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심심할 때 볼만한 사자성어63 대의멸친 뜻, 유래 / 큰 의리를 위해서는 혈육의 친함도 저버린다 대의멸친 뜻, 유래 / 큰 의리를 위해서는 혈육의 친함도 저버린다 춘추시대(春秋時代)인 주나라(周--) 환왕(桓王) 때의 일이다. 위나라(衛--)의 장공(莊公)은 석작(石碏)의 진언(盡言)에도 불구(不拘)하고 환공(桓公)을 후계(後繼)로 세웠다. 석작(石碏)의 예견(豫見)대로 이복(異腹) 형제(兄弟)인 주우(州吁)가 환공(桓王)을 시해(弑害)하고 스스로 군후(君侯)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반역(反逆ㆍ叛逆)에 대한 반감(反感)으로 백성(百姓)들은 여전히 그를 잘 따르지 않았다. 그러자 석작(石碏)의 아들인 석후(石厚)를 불러 이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하라 하였다. 석후(石厚)는 아버지에게 도움을 청(請)하였다. 석작(石碏)은 주(周) 왕실(王室)과 사이가 좋은 진나라(陳--)를 찾아 진공(陳公)에게 .. 2023. 1. 16. 금성탕지 뜻, 유래 / 쇠로 만든 성과 끓는 물을 채운 못 금성탕지 뜻, 유래 / 쇠로 만든 성과 끓는 물을 채운 못 진시황(秦始皇)이 죽자 진나라(秦--)의 가혹(苛酷)한 법(法)과 억압(抑壓)에 항거(抗拒)하는 반란(叛亂ㆍ反亂)과 소요(騷擾)가 전국(全國) 각지(各地)에서 일어났다. 그 무렵 무신(武信)이라는 자(者)가 조나라(趙--)의 옛 영토(領土)를 평정(平定)하고 무신군(武信君)이라고 불렸다. 이 때 범양(范陽)에 있던 괴통(蒯通)이 범양(范陽)의 현령(縣令)인 서공(徐公)에게 무신군(武信君)에게 후(厚)한 대접(待接)을 받으면서 항복(降伏ㆍ降服)할 수 있는 계책(計策)을 일러주었다. 「만일(萬一) 당신(當身)이 범양(范陽)을 공격(功擊)하면, 여러 곳의 현령(縣令)들은 모두가 끓는 물의 못에 둘러싸인 무쇠 성(城)처럼 반드시 성(城)을 굳게 지켜 공.. 2023. 1. 16. 선우후락 뜻, 유래 /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하고 즐길 일은 나중에 즐긴다 선우후락 뜻, 유래 /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하고 즐길 일은 나중에 즐긴다 중국(中國) 북송(北宋) 때 범중엄(范仲淹)이 지은 악양루기(岳陽樓記)에 나오는 말로, 「옛날의 어진 사람들은 높은 지위에 있을 때는 오로지 백성(百姓)들이 고생할 것을 걱정하고, 벼슬에서 물러나 있을 때는 왕이 잘못할까 걱정했다. 벼슬을 할 때나 물러날 때나 항상 걱정했던 것이다. 그들에게 언제 즐기냐고 묻는다면 틀림없이 세상(世上)의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거워할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긴다고 대답(對答)할 것이다.」 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 2023. 1. 16. 견인불발 뜻, 유래 / 굳게 참고 견디어 마음을 빼앗기지 아니한다 견인불발 뜻, 유래 / 굳게 참고 견디어 마음을 빼앗기지 아니한다 소식(蘇軾)의 조조론(晁錯論)에 나오는 구절(句節)이다. 「큰일을 이룬 사람은 단지 시대(時代)를 뛰어 넘는 재주가 있었을 뿐 아니라, 반드시 굳게 참아 뽑아낼 수 없는 의지(意志)가 있었다.(古之立大事者 不惟有超世之才 亦必有堅忍不拔之志)」 2023. 1. 16. 이전 1 2 3 4 5 6 ··· 1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