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에스트래픽 22.08.16 원재료 및 생산설비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4.
반응형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원재료비 등의 제품별 비중

(별도기준) (단위 : 백만원 )
사업연도 주요 제품명 품목 원재료 금액 원재료 비중(%)
2019연도
(제7기)
도로 외주비(주1)    10,404  20%
재료비(주2)    33,032  65%
철도 외주비     1,387  3%
재료비     6,169  12%
2020연도
(제8기)
도로 외주비 19,326  33.8%
재료비 28,193  49.2%
철도 외주비 1,826  3.2%
재료비 7,917  13.8%
2021연도
(제9기)
도로 외주비          31,701  37.62%
재료비     25,258  29.98%
철도 외주비       4,692  5.57%
재료비  22,605  26.83%
2022연도 2분기
(제10기)
도로 외주비 7,922  28.14%
재료비 14,624  51.94%
철도 외주비 2,122  7.54%
재료비 3,485  12.38%

(주1) 외주비의 주요 항목으로는 공사현장 관련 부대설비 구축 등 외주용역비 및 소프트웨어 외주개발비 등이 해당합니다. 당사의 매출 구조상 고객의 요청에 따른 각기 프로젝트별 사양 등이 상이하므로, 매 연도별 외주비 및 재료비의 구성 비율 역시 프로젝트의 구조에 따라 매우 크게 변동합니다.
(주2) 재료비의 주요 항목으로는 도로 요금징수설비 및 철도 신호 등과 관련한 주요 원자재가 해당됩니다. 당사의 매출 구조상 고객의 요청에 따른 각기 프로젝트별 사양 등이 상이하므로, 매 연도별 외주비 및 재료비의 구성 비율 역시 프로젝트의 구조에 따라 매우 크게 변동합니다.

나.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당사는 사업특성상 외주로 생산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공급에 대한 구매 등이 재료비 계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합니다. IT서비스 사업의 특성 상 고객의 요청 및 규모에 따라서 구매 하드웨어의 사양, 소프트웨어 등이 다양화되어 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광범위한 상품과 용역을 고객 요청에 따라 매 프로젝트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상 기간에 따른 원재료의 가격 변동 추이 계산 및 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다. 생산설비

당사는 시스템솔루션 서비스 제공 업체로서 생산능력 및 가동율을 적정하게 산정     하기 어렵습니다.

(1) 당사가 운영중인 생산시설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명 구분 소재지 소유여부
에스트래픽(주1) 성남공장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474, 3층 304호 (선텍시티,상대원동)  임차
송도공장 인천시 연수구 송도스마트밸리A동 608호 소유
에스티전기통신 송도공장 인천시 연수구 송도스마트밸리 E동 2005호 임차

(주1) 당사의 SI(System Integration)라는 사업의 특성상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고자 주요 원자재를 외주 생산 방식으로 조달하였으나, 도로사업 관련 외주공급사의 경영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함에 따라, 2020년부터 성남공장을 설립하여 요금징수설비의 주요 원자재를 직접 생산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2) 당사가 운영중인 전기차충전기 구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용량 대수 소재지
초급속충전기 100KW초과 5대 의정부휴게소 등
급속충전기 100KW
이하
817대 와이마트 등
완속충전기 7KW 1,536대 신금호아파트 등


라. 관리운영권(제2기 교통카드시스템)

당사의 주요 종속회사인 서울신교통카드(주)는 제2기 서울시 교통카드시스템 운영사업자로서, 서울교통공사 1~4호선 120개 역사와 1개 센터, 5~8호선 156개 역사와 1개 센터에 교통카드시스템을 구축하고 10년 동안 선후불교통카드운송수입금의 일정률이하를 수집수수료로 확보하게 됩니다. 이를 위한 교통카드시스템을 2017년 12월 구축 완료하였으며, 구축 완료한 교통카드시스템을 무형자산인 관리운영권으로 하기와 같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 기준) (단위 : 백만원 )
연도 기초 취득 상각, 대체 손상(주1) 잔액
2017년 - 40,732 (268) - 40,464
2018년 40,464 4,083 (4,073) - 40,474
2019년 40,474 164 (4,073) (1,533) 35,032
2020년 35,032 - (4,425) (11,803) 18,804
2021년 18,804 7,492 (4,572) (6,079) 15,645
2022년 2분기 15,645 - (1,322) - 14,323

(주1) 당사는 무형자산 중 관리운영권에 대해 10년의 추정내용연수로 정액 상각 하였고, 매년 손상은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매년 무형자산에 손상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손상 징후가 있다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여 장부금액이 회수가능액을 초과할 경우 동 초과액을 손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