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SK스퀘어 반기보고서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8.
반응형

SK스퀘어 반기보고서

 

1. 사업의 개요

SK스퀘어의 각 부문은 독립된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하는 법률적 실체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며 ① 투자사업, ② 무인경비업 및 인력경비업,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보안사업, ③ 온라인쇼핑몰 등의 커머스사업, ④ 플랫폼사업, ⑤ 기타사업부문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요약]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 사업의 내용

사업구분회사명주요사업내용

투자사업 SK스퀘어 지주회사, 투자업
보안사업 SK쉴더스 무인기계경비 및 인력경비, 종합 정보보호서비스 및 
컴퓨터 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
커머스사업 11번가 전자상거래 및 인터넷 관련 사업
플랫폼사업 원스토어 앱스토어 운용
SK플래닛 정보통신사업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타사업 티맵모빌리티 모빌리티 관련 데이테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드림어스컴퍼니 온라인 음악서비스, 음반 및 디지털 콘텐츠 유통
인크로스 디지털 광고 미디어렙 
FSK L&S 물류 BPO 서비스 및 ICT 솔루션 사업


[투자사업]
1. SK스퀘어

SK스퀘어는 2021년 11월 2일 SK텔레콤으로부터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공정거래위원회는 지주회사 전환에 대한 심사결과 통지를 통해 2021년 12월 28일 당사의 지주회사 전환(지주회사 공시일 : 2021년 12월 30일)을 승인하였습니다


당사는 SK쉴더스, 11번가와 같은 주요종속회사 및 SK하이닉스와 같은 주요자회사를 포함하여 반도체ㆍICT 섹터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및 지배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향후 사업 부문별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 결정 체제의 확립 및 사업 부문별 전문화된 사업 역량 집중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주주가치 증대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보안사업]
SK쉴더스
가. 산업의 특성

Physical Security 산업은 국가, 기업, 개인이 소유한 유무형 자산의 안전을 관리하고 각종 안전과 보안 위협을 예방 및 방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며, 유무선 통신 기반의 원격 감시 장비를 통한 모니터링 및 출동 보안을 제공하는 CMS 사업과 시설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FM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AI, Big Data 분석, IoT와 같은 기술 발전으로 인해 사업범위가 확장되고 서비스는 지속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Cybersecurity 산업은 권한 없는 접속이나 다양한 사이버 공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에 대응하여 시스템 및 통신망을 보호하는 서비스입니다. 컨설팅, Solution/SI, 보안관제를 포함한 Full Service Cycle을 제공하는 정보보안 사업, Cloud 보안 사업, Mobile 솔루션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COVID-19 확산 환경에서도 비대면 및 원격근무에 대한 필요성 증가에 따라 他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융합보안 산업은 복합적이고 다변화된 보안위협에 대한 전방위적 관제, 상황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통해 고객의 물적 및 지적 자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술과 보안 솔루션을 건물 및 시설관리, 산업안전, 재난관리 영역에 접목하고 활용하는 융합보안플랫폼 SUMiTS, 산업제어시스템 OT(Operational Technology)보안, 구축형 사업 SI(System Integration)로 구분됩니다. 빠르게 도입되는 디지털 혁신 및 기술의 성장은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빌딩, 스마트시티 등에서 융합보안 수요로 이어지고 있고 그 수요는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Safety & Care 산업은 전 세계 인구의 고령화 및 1인가구 증가 추세와 함께 COVID-19로부터 기인한 비대면, Untact 문화의 확산,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인식의 전반적 변화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며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캡스홈'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홈세이프티, 주차장 운영사업과 시스템/장비 할부판매로 구성되는 무인주차, 방역 서비스 '캡스클린케어' 로 구분되며, 무인매장과 시니어케어 사업을 새롭게 개시하였습니다.
 

매출 유형주요 서비스

Physical Security 무인경비, FM(Facility Management)
Cybersecurity 정보보안, Cloud보안, Mobile Care 솔루션
융합보안 SUMiTS(융합보안 플랫폼), OT보안(Operational Technology), 
SI(System Integration)
Safety & Care 스마트홈세이프티, 무인주차, 방역사업


나. 성장성
[Cybersecurity]
IC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사이버 상의 공격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보안 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어 보안 수요는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보보호는 국가 재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정부 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1년 정보보호산업 진흥법 개정 등 각 산업에 대한 정보보호 기본 법령이 제정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융합보안]
융합보안 시장은 산업과 사회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보안 위협 등장, 중대재해 처벌법 시행 및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규제강화 등 사회적 변화로 인해 점차 큰 폭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Physical Security]
현재 국내 Physical Security의 보급율은 미국(55%), 일본(47%)등 주요국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30% 수준으로 진입 시장의 여력이 있으며, (출처: 키움증권, 2018년 추정 기준) 어린이집, 수술실 CCTV 의무 설치와 같은 관련 법규의 강화에서 비롯한 안전에 대한 필요성 증대 및 AI CCTV 활용도 증가 등에 따라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 됩니다.

[Safety & Care]
글로벌 스마트홈세이프티 시장은 독일의 시장조사업체 Statista에 따르면 2019년 US$10.0B에서 2025년 US$27.3B로 CAGR 18.2%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국내 스마트홈세이프티 시장 역시 2022년 1조원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무인주차 산업은 수도권 등 도심지역의 인구 밀집화,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인한 주차 사업주의 비용부담 증가 이슈와 24/7 실시간 대응이 어려운 점 그리고 인력 기반 운영 시 관리 부실 등의 사유로 최근 급격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방역사업의 성장요인으로는 소독 방역에 대한 의무화 규제의 강화와 COVID-19에 의한 사회적 인식변화가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Cybersecurity]
기업 및 사업자의 경쟁력 제고에 있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짐과 동시에 중요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되어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성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오히려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해킹 위협이나 개인정보 유출 등 정보보호 이슈에 따른 영향을 받습니다. 한편 계절적 변동성의 경우, 주요 고객인 공공 및 금융, 기업 등의 사업 마감 및 예산 소진이 하반기에 집중됨에 따라 실적 역시 하반기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융합보안]
융합보안산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 증가 등 사회적 이슈 및 안전 관련법에 민감히 반응하는 시장으로 볼 수 있으며, 동절기(겨울철) 사고재해 건수가 연평균보다 10.2%(통계청 자료) 높게 나타나는 등 계절적 변동 요인도 일부 존재합니다. 동절기 안전 사고 증가 및 연말에 집행이 집중된 사업 특성으로 4분기로 갈수록 매출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연중에도 대형사업의 매출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증가될 수 있습니다.

[Physical Security]
Physical Security 산업은 일반적으로 계절과 관계없는 일정한 수요를 가지고 있는 시장이며 Physical Security 수요는 꾸준히 발생하는 국내 사업자의 창폐업 규모와 밀접한 관계를 보입니다. 현재 가장 큰 수요층으로 구분되는 소매/음식점/숙박업/서비스업의 사업자수(개인, 일반, 간이사업자)는 글로벌 경기둔화와 내수경기 위축 등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afety & Care]
스마트홈세이프티 산업의 경우 주거 환경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산업으로 경기변동 영향이 미미한 시장이며, 사회 전반적인 불안심리 확대 등 보안 이슈에 따른 영향을 받습니다.
주차산업의 경우 주차장 입지에 따라 계절성 영향이 일부 존재합니다. 도심지는 차량의 이동이 증가하는 연말에, 관광지는 휴가철에 매출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방역산업은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위생과 청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사회인식의 변화에 따라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Cybersecurity]
국내 Cybersecurity 시장에서 당사의 시장 점유율은 2020년 국내 Top 10 Cybersecurity 사업자 기준 약 30%로 1위이며, 2~5위 사업자는 대부분 정보보안 제품 사업자로 고객 맞춤 Full-service Cycle을 제공하는 당사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출처: 2020년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매출액 기준)

[융합보안]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융합보안시장은 일반산업 영역과 첨단 ICT 기술의 융합이 급속 확산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해당 사업영역에 뚜렷한 경쟁사가 존재하지 않고, 시장의 규모도 추정하기 어렵습니다.

[Physical Security]
Physical Security 사업은 대규모 네트워크 시스템 및 플랫폼, 전국망 인프라, 전문운영인력 확보 등 사업 진입 시 선결구축 해야 할 요소들이 많아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입니다. 이에 현재의 2강 1약의 과점 구조가 향후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당사의 현재 CMS(Central Monitoring Service) 사업에서 시장점유율은 2위이나, 기술의 선도 및 SK그룹과 전방위적 시너지 창출을 기반으로 사업의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으며 1위와의 시장점유율 격차 역시 지속적으로 좁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Safety & Care]
스마트홈세이프티 시장에서의 뚜렷한 경쟁자는 없습니다. 이를 증명하듯 당사의 스마트홈세이프티 상품 '캡스홈'은 2018년 출시 이후 현재까지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 중이며 향후에도 독보적인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인주차 산업 시장은 현재 브랜드 주차장 운영 사업자의 시장 점유율이 20% 수준에 불과하여 당사의 본격적인 시장 공략 및 확장 여지는 충분한 상황입니다.
방역서비스 시장은 현재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1개 사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일부 다국적 방제업체와 다수의 소규모 영세 사업자가 주거공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역사업 시장의 규모는 전체 10조원 수준이고 자가 방역 및 위생제품 판매 규모는 7조원, 방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 규모는 3조원으로 추정됩니다.

마. 영업 개황 및 경쟁력
[Cybersecurity]
당사는 20년간 Cybersecurity 업계를 선도하며 정보보안뿐만 아니라 Cloud 보안에 있어서도 컨설팅부터 솔루션 구축, 관제/운영까지 정보보안 전 영역에서 고객 맞춤형 Full Service Cycle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정보보안 및 New ICT 기술을 지속적인 연구, 개발하고 내재화함을 통해 최신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규모인 1,500명 이상의 정보보안 기술 전문가 및 국내 최대 규모의 화이트해커 그룹 EQST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주요 기업과 함께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 (KARA)를 발족시키고 24시간 사고 접수가 가능한 'SK쉴더스 랜섬웨어 대응센터'를 새롭게 개소하는 등 랜섬웨어 대응에서도 Leading Company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융합보안]
당사는 Cybersecurity + Physical Security + 지능형 건물관리 + 산업안전 서비스를 Seamless하고 Timely하게 통합 제공하는 지능형 융합보안 플랫폼 'SUMiTS'를 자체 개발하였습니다. 'SUMiTS'는 AI/Big Data/IoT 기반으로 스마트빌딩, 스마트팩토리에 적용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와 연동 가능한 플랫폼입니다. SUMiTS는 고객의 필요에 맞게 On-Premise 혹은 Cloud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시설관리, 산업안전, 재난관리뿐만 아니라 OT보안 영역의 보안 위협까지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Physical Security]
당사는 결합상품 출시, Data 기반 Marketing,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의 전국 On-Offline 채널에서의 마케팅 협력 등 경쟁사가 넘볼 수 없는 차별적 Marketing 경쟁력과 AI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최고수준의 기술 역량, 8개 지역본부와 102개 지사(영업소 포함)에서 영업인력 약 1,100명, 출동대원 약 1,800명, 관제사 인력 약 140명, 기술지원 인력 약 410명 등 약 4,500여명의 보안전문가를 통한 대규모 보안 사업 전국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Safety & Care]
AI CCTV가 적용된 스마트홈세이프티 상품은 가족구성원의 얼굴인식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안 수준 및 고객 편의를 한 단계 Upgrade 하였습니다.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추어 홈 외부보안 전용제품(캡스홈 도어가드) 이외에도 홈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카메라 상품(캡스홈 이너가드)과 SOS 긴급버튼/출동서비스 및 피해보상서비스, 문열림 감지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인주차사업은 국내 No.1 네비게이션 T map과의 전략적 협력, 전국 Sales & Tech. Support 인프라 활용, AI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등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방역서비스의 경우 당사가 자체 개발한 협업 플랫폼을 통해 전문화되고 효율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사가 보유한 전국 인프라와 전국의 강소 방역업체와 상생 Partnership을 통해 사업 규모를 빠르게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커머스사업]
11번가
가. 산업의 특성

e-Commerce(전자상거래)는 재화 및 용역의 거래가 PC 등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해 전자적 형태로 처리되는 상행위로서, 통신판매중개업과 통신판매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통신판매중개업은 판매자와 구매자간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경우에 해당되며, 통신판매업은 직접 재화를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e-Commerce 시장은 2010년 이후 스마트폰 보급 확산 및 결제 편의성 향상 등에 기반해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빠른 배송, 신선식품 확대, 온/오프라인 통합 쇼핑 경험 제공(옴니채널) 및 AI 기반 개인화/추천 등에 힘입어 제2의 성장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나. 성장성
국내 e-Commerce 시장 규모는 192.9조원('21년)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전체 유통시장에서 39%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연 평균 성장률 19% 이상의 고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e-Commerce 거래액 중 모바일 비중 역시 '16년 50%를 돌파한 이후 '21년 72%까지 성장 중이며 음식료품, 음식배달서비스, 의류/생활용품 등의 모바일 Shift 현상 가속화와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소비의 확산 및 일상화 등의 영향으로 향후에도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단위: 조원)'17년'18년'19년'20년'21년

e-Commerce 거래액 94.2 113.3 135.3 159.4 192.9
성장률(YoY) 43.5% 20.3%  19.4%  17.9% 21.0%

* 출처 :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쇼핑몰이라는 업의 특성상 경기의 변동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e-Commerce시장은 현재 고속 성장 중으로 경기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온라인 쇼핑 인구의 추가 성장 잠재력, 오프라인 사업자의 온라인 사업 강화, 모바일 Commerce 성장세에 힘입어 온라인 커머스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품을 넘어선 다양한 생활 서비스 비즈니스가 커머스 영역으로 편입되는 등 앞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과 이에 따른 새로운 시장 확장이 예상됩니다.

마. 영업 개황 및 경쟁력
십일번가는 Tech. 기반의 다양한 쇼핑 경험 혁신과 SK의 ICT 관계사 Synergy를 활용한 고객 혜택 강화를 통해 Commerce Ecosystem을 지속 확장하고자 합니다. '21년에는 국내 유일의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 서비스를 론칭하였고, SK텔레콤의 구독서비스 'T우주'와 함께 인기 해외상품을 차별화된 무료배송 혜택으로 제공하는 등 해외직구 영역에서 혁신적인 고객 경험을 구현하였습니다. 향후에도 대규모 이용자 기반 하에 제휴를 통한 상품 구색 확장과 편의성 제고 및 고객 경험의 혁신을 통해 십일번가 만의 차별적 가치를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십일번가는 고객 만족도 제고에도 노력을 기울여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주관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오픈마켓 부문 6년 연속 1위, '2021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조사에서도 E커머스 부문 15년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 영업성과
십일번가는 아마존 글로벌스토어 론칭을 통한 차별화, 비대면 소비 확산에 따른 배송품질 제고 노력 및 라이브커머스 대응 등을 통해 Monthly Active User("MAU")와 매출액 성장세를 시현했습니다.
 

구분'20년'21년증감증감율

MAU(백만) 8.4 9.4 1.0 11.9%
매출액(십억원) 545.6 561.4 15.8 2.9%

* MAU : Mobile App, 12월 기준(코리언클릭)


[플랫폼사업]
1. SK플래닛
가. 산업의 특성

SK플래닛은 OK캐쉬백과 시럽이라는 강력한 고객 접점(PoC)과 1.3억 개에 달하는 SK그룹의 대표 서비스 Data를 활용해 고객사의 Marketing 효율(ROI)을 제고하는 ‘Marketing Platform 사업' 및 ICT Family와의 다양한 Synergy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축적해온 S/W 엔지니어링 역량을 토대로 IoT, Media, 챗봇 영역 등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Business Solution 사업’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성장성
Marketing Platform 사업은 OK캐쉬백 포인트의 Reward로서의 역할 확대 및 시럽 중심의 마이데이터 사업 추진을 통해 ‘Data 기반의 Performance Marketing Platform’으로 진화해 나갈 것입니다.
모바일 시장 내에서 Big Data, AI 등의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시도들에 대한 즉각적인 결과 측정이 용이해지면서 고객의 특정 행동이 완료되었을 때 대가를 지불하는 ‘Digital Performance Marketing’ 형태의 광고/프로모션 서비스 시장이 확대 추세이며, 마일리지는 핀테크/간편결제 등과 연동하여 ‘결제 수단화’ 되어감에 따라 현금 등가자산으로 소비자에게 소구되며 ‘Digital Currency’로 진화 중입니다.

국내 Business Solution 시장 규모는 2019년 약 46조원(당사가 영위 중인 패키지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영역 기준)에서 2025년 약 55조원으로 연 평균 3%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의 핵심 성장 영역인 IoT Solution의 시장규모는 2015년 5조원에서 2019년 약 11조원으로 연 평균 23%에 달하는 고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 중 환경/안전영역의 ‘공공/건설/교통’, 제조영역의 ‘Smart Factory/SHE(Safety, Health, Environment)’를 1차 타겟으로 선정하여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해당 영역 모두 현재 주도적인 사업자가 없는 파편화된 시장으로 경쟁구도가 고착화되어 있지 않아 충분한 성장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Marketing Platform 사업의 실적은 시장경기에 영향을 받으며(광고 집행 등) 별도의 계절성 특징은 없습니다. Business Solution 사업(IoT/AI 시장 중심) 역시 점진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나 정부 주도 사업비중이 커 정부정책기조 변화에 따른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과거 4대 매체에 집중되었던 광고비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신규 미디어로 빠르게 이전되었으며, 고성능 모바일 기기의 보급 및 기술력 확대로 모바일 광고시장 성장세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과거 ‘포인트 제휴 및 멤버십카드/쿠폰 제공’ 사업모델이었던 당사의 OK캐쉬백과 시럽 서비스는 마케팅/제휴시장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Marketing Platform PoC(고객접점)’로의 변신을 적기에 이루어냈습니다. 활동성 높은 다수의 고객과 다양한 Marketing Tool을 제공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시장 성장세에 편승하여 광고매출을 꾸준히 상승시키고 커머스 등 연관 사업을 발굴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가 새로운 성장 축으로 전략적으로 집중하고 있는 Business Solution사업 시장은 ‘기술력의 향상/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환경 조성/ 4차산업 육성에 대한 강력한 정부의지’로 인해 고속성장하고 있으며(‘15년에서 ‘19년까지 연평균 23% 성장), 앞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이제 본격적으로 성장을 시작하는 사업이므로 경영실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마. 영업개황 및 경쟁력
SK플래닛은 2018년 11번가 사업부문 분할 및 SK테크엑스㈜와의 합병을 통한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Marketing Platform영역으로의 집중 및 IoT/ Media/Data 등 다양한 신규 솔루션의 확장과 비용 절감으로 2019년부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OK캐쉬백과 시럽은 Mobile App. 내 마일리지/멤버십 분야 최선호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경제적 혜택’이 커 고객 충성도(Stickiness)에 있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Business Solution사업은 아직 주도적인 사업자가 없는 시장상황에서 SK플래닛은 다년간 축적해온 S/W엔지니어링 역량, 다양한 Industry에 대한 Domain Knowledge, Data 수집/분석 역량을 바탕으로 전년 대비 3배의 수주실적을 달성(매출 10배 증가)하며 시장에서 역량을 입증해왔습니다.  

2. 원스토어
가. 산업의 특성

당사는 앱/게임 및 콘텐츠를 유통하는 플랫폼 (Platform)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통신 3사 협력 모델의 장점을 잘 활용하여 국내 판매 Android 계열 단말기에 선 탑재(Preload)를 진행 중이며, 2021년 상반기 기준 5천만 이상의 설치 실적을 확보하는 동시에 5천 9백만 이상의 누적 회원들에게 21만개의 게임, 앱과 101만개 이상의 E북, 만화, 웹툰, 웹소설 및 오디오북 등의 스토리 콘텐츠를 제공하는 국내 대표 앱마켓으로서 향후 글로벌 멀티OS 콘텐츠 플랫폼으로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본적으로 '원스토어' 및 '원원스토어북스' Platform을 통해 콘텐츠 유통 및 판매를 하는 마켓 사업자의 역할을 수행 중이며, 업종은 사업 운영 방식에 따라 통신판매중개업, 통신판매업 및 운영대행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1) 앱마켓을 통해 게임, App 및 스토리콘텐츠를 유통하며 개발사(또는 콘텐츠 제작자)와 일반 고객(소비자)을 중개하여 수수료를 수취하는 경우 '통신판매 중개업'으로 구분하여 매출액을 '순액'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당사가 2) 콘텐츠(웹툰/웹소설 등)의 공중송신권 및 커머스 관련 상품을 직사입하여 판매하는 경우에는 '통신판매업' 으로 구분하여 매출액을 '총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공동사업자인 KT와 LGU+로부터 운영대행에 대한 대가로 일정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LGU+로부터는 마케팅 업무까지 추가로 위탁 받아 마케팅 대행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나. 성장성
전 세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앱마켓은 지난 5년간 양적, 질적 확대를 이루어 왔습니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추세에 따라 이러한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모바일 게임, 웹툰 및 웹소설 등 모바일 환경에서의 콘텐츠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더불어 OTT 시장의 확대, 화상회의 도입, 클라우드 서비스 등장, 앱기반 서비스 이용 확대 추세에 따라 비대면, 모바일 시장의 반경이 더욱 넓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앱마켓 시장은 경기변동과 계절성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시장입니다. 앱마켓에 입점 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가 모든 카테고리와 분야를 아우르고 있고, 그 수원 매우 많아 경기 변동과 계절성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적습니다. 전 세계 앱마켓 매출 대비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비중이 2020년 기준 71.6%가량을 차지하는 등 모바일 게임의 영향이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모바일 게임은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경기 불황 시에는 결제 건수가 증가하고 경기 활황 시에는 결제 금액이 증가하여 경기 변동의 영향이 상쇄되는 구조를 보입니다. 일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Business of Apps의 통계에 따르면 애플 App Store에 등록된 비게임 앱의 평균 가격은 1.32달러, 구글 Play Store에 등록된 경우 0.94 달러에 불과하였습니다. 단일 결제 금액이 매우 소액이며 결제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발생하는 시장의 구조를 고려할 때, 경기 변동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전 세계 및 국내 앱마켓 시장은 소수의 Player들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앱마켓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성상,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하는 데에 필요한 다수의 개발사와 사용자를 플랫폼 안으로 편입시키는 것이 어려워 진입장벽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앱마켓 사용자의 구매 결정 과정에서 구매하는 앱 및 콘텐츠의 내용과 속성에 비해 이를 중개하는 성격의 앱마켓이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한 번 유입된 소비자는 사용하던 앱마켓을 변경할 유인이 적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을 기준으로 구글의 Play Store, 원스토어, 애플 App Store 등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마. 영업개황 및 경쟁력

당사는 개발사와 유저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앱 마켓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플랫폼의 이용자 확대 및 거래액 성장을 가속화하여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고자 합니다. 국내 앱마켓 시장의 후발주자였던 원스토어는 2018년 7월 앱 유통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는 정책을 발표하여 기존 30%의 인앱결제 정률 수수료를 20%로 인하하고, 자체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수수료 5%를 적용하였습니다. 수수료 인하 이후 2021년 4분기까지 14분기 연속 거래액 성장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지속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모바일 인덱스 기준 거래액에서 애플 App Store를 앞지르며 2위로 올라섰습니다. 더불어 수익성도 지속 개선하며 2020년 설립 후 최초로 당기순이익 흑자를 달성하였습니다. 이는 규모 및 내실 측면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함은 물론 이를 통해 수익 기반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당사는 모바일 이용자들의 혜택과 편의를 위해 다양한 결제 및 할인수단을 제공하고 있어, 구매력이 높은 이용자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구매력 높은 이용자들을 위해 주요 신작 게임 소싱에 집중함과 동시에, 보다 많은 이용자군의 확보를 위해 다양한 게임 포트폴리오를 소싱 운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원스토어 플랫폼은 단순히 앱이나 게임을 다운로드만 받는 플랫폼을 넘어서, 즐길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자 매거진 등의 다양한 큐레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안드로이드 모바일에서의 이용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PC기반의 크로스플랫폼 사업을 구축하여 이용자를 극대화할 계획이며, 국내 시장 대상이라는 한계점 극복을 위해 다양한 Global 서비스 관련 사업 검토도 지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단순히 게임/앱을 제공하는 앱 마켓 플랫폼뿐만 아니라 고속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웹소설, 웹툰 등 스낵켤쳐 중심의 스토리콘텐츠를 통해 차기 성장 BM 육성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 할 것입니다.


[기타사업]
1. 티맵모빌리티
가. 산업의 특성

모빌리티 산업은 사람의 이동 뿐만 아니라, 사물의 이동까지 Digital화 되어 빠르게 변화하고 성장하는 산업 영역입니다.
사람의 이동 영역에서는 차량호출과 같은 Non-driver 영역에서 Digital화가 시작되었으며, 뒤이어 대리운전 같은 Driver 영역에서도 Digital화가 진행되어 왔습니다. 기술과 Data, 자본력을 가진 기업들이 사업제휴나 인수 합병을 통해서 기존의 교통 수단을 Digital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흐름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사물의 이동 또한 Digital화가 가속화되어 기존의 산업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형 화물 운송 중개 영역을 중심으로, Tech 기반의 수요/공급 예측, Data 기반의 합리적인 Pricing 제공 등 Digial Platform 도입을 중심으로 한 Digial화가 예상되며, 이 또한 사업 제휴나 인수합병을 통해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어, 그 어느때보다 사업 제휴, 인수합병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성장성
모빌리티 시장은 기존 교통 수단의 혁신, 신규 교통 수단의 등장 등으로 다양한 기회가 존재하는 영역입니다. 국내 모빌리티 시장 규모는 세계 10위권으로, 서비스 혁신이 가장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또한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Top3에 모빌리티가 포함되어 있고, 모빌리티에 대한 소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시장 규모가 더욱 커짐과 동시에 당사의 사업 기회도 계속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사람의 이동 뿐만이 아니라 사물의 이동까지 혁신이 이어지고 있어, 성장성이 매우 높은 사업 영역입니다.
- 국내 가구당 월평균 소비 지출 순위 (자료 제공 : 한국 교통 연구원)

     : 1위 식료품/비주류음료, 2위 음식/숙박, 3위 교통
- 기존 교통 수단 혁신 : 차량 호출, 대리 등
- 새로운 교통 수단 : PM, UAM 등
- 사물 이동 혁신 : 대형 화물 중개 등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Post 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동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여행 및 외출 등 이동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상승 회복함에 따라서, 티맵모빌리티의 사업과 서비스들도 본격적인 성장 국면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약 2년간 중단 되었던 해외 여행 수요가 크게 반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공항버스 수요도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는 회식 등 모임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서, 위축되었던 대리운전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외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급증했던 자차 이용 증가 패턴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TMAP의 User Traffic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User Traffic을 Leverage하여 TMAP 내 서비스로 확대하는 Conversion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모빌리티 시장에서는 각 사업자들이 유의미한 규모를 갖추기 위해서 사업 제휴, 인수 합병 등의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국면으로 인해 신규 스타트업 보다는 자본과 기술의 규모를 갖춘 기업이 활발하게 Play하고 있으며, 티맵모빌리티 역시 기존 사업의 확대 및 신규 사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전략적 제휴 및 인수 합병 등 성장 전략을 추진해 왔고, 공항버스, 대리운전 등 영역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하였습니다.
최근 거시 경제 및 투자 트렌드가 급격하게 경직됨에 따라, 당분간은 공격적인 인수합병 보다는 내재화된 사업의 내실을 다지고, 키워내는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마. 영업개황 및 경쟁력
티맵모빌리티의 주요 사업은 운전자 중심의 Driver 영역, 비운전자 중심의 Non-driver 영역, 사물의 이동, Data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ll in One Mobility 전략을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T map에 통합할 예정입니다. T map의 압도적인 Taffic power를 다른 서비스로 lever하여, 각 사업 영역에서 유의미한 매출을 규모를 창출해낼 예정입니다.

Driver 영역에서는 압도적이 사용자와 기술/노하우를 바탕으로 차량 제조사에 T map을 공급하는 T map Auto 사업 영역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함과 동시에 대리운전, 발렛, EV충전과 같은 신규 서비스를 통해서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auto - T map AUTO는 EAA(Embedded Android Auto)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기술에 호환되는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기반으로 폭
넓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서비스임.
* 대리 - 기존 사업자 인수 및 전략적 제휴를 확대하고, 기존 대리업계 Player들과 상생 방안을 구축하여 안정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임.
* 발렛 - 발렛 사업의 디지털화를 통한 신규 성장 동력 확보, 발렛 거점을 빠르게 확보하고, 거대 Zone을 형성하여 다양항 서비스를 접목할 예정
* EV 충전 - 충전업체와의 제휴를 통해서 사업 확대 예정, 충전기 회사마다 다른 회원 체계(회원카드), 인증 및 결제 방식 등의 불편함을 티맵을 통해서 해결함, 상반기 내 전체 충전기의 30%까지 Coverage를 확대 예정

Non-driver영역에서는 '21년 하반기에 런칭한 Personal mobility 사업 확대와 더불어, 공항버스 인수, 대중교통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서 User 기반을 더욱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 Personal Mobility : Major 킥보드 업체를 중심으로 coverage 확대하여 사업을 확장할 계획
* 이외 Non-driver 영역에서 사업을 확대해나갈 예정

사물 이동 영역에서는 파편화된 사물 이동 시장에서 적극적인 사업제휴와 인수합병을 통해서, 규모의 경제를 갖춰, 서비스,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나갈 예정입니다.
* 화물 중개 : 화물 주선 시장 규모는 7조로 매우 크나, 시장 내 기업들은 매우 영세하여 매출규모 100억만 되어도 시장 내에선 매우 큰 사업자임, 영세 사업자들과의 전략적 제휴 및 인수 합병등을 통하여, 규모의 결제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시장의 dominant 사업자로 발돋움
(Tech 기반의 수요 예측, Data 기반의 합리적인 Pricing, 배차 효율화 등을 Digital Platform 도입을 통해서 수요와 공급 Matching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나갈 예정)

Data 영역에서는 약 2천만명에 달하는 가입자가 쏟아내는 Data를 분석, 가공하여, UBI 보험 사업, 맞춤형 광고 및 API Provider 사업을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 UBI - '21년 온라인 보험 시장 규모는 약 5조원이며, '25년까지 약 12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 운전 습관을 기반으로 보험 할인을 받는
* 새로운 광고 Inventory 개발, 정차중 음성 광고와 같은 차별화된 서비스로 매출 확대
* API provider - 비대면의 일상화로 인한, 물류/배송 고객사의 Data 사용량 급증, Global Cloud 사업자와의 사업 협력을 통해서 API 사업 확대 예정

2. 드림어스컴퍼니
가. 산업의 특성

[뮤직 부문]

음악 산업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직접 음원 생산에 기여하는 창작자와 제작사, 생산된 음원을 시장에 유통하는 음원 유통사, 음원을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온라인 음악 사업자 및 오프라인 매장 사업자 등이 음악 산업 영역 내에서 활동하는 주요 이해 관계자들입니다. 이중 온라인 음악 사업자는 소비자들이 PC와 스마트폰, AI 스피커 등 다양한 기기들을 통해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디지털 음원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전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음악을 감상하는 방식이 보편화됨에 따라, 각종 기기에서 고객이 원할 때 실시간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온라인 음악 사업자의 중요성은 점차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한편, 음악의 유통에 있어서 소위 '유통사'로 불리는 음악유통사업자는 제작된 음원 및 음반을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 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디지털 음원 서비스사업자 및 음반 도소매상 등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타 부문]

아티스트 머천다이즈(MD) 산업은 아티스트 IP를 이용한 상품을 기획, 생산 및 유통하는 산업입니다. 제품 카테고리는 응원봉, 공연굿즈, 리빙, 잡화, 의류, 쥬얼리, 문구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각 IP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앞서 기획, 생산, 판매 등에 따른 제반사항들을 당사에 사업을 맡긴 원천 콘텐츠 권리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당사 매출 및 이익에 기여합니다.

공연 사업은 공연을 기획, 제작, 공연, 유통하는 산업으로 공연장을 매개로 하여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서비스 상품적인 성격으로 아티스트와 관객이 같은 장소에 존재함으로써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현장성'과, 공연이 실연되는 순간 생명력을 지니는 '일회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사업은 고음질 오디오 플레이어, 음향기기 및 Life Style 제품 기획 및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보급형 사양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사용해 왔던 고객들은 점차 고음질 및 고화질 제품에 대한 욕구가 커져가면서 고객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업체들은 고음질 및 고화질 제품에 대한 과감한 연구개발 투자와 더불어 관련 신제품을 출시하는데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나. 성장성
[뮤직 부문]

2021년 음악시장은 COVID-19 영향 속에서도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 IFPI에 따르면 2021년 전세계 음악시장은 전년 대비 18.5% 성장하며 7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스트리밍 서비스가 24.3%로 크게 성장하여 음악시장의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스트리밍 비중은 전체에서 65%를 차지하며 2020년 61.9%보다 늘어났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AI 스피커 등 디지털 기기의 보편화 및 오디오북/팟캐스트 등 새로운 Audible 콘텐츠의 증가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의 숫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기타 부문]

MD 사업은 최근 K-CULTURE가 세계적인 인기를 구가하면서, 그 중심에서 K-POP 아티스트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팬 문화'가 확산되면서, MD 산업 역시 유래 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콘텐츠 산업 총 매출액은 전년대비 5.2%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5.2%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연 사업은 2022년 4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대규모 오프라인 공연 및 페스티벌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며 COVID-19로 억눌렸던 대중들의 수요도 폭발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티켓 예매 플랫폼인 인터파크 티켓에 따르면 올해 2분기에 개최된 상품 개수도 지난해 대비 43.5% 증가, 콘서트 판매 금액도 지난해 동기 대비 26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디바이스 사업은 고음질 오디오 재생기기, 고급형 리시버(이어폰/헤드폰/스피커) 시장이 고음질 음원의 등장 및 글로벌 스트리밍 업체들의 고음질 서비스 제공과 함께 저변이 지속 확대되고 있어 고음질 전문 재생 기기인 당사의 제품 수요도 점차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뮤직 부문]

경기가 좋지 않으면 댄스 장르의 음악이 인기를 얻고, 봄과 가을에는 발라드 음악을 즐겨 듣는다는 등의 데이터로 확인되지 않는 속설들이 있었으나, 최근과 같이 음악 이외의 사회 문화적 트렌드,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한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노출 등 다양한 음악 외 외부 영향 변수가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몇 가지 단순한 논리로 규정짓기는 어렵습니다.

더불어 과거 여러 곡이 수록된 앨범을 발표한 후 상당 기간 홍보 활동을 이어가던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싱글 등 음원 중심의 다량 발매 환경이 일반화된 최근에는 계절, 트렌드, 이슈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방식의 마케팅이 펼쳐지면서 경기 변동 및 계절 변화에 따른 매출 변동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스트리밍 방식의 이용 비중이 증가하며 이용자 스스로 구성하였거나 이용자의청취 패턴 또는 빅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한 음원 소비 방식이 증가하면서 최신 발매 음원과 과거 발매 음원 간의 매출 차이 또한 점차 줄어 들고 있는 동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MD 사업은 경기변동이나 계절성 보다는 아티스트의 인기와 활동 시점에 따른 변동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디지털 팬덤의 형성과 확대를 통해 구매층이 확대되어 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디자인의 상품들이 판매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특정 시점에 응집력이 강한 팬덤들이 집중되는 공연 굿즈의 경우, 경기변동이나 계절성 보다는 공연장의 규모, 횟수에 따른 변동성이 더 크게 작용합니다. 

공연 사업은 '현장성'이라는 특성으로 천재지변 및 전염병 등 사회 이슈 발생시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며, 경기변동에 민감한 산업입니다. 또한, 계절별/지역별 시장의 크기 차이가 뚜렷하여 수도권에 전국 공연의 50%가 집중되어 있으며, 5월 가정의 달과 12월 연말연시에 공연 관람 수요가 올라가는 등 계절성/지역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사업은 제품의 특성상 계절의 변화 또는 경기변동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적은 편에 속합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뮤직 부문]

당사의 FLO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오디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디오 플랫폼 시장은 스포티파이 등 국내외 다수의 회사가 경쟁하고 있으나 공신력 있는 해당 시장 점유율 자료가 부재 합니다. 또한 회사 자체 또는 개별 온라인 리서치 기관이 제공하는 MAU는 산정 방식에 따라서 점유율 편차가 큰 관계로 보고일 현재 적합한 시장점유율 자료가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2018년 유통사업을 시작한 드림어스컴퍼니는 2022년 상반기 음반 사업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였으며, 음원에서도 점유율 4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구분드림어스컴퍼니카카오엔터YG플러스지니뮤직/스톤뮤직기타

음반 34.9% 17.3% 33.0% 7.1% 7.7%
음원 13.3% 35.6% 9.9% 15.0% 26.2%

(출처: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가온 차트 2022년 상반기 리뷰, Top400 기준)

[기타 부문]

MD 사업은 SNS와 유튜브를 통해, K-POP의 세계화가 가속되면서 다양한 국가에서 K-POP 아티스트들의 팬덤을 토대로 큰 글로벌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또한, COVID-19를 대하는 세계적 흐름이 통제가 아닌 공존으로 모색되면서, 연기되었던 K-POP 공연 등이 다시 시작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시장 모두 이연 수요가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공연 사업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이전의 산업 규모를 회복하고 극복해나가는 중이며, 이는 당사에도 긍정적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사업의 경우 최근 중국에서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앞세운 다양한 모델들을 앞다투어 출시하고 더 나아가 프리미엄 카테고리에도 진입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제품의 사양 및 마케팅 등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마. 영업개황 및 경쟁력
[뮤직 부문]

1. 온라인 음악 서비스

2022년 2분기, FLO는 전체 인프라의 퍼블릭 클라우드 전환을 완료했습니다. 클라우드 인프라는 트래픽에 대한 유연한 대응으로 효율적 서버 운영과 안정적인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또한 최신 어플리케이션 적용이 용이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서비스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1년부터 새롭고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던 FLO는 2022년 7월 개방형 오디오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자신의 취향을 담은 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해 올리고 수익을 정산 받는 창작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으로써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넘어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차별화된 양방향 플랫폼으로 진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더불어 사용자 측면에서도 오디오 서비스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고도화를 하반기 중에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2. 음반 및 디지털콘텐츠 유통 사업

2018년 2월부터 음악 산업계 최상위 수준의 제작사들(SM, JYP)로부터 확보한 유통권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NCT, EXO, aespa, 레드벨벳, 동방신기 등 한류 문화 확산 등에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에스엠엔터테인먼트, 트와이스, 있지, 스트레이 키즈 등이 전속되어 있는 제이와이피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싸이, 크러쉬 등이 소속된 피네이션, 슈퍼밴드1,2, 팬텀싱어3, 슈가맨3 등을 제작한 JTBC등과의 음악 유통 사업 추진과 더불어 주식회사 비욘드 뮤직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음악 콘텐츠 IP 투자 및 음반, 음원 유통권을 확보하는 등 유관 사업과의 시너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1. MD사업

2021년 새롭게 계약한 임영웅 IP를 이용하여, 응원봉 및 부가 상품 제조를 진행하였고, 시즌그리팅 제작 및 유통까지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팬 문화’를 주도하던 20~30대의 여성들이 주류를 이루던 MD 시장에 다양한 연령대의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면서 소비층의 저변을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급격하게 커지고 있는 게임 팬덤의 영향력을 이용할 수 있는 신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SKT1과의 제휴를 통해 다양한 MD 상품 개발 및 유통 예정입니다.

2. 공연 사업

당사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아우르고 있으며, 2021년엔 클래식 장르의 공연(팬텀싱어 올스타전, 라포엠 등)을 좌석 거리 두기와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성공적으로 개최했습니다. 또한, K-POP 공연(하이라이트, AB6IX, ONEUS, 루시 등)은 정규 공연장 시설에서 오프라인 콘서트와 온라인 스트리밍을 병행하며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모색했습니다.

올해 4분기에는 자체 제작 콘텐츠로 EDM 서바이벌 프로그램 “WET! WE TREND”을 런칭 예정이며, 해당 프로그램 런칭을 기점으로 EDM 음원 및 아티스트 확보와 EDM 페스티벌을 자체 기획 및 제작하며 IP개발과 함께 매출 구조의 다각화를 모색할 예정입니다.

3. 디바이스 사업

아스텔앤컨은 휴대용 고음질 오디오 플레이어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미국, 일본, 중국, 홍콩,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높은 브랜드파워를 갖추고 있습니다. 앞으로 당사는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 활동을 통해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나갈 것이며, 계속해서 가격 대비 고성능의 제품과 기술과 성능에서 격차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컨셉을 바탕과 다양한 오디오에 대한 기술적 특허를 바탕으로 더욱 경쟁력 있는 제품라인업을 구성하여 보다 더 많은 고객들에게 아스텔앤컨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3. 인크로스
 가. 산업의 특성

광고 산업은 전통 광고와 디지털 광고로 구분되며, 디지털 광고는 매체 유형에 따라 온라인 광고와 모바일 광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인크로스는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매체 판매 대행 및 미디어 플래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렙 사업과 동영상 애드 네트워크 ‘다윈(dawin)’ 사업, SK텔레콤과 공동 개발한 AI 기반의 문자 커머스 ‘티딜(T deal)’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광고업은 뚜렷한 계절성을 띠고 있으며 경기 변동에 다소 민감한 경향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디지털 광고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 효과를 직접적으로 측정 가능하며, 광고비를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광고주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2020년대 들어 모바일 기반의 비대면 콘텐츠 소비 및 구매활동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광고 및 모바일 커머스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최근 디지털 광고시장에서는 빅데이터를 접목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광고를 집행하는 기법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모바일 플랫폼의 확산 및 ICT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디지털 광고시장은 향후에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성장성
2021년 국내 디지털 광고 시장 규모는 9조 2,8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3% 성장하였으며, 2022년에는 19.7% 성장한 11조 1,166억원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주요 사업인 미디어렙, 동영상 애드 네트워크 및 티딜 사업 역시 안정적인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티딜 사업이 속한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 역시 비대면 쇼핑 수요가 증가하면서 매년 성장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온라인 쇼핑 동향 조사’에 따르면 2021년 연간 온라인쇼핑 총 거래액은 2020년 대비 21.0% 증가한 192조 8,946억 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에서도 모바일 거래액은 138조 1,951억원으로 전체 온라인 거래액의 71.6%를 차지했습니다. 온라인 쇼핑에서 모바일 거래의 비중은 2020년 67.9% 대비 3.7%p 증가하였으며, 모바일 중심의 쇼핑 거래액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일반적으로 광고업은 다른 산업군에 비해 높은 탄력성을 보이는 편입니다. 경기 호황시에는 광고주들이 마케팅 예산을 확대함으로써 광고시장이 더욱 크게 성장하지만, 반면에 불황일 때는 마케팅 예산을 우선적으로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디지털 광고 사업 역시 경기 변동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기는 합니다. 다만 온라인과 모바일, IPTV 같은 디지털 광고 상품들은 광고효과가 데이터에 기반해서 즉각 리포팅된다는 특성 때문에 TV, 신문, 잡지, 라디오 등의 전통매체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력이 적고, 민감도 역시 낮게 나타납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디지털 광고 시장은 생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 하나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급속도로 성장해 왔습니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면서 디지털 광고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가 등장하고 빅데이터 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광고주가 원하는 오디언스에게 정확하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타겟팅 광고 상품의 발달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비대면 쇼핑과 디지털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환경이 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마케팅 성과를 극대화하려는 광고주들 중심으로 디지털 광고시장에서 퍼포먼스 마케팅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 역시 비대면 쇼핑 수요 증가에 따라 매년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에서 모바일 거래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 영업개황 및 경쟁력
당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2022년 반기 매출액 219억원, 영업이익 66억원, 당기순이익 47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 27.5%, 37.4% 감소한 수치입니다. 2022년 반기 사업부별 매출은 미디어렙 166억원, 티딜 운영 24억원, 서비스운영 17억원, 애드네트워크 12억원을 기록했으며, 매출 비중은 각각 75.7%, 10.8%, 7.8%, 5.7%입니다.

국내 디지털 광고시장이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을 중심으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미디어렙 사업은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 및 전문성 강화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안정적인 실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티딜 운영 사업은 상품 입점을 확대하고 플랫폼을 고도화하면서 거래액과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4,  FSK L&S
가. 산업의 특성

물류정책기본법 상 물류업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 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 보관, 하역 등과 이에 부과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 조립, 관리 등 제반 업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물류산업에서는 시설과 장비, 인력이 시장 내 경쟁우위 요소였으나, 최근 IT 기술 발달 및 디지털화에 따라 산업간 영역 파괴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인 ICBM 플랫폼(IoT, Cloud, BigData, Mobile)을 기반으로, 기존의 노동 집약적 물류 서비스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나. 성장성
최근 물류산업은 단순 용역 제공에서 벗어나 플랫폼, IoT, 로봇 등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물류 Data는 기획·생산·서비스 영역과 연결되어 기업의 주요 경쟁력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팬데믹으로 인해 조달·생산·물류에 걸친 글로벌 공급망 붕괴가 발생하면서, 물류 가시성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 또한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따라 대한민국을 '물류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통한 글로벌 물류강국'으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1~2030 계획에 의하면, 첨단 스마트 기술 기반의 물류시스템, 디지털 전환, 공유 연계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철도 공항 항만, 물류거점 등 인프라 확충에도 역점을 둠으로써 물류 산업의 디지털 기반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일반적으로 물류서비스는 세계 경기 순환에 따른 물동량 변화에 직접적이고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시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경쟁의 강도, 세계 및 권역별 경기변동, 선박의 수급, 유가의 변동, 기후, 국제정세 등이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은 불규칙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물류산업은 제품별 성수기 및 계절에 따른 민감도가 있습니다. 신제품 출시에 따른 성수기, 명절 및 연말과 같은 계절적 수요 변동에 따라 물동량이 변화하며, 이는 매출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글로벌 물류업체는 서비스지역과 사업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서비스 지역 확대를 위한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의 확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물류 운영 외에 컨설팅, 공급망 물류 최적화 등의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팬데믹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물류 이동 차질로 인해 시장 운임이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중요도 및 비중이 가장 높은 해상운임의 경우, 해운시장 내 글로벌 해운 동맹 재편 및 선사간 M&A 등에 따른 대형 선사의 시장 지배력 강화로 인하여 고운임 시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마. 영업개황 및 경쟁력
회사는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및 물류 인프라를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해 안정적이고 신속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장 출하부터 국제 운송, 도착지 통관, 창고 관리 및 내륙 운송까지 물류 全 영역에 대한 One-Stop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IT를 활용한 공급망 물류의 가시성 및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규모 물동량 기반의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자회사>
[SK 하이닉스]

당사는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본사를 거점으로 4개의 생산기지와 4개의 연구개발법인, 16개의 미국, 중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등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입니다.

당사 및 당사의 종속기업의 주력 제품은 DRAM 및 NAND를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반도체이며, 일부 Fab(S1, M10 일부)을 활용하여 시스템 반도체인 CIS(CMOS Image Sensor)생산과 파운드리(Foundry)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로 구분되고,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기능을 하고, 일반적으로 '휘발성(Volatile)'과 '비휘발성(Non-volatile)'으로 분류됩니다. 휘발성 메모리 제품은 전원이 끊어지면 정보가 지워지는 반면, 비휘발성 제품은 전원이 끊겨도 저장된 정보가 계속 남아 있습니다. DRAM은 휘발성 메모리, NAND Flash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당사의 생산시설은 국내와 중국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 소재한 Fab은 DRAM을 생산하는 M16, M14, M10(이천)과 NAND를 생산하는 M11, M15(청주) 및 M14(이천)이 있습니다. 이 중 M16은 2021년 2월 준공을 완료한 최신 Fab이며, M10은 DRAM과 CIS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중국에 소재한 Fab으로는 DRAM을 생산하는 C2, C2F(중국 장쑤성 우시)와 파운드리를 하는 S1이 있습니다. 또한, 인텔의 Non-Volatile Memory Solutions Group의 옵테인 사업부를 제외한 NAND 사업 부문 전체의 인수 1단계 절차를 완료하면서, NAND를 생산하는 중국 대련에 위치한 Dalian Fab이 있습니다.

당사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2022년 반기(누계) 25조 9,66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주요회사매출유형품목주요상표 등연결 매출액비율

투자사업 SK스퀘어㈜ 서비스 지주사업 - 977,860  34%
보안사업 SK쉴더스㈜ 서비스 인력 및 기계경비, 정보보호 등 ADT캡스 832,094  29%
커머스사업 십일번가 주식회사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 11Pay, 기프티콘 등 280,841  10%
플랫폼사업 SK플래닛㈜
 원스토어㈜
서비스 정보통신,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등 OK캐쉬백, 시럽,
 원스토어 등
258,823  9%
기타사업 ㈜드림어스컴퍼니
 인크로스㈜
 FSK L&S 주식회사
티맵모빌리티 등
서비스 음악서비스 및 콘텐츠 유통, 광고, 
운송주선업 등
FLO, Tmap 등 500,483  18%
합 계 2,850,101  100%

* '21년 연결재무제표 기준(내부거래 제외)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 변동 추이
[보안사업]
 Physical Security 와 Safety & Care는 상품유형이 매우 다양하고 고객별 제공하는 서비스의 범위가 상이하여 가격변동 추이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Cybersecurity의 경우 계약 체결 시 인건비 인상분을 고려하여 상승된 가격을 책정하며,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에서 공시하는 직무체계별 평균임금에 근거하여 서비스 단가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단, 고객별 서비스 제공 범위와 요구수준이 다양하여 완전한 정찰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또한 융합보안은 수주형 사업으로 개별 프로젝트별로 투입되는 솔루션 규모와 고도화 정도에 따라 전체 수주 금액이 결정됩니다. 현재는 지능화된 보안위협에 따라 적용되는 보안 솔루션의 규모와 성능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단위 사업별 단가는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커머스사업]
 십일번가는 판매자와 구매자 간 전자상거래를 중개하면서 거래의 체결, 결제와 정산의 안전보장 등의 댓가로 이용약관에 따라 판매자에게 일정 금액의 판매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판매수수료는 상품 카테고리 별로 차이가 있지만 통상 판매 금액의 10~12%로 책정되어 있고 경쟁사 역시 유사한 수준입니다. 거래 활성화 목적 하에 프로모션 차원에서 특정 기간 일시적으로 판매 수수료를 하향 조정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현행 판매수수료율 체계는 십일번가 영업개시 이후 현재까지 큰 변동없이 계속 유지되고 있습니다.


[플랫폼사업]

원스토어는 게임, App 개발사(또는 콘텐츠 제작자)와 일반 고객(소비자)을 중개하여 개발사에게 수수료를 수취하는 앱 마켓 사업과 웹툰/웹소설/전자책 등의 콘텐츠를 판매/유통하는 스토리사업 및 IT상품 등을 판매하는 커머스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앱 마켓의 경우 고객이 App/게임 유료 콘텐츠 결제 및 무료 App 다운로드 후 In-App 콘텐츠 결제 시 해당 결제 금액의 5~30%의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2018년 7월 이후 입점한 게임/App은 원스토어 결제 시스템 사용 시 수수료율은 기존 30%에서 인하된 20%의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자체 결제 시스템 사용 시에는 5% 수수료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스토리사업은 월 정액 결제로 전 장르 다양한 종류의 도서를 무제한으로 볼 수 있는 구독 상품 외 단편, 패키지 상품이 100원부터 300,000원까지 다양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3년 간 가격의 변동 사항은 없습니다. 커머스사업의 경우 품목에 따라 상품의 가격 차이가 매우 큼에 따라 가격의 범위를 특정하기 어려워 가격 추이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주요 자회사>
[SK 하이닉스]

당사의 메모리반도체 부문 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원재료는 크게 웨이퍼(Wafer), Substrate, PCB(Printed Circuit Board) 그리고 기타 재료 등으로 구성됩니다.

웨이퍼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제작하기 위해 반도체 물질의 단결정을 성장시킨 기둥 모양의 규소(Ingot)를 얇게 절단하여 원판모양으로 만든 것으로서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핵심 재료입니다.

Substrate는 Package를 만들기 위한 원재료 중 하나로 전기 신호를 연결하면서 외부의 습기, 충격 등으로부터 칩을 보호하고 지지해주는 골격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PCB는 그 위에 저항, 콘덴서, 코일,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대규모 집적회로(Large-Scale Integration), 스위치 등의 부품을 고정 및 연결하여 회로기능을 완성시키는 인쇄회로기판 입니다.

그 외 가스 및 화학약품, 소자류 등이 반도체 제조 공정에 투입되는 원재료로 소요됩니다.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제75기 반기 누계]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매입유형품   목구체적용도투입액비율비고

반도체 부문 원재료  WAFER Fab 534,044  9% -
 Lead Frame & Substrate Package 238,797  4% -
 PCB  Module 207,957  3% -
 기타  - 2,825,234  46% -
소  계 3,806,032  62% -
저장품  S/P , 부재료 2,334,780  38% -
합  계 6,140,812  100% -

 

나. 주요 원재료의 매입처 및 원재료 공급시장과 공급의 안정성


당사는 일본, 한국, 독일, 미국 등에 생산시설을 보유한 5개사로부터 반도체 공정의

주요 원자재인 300mm 웨이퍼 완제품을 공급받고 있습니다.

당사가 거래하고 있는 상기 5개사는 전체 300mm 웨이퍼 시장의 9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웨이퍼와 가스 그리고 Substrate 등 원자재 가격은 세계 반도체 업계의 수급 동향에 영향을 받습니다. COVID-19로 수축되었던 산업 생산이 급격히 회복되어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공급의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소재 공급량 감소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원재료 단가 상승폭이 증가하였습니다.

당사는 웨이퍼 및 가스 등 동일 원재료를 사용하는 차량용 반도체, 태양전지 등 관련 산업의 수급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전 대응으로 원활한 수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매입처와 중장기적 협력관계 강화와 국내 공급선 확대를 통해 안정적 생산 지원, 원가경쟁력 강화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다.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당사는 4조 3교대로 운영되고 있으며, 휴일(공휴일 포함)을 포함하여 2022년 반기 총 가동일은 181일로, 각 지역별 FAB의 가동인원 및 가동율을 고려하여 계산한 당사의 평균가동시간은 월 17,780,716 시간입니다.

생산능력은 "해당 연간 최대생산 일의 생산량ⅹ누적일수ⅹ평균원가"의 방법으로 

산출하고 있으며, 2022년 반기 생산능력은 15,880,768 백만원 입니다.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제 75기 반기제 74기제 73기

반도체 15,880,768 25,626,444 24,404,484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당사의 2022년 반기 생산실적은 15,880,768 백만원으로 집계되었으며, 동 기간의 생산설비의 평균가동률은 100%를 유지하였습니다.

 

(1) 생산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제 75기 반기제 74기제 73기

반도체 15,880,768 25,626,444 24,404,484

 

(2) 가동률

(단위 : 시간, %)

사업부문가동가능시간실제가동시간평균가동률

반도체 106,684,296 106,684,296 100%

※ 가동률은 각 지역별 FAB별 가동인원 및 수율을 고려하여 계산함

3. 생산설비의 현황

당사의 시설 및 설비의 장부가액은 작성기준일 현재 58,113,861백만원이며,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기타의유형자산 건설중인자산 합계
2022.01.01                
취득원가 1,145,557  10,364,089  2,933,606  90,191,998  49,126  2,323,722  6,503,029  113,511,127 
감가상각누계액 - (1,756,215) (817,532) (56,080,096) (11,627) (1,581,899) - (60,247,369)
손상차손누계액 - (23,699) (19,104) (162,535) - (23) - (205,361)
정부보조금 - (16,454) - (7,661) (6) (6)  - (24,127)
기초순장부금액 1,145,557  8,567,721  2,096,970  33,941,706  37,493  741,794  6,503,029  53,034,270 
기중변동액                
취득 76,282  47,402  208,724  4,842,772  79  42,765  5,304,000  10,522,024 
처분 (91,503) (58,447) - (4,625) - (637) (623) (155,835)
손상차손 - - (6,157) (1,534) - - - (7,691)
감가상각 - (270,254) (76,443) (5,757,269) (1,686) (149,113) - (6,254,765)
대체 81,741  232,492  22,320  2,278,179  - 9,188  (2,633,894) (9,974)
환율변동 등 4,483  163,836  27,087  729,818  15  7,579  53,014  985,832 
기말순장부금액 1,216,560  8,682,750  2,272,501  36,029,047  35,901  651,576  9,225,526  58,113,861 
2022.06.30                
취득원가 1,216,560  10,762,018  3,201,136  97,991,193  49,230  2,366,691  9,225,526  124,812,354 
감가상각누계액 - (2,038,822) (903,375) (61,793,048) (13,325) (1,715,101) - (66,463,671)
손상차손누계액 - (23,699) (25,260) (162,303) - (14) - (211,276)
정부보조금 - (16,747) - (6,795) (4) - - (23,546)
순장부금액 1,216,560  8,682,750  2,272,501  36,029,047  35,901  651,576  9,225,526  58,113,861 

 

4. 투자계획(현황)

2022년 반기, 당사의 투자집행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입고 기준] (단위 : 십억원)
구 분 투자대상자산 투자효과 투자 기간 기투자액(누적) 비 고
보완투자 등 기계장치 외 생산능력증가 2022.01.01~2022.06.30      9,597  누적실적
합 계      9,597   - 

※ Solidigm 미포함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백만원)

사업부문매출유형품목제1기(2021년)제2기(2022년) 2분기

투자사업 서비스 지주사업 수출 -
내수 442,380 977,860 
합계 442,380 977,860 
보안사업 서비스 인력 및 기계경비, 정보보호 등 수출 7,808 13,075 
내수 294,124 819,019 
합계 301,932 832,094 
커머스사업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 수출 161 413 
내수 105,272 280,428 
합계 105,433 280,841 
플랫폼사업 서비스 정보통신,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등 수출 9,436 30,577 
내수 125,642 228,246 
합계 135,078 258,823 
기타사업 서비스 음악서비스 및 콘텐츠 유통, 
광고, 운송주선업 등
수출 8,984 18,959 
내수 152,607 481,524 
합계 161,591 500,483 
합 계 수출 26,389 63,024 
내수 1,120,025 2,787,077 
합계 1,146,414 2,850,101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해당 사항 없음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1) 금융위험관리
연결실체는 시장위험, 신용위험과 유동성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시장위험은 다시 환율변동위험과 이자율변동위험 등으로 구분됩니다. 연결실체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 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연결실체의 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장ㆍ단기금융상품, 장ㆍ단기투자자산, 매출채권및기타채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융부채는미지급금및기타채무, 차입금, 사채 및 리스부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시장위험
(가) 환율변동위험   
연결실체는 글로벌 영업으로 인한 수입과 지출로 인해 외화 환포지션이 발생하며, 환포지션이 발생하는 주요 외화로는 USD, EUR, JPY, CNY 등이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연결대상회사별로 사업의 성격 및 환율 변동위험 대처수단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회사별 환율변동위험 관리정책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외화로 표시된 채권과 채무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환노출 위험을 주기적으로 평가, 관리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및 인식된 자산ㆍ부채가 기능통화 외의 통화로 표시될 때 발생합니다.

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화폐성 외화자산 및 외화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화단위: 백만원, 외화단위: 외화 천단위)통 화자  산부  채외  화원화환산외  화원화환산

USD 29,084 37,603 28,934 37,409
EUR 119 161 55 74
JPY 278,623 2,637 4,903 46
CNY 15,033 2,898 63 12
기타 - 93 - 2
합  계   43,392   37,543


당반기말 현재 각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이 10% 변동시, 동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통  화10% 상승시10% 하락시

USD 19 (19)
EUR 9 (9)
JPY 259 (259)
CNY 289 (289)
기타 9 (9)
합  계 585 (585)

(나) 이자율위험
연결실체의 이자율 위험은 사채 및 차입금에서 비롯됩니다. 연결실체의 이자부 자산은 대부분 고정이자율로 확정되어 있어, 연결실체의 수익 및 영업현금흐름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적입니다.

연결실체는 이자율 위험에 대해 다양한 방법의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이자율 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융자, 기존 차입금의 갱신, 대체적인 융자 및 위험회피 등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여 연결실체 입장에서 가장 유리한 자금조달 방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변동금리부 차입금은 17,000백만원입니다. 한편,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p 상승(하락)할 경우, 당반기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85백만원 감소 또는 증가하였을 것이며, 당반기말 자본도 동일한 금액만큼 감소 또는 증가하였을 것입니다.

 

2) 신용위험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구  분당반기말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581,699 642,174
장단기금융상품 602,173 835,195
장기투자자산 109,267 124,496
매출채권 422,734 435,972
계약자산 61,360 35,438
대여금및기타채권 638,433 767,878
파생금융자산 2,678 -
합  계 2,418,344 2,841,153


신용위험은 연결실체의 통상적인 거래 및 투자활동에서 발생하며 고객 또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상 의무사항을 지키지 못하였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연결실체는 주기적으로 고객과 거래상대방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및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재무신용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고객과 거래상대방 각각에 대한 신용한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매출채권에 대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손실에 대해 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 충당금은 개별적으로 유의적인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손상차손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 집합에서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손상차손으로 구성됩니다. 금융자산 집합의 충당금은 유사한 금융자산의 회수에 대한 과거 자료에 근거하여 결정됩니다. 신용위험은 현금및현금성자산, 각종 예금 그리고 파생금융상품 등과 같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결실체는 신용도가 높은 금융기관들과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금액은 각 금융자산의 장부금액과 동일합니다.

3) 유동성위험
연결실체의 유동성 관리방법은 충분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유지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한도 확보를 통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연결실체는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신용한도 내에서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구  분장부금액계약상 현금흐름1년 미만1년 ~ 5년5년 이상

매입채무 223,985 223,985 223,985 - -
차입금(*) 1,722,530 1,921,328 73,069 1,848,259 -
사채(*) 296,162 316,830 37,599 279,231 -
리스부채 82,911 86,589 48,170 38,419 -
미지급금및기타채무 1,294,679 1,294,679 1,271,472 23,207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75,738 75,738 - 75,738 -
합  계 3,696,005 3,919,149 1,654,295 2,264,854 -


(*) 계약상 현금흐름은 이자지급액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연결실체는 이 현금흐름이 유의적으로 더 이른 기간에 발생하거나, 유의적으로 다른 금액일 것으로 기대하지 않습니다.

(2) 자본관리
연결실체는 부채와 자본 잔액의 최적화를 통하여 주주이익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계속기업으로서 지속될 수 있도록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전반적인 자본관리 전략은 전기와 변동이 없습니다. 연결실체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됩니다. 총부채 및 총자본은 연결재무제표의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당반기말전기말

부채 5,226,336 5,783,846
자본 17,734,119 16,855,294
부채비율 29.47% 34.31%

(3) 공정가치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포함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반기말 

(단위: 백만원)구  분장부금액수준1수준2수준3합  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957,523 2,695 791,229 163,599 957,52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685,436 514,833 - 170,603 685,436
합  계 1,642,959 517,528 791,229 334,202 1,642,959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270,889 - - 270,889 270,889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는 금융부채:
  차입금 1,722,530 - 1,622,190 - 1,622,190
  사채 296,162 - 277,881 - 277,881
합  계 2,018,692 - 1,900,071 - 1,900,071

 

2) 전기말

(단위: 백만원)구  분장부금액수준1수준2수준3합  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1,155,150 5,344 996,593 153,213 1,155,15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1,147,651 1,081,911 - 65,740 1,147,651
합  계 2,302,801 1,087,255 996,593 218,953 2,302,801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264,504 - - 264,504 264,504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는 금융부채:
 차입금 1,824,562 - 1,746,784 - 1,746,784
 사채 295,698 - 296,749 - 296,749
합  계 2,120,260 - 2,043,533 - 2,043,533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에 해당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하지 않은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공정가치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및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 공시되는 마감 매수호가에 의해 결정됩니다.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평가를 위하여 연결실체는 다양한 평가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파생금융상품 및 장기부채 등은 현재가치기법을 적용하여 평가되며, 이외의 금융자산은 미래현금흐름할인법, 시장접근법 등을 적용하여 평가됩니다. 연결실체가 이러한 평가기법을 활용하기 위하여 투입한 변수는 이자율, 위험프리미엄 등이며 연결실체는 평가되는 자산과 부채의 특성과 일관된 투입변수를 선택하여 그 공정가치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연결실체가 당반기말 현재 공정가치 산정을 위하여 적용한 이자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이자율

파생상품 1.04% ~ 18.87%
차입금 및 사채 4.80% ~ 5.38%


3) 당반기 중 수준 1과 수준 2간의 대체는 없었으며, 수준 3 공정가치 측정으로 분류되는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당반기 중 변동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구  분기  초당기손익기타포괄손익취  득처  분대  체반기말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153,213 4,272 1,370 30,454 (21,710) (4,000) 163,59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65,740 - 4,385 40,129 - 60,349 170,603
합  계 218,953 4,272 5,755 70,583 (21,710) 56,349 334,202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264,504) 33,015 (720) (38,680) - - (270,889)

 

(4) 일괄 상계 또는 유사한 약정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상계 약정의 적용을 받는 인식된 금융상품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반기말

(단위: 백만원)구  분인식된금융상품 총액상계된금융상품 총액재무상태표에 표시된 금융상품 순액

금융자산: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39,603 (20,742) 118,861
금융부채: 
 미지급금및기타채무 116,618 (20,742) 95,876

 

2) 전기말

(단위: 백만원)구  분인식된금융상품 총액상계된금융상품 총액재무상태표에 표시된 금융상품 순액

금융자산: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71,041 (25,125) 145,916
금융부채: 
 미지급금및기타채무 140,889 (25,125) 115,764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 계약
[SK스퀘어]
-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종속회사>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자회사>
[SK하이닉스]

계약 상대방 항목 내용 비고
Rambus Inc. 계약 유형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 -
계약 기간 2013년 7월 1일 ~ 2024년 6월 30일
목적 및 내용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반도체 전 제품 기술 관련 램버스 보유 특허에 대한 사용권한을 확보하여 향후 분쟁 가능성 해소
기타 주요내용 특허 및 반독점 소송 등 램버스와 진행중인 모든 소송 취하
Sandisk
Corporation
계약 유형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 등 -
계약 기간 2015년 8월 ~ 2023년 3월
목적 및 내용 1) 기존 특허 cross license 계약 연장
2) 동 기간 동안 당사의 DRAM 제품을 판매하는 장기 공급계약 체결
3) 양사간 진행 중인 영업비밀 소송은 취하하기로 합의함
기타 주요내용 -
BCPE Pangea
Intermediate
Holdings
Cayman, LP
계약 유형 특수목적법인(SPC)에 대한 출자 (신규 설립) -
계약 기간 2017년 9월 28일 이후
목적 및 내용 Bain Capital이 General Partner로서 구성한 특수목적법인(SPC)이
도시바의 반도체 사업 지분을 인수하며, 당사는 이에 대한 Limited
Partner로서 투자에 참여
기타 주요내용 -
BCPE Pangea
Cayman2
Limited
계약 유형 특수목적법인(SPC)이 발행한 전환사채 취득 -
계약 기간 2017년 9월 28일 이후
목적 및 내용 Bain Capital과의 특수목적법인(SPC)의 전환사채를 취득하고, 향후 적법한 절차를 거쳐 전환 시 최종적으로 도시바 반도체 사업 지분의 15% 확보 가능
기타 주요내용 -
Intel Corporation 계약 유형 영업양수도 -
계약 체결일 2020년 10월 20일 체결
목적 및 내용 Intel의 NAND 사업 영업양수
기타 주요내용 계약금액은 US$90억이며, 2차에 걸쳐 지급될 예정
* 관련 공시 : 2020년 10월 22일 주요사항보고서(영업양수결정)

 

나. 연구개발 활동
(1) 연구개발 담당조직
[SK스퀘어]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종속회사>
[11번가]
- 일번가는 CTO 조직에서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을 진행중입니다.


[SK쉴더스]
- 당사는 종합기술원과 사업총괄 산하 2개 본부, Corporate센터 내 DT(Digital Transformation) 조직까지 Cybersecurity와 Physical Security의 전문성을 가진 각각의 R&D 조직을 활용하여 융합보안과 Safety & Care 분야에서 R&D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sk쉴더스 조직도



[SK플래닛]
-SK플래닛은 Platform Center에서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을 진행 중입니다.


[티맵모빌리티]
-해당 사항 없음


[드림어스컴퍼니]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연구소를 별도로 설립하여 신기술 개발 및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원스토어]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은 테크센터이며, 기존 서비스의 품질 향상 및 신규사업에 필요한 신규 기술 도입 등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을 진행 중입니다.


[인크로스]
- 인크로스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기술연구소는 플랫폼개발실과 미디어기획팀을 산하에 두고 있습니다. 해당 조직은 광고 관련 신기술 개발과 솔루션 구축, 대내외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업무 및 광고 관련 플랫폼 서비스 기획 업무를 수행합니다.


[FSK L&S]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자회사>
[SK하이닉스]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메모리연구소 및 제품개발연구소, Nand Solution & 미래기술 연구소 등에서 연구개발 활동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조직도

 

(2) 연구개발 비용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과목제1기(2021년)제2기(2022년) 2분기

원재료비 213 306
인건비 5,189 28,070
감가상각비 2,116 5,215
위탁용역비 1,361 4,554
기타 929 4,133
연구개발비용 계 9,808 42,278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 - -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9,577 41,729
개발비(무형자산) 231 549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0.86% 1.48%
[연구개발비용 계 ÷ 당기 매출액 X100]


<주요 자회사>
[SK하이닉스]

(단위:백만원)
과       목 제75기 반기 제74기 제73기 비 고
연구개발비용  원   재   료   비 58,687 117,411 152,149 -
 인     건     비 746,285 1,330,569 940,501 -
 감 가 상 각 비 282,036 546,128 500,144 -
 위 탁 용 역 비 158,204 266,452 280,835 -
 기             타 1,162,300 1,784,235 1,608,325 -
 연구개발비용 합계 2,407,513 4,044,796 3,481,955 -
 회계처리  연구개발비(비용) 2,297,490 3,681,932 3,222,934 -
 개발비(무형자산) 110,023 362,863 259,020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9.3% 9.4% 10.9% -
매    출    액 25,966,654 42,997,792 31,900,418 -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연결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3) 연구개발 실적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연구개발 실적(상세)' 참조

-XII. 상세표 별도 기재

 

7. 기타 참고사항

가. 상표 관리 정책
당사는 PR, 브랜드 등 영역에서 일관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함으로써 SK스퀘어 기업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나. 사업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SK스퀘어]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종속회사>
[11번가]
국내에서 등록 특허권149건, 등록 디자인권14건, 등록 상표권619건, 저작권5건 등(이상 타사와의 공동 소유 포함)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등 등록 특허44건(이상 타사와의 공동소유 특허 포함) 등 기타 국가에도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K쉴더스]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총 198건(특허 37건 [기재한 특허 4건 포함], 실용신안 1건, 디자인 23건, 상표 137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적재산권 보유 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 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SK플래닛]
국내에서 등록 특허권 1,776건, 등록 디자인권 97건, 등록 상표권 649건, 저작권 4건 등(이상 타사와의 공동 소유 포함)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등록 특허 252건, 중국 등록 특허60건, 일본 등록 특허66건, 유럽 등록 특허48건(이상 타사와의 공동소유 특허 포함) 및 해외 등록상표권76건 등 기타 국가에도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티맵모빌리티]
당사는 국내 등록특허 193건, 해외 등록특허 21건(타사와 공동소유 포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등록상표 15건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보유 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 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드림어스컴퍼니]
해당 사항 없음


[원스토어]
당사는 국내 등록특허 65건, 국내등록상표 141건 및 해외 등록특허 4건(타사와 공동소유 포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보유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 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인크로스]

구분명칭 / 등록번호등록일

특허권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광고 시스템 및 방법 2007-05-23
가입자기반 서비스 환경에서의 소셜그래프 구축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관계 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한 소셜 네트워크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정보 제공 방법 2015-04-21
어플리케이션 배포 중계 서버 및 통신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중계 방법 2015-07-13
가입자기반 서비스 환경에서의 소셜그래프 구축을 위해 마켓 플랫폼과
콘텐츠 플랫폼에서 수신된 데이터로부터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추적하여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관계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정보 제공 방법
2015-07-10
정보수집서버 2016-11-01
상표권 41-0089772 (35류) 2010-04-21
41-0089773 (42류) 2010-08-03
41-0090754 (35류) 2003-09-19
41-0090755 (42류) 2003-09-19
41-0313011 (35류) 2015-02-13
41-0287628 (35류) 2014-05-07
41-0287656 (35류) 2014-05-07
41-0287649 (35류) 2014-05-07
41-0376790 (35류) 2016-11-04
41-0376791 (35류) 2016-11-04
41-0376792 (35류) 2016-11-04
41-0376793 (35류) 2016-11-04
45-0038221 (9류, 35류 42류) 2012-02-03
45-0038920 (9류, 35류 42류) 2012-03-09
45-0043937 (9류, 35류) 2013-03-11
제18393533호 (중국) 2016-12-28


[FSK L&S]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자회사>
[SK하이닉스]
2022년 6월 30일 현재 당사는 총 17,690건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등록 권리는 해마다 증가하나, 기 등록된 권리를 평가하여 등록 유지 또는 포기 여부를 결정하고 있어 포기된 권리로 인해 그 수치가 다소 변동할 수 있습니다. 

 

당사 지식재산권은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전담 조직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당해 전문인력은 지식재산권 기획, 개발 및 관리, 출원/등록, 사후관리 및 분쟁 대응을 포함한 관련업무 전반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허권 및 상표권은 각국 특허법 및 상표법에 근거하여 보호됩니다. 특허권의 존속기간은 출원일로부터 20년이고, 상표권은 등록일로부터 10년이며 상표권은 갱신등록절차를 통해 존속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다. 관련 법률 및 규정 등
당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에 따른 지주회사입니다(공정거래법 제2조 제7호, 동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및 제2항). 당사는 공정거래법에 따른 지주회사의 행위제한 규정의 적용을 받습니다(공정거래법 제18조 제2항).


또한 당사가 속한 SK그룹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이자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입니다(공정거래법 제31조 제1항, 동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및 제2항). 당사는 공정거래법에 따라 특수관계인 관련 거래에 관한 공시의무 등을 부담하고, 계열회사에 대한 상호출자금지, 채무보증금지 등의 행위제한 규정의 적용을 받습니다(공정거래법 제21조 내지 제30조).

라. 사업과 관련한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SK스퀘어]
당사는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중장기적 ESG 전략과 투자사들에 대한 ESG,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를 고려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영향 저감에 대한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
[11번가]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은 없습니다.


[SK쉴더스]
당사는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환경물질의 배출은 없으나, 기업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고 기업의 사회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전담 조직을 통한 환경경영 추진 등 친환경 경영체계 구축, 전기ㆍ수소차 전환, 친환경 장비로 교체 등을 통한 탄소배출량 감축, Recycling확대 등 순환 경제 실천을 통해 Net Zero 2040 목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SK플래닛]
해당 사항 없음


[티맵모빌리티]
해당 사항 없음


[드림어스컴퍼니]
해당 사항 없음


[원스토어]
해당 사항 없음


[인크로스]
해당 사항 없음


[FSK L&S]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자회사>
[SK하이닉스]

1) SHE(Safety, Health, Environment) 경영시스템 인증

당사는 국제 인증규격인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과 국내 인증규격인 KOSHA MS(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취득하여 유지관리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SHE 경영활동의 객관성 확보 및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SHE 담당 조직에서는 내부심사원을 양성하여 기업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보건환경 영향요인을 모니터링하고, 국내외 인증규격에 따라 선행적/체계적인 SHE 경영 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안전보건 및 환경 분야의 지속적인개선을 추구하며,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사업장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2) 기후변화 협약 대응

당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유무형의 위험과 기회 관리를 위해 기후변화 관련 규제를 준수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비용 및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고객/정부의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환경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사적 수준의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Net Zero 달성을 위한 노력]

당사는 2050년 Net Zero 달성을 기후변화 대응 목표의 방향으로 삼고 온실가스 배출량(Scope1 & Scope2)과 원단위 배출량 저감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구체적으로 2050년 RE100 달성 목표 하에 2022년까지 중국 생산사업장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는 계획입니다. 향후 RE100 및 Net Zero 달성을 위한 세부 로드맵 및 이행 방안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당사의 노력과 세부 실천 방안을 공개해 나갈 예정입니다.

[RE100(Renewable Energy 100) 선언]

당사는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친환경 에너지 체제 구축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2020년 RE100 선언을 통해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약속하였으며, 이를 단계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전사 재생에너지 TF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진행 중인 녹색프리미엄 제도를 통한 재생에너지 구매를 시작으로, 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구매, 제3자 PPA, 재생에너지 생산기업에 대한 지분 투자, 재생에너지 설비 구축 및 운영 등으로 재생에너지의 사용 비율을 꾸준히 높여갈 계획입니다. 먼저, 2050년 RE100 달성을 위한 중간 목표로 2030년까지 당사 전(全) 사업장이 사용하는 전력의 33%를 재생전력으로 조달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 RE100: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로 조달하겠다는 선언

[CDP(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 탄소경영 최우수기업 명예의 전당 9년차 유지]
당사는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 한국위원회가 선정하는 탄소경영최우수 그룹인 '탄소경영 글로벌 리더스 클럽'에 5년 연속 편입되어 국내 최초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 2021년 명예의 전당 9년차를 유지하였습니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응]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각 기업에게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권을 부여하고 기업들은 시장원리에 의해 형성된 배출권 가격을 토대로 각 기업별 한계저감비용에 따라 배출권을 매입하거나 매도하는 제도입니다.

당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10.4.14 시행)' 및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환경부 고시 제2014-162호)에 따라 2014년 9월 12일 배출권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되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으로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저감장치(스크러버) 측정 기술을 개발/운영하여 배출량 저감을 유도하고, 배출권 거래를 포함한 배출권 관리/감축 등의 전사 TF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4조에 따라 정부에 보고하는 명세서 기재 내용을 기준으로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최종 4,388,100톤 CO2e (tCO2e)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당사의 최근 3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2021년(제74기)2020년(제73기)2019년(제72기)

온실가스 배출량(tCO2-eq) 4,388,100 4,951,249 4,260,023
에너지 사용량(TJ) 87,063 80,759 77,499

※ 대상은 국내 사업장 기준이며, 정부에 신고된 당사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입니다.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정부의 배출량 적합성 평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3) 친환경 제품 및 사업장 구축을 위한 노력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물발자국/탄소성적/ZWTL(Zero Waste To Landfill)인증/순환자원인정]

당사는 매년 DRAM 및 NAND Flash 메모리의 주요 제품에 대하여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중 회사는 2017년에 환경부로부터 당사가 생산하는 10나노급 8Gb LPDDR3 제품에 대하여 업계 최초 물 발자국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9년에는 10나노급 8Gb LPDDR4 DRAM 제품에 대하여, 2021년에는 10나노급 6Gb LPDDR4 DRAM 제품과 3D-V4 NAND Flash 256Gb TLC 제품에 대한 물 발자국, 탄소발자국 인증 획득을 완료하였습니다.

2018년 국내 기업 최초로 '폐기물 매립 제로화(ZWTL)'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9년에는 중국 사업장을 포함하여, 全 사업장 인증 획득을 완료하였습니다. 2021년 기준 국내 사업장 및 우시 사업장의 경우 '폐기물 매립 제로화(ZWTL)' Gold 등급(재활용률 95% 이상), 충칭 사업장은 Silver 등급(재활용률 90% 이상)을 획득하여 선도적인 폐기물 관리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인정 받았습니다.

또한, 정부의 폐기물 정책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2019년 '순환자원인정제도'를 대기업 최초로 적용하였으며, 폐기되는 IC-Tray를 자원화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여 '순환자원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2021년 기준 2,147톤의 폐기물 발생량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창출하였습니다.

회사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친환경 인증을 확대하고, 이해관계자들에게 친환경 정보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4) 기타 환경보호 정책

2009년 5월 환경경영에 대한 투명성 및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대표적 NGO인 환경운동연합 및 환경경영 전문가로 환경경영검증위원회를 구성하여, 당사 환경경영 성과에 대한 검증을 진행 후 환경경영검증위원회 보고서를 발행하였습니다. 20
10년도부터는 검증위원회를 자문위원회로 변경하였고, 2020년까지 환경경영자문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당사의 전반적인 환경경영 및 환경전략 관련 의견을 수렴하여 경영활동에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2015년도에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산업보건검증위원회를 발족하여 당사의 작업환경 및 복지제도 등 보건분야 진단을 통해 127개 개선과제를 도출 및 개선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2017년 11월부터 산업보건검증위원회 주관 하에 각 개선과제에 대한 이행수준을 평가하였고 검증결과보고서를 2018년 8월에 최종 수취 완료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당사는 선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보건 선진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6월 'SK하이닉스 산업보건 선진화지속위원회'를 발족하였습니다. 현재 선진화의 핵심가치인 '구성원의 건강, 안전한 환경, 정의로운 사회를 조화롭고 지속적으로 추구'의 취지에 맞게 건강-환경-정의 분과별 세부 과제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