 9.1 | 66.3 |
2017 | 686,608.0 | 512,081.2 | 74.6 | 115,260.6 | 16.8 | 59,266.2 | 8.6 | 67.0 |
2018 | 724,781.5 | 539,284.6 | 74.4 | 124,728.6 | 17.2 | 60,768.3 | 8.4 | 68.4 |
2019 | 760,075.9 | 572,183.9 | 75.3 | 128,768.1 | 16.9 | 59,123.9 | 7.8 | 71.7 |
2020 | 705,246.4 | 572.943.2 | 75.5 | 132,303.3 | 17.4 | 54,083.6 | 7.1 | 75.2 |
2021 | 834,172.9 | 634,315.1 | 83.5 | 144,719.5 | 19.1 | 55,138.3 | 7.3 | 77.8 |
※ 출처 : 여신금융협회
신용카드 이용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21년 민간최종소비지출 대비 신용카드의 이용실적이 70%를 초과하는 등 지불결제수단으로서 신용카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 경쟁상황
ㅇ 경쟁사업자
-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KB국민카드, 하나카드 등
ㅇ 경쟁요인
- 회원 수, 카드 승인 건 수, 가맹점 수, 카드 발급 건 수, 카드의 제휴혜택 등
(3) 시장점유율 추이
구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매입실적 점유비 | 23.1% | 23.5% | 24.1% |
※ BC카드 자체 통계자료임
마. 경쟁력
신용카드업은 회원모집,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는 상품서비스 개발, 가맹점 네트워크 확보, 고객별 차별화된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및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 유지를 위한 리스크 관리 역량이 중요한 산업입니다.
최근에는 기술 발달로 인해 금융 서비스 영역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디지털 결제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금융 서비스 제공자간 경쟁도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BC카드는 신용카드 프로세싱 업무를 주력으로 영위하며, 보유 채권 대부분이 은행 및 전업카드사 등 신용도가 우량한 금융기관들로 구성되어 자산건전성 저하 가능성 등 신용카드업 고유의 리스크가 낮은 수준입니다. 신용카드 프로세싱 시장에서 구축한 지위에 기반하여 규모의 경제에 도달하지 못한 중소 카드발급사들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플랫폼 '페이북'을 기반으로 간편결제 및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쉽고 편리한 금융생활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바. 주요 제품 등의 가격 변동 추이
(단위 : %)
구 분 | 2022년 반기 | 2021년 | 2020년 |
가맹점수수료율 | 0.5~2.3 | 0.8~2.3 | 0.8~2.3 |
할부수수료율 | 11.0~18.5 | 11.0~18.5 | 11.0~18.5 |
현금서비스 이자율 | 7.9~19.9 | 7.9~23.3 | 7.9~23.3 |
사. 지적재산권 현황
2022년 6월 30일 현재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총 128건의 특허권을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 신용카드 결제방법, 거래승인 등에 관한 특허입니다. 또한 총 805건의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 증권 발행내역
(단위 : 백만원, %)
발행 회사 | 증권 종류 | 발행 방법 | 발행 일자 | 권면 (전자등록) 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 (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 여부 |
주관 회사 |
비씨 카드 | 회사채 | 공모 | '22.3.2 | 50,000 | 2.615 | AA+ (한기평/NICE/한신평) |
'24.2.29 | 미상환 | 미래에셋 대우증권 |
비씨 카드 | 회사채 | 공모 | '22.3.2 | 20,000 | 2.745 | AA+ (한기평/NICE/한신평) |
'24.9.2 | 미상환 | 미래에셋 대우증권 |
비씨 카드 | 회사채 | 공모 | '22.3.2 | 20,000 | 2.88 | AA+ (한기평/NICE/한신평) |
'25.2.28 | 미상환 | 미래에셋 대우증권 |
비씨카드 | 회사채 | 공모 | '22.3.25 | 60,000 | CMS(5Y) + 0.404% |
AA+ (한기평/NICE/한신평) |
'25.3.25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 |
비씨카드 | 회사채 | 공모 | '22.3.25 | 40,000 | CMS(10Y) + 0.965% |
AA+ (한기평/NICE/한신평) |
'32.3.25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 |
비씨 카드 | 회사채 | 공모 | '22.4.28 | 30,000 | 2.59 | AA+ (한기평/NICE/한신평) |
'23.4.28 | 미상환 | 부국증권 |
비씨 카드 | 회사채 | 공모 | '22.4.28 | 30,000 | 3.02 | AA+ (한기평/NICE/한신평) |
'23.10.27 | 미상환 | 부국증권 |
비씨 카드 | CP | 공모 | '22.5.6 | 10,000 | 3.49 | A1 (한기평/NICE/한신평) |
'24.5.3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 |
비씨카드 | CP | 공모 | '22.5.6 | 10,000 | 3.60 | A1 (한기평/NICE/한신평) |
'24.12.6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 |
비씨카드 | CP | 공모 | '22.5.6 | 80,000 | 3.62 | A1 (한기평/NICE/한신평) |
'25.5.6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 |
비씨카드 | CP | 사모 | '22.6.16 | 100,000 | 3.71 | A1 (한기평/NICE/한신평) |
'23.2.16 | 미상환 | 하이투자증권 |
합계 | - | - | - | 450,000 | - | - | - | - | - |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트래픽 22.08.16 사업개요 (0) | 2022.08.24 |
---|---|
에스트래픽 22.08.16 회사개요 (0) | 2022.08.24 |
SK바이오사이언스 반기보고서 기업분석 (0) | 2022.08.24 |
S-Oil 반기보고서 기업분석 (0) | 2022.08.24 |
삼성전기 반기보고서 분석 참고자료 (0)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