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와 Elevar와 Immunomic은 다양한 신약개발(항암제, 면역치료제 등) 및 임상시험의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전문회사입니다.
동사의 HLB 헬스케어사업부는 체외진단의료기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및 의약외품을 제조하는 사업부이며, HLB ENG사업부는 LifeBoat & Davit, 특수선박 및 GRP/ GRE PIPE를 제조, 판매합니다.
앞으로도 HLB는 지속적인 혁신과 끊임없는 도전을 통하여 인류의 건강과 보다 안전한 미래를 책임지고 이끌어 나갈 계획입니다.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연결대상회사수주요종속회사수기초증가감소기말
상장 | - | - | - | - | - |
비상장 | 6 | 1 | 3 | 4 | - |
합계 | 6 | 1 | 3 | 4 | -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자회사사 유
신규 연결 |
Hyundai Lifeboats Shanghai Co.,Ltd | 당기 중 지분 취득 |
- | - | |
연결 제외 |
㈜에프에이 | 당기 중 흡수합병 후 소멸 |
㈜화진메디칼 | 당기 중 양도 | |
㈜화진메디스 | 당기 중 양도 |
(*) 2022년 4월 29일, 이사회의 결정으로 그룹내 의료기기 사업 전문성 강화를 목적으로 종속회사인 ㈜화진메디스와 ㈜화진메디칼의 각각의 지분 100%를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에 33억에 양도하여 종속회사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나.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해당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다.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특례상장 등여부특례상장 등적용법규
코스닥시장 | 1996년 07월 27일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에이치엘비 주식회사"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HLB Co., LTD."라고 표기합니다.
마. 설립일자
당사는 1985년 10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1996년 07월 27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 현재까지 상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바.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본사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당월로 216-53 |
전화번호 | 02-3453-4414 |
홈페이지 | http://www.hlbkorea.com |
사. 주요사업의 내용
당사는 체외진단의료기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및 의약외품을 제조와 합성수지선 건조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체외진단 의료기기 및 의약외품, 구명정, GRP/GRE Pipe 등을 영업활동의 주요제품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타 주요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내용은
"Ⅱ.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평가일 | 결산일 |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
신용등급 | 등급내용 |
2022-04-08 | 2021-12-31 | 한국기업데이터 (AAA ~ D) | B+ | 보통 |
2021-04-09 | 2020-12-31 | 한국기업데이터 (AAA ~ D) | B+ | 보통 |
2020-04-10 | 2019-12-31 | 한국기업데이터 (AAA ~ D) | B+ | 보통 |
가. 주요연혁
(지배회사의 주요 연혁)
회사명 | 연월 | 회사의 연혁 |
에이치엘비㈜ | 1985. 10. | 국제스텐레스밸브공업㈜ 설립 |
1990. 03. | 국제정공㈜로 상호변경 | |
1994. 12. | ISO 9001 인증서 취득(94-292, Intertek) | |
1996. 07. | 코스닥 상장법인 등록 | |
1996. 08. | 일본 NKK 품질 인증서 취득(일본) | |
2000. 02. | 회사정리계획안 인가결정(대구지방법원) | |
2001. 01. | ISO 9001 인증서 재 취득(한국표준협회, QMS-0431) | |
2002. 03. | 회사정리계획 변경계획안 인가(대구지방법원) | |
2002. 05. | 정리절차 종결 | |
2005. 04. | 사명변경(국제정공㈜ → 라이프코드인터내셔날㈜) | |
2007. 12. | 사명변경(라이프코드인터내셔날㈜ → ㈜이노GDN) | |
2009. 03. | 사명변경(㈜이노지디엔 → 에이치엘비㈜) | |
2009. 12. | 에이치엘비㈜와 ㈜동아산전 합병완료 | |
2010. 10. | 자본감소 결정 | |
2011. 11. | 파주사옥 이전 | |
2012. 01. | 대표이사 변경(남상우 → 박정민) | |
2013. 01. | 에이치엘비㈜와 현대라이프보트㈜ 합병완료 | |
2015. 01. | 전기계장사업부 에이치엘비일렉㈜ 분할완료 | |
2017. 06. | 대표이사 변경(박정민 → 진양곤) | |
2019. 03. | 대표이사 변경(진양곤 → 각자 대표이사 김하용, 김성철) | |
2019. 06. | 대표이사 변경(각자 대표이사 김하용, 김성철 → 진양곤) | |
2019. 11. | 100% 자회사인 HLB USA, Inc. 가 LSK BioPartners, Inc. 를 삼각합병 | |
2020. 06. | Immunomic Therapeutics,Inc. 종속회사 편입 | |
2020. 09. | 리보세라닙 글로벌 특허권 권리 양수 계약 체결 | |
2021. 03. | 대표이사 변경(진양곤 → 각자 대표이사 진양곤, 김동건) | |
2021. 06. | 에이치엘비인베스트먼트㈜ 종속회사 편입 | |
2021. 10. | ㈜에프에이 종속회사 편입 | |
2022. 01. | ㈜에프에이 합병완료 | |
2022. 02 | Hyundai Lifeboats Shanghai Co.,Ltd 종속회사 편입 |
(주요 종속회사등의 주요 연혁)
회사명 | 연월 | 회사의 연혁 |
LSK BioPartners, Inc. | 2005. 07. | Lifecord International USA, Inc. 설립 |
2007. 02. | 사명변경(Lifecord International USA, Inc. → LSK BioPartners, Inc.) | |
2007. 12.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라이센스 취득계약 체결(중국을 제외한 세계판권 취득) | |
2009. 01. | 부광약품과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서브라이센스 부여계약 체결 (유럽, 일본, 한국에 대한 판권이전 계약) | |
2011. 11. | 미국 FDA로부터 미국/한국 다국가 임상 1상/임상 2상a 시험을 위한 IND 승인 | |
2012. 04.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다국가 임상 1상 시작 | |
2014. 08.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다국가 임상 1상 종료 및 2상a 시작 | |
2015. 08. | BTK 저해제 기술도입 | |
2015. 10. | 표적항암제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다국가 임상 2상a 종료 | |
2016. 02.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국내 식약처 희귀의약품 지정(위암) | |
2016. 07.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글로벌 임상 3상을 위한 미국 FDA와의 End-of-Phase 2(EOP2)미팅 마무리 | |
2016. 11. | 사옥이전(Salt Lake City, Utah 84111, USA → South San Francisco, CA 94110, USA) | |
2017. 01.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한국/일본 글로벌 임상 3상 시험계획 승인 | |
2017. 02.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대만 글로벌 임상 3상 승인 | |
2017. 03.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유럽 EC 희귀의약품 지정(위암) | |
2017. 05.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미국 글로벌 임상 3상 개시방문 실시 | |
2017. 06.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위암) | |
2017. 12.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와 면역항암제 Opdivo 병행임상시험 시작 | |
2018. 01. | 새로운 국제공식 명칭 "리보세라닙" 등록완료 (Apatinib Mesylate → Rivoceranib) | |
2018. 06.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과 면역항암제 Keytruda 병행임상시험 시작 | |
2018. 10.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위암 말기 치료제 임상 3상 환자등록 모집완료(총460명) | |
2019. 02. | 표적항암제 Rivoceranib 전체생존기간(OS) 분석에 필요한 환자수 충족으로 임상 3상 결과 통계 분석 진행 | |
2019. 06.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위암 말기 치료제 임상 3상 완료 | |
2019. 06.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간암 글로벌 임상 3상 첫환자 등록 | |
2019. 08.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위암 글로벌 임상 3상 데이터 확정과 분석에 따른 향후 방향성 및 일정 발표 | |
2019. 10. | 표적항암제 Rivoceranib 글로벌 임상 3상에 대한 미국 FDA와 Pre-NDA 미팅 | |
2019. 09. | 위암 글로벌 3상 임상(Angel Study)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Best of ESMO 선정 | |
2019. 11. | HLB USA, Inc.와 삼각합병 완료 (피합병법인으로, 삼각합병 이후 소멸) | |
Elevar Therapeutics, Inc. |
2019. 06. | HLB USA, Inc. 설립 (삼각합병 목적 설립법인) |
2019. 11. | LSK BioPartners, Inc.와 삼각합병 완료 | |
2019. 12. | 사명변경 (HLB USA, Inc. → Elevar Therapeutics, Inc.) | |
2020. 03.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선양낭성암종 글로벌 임상 3상 첫환자 등록 | |
2020. 04. | 비베스토 (Vivesto, 舊 Oasmia)로부터 세포독성항암제 "Apealea"에 대한 일부 국가를 제외한 글로벌 권리 양수 | |
2020. 07. | Tanner社와 "Apealea"에 대한 NPP(Named Patient Program) 파트너십 체결 | |
2020. 10. | Taiba社와 "Apealea"에 대한 MENA지역 파트너십 체결 | |
2020. 12. | Inceptua社와 "Apealea"에 대한 EU 및 UK 지역 파트너십 체결 | |
2021. 02.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선양낭성암종) | |
2021. 11.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간암) | |
2022. 06. | 표적항암제 Rivoceranib(구, Apatinib Mesylate) 선양낭성암종 글로벌 임상 2상 결과 발표 (ASCO) | |
Immunomic Therapeutics, Inc. |
2006. 09. | Johns Hopkins Univ.와 LAMP 기술에 대한 전세계 독점 라이선스 권리 취득 |
2006. 10. | Geron Corp.에 Sub-Licensed 부여 | |
2006. 12. | Nature Tech.와 cross-license vaccine technologies 기술 공유 합의 | |
2009. 12. | AML 연구의 GRNVAC1 결과가 Phase I / II endpoint 충족결과 발표 | |
2010. 03. | 2010 Frost & Sullivan Award - 백신분야에서 올해의 생명공학혁신상 수상 | |
2011. 12. | 동물 제약 분야 및 다수의 백신 라이선스 적용을 위해 대규모 제약회사와 공동 연구 및 라이센스 계약 체결 | |
2012. 04. | FDA로부터 Jananese Red cedar immunotherapeutic vaccine 1상 임상 연구 승인 | |
2012. 09. | LAMP-vax IP “키메라 백신” 특허에 대한 EU 특허 승인. JRC-LAMP-vax의 임상 연구 1상 착수 | |
2012. 12. | LAMP-vax IP “키메라 백신” 특허 미국내 승인 | |
2013. 03. | JRC-LAMP-vax에 대한 IA 단계 실험 성공적 완료 | |
2014. 09. | 다양한 땅콩 알레르기에 대한 SBIR Grant 수상 | |
2015. 10. | Astellas Pharma.와 알레르기 예방 및 치료를 위한 LAMP-VAX Platform관련 글로벌 라이센스 계약 체결 | |
2017. 05. | Phase II Cancer Immunotherapy Technology의 독점 라이센스 발표 | |
2018. 06. | LAMP-vax 플랫폼을 UNITE(UNiversal Intracellular Targeted Expression 범용세포내 표적발현)로 변경 | |
2019. 03. | JRC2-LAMP-vax에 대해 Astellas 사로부터 5백만불의 Milestone 수령 | |
2020. 06. | 에이치엘비㈜의 종속회사로 편입 | |
2020. 11. | ITI-1000(교모세포종 치료를 위한 면역항암제) 생산을 위한 CoImmune사와 파트너십 체결 | |
2021. 04. | Lineage Cell Therapeutics 사와 면역항암제 라이선스 계약 체결 | |
2021. 12. | 일본 적삼나무(Japanese Red Cedar) 알레르기 백신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IDRI (Infectious Disease Research Institute)와 RNA 백신 플랫폼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전세계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 |
|
2022. 06. | Drew Pardoll 연구소(JHU)와 activin antibody 특허 자산(및 개선사항) 관련 라이선스 계약 체결 | |
㈜에프에이 | 2008. 05. | ㈜에프에이 설립 |
2008. 10. | 의약외품 제조업 취득(식품의약품안전처) | |
2008. 12. | 벤처기업등록(기술보증기금) | |
2009. 07. | ISO 13485 인증 취득(ITC 인증원) | |
2010. 01. | KFDA 의료기기제조업 및 GMP 취득(식품의약품안전처) | |
2010. 04. | 기업부설 연구소 인정서 획득(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
2012. 01. | FA SWAB CE 마크 인증(MT promedt) | |
2014. 07. | ISO 13485 인증 취득(SGS) | |
2014. 11. | 우수기술대상(세종특별자치시장) | |
2014. 12. | 인재 육성형 중소기업 지정(중소기업청) | |
2014. 12. | 응급 의료발전 공로상(국민안전처장관) | |
2015. 06. | ISO 14001 인증취득(KSA) | |
2016. 01. | USA FDA 등록(FA Alcohol Swab, FA EOL Swab, NO-sting Swab) | |
2016. 06. | 세종시 면학산업단지 본사 이전[명학 산단서로 10-5] | |
2017. 03. | FA Alcohol Swab 의료기재 허가취득(대만위생복리부) | |
2017. 10. | 화장품 제조업/ 제조판매업 허가 취득(식품의약품안전처) | |
2017. 12. | 교육부장관 표창장 수상 | |
2018. 03. | 동물용 의약품 제조업 허가 취득(농림축산 검역본부) | |
2018. 04. | ISO 22716 인증 취득(BV) | |
2018. 06. | 세종특별자치시 스타기업 선정 | |
2018. 12. | 세종시 사회 공헌부분 표창 수상 | |
2019. 10. | 본사확장 (R&D Center 증설) | |
2020. 06. |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조업 허가 취득(식품의약품안전처) | |
2020. 06. | 체외진단 의료기기(검체채취스왑/수송배지) FDA 등록 | |
2020. 06. | 체외진단 의료기기 CE 등록 | |
2020. 11. | 법무부장관 표창장 수상 | |
2020. 12. | 국무총리 표창장 수상 | |
2021. 07. | 글로벌 공급 업체상 수상[Abbott / 2020 GLOBAL PROCUREMENT SUPPLIER AWARD] | |
2021. 10. | 산업통상부장관 표창장 수상 | |
2021. 10. | 에이치엘비㈜의 종속회사로 편입 | |
2022. 01. | 에이치엘비㈜에 합병완료(피합병법인으로, 합병 이후 소멸) |
나.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연월 | 변경내역 |
2005. 05. | 대구 동구 신천동 → 대구 북구 산격동 |
2008. 01. | 대구 북구 산격동 → 서울 강남구 논현동 |
2008. 12. | 서울 강남구 논현동 → 서울 구로구 구로동 |
2009. 03. | 서울 구로구 구로동 → 울산 울주군 온산읍 |
다.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주총종류선임임기만료또는 해임신규재선임
2019년 03월 27일 | - | 대표이사 김성철 대표이사 김하용(*1) |
- | - |
2019년 06월 10일 | - | 대표이사 진양곤(*2) | - | - |
2020년 03월 30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전복환 사내이사 도순기 사내이사 안기홍 사내이사 문정환 사내이사 Matthew Chang 사내이사 William G.Hearl 사외이사 심재철 |
사내이사 진양곤 사외이사 박진국 상근감사 김용웅 |
사외이사 김성제 |
2020년 03월 30일 | - | - | 대표이사 진양곤 | - |
2021년 03월 30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김동건 | - | - |
2021년 03월 30일 | - | 대표이사 김동건(*3) | - | - |
2022년 03월 30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황제이정환 | 사외이사 최규준 | - |
※ 당사의 대표이사는 이사회를 통하여 선임 또는 해임합니다.
(*1) 2019년 3월 27일, 대표이사 진양곤은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으며, 동일 개최한 이사회에서 사내이사 김성철, 김하용을 각자대표로 신규선임하였습니다.
(*2) 2019년 6월 10일, 각자 대표이사 김성철, 김하용은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으며, 동일 개최한 이사회에서 사내이사 진양곤을 대표이사로 신규선임하였습니다.
(*3) 2021년 3월 30일, 이사회에서 사내이사 김동건을 각자대표로 신규선임하였습니다.
라.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연월 | 내용 |
2013. 01. | 현대라이프보트㈜와 합병완료 |
2015. 01. | 전기계장사업부문 에이치엘비일렉㈜ 분할완료 |
2015. 02. | LSK BioPartners, Inc. 자산(주식)양수완료 |
2018. 03. | 라이프리버㈜ 자산(주식)양도완료 |
2019. 11. | LSK BioPartners, Inc.와 삼각합병 완료 |
2022. 01. | ㈜에프에이와 합병완료 |
마.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 2018년 02월, 의료기기사업부를 신설하여 의료기기 유통업을 신규사업으로 추가하였습니다.
- 2020년 12월말, 의료기기사업부 폐지로 당사에서의 의료기기 유통업은 중단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HLB헬스케어 사업부를 신설하여 체외진단의료기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및 의약외품 제조 사업을 추가하였습니다.
바.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 2020년 1월, 당사는 신규 Pipeline 확보를 위해 미국 면역치료플랫폼 바이오의약품연구개발기업인 Immunomic Therapeutics, Inc.("ITI")의 지분 2백만주를 미화 1천만불에 최초 취득하였고, 2020년 4월 지분 6백만주를 미화 3천만불, 2020년 12월 지분3,285,646주를 미화 약1.6천만불에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당사는 ITI의 Pipeline을통하여 기존 Pipeline인 Rivoceranib 성분 항암 신약 외에 각종 종양 및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치료제 사업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 2020년 3월, Elevar는 스웨덴 바이오기업 비베스토(Vivesto, 舊 Oasmia)로부터 세포독성항암제인 파클리탁셀(Paclitaxel) 성분의 3세대 개량신약 항암제 "아필리아(Apealea)"에 대한 러시아, 북유럽과 동유럽 일부 국가를 제외한 글로벌 권리를 양수하였습니다. 아필리아는 2020년 1월 유럽에서 난소암 치료제로 공식 시판허가를 받은 약물로, 최근 유럽 다수 국가에 보험 급여 산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나, 2019년부터 발생된 코로나의 영향으로 전체적인 일정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각 대륙의 개별국 승인 이후 첫 판매 개시는 2022년 하반기로 예상됩니다.
- 2020년 9월, Advenchen Laboratories Nanjing, Ltd.과 SFFT Developing Co, Ltd.와 자산양수도계약을 체결하고 양도인이 보유하고 있는 YN968D1(글로벌은 리보세라닙(Rivoceranib), 중국은 아파티닙(Apatinib)으로 명명)의 글로벌 특허권을 거래금액 4,200만불에 양수하기로 하였습니다. 해당 양수대금은 2020년 12월 4일에 지급하였습니다. 본 자산양수도로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로열티 수령을 통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캐시플로우 및 영업이익을 확보하고, 항서제약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하여 현재 진행중인 NDA와 리보세라닙의 추가 적응증 임상시험에 속도가 날 것으로 전망합니다.
- 2020년 12월, 리보세라닙 양도인인 Advenchen Laboratories Nanjing, Ltd.와 SFFT Developing Co., Ltd.는 당사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 당사 주식 295,950주를 취득하였습니다.
- 2021년 2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52,972,429주(보통주 52,968,898주, 우선주 3,531주)를 발행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하였으며, 2021년 4월 무상증자 신주를 상장하였습니다.
- 2021년 3월,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해 미국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 개발사인 "Verismo Therapeutics,Inc."의 보통주 1,912,777주를 5백만불에 취득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021년 4월 지분을 취득하였습니다.
- 2021년 5월, 바이오와 헬스케어 등의 분야의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 및 융자 등신기술사업 금융업을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해 에이치엘비인베스트먼트㈜의 보통주 600,000주를 30억원에 취득하였으며, 2021년 11월, 보통주 1,400,000주를 70억원에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 2021년 10월, 안정적인 재무수익 창출 및 향후 예정된 바이오 사업과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에프에이의 최대주주 등으로부터 보통주 28,000주를 101,920백만원(현금 44,920백만원, 제34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 57,000백만원)에 취득하였습니다.
- 2021년 12월, 신규사업 진출 및 기존사업과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노터스 최대주주 등으로부터 2022년 3월 30일에 보통주 1,405,648주를 약 562억원(현금 약310억원, 신주인수권부사채 252억원)에 취득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2022년 1월, 2022년 1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100% 종속기업인 ㈜에프에이를 1:0의 합병비율로 흡수합병하였습니다.
- 2022년 2월, 이사회 결정으로 리보세라닙 중국 로열티 수령 및 향후 중국사업진출을 위해 약 1.1백만불을 지급하여 "Hyundai Lifeboats Shanghai Co.,Ltd" 의 지분 100%를 취득하였습니다.
- 2022년 4월, 이사회의 결정으로 그룹내 의료기기 사업 전문성 강화를 목적으로 종속회사인 ㈜화진메디스와 ㈜화진메디칼의 각각의 지분 100%를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에 33억원에 양도하였습니다.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천원, 주) |
종류구분당반기말37기(2021년말)36기(2020년말)35기(2019년말)34기(2018년말)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106,882,745 | 106,610,064 | 52,979,436 | 42,738,918 | 39,171,492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500 | 500 | |
자본금 | 53,441,373 | 53,305,032 | 26,489,718 | 21,369,459 | 19,585,746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7,188 | 7,188 | 3,657 | 3,333 | 3,333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500 | 500 | |
자본금 | 3,594 | 3,594 | 1,829 | 1,667 | 1,667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53,444,967 | 53,308,626 | 26,491,547 | 21,371,126 | 19,587,413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구 분주식의 종류비고합계
보통주 | 우선주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400,000,000 | 100,000,000 | 500,000,000 | -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270,698,559 | 4,193,303 | 274,891,862 |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163,815,814 | 4,186,115 | 168,001,929 | - | |
1. 감자 | 163,815,814 | 3,996,667 | 167,812,481 | - | |
2. 이익소각 | - | - | -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 - | - | |
4. 기타 | - | 189,448 | 189,448 | 보통주 전환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106,882,745 | 7,188 | 106,889,933 | - | |
Ⅴ. 자기주식수 | 133,874 | 126 | 134,000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106,748,871 | 7,062 | 106,755,933 | -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취득방법주식의 종류기초수량변동 수량기말수량비고취득(+)처분(-)소각(-)
배당 가능 이익 범위 이내 취득 |
직접 취득 |
장내 직접 취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외 직접 취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개매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탁 계약에 의한 취득 |
수탁자 보유물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물보유물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취득(c) | 보통주 | 133,874 | - | - | - | 133,874 | - | ||
우선주 | 126 | - | - | - | 126 | - | |||
총 계(a+b+c) | 보통주 | 133,874 | - | - | - | 133,874 | - | ||
우선주 | 126 | - | - | - | 126 | - |
다. 종류주식(명칭) 발행현황
- 우선주 발행현황
(단위 : 원) |
발행일자 | 2020년 06월 08일 | |||
주당 발행가액(액면가액) | - | 500 | ||
발행총액(발행주식수) | - | 324 | ||
현재 잔액(현재 주식수) | 1,933,140 | 3,657 | ||
주식의 내용 |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 종류주식에 대해서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년1%이상에서 발행시에 이사회에서 정한 우선비율에 따른 금액을 현금으로 우선배당한다. | ||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사항 | - | |||
상환에 관한 사항 |
상환조건 | - | ||
상환방법 | - | |||
상환기간 | - | |||
주당 상환가액 | - | |||
1년 이내 상환 예정인 경우 |
-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조건 (전환비율 변동여부 포함) |
- | ||
전환청구기간 | -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 |
-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수 |
- | |||
의결권에 관한 사항 | 의결권 없음(무의결권) | |||
기타 투자 판단에 참고할 사항 (주주간 약정 및 재무약정 사항 등) |
- 현재잔액은 무상증자로 인해 변동이 없습니다. - 현재주식수는 무상증자로 인하여 증가된 수량이 반영된 주식수 입니다.. |
(단위 : 원) |
발행일자 | 2021년 03월 16일 | |||
주당 발행가액(액면가액) | - | 500 | ||
발행총액(발행주식수) | - | 3,531 | ||
현재 잔액(현재 주식수) | 1,933,140 | 7,188 | ||
주식의 내용 |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 종류주식에 대해서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년1%이상에서 발행시에 이사회에서 정한 우선비율에 따른 금액을 현금으로 우선배당한다. | ||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사항 | - | |||
상환에 관한 사항 |
상환조건 | - | ||
상환방법 | - | |||
상환기간 | - | |||
주당 상환가액 | - | |||
1년 이내 상환 예정인 경우 |
-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조건 (전환비율 변동여부 포함) |
- | ||
전환청구기간 | -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 |
-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수 |
- | |||
의결권에 관한 사항 | 의결권 없음(무의결권) | |||
기타 투자 판단에 참고할 사항 (주주간 약정 및 재무약정 사항 등) |
- 현재잔액은 무상증자로 인해 변동이 없습니다. - 현재주식수는 무상증자로 인하여 증가된 수량이 반영된 주식수 입니다. |
당사의 최근 정관 개정일은 2020년 3월 30일입니다.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해당주총명주요변경사항변경이유
2020년 03월 30일 | 제35기 정기주주총회 | 제2조 (목적) 목적사업 추가 제33조 (이사의 수) 이사의 수 개정 제40조 (이사회 구성) 일부조항 삭제 제40조의 1 (이사회의 의장) 신설 제40조의 2 (이사회의 소집) 신설 |
사업영역확대, 이사회 의장 제도도입을 위한 근거마련 |
2019년 03월 27일 | 제34기 정기주주총회 | 제8조 (주식의 발행과 종류) 일부조항 삭제 제8조의 2 (주식등의 전자등록) 신설 제10조 (신주인수권) 일부조항 개정 제11조 (일반공모증자등) 일부조항 개정 제12조 (주식매수선택권) 일부조항 개정 제14조 (주식의 소각) 일부조항 삭제 제15조 (명의개서대리인) 일부조항 개정 제16조 (주주 등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 삭제 및 문구정비 제17조 (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개정 및 문구정비 제18조 (전환사채의 발행) 발행한도 증액 제19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발행한도 증액 제20조 (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조문정비 제22조 (소집권자) 조문정비 제25조 (의장) 조문정비 제48조 (감사의 임기와 보선) 조문정비 제49조 (감사의 직무와 의무) 조문정비 제51조 (감사의 보수와 퇴직금) 조문정비 제54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조문정비 |
전자증권제도 도입(2019년 9월 16일 시행)과 외부감사 법 개정에 따른 내용변경 및 조문정비 |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LB 2022.08.16 (제조서비스업)원재료 및 생산설비 (0) | 2022.08.21 |
---|---|
HLB 2022.08.16 (제조서비스업)주요 제품 및 서비스 (0) | 2022.08.21 |
현대중공업 분기보고서 기업분석 (0) | 2022.08.21 |
크래프톤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21 |
삼성생명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