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CJ제일제당 반기보고서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8.
반응형

CJ제일제당 반기보고서

 

1. 사업의 개요

 

당사의 사업은 크게 4개의 사업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각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과 매출(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별 주요 제품 및 매출(비중)]

사업부문주요 제품제 16기 반기
매출액 (백만원)제 16기 반기
매출비중

식품 설탕, 밀가루, 식용유 등 5,215,840 36%
바이오 핵산, 아미노산 등 2,402,470 17%
Feed & Care 배합사료, 축산물 등 1,294,495 9%
물류 운송, 하역, 건설 등 5,583,700 38%

(*) Feed & Care : 생물자원 (이하 F&C)

(1) 식품 사업
식품 사업은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수 증가, 내외식 수요 변동, 식문화 다변화 등 전반적인 시장트렌드 변화에 따른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고급화되어가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프리미엄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여 뛰어난 맛과 품질,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갖춘 국내 종합식품회사 1위의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K-Foods의 글로벌화, 현지화를 통해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유럽 등해외 식품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식 고유의 속성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글로벌 대형화가 가능한 GSP(Global Strategic Product) 전략제품을 선정하여 K-Foods의 대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Plant Based(대체육) 사업을 본격화하고, 건강식품 사업 부문을 신설법인인 'CJ웰케어 주식회사' 로 출범하였습니다. 또한 '비비고' 브랜드를 국내 및 글로벌 대형 브랜드로 육성하고 있으며, 2019년 2월 미국 냉동식품 가공업체 'Schwan's Company' 를 인수하여 명실상부한 Global Company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소재식품 사업은 성숙산업으로 생활필수품이라는 산업 특성상 수요탄력성이 낮고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국제 곡물가 (원당, 원맥, 대두) 및 환율 등락으로인해 원가 등락의 기복이 있습니다. 당사는 곡물가 및 환율 변동과 경기영향 등 외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외적인 시장 변동성을 축소시킬 수 있는 헤지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 바이오 사업

바이오 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발효 및 정제 기술을 기반으로 식품첨가제(Human Nutrition & Health)와 사료첨가제(Animal Nutrition & Health) 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고생산성 균주를 개량하고 고효율 발효공정기술을 도입하는 등 지속적인 R&D기술역량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온 결과, 라이신, 핵산, 트립토판, 발린 등 주요 품목에서 글로벌 선도기업의 위상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바이오 사업은 아미노산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Nutrition & Health 분야를 선도해 나감과 동시에, 아미노산 생산을 통해 축적된 미생물 기반 기술과 역량을 바탕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등의 화이트 바이오 사업과 마이크로바이옴 등의 레드 바이오 사업을 미래 성장엔진으로 확보하여 Bio Solution Partner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3) Feed & Care 사업

Feed & Care(생물자원) 사업은 고수익 중심 사료혁신제품 개발 및 생산성 기반의 축산 사업확장을 중점적으로 전개하여 동남아 지역 위주의 글로벌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중국, 캄보디아, 미얀마 등 총 7개국을 거점으로 국가별 상황에 맞는 사료/축산의 균형 있는 인프라를 확보하였으며, Biosecurity 역량과 생산성 기반으로 글로벌 종합 사료/축산 업체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식품, 바이오 및 Feed&Care 사업은 국내 26개 생산 사업장과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해외 74개 생산 사업장에서 관련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씨제이 기업집단(최상위 지배기업: CJ주식회사)의 중간 지배기업으로서 당사를 제외한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231개사이며, 국내 21개사(상장 3개사), 해외 210개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식품, 바이오 및 Feed&Care 사업의 주요 원재료 중 원당의 주요 원산지는 호주, 브라질 등이며, 원맥은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수입을 하고 있습니다. 대두의 경우, 미국, 브라질 등에서 수입하여 유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옥수수는 미국, 브라질 등에서 공급받고 있습니다. 식품, 바이오 및 Feed&Care 사업의 경우 기존 경로의 구조적경쟁력 강화를 추진하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강한 유통력을 구축하여 안정적인 수익성 창출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4) 물류 사업
CL사업부문, 택배사업부문, 글로벌사업부문, 건설사업부문을 주된 사업부문으로 하며,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이커머스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의 전국적 택배 Network 및 풀필먼트 역량을 활용한 독자적인 융합형 'CJ대한통운 e-풀필먼트' 서비스를개시하여 이커머스 사업자와 소비자들에게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언택트 비즈니스 및 라스트 마일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기술중심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TES 물류기술 연구소 역량을 적극 제고 중이며 2021년 10월 TES 미래전략 선포식을 통하여 향후 디지털 물류 역량 확보를 위한 핵심 12대 기술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사는 AGV(Automated Guided Vehicle), AMR(Autonomous Mobile Robot), 무인지게차, 로봇팔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물류센터 자동화 및 무인화를 실현하고 물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물류운영의 난제들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으며 물류네트워크 및 센터 설계 최적화를 통해 물류사업의 미래성장을 주도하여 고객들에게 첨단기술로 인정받는 글로벌 물류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물류사업은 운송, 보관, 하역이 주업종인 서비스로 주요 원재료는 경유입니다. 물류사업의 경우 고객만족경영실천, 책임경영체제, 경영자원의 운영 효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원가 절감으로 생산성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 사업부문별 자세한 사항은 「II. 사업의 내용 - 7. 기타 참고사항 - 다. 각 사업부문의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매출액(비율)

식      품
사업부문
제   품
상   품
설탕, 밀가루, 식용유 등 5,215,840
(36%)
바이오
사업부문
제   품
상   품
핵산, 아미노산 등 2,402,470
(17%)
Feed & Care
사업부문
제   품
상   품
배합사료, 축산물 등 1,294,495
(9%)
물      류
사업부문
서비스 운송, 하역, 건설 등 5,583,700
(38%)

(*) 부문간 내부매출액 제외기준입니다. (연결기준)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천원)

품      목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

정백당(톤) 924 778 709
밀가루(톤) 812 648 622
대두유(톤) 2,183 1,739 1,327
사  료(톤) 568 498 449

(*1) 산출기준은 품목을 중분류로 크게 나누어 국내판매가격과 해외판매가격을 판매량으로 가중평균한 가액입니다. (2022년 1월 ~ 6월)
(*2) 포장단량별, 원료배합비율 등의 이유로 세부품목 간의 가격차가 다소 크며, 밀가루는 부제품 (소맥피, 말분) 을 제외한 기준입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1) 식품, 바이오 및 F&C 사업

(단위 : 백만원)

품  목구체적용도매입액비 고

원   당 설탕제조 등 435,805 수 입
원   맥 밀가루제조 178,114 수 입
대   두 식용유제조 259,473 수 입
옥수수 사료제조 448,804 수 입

(*1) 본 매입액은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6개월치 입니다.
(*2) 본 매입액은 연결기준입니다.

당사의 주요 원재료 중 원당의 주요 원산지는 호주, 브라질 등이며, 원맥은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수입을 하고 있습니다. 대두의 경우 미국, 브라질 등에서 수입하여유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옥수수는 미국, 브라질 등에서 공급받고 있습니다.

(2) 물류 사업

운송, 보관, 하역이 주업종인 서비스업으로 사업부문별 매입액의 대부분이 인건비, 노임, 감가상각비 등의 고정비로 그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당사에서 사용하는 주원재료는 경유이며, 구입비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 백만원)

구   분제 16 기 반기제 15기 반기증감증감율

경유사용량 1,406 1,491 (85) -5.7%
경 유 비 용 2,367 1,931 436 22.6%
단가(원/ℓ) 1,684 1,295 389 30.0%

(*1) 경유 사용량은 제 15기 반기 대비 5.7% 감소하였습니다.
(*2) 경유 비용은 단가 상승 등으로 22.6% 증가하였습니다.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1) 식품, 바이오 및 F&C 사업

 (단위 : US$, 천원)

품  목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외화원화외화원화외화원화

원 당(톤) 국 내 - - - - - -
수 입 484 597 404 462 326 385
원 맥(톤) 국 내  -  - - - - -
수 입 398 491 305 349 273 322
대 두(톤) 국 내  -  - - - - -
수 입 602 742 528 595 399 471
옥수수(톤) 국 내  -  - - - - -
수 입 329 406 265 300 209 247

(*1) 산출기준은 수입곡물의 경우 CIF기준의 물대이며 (국제시세와 비교용이), 국내곡물은 계산서 발행상 공장도착 기준입니다.
(*2) 수입원재료의 환율은 2022년 반기 누계 평균환율(1,232.94원/$)을 적용하였습니다.

(2) 물류 사업

[운송 (CL사업,택배사업,글로벌사업)]

 (단위 : US$, 원)

품  목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외화원화외화원화외화원화

경 유(원/ℓ) 국 내 - 1,684 - 1,330 - 1,126
수 입 - - - - - -

 

[건설]

회사가 구입하는 주요 자재는 시황성 자재인 레미콘, 이형철근으로 주요 거래업체는 유진기업, 삼표 등 입니다. 레미콘의 주요투입 원자재인 시멘트는 2022년 반기말 기준 ㎥당 73,500원에 건설사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이형철근은 2022년 반기말 기준 톤당 1,097,000원(현금결제기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단위 : 원)

구   분구체적용도단   가비  고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

레미콘(25-21-08) 일반기초재 73,500 64,900 61,900 ㎥당
철근(HD-10 (SD40)) 일반기초재 1,097,000 966,000 715,000 Ton 당


다. 생산능력
(1) 식품, 바이오 및 F&C 사업

 (단위 : 천톤)

사업부문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

식 품 1,933 4,061 3,864
바이오 2,691 5,480 5,479
Feed & Care 2,678 5,348 5,490

(*1) 생산능력은 연결기준입니다.
(*2) 식품, 바이오 및 Feed&Care의 생산능력은 사업장별 생산능력의 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사업장별 생산능력 = 시간당 생산능력×일일가동시간×가동일수)

(2) 물류 사업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매출유형, 품목 등사업소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

CL사업부문 하역, 운송, 보관,
건설, 정비, 기타
국내 1,362,317 2,682,244 2,722,000
택배사업부문 집하, 배송 국내 1,875,981 3,599,757 3,560,000
글로벌사업부문 하역, 운송, 보관 국내 및 해외 2,189,221 4,026,801 4,847,996
건설사업부문 건설, 리조트, 부동산 국내 및 해외 268,499 747,933 793,047
합          계 5,696,018 11,056,735 11,923,043

(*) 물류사업의 특성상 주요 수익원이 물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아 생산능력 및 가동률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연간 사업계획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습니다.

라.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식품, 바이오 및 F&C 사업

1) 생산실적

(단위 : 천톤)

사업부문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

식 품 1,660 3,319 3,179
바이오 1,731 3,546 3,677
Feed & Care 1,926 3,990 3,734

(*) 생산실적은 연결기준입니다.

2)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천톤)

사업부문제 16 기 반기
생산능력제 16 기 반기
생산실적가동율

식 품 1,933 1,660 86%
바이오 2,691 1,731 64%
Feed & Care 2,678 1,926 72%

 
(2) 물류 사업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영업목표영업실적영업목표대비(%)

CL사업부문 1,362,317 1,336,424 98%
택배사업부문 1,875,981 1,773,946 95%
글로벌사업부문 2,189,221 2,605,376 119%
건설사업부문 268,499 278,142 104%
합 계 5,696,018 5,993,888 105%

 

마.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과 영업에 중요한 시설 및 설비 등
당사의 식품, 바이오 및 Feed & Care 사업은 국내 26개 생산사업장,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해외 74개 생산사업장에서 설탕, 소맥분, 조미식품, 육가공식품, 대두가공식품, 사료 등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사업장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식품, 바이오 및 F&C사업 사업장 요약 현황]

(단위 : 개)
구분 국가 생산사업장 수
식품 대한민국 24
미국 19
중국 5
아시아 (중국 제외) 11
유럽 3
식품 합계 62
바이오 미국 1
중국 5
아시아 (중국 제외) 4
기타 3
바이오 합계 13
Feed & Care 대한민국 2
중국 11
아시아 (중국 제외) 12
Feed & Care  합계 25
총 합계 100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생산설비의 현황' 참조

 

[식품, 바이오 및 F&C 사업 시설 및 설비 현황]

당사의 시설 및 설비는 토지, 건물 및 구축물, 기계장치, 건설중인자산 등이 있으며,
2022년 6월말 현재 장부가액은 11조 6,508억으로 전년말 대비 4,899억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기초순장부금액취득/자본적지출처분/폐기/손상감가상각본계정대체기      타기말순장부금액

토지 2,437,627 1,359 (3,769) - 1,058 (32,135) 2,404,140
건물 3,444,667 28,769 (2,304) (80,457) 47,637 112,743 3,551,055
구축물 585,571 7,088 (934) (22,103) 22,570 13,539 605,731
기계장치 3,350,207 56,697 (6,315) (216,166) 137,407 167,210 3,489,040
선박 8,118 - - (386) - 532 8,264
중기 31,389 729 - (2,056) - 456 30,518
차량운반구 87,834 6,168 (2,054) (10,393) 949 2,866 85,370
공구와비품 344,213 50,170 (6,701) (65,094) 26,226 8,518 357,332
생물자산 118,571 69,926 (39,991) (20,930) 629 8,307 136,512
건설중인자산 633,084 392,359 (1,706) - (238,198) 37,783 823,322
기타유형자산 119,585 42,968 (1,073) (638) 1,722 (3,078) 159,486
합계 11,160,866 656,233 (64,847) (418,223) - 316,741 11,650,770

(*1) 기타 : 연결범위 변동 및 환율 변동에 의한 증감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 판단이 어려워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상기 시설 및 설비현황은 연결기준입니다.
(*4) 기타유형자산에는 방송기계기구, 코스 등의 시설 및 설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 투자현황
2022년 6월말 당사의 입고 기준 투자집행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구 분투자기간투자대상 자산투자효과총투자액비고

신/증설 2022년 1월 ~ 2022년 6월 설비/건물 등 생산증대 등 6,562 -
합 계 6,562 -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매출유형품목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

식품 제품 및 상품 육가공,
제당 등
5,215,840 9,566,095 8,968,643
바이오 제품 및 상품 아미노산 등 2,402,470 3,731,282 2,981,708
Feed & Care 제품 및 상품 배합사료, 축산물 등 1,294,495 2,447,025 2,213,350
물류 서비스 하역, 운송,
배송,건설 등
5,583,700 10,544,826 10,082,025
합     계 14,496,505 26,289,228 24,245,726

(*) 부문간 내부매출액 제외기준입니다. (연결기준)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및 주요 매출처

1) 식품, 바이오 및 F&C 사업

(단위 : %)

경로구분주요 거래처 유형매출비중비 고

대리점 전문점,복합점,식당전문점 등 20.2 -
신경로 할인점,편의점,백화점,온라인몰 등 33.0 -
실수요 B2B업체,식음료제조업체 등 18.5 -
기타 해외거래처,로컬수출 등 28.3 -
     합        계 100.0 -

 

2) 물류 사업

(단위 : %)

사업부문매출유형, 품목 등매출비중비 고

CL사업부문 하역,운송,보관,건설,정비,기타 22.3 -
택배사업부문 집하,배송 29.6 -
글로벌사업부문 하역,운송,보관 43.5 -
건설사업부문 건설,리조트,부동산 4.6 -
합        계 100.0 -


(2) 판매방법 및 조건

경로구분판매방법대금회수조건부대비용부담비고

대리점 담보에 의한 한도내 외상판매 외상기일 30일이내 운반비 당사부담 -
신경로 담보에 의한 한도내 외상판매 외상기일 60일이내 운반비 당사부담 -
실수요 담보에 의한 한도내 외상판매 외상기일 60~120일 운반비 당사부담 -


(3) 판매전략
식품, 바이오 및 Feed & Care 사업의 경우 기존 경로의 구조적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강한 유통력을 구축하여, 안정적인 수익성 창출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또한,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전략을 수행 중에 있습니다.


물류 사업의 경우 고객만족경영실천, 책임경영체제, 경영자원의 운영효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원가 절감으로 생산성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다. 수주상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장기공급계약 수주거래는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시장위험

(1) 외환위험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특히 주로 미국 달러화와 관련된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인식된 자산과 부채,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연결회사 내에 속한 회사들이 각각의 기능통화에 대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도록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일부 연결회사내의 회사들은 외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선물환 등의 파생상품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USD)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 시 세후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자본에 대한 영향2022년 반기2021년2022년 반기2021년

미국달러/원 상승시 (23,673,967) (14,813,103) (21,579,405) (9,543,909)
하락시 23,673,967 14,813,103 21,579,405 9,543,909

 

(2) 가격위험

당사는 연결재무상태표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연결회사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당사는 지분증권에 대한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는 연결회사가 정한 한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PI 주가지수, KOSDAQ 주가지수 등에 속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해당 시장 주가지수의 10% 변동시 연결회사의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자본에 대한 영향2022년 반기2021년2022년 반기2021년

상승시 27,854,592 30,731,488 27,854,592 30,731,488
하락시 (27,854,592) (30,731,488) (27,854,592) (30,731,488)

당기손익-공정가치 지분증권의 손익은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치고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분증권의 손익은 자본에 영향을 미칩니다. 당사의 투자 금융상품이 당기손익 및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 4. 공정가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당사는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한 외부차입 최소화, 고금리 차입금 감축, 장ㆍ단기 차입구조 개선, 고정 대 변동이자 차입조건의 적정비율 유지, 일간/주간/월간 단위의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대응방안 수립 및 변동금리부 조건의 단기차입금과 예금을 적절히 운영함으로써 이자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변동금리부 차입금의 이자율이 10bp 변동시 세후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자본에 대한 영향2022년 반기2021년 반기2022년 반기2021년 반기

상승시 (892,903) (794,884) (892,903) (794,884)
하락시 892,903 794,884 892,903 794,884

 

나. 위험관리 정책
[시장위험 관리 방식]
1) 외환위험

당사의 외환 위험 관리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습니다.
당사는 matching을 통한 환 exposure 축소를 우선적으로 실행하여 외환 위험을 축소하고, 잔여 exposure에 대해서는 내부 외환관리 규정에 따라 선물환 등 파생상품을 통해 헷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기적 목적의 외환관리는 엄격히 금하고 있습니다.

2) 이자율위험
당사의 이자율위험 관리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근본적으로 내부 자금 공유 확대를 통한 외부 차입 최소화, 고금리 차입금감축, 장/단기 차입구조 개선,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 등을통해 선제적으로 이자율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3) 국제 곡물가격 변동 위험 관리
당사는 국제 곡물가격의 변동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위해 일정 부분을 상품선물 및 옵션거래를 통해 헷지하고 있습니다.

 

다. 위험관리 조직
당사는 시장위험관리 주관업무와 거래확인업무를 이분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장위험관리 주관업무로는 금융거래의 실행을 포함하여 시장위험의 측정/관리/분석/보고 및 각종 시장위험관리를 위한 시장상황 보고 등이 있으며, 거래확인업무는 금융거래실행 관련 관리원칙 준수여부 점검 및 은행의 계약확인서를 통한 금융거래내역 확인 등이 있습니다.


또한, 자금팀과 곡물 수입부서 등 유관부서는 매월 외환 및 파생 협의회를 운영하여 환위험 및 곡물가격정보에 대한 사전 경보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라. 파생상품 체결 현황
(1) 외환/금리 파생상품 계약

당사는 환율 변동 및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외환/금리 파생상품계약 (통화스왑, 이자율스왑, 통화선도 및 통화옵션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액 평가는 월말 매매기준율 등을 기초로 거래은행이 제공한 평가 내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통화선도, 통화옵션 및 통화스왑 계약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손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 통화선도, 통화옵션 및 통화스왑 거래를 체결하고 있습니다.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가 도래한 통화선도 계약에 대해서는 41,967백만원의 거래이익과 17,412백만원의 거래손실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고,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 미도래 통화선도 계약에 대해서는 30,678백만원의 평가이익과 6,410백만원의 평가손실을 계상하였습니다.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가 도래한 통화옵션 계약에 대해서는 3,485백만원의 거래이익과 1,335백만원의 거래손실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고,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 미도래한 통화옵션 계약에 대해서는 3,193백만원의 평가이익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 미도래 통화스왑 계약에 대해서는 37,921백만원의 평가이익과 26,299백만원의 평가손실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위험회피요건을 충족하는 통화스왑 계약에 대하여 2022년 반기말 현재 59,444백만원의 통화스왑평가이익과 56,061백만원의 통화스왑평가손실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2) 이자율스왑 계약
당사는 이자율 변동에 따른 이자율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 이자율스왑 거래를 체결하고 있습니다.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가 도래한 이자율스왑 계약에 대해서는 2,634백만원의 거래이익과 692백만원의 거래손실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 미도래한 이자율스왑 계약에 대해서는 5,596백만원의 평가 이익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위험회피요건을 충족하는 이자율스왑에 대하여 2022년 반기말 현재 11,442백만원의 평가이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단위 : 현지통화 천)

구분거래통화계약일만기일금액거래상대방비고

선물환매입 USD 2022년 01월 05일 ~ 2022년 06월 29일 2022년 07월 07일 ~ 2022년 12월 29일 603,375 HSBC 外 -
CNY 2022년 05월 12일 ~ 2022년 06월 22일 2022년 07월 15일 79,680 우리은행 -
선물환매도 USD 2021년 07월 19일 ~ 2022년 06월 27일 2022년 07월 13일 ~ 2023년 10월 04일 219,273 SMBC 外 -
EUR 2022년 05월 17일 ~ 2022년 06월 23일 2022년 07월 14일 37,000 우리은행 -
JPY 2022년 04월 12일 ~ 2022년 06월 14일 2022년 07월 29일 ~ 2022년 08월 26일 2,366,000 HSBC 外 -
통화옵션 USD 2022년 01월 11일 ~ 2022년 04월 05일 2022년 07월 14일 ~ 2022년 09월 29일 91,000 MUFG 外 -
KRW 2020년 03년 13일 ~ 2020년 03월 25일 2024년 12월 17일 225,000,000 BNPP 外 -
통화스왑 USD 2019년 07월 11일 ~ 2022년 06월 01일 2023년 03월 27일 ~ 2024년 07월 22일 155,560 MUFG 外 -
KRW 2019년 12월 03일 2024년 12월 03일 200,000,000 NOMURA 外 -
이자율스왑 USD 2020년 06월 05일 ~ 2021년 01월 15일 2024년 11월 22일 ~ 2028년 10월 25일 577,000 MIZUHO 外 -
KRW 2019년 07월 19일 2022년 07월 19일 150,000,000 신한은행 -

 

(2) 상품 파생상품 계약
당사는 원재료 취득을 목적으로 선물거래 및 옵션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상품의 공정가액은 시카고상업거래소(CME), 뉴욕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거래되는 상품별 표준가격을 기준으로 거래은행이 제공한 평가 내역을 이용하였습니다.

당사는 국제 곡물 시세 변동에 따른 상품 선물 가격의 급격한 변동을 헷지하기 위해시카고상업거래소(CME) 및 뉴욕국제선물거래소(ICE)를 통해 곡물선물 및 옵션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사와 종속회사 CJ SELECTA S.A.는 곡물 선물계약에 대해 현금흐름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여 만기가 도래한 선물거래 손익은 재고자산에 반영하였으며,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가 미도래한 계약에 대해 8,916백만원의 평가손실을 기타포괄손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그 외 종속회사들의 만기가 도래한 곡물 선물계약에 대해서는 12,941백만원의 거래이익과 63백만원의 거래손실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고,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가 미도래한 선물계약에 대해서는 14,104백만원의 평가이익과 6,714백만원의 평가손실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가 도래한 곡물 옵션계약에 대해서는 35,845백만원의 거래이익과 31,872백만원의 거래손실을 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고, 2022년 반기말 현재 만기 미도래 계약에 대해서는 1,247백만원의 평가이익과 6,806백만원의 평가손실을당기손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구 분 계약단위 (Lot) 계약일 만기일
매 입 매 도
곡물선물 3,465 782 2021년 09월 20일 ~ 2022년 06월 30일 2022년 08월 12일 ~ 2022년 10월 14일
곡물옵션 3,607 7,214 2022년 04월 04일 ~ 2022년 06월 30일 2022년 08월 26일 ~ 2022년 11월 25일

 

마. 파생상품외 계약
[기타 타법인 주식 또는 출자증권 등의 취득과 관련하여 체결한 옵션]

당사는 종속회사인 CJ AMERICA INC., CJ LOGISTICS HOLDINGS AMERICA CORPORATION(舊, CJ LOGISTICS U.S.A. CORPORATION), CJ LOGISTICS ASIA PTE. LTD가 발행한 우선주의 투자자에 대하여 차액결제약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종속회사는 당기 중 투자자에게 전환권이 부여되어 있고, 발행자가 상환권을 보유한 우선주를 발행하였습니다. 발행금액은 총 원화 5,000억원입니다. 우선주 투자자는 약정에서 정한 기간동안 공개 입찰 방식으로 기초자산을 매각할 수 있습니다. 기초자산이 기준금액 이하로 매각이 될 경우 당사는 우선주 투자자에게 해당 차액을 지급하기로 하는 약정을 체결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해당 약정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연결재무제표에 77,220백만원을 비유동 파생상품부채로 계상하였습니다.

당사는 CJ SELECTA S.A.등의 일부 종속회사 취득 혹은 설립 시 재무적 투자자의 지분 투자를 받았으며 이를 비지배지분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재무적 투자자와의 약정상 어느 당사자가 지분을 매각 시 다른 당사자가 공정가치로 매입을 할 수 있는 권리, 기타 상황에서 재무적 투자자의 Drag along 권리, 당사의 우선매수권 등의 권리가 존재합니다. 연결회사는 해당 약정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연결재무제표에 3,641백만원을 비유동 파생상품부채로 계상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 13. 우발채무와 약정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 계약 현황

계약상대방체결시기계약기간계약의 목적 및 내용대금수수방법

HORMEL社 2020년 1월 2020년 ~ 2024년 육가공 상표권 계약서에 의함

 

나. 종속회사의 주요 계약 현황
(1) CJ대한통운(주)의 주요 계약

구분(업종)사 업 내 용비 고1단계 공사2단계 공사

진출국

사업개시일

계약기간


계약형태

발주처


총계약고
리비아

84.01.16

83.11~00.02월
(196개월)

Turn Key Base

리비아 대수로
공사 관리청

$3,860백만불
리비아

90.06.25

90.02~06.06월
(197개월)

Turn Key Base

리비아 대수로
공사 관리청

$7,081백만불
○ 공사감독 : B/R(영국)

○ 계약의 목적 : 리비아 대수로 공사
   (관생산, 매설, 운송, 관련 시설물 건설)

○ 대금수수방법
① 기성 완료분에 대해 청구 및 수령
② 대금결제 : 5개국 통화로 수금
   (원화, 달러, 엔화, 유로, 디나르)

※ 2001년 5월 11일 동아건설의 파산선고로 2단계 공사기간이 지연되어 리비아 대수로 관리청이 제기한 우발채권 및 지체상금을 해소하기로 2004년 12월에 최종 합의하고, 리비아 대수로 공사의 모든 계약적 의무와 책임을 동아건설산업(주)로부터 인수하여 단독으로 잔여공사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2005년 12월 5일 2단계공사 예비완공증명서인 PAC를 2005년 6월 30일자로 소급하여 취득하였고, 1, 2단계공사 최종완공증명서인 FAC 취득 절차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2) 씨제이바이오사이언스(주)의 주요 계약
[공동연구개발 관련 주요 계약]

계약상대방계약일(기간)계약목적 및 내용계약금액 또는대금수주방법(기준) 등비고

주식회사
헬스바이옴
2022.01.27
(계약일로부터 1년 또는
유효성 최종 평가보고서 수령일 중 우선 도래시점)
계약균주의 '적응증' 치료제로서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공동연구개발 및 옵션 라이선스
(*) -

(*) 계약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이므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다.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담당조직
식품사업부문은 글로벌 중장기 전략 실행을 위한 글로벌/신규 가공식품 제품화 연구및 기반기술 연구를 하는 식품연구소, 지역별 시장 대응을 위한 로컬 제품 가공식품들의 제품화 연구를 위한 한국R&D센터, BIO 사업 부문은 미생물 기반의 아미노산 개발 및 공정 기술 개발 연구 등 Green BIO 영역을 연구하는 BIO 기술연구소, 미래 친환경 소재 시장 및 산업 선도를 위한 White BIO 영역을 연구하는 White BIO) Technology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2년 반기 연구개발 조직도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과                   목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비고

연구개발비용 총계 100,407 169,347 149,679 -
(정부보조금) (86) (429) (547) -
연구개발비용 계  100,321 168,918 149,132 -
회계
처리
개발비 자산화 (무형자산) (8,404) (26,696) (32,193) -
연구개발비 (비용) 91,917 142,222 116,939 -
연구개발비/매출액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X100]
1.13% 1.08% 1.06% -

(*) 당기 매출액 및 연구개발비용은 물류부문을 제외한 연결기준입니다.

 

라. 연구개발 실적
당반기말 현재 당사의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요약표]

구분연구기관연구과제연구기술 요약대표 제품명

제 16 기
반기
식품연구소 냉동HMR_돈까스 신제품 자사 개발 빵가루를 입혀 고온에서 튀겨 바삭한 식감 구현 고메 미니돈카츠
치킨 신제품 현미감자 플레이크를 입히고 튀겨 바삭한 식감 구현 고메  미니치킨너겟 / 체다치즈볼 /
고구마치즈볼
BIG 컵반 신제품 톡톡 터지는 보리밥으로 리조또 최적 식감 구현 햇반컵반 BIG 바질크림 리조또/
트러플크림 리조또
국물요리신제품 비비고의 육수 추출기술로 정성껏 우려내 깊고 진한 육수의 맛 구현 비비고 진국육수 소고기양지 /
멸치해물 / 닭고기
수산 HMR 신제품 비비고의 질소치환 기술로 트레이에 담아내 갓 구운 풍미 그대로 냉장 보관으로 오랫동안 유지 가능하도록 고등어 구현 비비고 불향이 살아있는 한 마리 고등어구이
솥반 신제품 다양한 원물을 함유한 고부가 가치 밥 HMR 제품으로 원물 수준별 살균력 및 유통 중 안전성 확보 햇반솥반 전복내장영양밥 /
소고기우엉영양 / 흑미밤찰밥
김치 자동화공정 개발 포기 김치 그대로 정갈하게 썰어, 갓 썬 듯한 아삭한 식감과 청량감 부여 비비고 포기 그대로 썰은 김치
냉동 베이커리 신제품 AF 조리로 간편하게 페스츄리 취식 가능하도록 소비자 편의성 증대 고메 베이커리 소시지 & 에그 페스츄리
만두 신제품 진한 불고기의 육즙 유지 및 만두피의 식감 최적화 비비고 육즙불고기찐만두
White Meat 대형화 화이트미트(White meat) 가공기술 안정화로 육즙보존 및 취식편의성 증대 더건강한 닭가슴살 한입큐브
중식후라잉 신제품 전용 배터믹스 개발을 통한 바삭한 식감을 구현 및 맛 다양화로 포토폴리오 확대 고메 바삭쫄깃한 사천탕수육
냉동밥 신제품 흑미 취반 공정 설계 적용 및 흑미 불림 및 혼합미 투입 공정 설계에 따른 흑미밥 최적 식감 구현 햇반쿡반 소고기버섯 주먹밥
참치액 상품화 다단추출공정을 적용하여 원물 풍미 최적화, 당사 천연발효소재 TasteNrich 이용하여 감칠맛 강화하고 Cleanlabel 구현 백설 참치액 진, 백설 참치액 순
※상세 현황은 '상세표-5. 연구개발 실적' 참조

 

7.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당반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건)
구 분 특 허 특허 외(*) 합 계
국 내 907 6,398 7,305
해 외 4,450 5,170 9,620
5,357 11,568 16,925

(*) 특허 외 건으로는 실용신안권, 상표권, 디자인권이 있습니다.

특허는 식품, 바이오 생산, 제조, 포장 등을 구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당사 제품에 적용되거나 향후 활용될 예정으로, 사업 보호의 역할과 더불어 당사가 개발한 고유 기술의 경쟁사 사용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균주와 관련된 선행특허 확보를 강화하여 해당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식품 시장에서는 제품 개발을 위한 특허를 취득하고 있으며, 친환경 포장소재 개발을 위한 실용신안권을 취득하고 있습니다.

나. 환경관련 사항
1) 기후변화 대응

당사는 자연에서 소비자 식탁으로, 다시 자연으로 되돌리는 'Nature to Nature' 선순환 체계를 지향하는 기업으로서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글로벌 공동체의 여정에 동참하고자 2050년 탄소중립 및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기반 비즈니스 실현이라는 목표 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향후 2050년 탄소중립 및 제로 웨이스트 달성을 위한 당사의 노력과 실행 방안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통해 이해관계자에게 알릴 예정입니다.


(1) 2050년 탄소중립 및 제로 웨이스트 기반 비즈니스 실현

당사는 2050년 탄소중립 및 제로 웨이스트 기반 비즈니스 실현을 위해 사업장에서는탈 탄소 녹색 전환을, 제품과 솔루션에서는 친환경적인 혁신을, 가치사슬 전반의 파트너들과 협력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자원 효율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사업장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전력 전환은 물론, 용수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폐기물 매립을 제로 수준으로 만들 계획입니다.

당사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2022년 4월 CJ제일제당(스팀 사용), 아크홀딩스(사업 주관), 산림조합중앙회(연료 공급), CJ대한통운 건설부문(시공 전반), 유신(설계), 한국플랜트서비스(책임 운영), EG/지환(기술 공급), SK증권(투자) 8개사와 아크(ARK)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산림자원순환형 그린뉴딜 에너지 공급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그린뉴딜 에너지 공급사업은 국내 최초 산림자원순환형 에너지공급시설 구축 사업으로, 2023년 상반기 당사 진천 Blossom Campus가 위치한 충북 K-푸드밸리에 목재자원(산림바이오매스)을 연료로 한 스팀 가스화 시설을 착공할 예정이며, 2025년부터 본격 가동할 계획입니다. 산림바이오매스는 나무를 벌채한 후, 원목을 제외한 가지나 줄기 등 사용하기 어려운 목재 부산물, 임산 폐기물 등으로 숯을 만드는 과정(Biochar, biomass+charcoal)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이용하는 청정에너지시스템입니다. 해당 사업으로 시간당 50톤 규모의 스팀공급이 가능하여, 연간 약 4만 4천 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되고, 시설 건설과 운영에 따라 고용 창출 및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 확대를 위해 2022년 상반기 말레이시아 공장과 베트남 공장에 태양광발전 설비를 준공하여 현재 가동 중이며, 하반기에는 인도네시아 공장 바이오매스 혼합연소(혼소) 설치를 추진 중이며, 진천 Blossom Campus와 인천2공장에서는 태양광 설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 설비를 통해 기존 화석연료기반의 사업장 구매전기 사용량 일부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자 합니다.

(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응

당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로 지정되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2년 2분기 누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잠정 208.3천tCO2eq으로 전년 동기 203.8천tCO2eq 比 2% 증가 하였으나, 연간 보유 배출권 456.9천tCO2eq 比 45.6%로 안정적 배출 수준입니다.

'저탄소 녹생성장 기본법'에 따라 정부에 보고하는 온실가스 명세서 기준 배출량이 확정되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공개할 예정입니다.

(3) 제품/가치사슬 전과정 평가

당사는 핵심 공급/판매망과의 온실가스 감축 협력을 통해 우리의 제품과 솔루션으로고객의 온실가스를 감축함으로써 전 지구적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국제 사회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사업장뿐만 아니라 밸류체인 전반의 탄소 감축 목표 설정과 이행 성과 공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전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전사적 TFT를 구성하여, 제품의 전과정에 환경영향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와 Scope 3 탄소배출량 측정 기반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올해를 시작으로 2023년까지 원재료/물류/폐기물 분야의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중장기 감축 목표를 수립할 계획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제품 혁신을 통해 전 밸류체인에서 환경 성과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제품/솔루션 기반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4) 친환경 제품 확대

[푸드업사이클링 식품 - 익사이클(Excycle) 바삭칩]

식품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열정을 가진 직원들이 모여 사내벤처팀을 신설하여, 식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폐기하지 않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고자 '지구와 나를 생각한 고단백 푸드업사이클링 스낵칩, 익사이클(Excycle) 바삭칩'을 출시했습니다. 익사이클은 'Exciting'과 'Upcycle'의 합성어로 즐거운 업사이클링 문화를 만들어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익사이클 바삭칩은 햇반의 깨진 조각 쌀과 행복한 콩 두부의 비지로 만들었으며, 튀기지 않고 뻥튀기와 같이 바삭한 식감의 스낵입니다. 또한 익사이클 바삭칩은 계란 1개 분량의 단백질과 바나나 2개 분량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는 고단백, 고식이섬유 스낵칩으로, 원료뿐만 아니라 포장재도 GRS(Global Recycled Standard) 인증을 받은 리사이클링 PET(PCR-PET, Post-Consumer Recycled-PET)필름을 적용하였습니다.

[식물성 기반 식품브랜드 - 플랜테이블(PlanTable)]

기후 위기와 건강 식단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도 증가하였습니다. 식물성 식품은 대규모 축산업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문제를 줄이고, 공장식 사육 ·도축 등 윤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친환경 ·사회적 제품입니다. 당사는 국내 식품 1위 기업으로 지속가능한 Plant-Based 브랜드 'PlanTable'을 출시하였습니다.

2021년 12월 플랜테이블 브랜드의 첫 제품으로 대두, 완두 등으로 만든 식물성 대체육과 식물성 오일 등 100% 식물성 재료만 사용한 '비비고 플랜테이블 왕교자' 제품 2종을 출시하였습니다. 식물성 대체육을 사용하여 고기 식감을 구현하고 포화지방 함량을 낮추었으며, 식물 유래 발효소재 'TasteNrich' 를 사용하여 고기를 넣은 듯한 육즙과 풍미를 살렸습니다. 비비고 플랜테이블 왕교자는 글로벌 공통 비건 인증기관인 V라벨(V-label)에서 비건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특히 김치 왕교자에도 액젓이 들어간 김치를 사용하지 않고 절임배추, 마늘, 고춧가루 등으로 맛을 냈습니다. 출시 3달 만에 식물성 만두 분야 매출 1위를 달성하고, 글로벌 니즈에 힘입어 20개국 이상 수출하고 있습니다. 왕교자에 이어 2022년 7월 신제품 4종(떡갈비, 함박스테이크, 주먹밥 2종)을 출시하였으며, 향후 제품 라인업을 계속 확대할 계획입니다.

[생분해플라스틱 - PHACT]

유럽 바이오플라스틱협회는 친환경 플라스틱 시장이 2025년까지 2020년 대비 35%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PHA는 해양에서 분해되는 유일한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로 농업 및 축산, 제약 등 여러 다른 산업과 결합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성장 가능성이 큰 소재입니다.

석유로 만든 기존 플라스틱은 분해되기까지 500년이 걸리는데 반해, PHA는 토양, 해양 등 자연 상태에서 1년 내에 90% 이상 생분해되며, 해수 온도 15~40℃에서 6개월전후로 분해됩니다. 당사가 개발한 PHACT가 생분해 빨대, 친환경 종이 코팅, 포장재, 농업용 코팅 필름과 어업용 그물 등으로 상품화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 환경영향을 줄이고, 생명, 지구,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1년 4월,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인 PHA와 PLA를 활용한 투명 비닐을 적용한 행복한 콩 두부 묶음제품 제품 10종을 출시하였습니다. 생분해 소재는 '재포장 금지법'에 저촉되지 않아 마트 등에서 묶음 판매가 가능한 포장재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022년 5월 전문 브랜드 'PHACT'를 출시하였고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PHA 본격 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사는 세계 최초로 비결정형 aPHA 상용화에 성공하였고, aPHA와 scPHA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최초의 기업이며, aPHA의 경우 TUV 인증기관으로부터 생분해 인증 중 산업, 가정, 토양, 해양 4가지 분야에서 생분해에 대한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CJ제일제당은 PHA를 단일 소재뿐 아니라 이른바 '플랫폼'으로 활용해 경쟁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PHA는 PBAT와 같은 다른 생분해 플라스틱 원료와 혼합해 강도와 물성, 생분해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지난 60여 년간 축적한 대량 발효 기술과 정제 공법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연간 5천톤 규모의 PHA 생산이 가능하고 2025년 연간 6만 5천톤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환경성적표지 인증]

당사는 제품 생산 전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를 위해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백설 하얀설탕과 백설 갈색설탕, 백설유 콩기름은 한국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특히 백설유 콩기름은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중 탄소배출량이 가장 적은 제품임을 인증하는 저탄소제품 인증을 받았습니다. 콩기름 0.9L의 개당 이산화탄소배출량은 2.7kgCO2e(이산화탄소환산단위)로 제조전 단계에서 94%(2.53kgCO2e)를 배출하며, 제조 단계에서는 5%(0.15kgCO2e)을 배출합니다. 콩기름 1.8L는 개당 3.8kgCO2e를 배출하며, 역시 제조전 단계에서 89%(3.37kgCO2e)를 차지하고,제조 단계에서는 8%(0.29kgCO2e)를 배출합니다.

또한, 햇반은 스웨덴 환경부의 '환경제품선언에 관한 규정'에 부합하는 제품임을 인증하는 스웨덴 EPD(Environment Product Declaration)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2) 환경규제 준수

통합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질 오염 지표인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산소요구량),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사업장 인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악취 발생 정도를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합니다. 사고 및 이상 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사업장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1) 대기 오염물질 관리

당사는 대기오염물질(먼지 기준) 배출농도를 법적 기준 대비 30% 미만으로 관리하고있습니다. 중국 국가환경보호부의 대기오염물질 초저배출 기준 공표에 따라 당사 BIO사업장인 중국 심양공장과 요성공장은 환경 설비를 투자하여 2018년 이후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분진 등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절반 이하로 저감하였습니다.

(2) 수질 오염물질 관리

당사 국내 사업장 중에 중대한 물 부족(Water Stress)지역에서 취수하는 곳은 없으며용수 사용량 절감, 재생 용수 및 용수 재활용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 사업장 중 8개 사업장의 방류수는 법적기준 농도 대비 30%미만으로 배출된 후,지역 하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추가 처리합니다. 논산, 공주, 남원사업장에서는 인근 하천으로 직접 방류되며 법적기준 농도 대비 50%이내 수준을 준수하여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습니다.

당사는 세척 및 멸균 공정 시 용수를 사용하는 업의 특성상 수자원 리스크를 엄중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원천수 관리 규정은 물론 폐수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하고 나아가 폐수는 지역사회와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보다 더 엄격한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공장의 신증설 지역의 상류가 수자원 보호구역인 경우, 비용 상승과 물류 상의 어려움을 감수하더라도 수자원의 오염 가능성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재선정합니다. 또한, 폐수 재이용 및 재사용 시스템 투자를 확대하여 상수도 비용 상승 및 정부 정책에 따른 급수 제한 등 수자원 리스크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3) 폐기물 관리

당사는 폐기물 해양투기 전면 금지에 따라 2014년부터 폐기물 전량을 육상처리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저감을 위해 발생 폐기물 감량화 활동, 분리수거 강화 활동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생산량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 관리하고 있습니다.

폐기물의 적법한 관리를 위해 사내 폐기물 관리 규정에 의거, 발생 폐기물을 적법한 업체와 계약하여 전략 위탁 처리하고 있으며, 사내 계약절차에 따라 계약 전 서류 평가 및 필요시 현장 점검을 실시하여 입찰 후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업체와 계약을 진행합니다. 이후 폐기물관리법을 준수하여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강화된 폐기물 관리법을 준수하면서 2019년에는 진천공장 콩류 가공 부산물, 2020년에는 진천공장 압축 폐지, 진천 Blossom Campus 식물성 잔재물, 2021년에는 부산공장 쌀 부산물인 미강을 순환자원으로 인정받는 등 자원순환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ESG경영 선포 이후 국내사업장의 폐기물 재활용 및 자원화를 통해 매립 제로(0.4%) 수준에 도달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진천공장은 2022년 상반기에 식품업계 최초로 기업의 폐기물 ESG 활동 및 자원순환 노력을 평가하는 글로벌 지표인 폐기물매립제로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향후에도 폐기물 분야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자원순환 활동을 지속 추진할 예정입니다.


다. 각 사업부문의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당사는 미래를 위한 4대 성장엔진으로 Culture, Platform, Wellness, Sustainability의 C, P, W, S를 정립하였으며, Culture와 Platform 중심으로 기존 사업의 글로벌/디지털 확장을 가속화하고, Wellness와 Sustainability 기반 미래 혁신 성장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1) 식품 사업
식품 사업은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수 증가, 내외식 수요 변동, 식문화 다변화 등 전반적인 시장 트렌드 변화에 따른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건강과 편의 추구라는 사회적 트렌드와 고객의 니즈를 충실히 반영한 가공식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고급화 트렌드에 맞춰 프리미엄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여 뛰어난맛과 품질,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갖춘 국내 종합식품회사 1위의 자리를 공고히 하고있습니다.


가공식품 사업은 경기 침체와 글로벌 곡물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지속 등 대외 환경 부담에도, R&D투자와 제조기술력을 바탕으로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HMR 신제품개발 및 제품 Premium화 등을 통해 시장 지위를 확대하였으며, 쌀가공, 냉동, 육가공 식품 등 주력 제품의 성장세가 지속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의 세계화 트렌드에 발맞춰 K-Foods의 글로벌화, 현지화를 통해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유럽 등 해외 식품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만두, 치킨, 가공밥, K-소스 등 한식 고유의 속성을 보유하고 있으면서글로벌 대형화가 가능한 GSP(Global Strategic Product)전략제품을 선정하여 K-Foods의 대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비고' 브랜드를 국내 및 글로벌 대형 브랜드로 육성하고 있으며, 2019년 2월 미국 전역에 걸쳐 사업 인프라를 확보한 냉동식품 가공업체 'Schwan's Company' 를 인수하여 명실상부한 Global Company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Sustainability와 Wellness 가치의 추구를 위해 신성장 동력으로 Plant Based(대체육)사업과 건강기능식 사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맛있고 다양한 K-Foods 기반의 건강식을 제공하기 위해 2021년 12월 Plant Based(대체육) 브랜드
'플랜테이블'을 출범하고 '비비고 플랜테이블 왕교자' 를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건강식품사업은 2022년 1월 1일부로 현금 및 현물출자를 통해 신설법인인 'CJ웰케어 주식회사'로 출범하여 사업의 전문성과 실행력을 제고하였습니다.

 

설탕, 밀가루, 대두유 등을 생산, 판매하는 소재식품 사업은 성숙산업으로, 생활필수품이라는 산업 특성상 수요탄력성이 낮고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국제곡물가 (원당, 원맥, 대두) 및 환율 등락으로 인해 원가 등락의 기복이 있습니다. 당사는 곡물가 및 환율 변동과 경기 부진 등 외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외적인 시장변동성을 축소시킬 수 있는 헷지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 바이오 사업

바이오 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발효 및 정제 기술을 기반으로 핵산, MSG, 클린라벨 프리미엄 식품소재 등 식품첨가제(Human Nutrition & Health)와 라이신, 쓰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식물고단백 등 사료첨가제(Animal Nutrition & Health) 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1964년 김포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하여, 현재 인도네시아, 중국, 브라질, 미국, 말레이시아 내 현지 공장에서 제품 생산 후 전 세계에 판매하며 Globalization의 첨병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SPC(농축대두단백) Global 1위 업체인 셀렉타 인수와 회사 내 발효대두박 사업 이관을 통해, 사료용 어분대체 단백원료인 식물고단백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고생산성 균주를 개량하고 고효율 발효공정기술을 도입하는 등 지속적인 R&D 기술역량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온 결과, 라이신, 핵산, 트립토판, 발린 등 주요 품목에서 글로벌 선도기업의 위상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바이오 사업은 아미노산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Nutrition & Health 분야에서 혁신성장을 이루어 나감과 동시에, 아미노산 생산을 통해 축적된 미생물 기반 기술과 역량을 바탕으로 Sustainability가치를 위한 생분해 플라스틱 등의 화이트 바이오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Wellness 측면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사업 등 레드바이오 사업을 미래 성장엔진으로 확보하여 Bio Solution Partner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3) Feed & Care 사업

 Feed & Care(생물자원)사업은 고수익 중심 사료혁신제품 개발 및 생산성 기반의 축산 사업 확장을 중점적으로 전개하며 동남아 지역 위주의 글로벌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나 동남아 국가들의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육류소비 증가 및 당사의 공격적 거점 확대로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중국, 캄보디아, 미얀마 등 총 7개국을 거점으로국가별 상황에 맞는 사료/축산의 균형 있는 인프라를 확보하였으며, Biosecurity 역량과 생산성 기반으로 글로벌 종합 사료/축산 업체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편 Feed&Care 사업은 사업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역량을 집중하여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고자 2019년 7월 1일부로 물적분할을 통해 분할 신설 법인인 '씨제이피드앤케어(주)(舊 씨제이생물자원(주))'로 출범하였습니다.

 

(4) 물류 사업
[CL 사업부문]

CL(Contract Logistics, 계약물류) 사업은 생산업체와 단일 혹은 복수의 제3자간에 일정 기간 동안 일정 비용으로 일정 서비스를 상호 합의 하에 위탁 수행하는 TPL(Third Party Logistics, 제3자 물류)사업, 정부에서 부두 개발을 위한 민자를 유치하고 민자 참여사에 부두 운영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터미널 운영사를 선정하여 터미널을 운영하는 항만하역사업, 기타 부가사업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택배 사업부문]
국내 소매시장에서 Covid-19에 따른 언택트(Untact) 소비 트렌드 확산으로 e-Commerce 중심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e-Commerce 시장의 성장으로 택배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합리성과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특성상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던 상품들을 온라인에서 구매함에 따라, 택배산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새벽배송, 당일반품 등 배송 서비스의 차별성과 늘어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처리 가능한인프라 확보가 가장 중요한 경쟁우위 요소로 판단됩니다.

[글로벌 사업부문]
글로벌 사업부문은 해외사업, 포워딩사업(항공/해상/Cross Border e-Commerce)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지난 20여 년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글로벌화에 의해 다국적 기업들은 각국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제품을 공급받아 완제품을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물류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이후 인력의 국가 간 이동이 제약되며 단순 운송 뿐만 아닌 물류업, 포장, 통관, 창고업 등 물류사의 네트워크를 통해 현지 업무를 대행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포워딩사업은 항공 포워딩과 해상 포워딩으로 구분됩니다. 항공 포워딩은 항공기를 통해 일반항공화물서비스 및 단일 고객 화물을 하나의 팔레트로 구성하여 화물을 운송하고 통관 등의 수출입 절차를 수행하는 사업이며, 해상 포워딩은 컨테이너선,Bulk선 등의 선박을 활용하여 고객사의 화물을 운송하고 통관 등의 수출입 절차를 수행하는 사업입니다. 포워딩사업은 국내외 경제상황, 국가간 교역량, 유가변동 및 운송수단의 수급에 따라 업황이 변동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건설 사업부문]
건설 산업은 타 경제 부문에서의 투자수요, 정부 정책 및 경기 변동에 크게 좌우되는 사업입니다. 또한 특정한 토지를 바탕으로 노동ㆍ자본ㆍ자재와 경영관리 등의 생산 요소들을 결합하여 국민생활의 근간을 이루는 주택에서부터 도로를 비롯한 각종 산업기반 시설의 건설 그리고 국토개발 및 국제적 개발사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고정자본의 형성 및 사회간접자본시설의 확충을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국가경제의 기간산업입니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에 비해 다수의 생산 주체가 참여함으로써 가치창출, 고용유발 등 경기부양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하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골프 산업은 레저, 건축, 환경, 서비스, 마케팅 등의 복합적인 요소가 연계되어 있는 산업으로 소득 증가에 따른 대중화의 확산, 주 5일 근무제의 실시 등에 따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대기업 중심의 시장 진입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 현금 동원력이 뛰어난 중견 기업들의 골프장 진출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골프장의 유형은 크게 회원제와 대중제로 분류되며, 회원제(Membership)는 회원들이 운영 회사에 입회비를 예탁하고 회원들에게 우선적인 이용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이며, 대중제(Public)는 불특정 다수의 골퍼들에게 균등한 이용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주요 제품 시장점유율]

(단위 : %)
주요제품 제 16 기 반기 제 15 기
설    탕 (가정용) 79 80
밀 가 루 (가정용) 64 65
육 가 공 (캔  햄) 60 60
상 품 밥 (햇  반) 66 67
냉 동 만 두 (가정용) 46 47

(*1) 상기 자료는 2022년 6월말 현재 기준입니다.
(*2) 상기 식품 부문 품목별 시장점유율 현황은 국내 소매점 경로 매출 합으로, 2022년 6월 기준 닐슨코리아에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내부적으로 작성한 자료입니다.
(*3) 물류업은 그 범위가 포괄적이고 공식적인 기관의 통계자료 미발간으로 국내 시장의 통계자료 산출이 어려우며, 현재 3자 물류 대표기업으로는 당사와 한진, 동부, 동방, 세방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국내 택배업계의 경우는 당사와 롯데택배, 한진택배 등이 전체 택배시장을 실질적으로 주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라.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사업부문별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제 16 기 반기제 15 기제 14 기

[식품사업부문]      
1. 매출액      
총 매출액 7,752,189 13,356,198 12,593,281
부문간내부매출액 (2,536,349) (3,790,103) (3,624,638)
5,215,840 9,566,095 8,968,643
2. 영업손익 337,381 554,692 510,021
3. 총자산 10,649,690 9,786,981 9,157,322
[바이오사업부문]      
1. 매출액      
총 매출액 4,158,886 6,645,837 5,027,918
부문간내부매출액 (1,756,416) (2,914,555) (2,046,210)
2,402,470 3,731,282 2,981,708
2. 영업손익 398,062 473,432 312,218
3. 총자산 7,449,599 6,017,789 5,073,018
[Feed & Care사업부문]      
1. 매출액      
총 매출액 1,503,036 2,835,291 2,560,336
부문간내부매출액 (208,541) (388,266) (346,986)
1,294,495 2,447,025 2,213,350
2. 영업손익 22,810 150,551 219,282
3. 총자산 1,990,714 1,855,818 1,558,720
[물류사업부문]      
1. 매출액      
총 매출액 6,285,574 11,978,057 11,628,803
부문간내부매출액 (701,874) (1,433,231) (1,546,778)
5,583,700 10,544,826 10,082,025
2. 영업손익 181,697 345,754 318,000
3. 총자산 9,435,412 9,195,216 9,822,832

(*1) 상기 내용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2) 본사 등 공통부문 손익 및 자산은 각 부문별 매출액 비율로 배부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