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양제를 먹어야 하는데 물마시러 가기 귀챃을 때 바로 옆에 커피가 있으면 어떻게 하시나요? 불편하지만 '안 먹는 것보다 낫다'는 생각에 영양제와 커피를 함께 섭취한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제가 자주 그랬었거든요. 하지만 이는 굉장히 비효율적인 행동이에요. 왜 그런지 한번 알아 볼까요?
비타민 먹고 커피 마시면 안 좋은 이유
- 이뇨작용 촉진 및 영양소 배출
- 커피에 들어 있는 카페인이 이뇨작용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됩니다.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 먹는 영양제이지만 흡수되지 않고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죠. 특히 비타민B, 비타민C 등의 수용성 비타민은 배출량이 많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커피와 영양제를 2시간 정도 간격을 두고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위장 장애
- 영양제를 먹으면 위장에 부담이 될 수 있고 커피 속 카페인은 위산 분비를 촉진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을 이완시켜 위산 역류를 일으키니 위장 장애를 악화시키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설탕, 크림, 그리고 기름이 함유된 많은 커피 음료는 특히 부기까지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 영양성분 흡수율 저하
- 커피, 녹차, 홍차 등과 같은 차에 주로 함유된 탄닌은 미네랄 흡수를 막아줍니다. 탄닌은 금속을 흡착하는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미네랄이 체내에 흡수되려 할 때 막기 위해 미네랄과 잘 결합해 버립니다. 가뜩이나 칼슘과 철분은 흡수율이 높지 않은데 커피와 함께 마시면 흡수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죠. 커피의 경우 소장에서 분비되는 비타민 D를 흡수를 돕는 수용체를 차단하기도 합니다. 물론, 적정량의 커피 섭취는 건강에 긍정적입니다.
- 영양소 파괴
- 비타민 C와 같은 수용성 비타민은 열에 약하고 뜨거운 커피와 함께 먹으면 영양소를 쉽게 파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약이 고온에서 녹고 식도를 자극합니다. "뜨거운 커피를 마시면 식도암 위험이 있으며 설상가상으로 산까지 자극하면 치명적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하죠.
- 카페인 과다섭취
- 영양제 중에서 성분을 보시면 카페인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커피와 함께 영양제를 머그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너무 많은 카페인을 섭취해 불면증, 심장 두근거림 등의 부작용을 겪게 될 수도 있습니다.
비타민과 궁합이 안 좋은 음식들
- 비타민&미네랄과 커피
- 비타민 D, 철분, 비타민 B, 그리고 비타민 C는 커피를 마신 후 바로 먹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이 위에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철분은 카페인과 잘 결합해 위에서 카페인을 만나면 서로 달라붙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비타민이나 미네랄은 커피를 마시고 최소 2시간 후에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변비약&감기약&소화제와 우유
- 소화제, 감기약, 변비약을 우유와 함께 먹으면 약의 성분이 몸에 잘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몸에서 빠져나갑니다. 우유에 들어 있는 칼슘이 약 성분이 몸 속에서 발현되는 것을 막기 때문입니다. 감기약&변비약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이라고 지칭하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은 유제품과 함께 복용할 경우 2할~3할 정도 밖에 흡수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 혈압 완화제와 우유
- 혈압을 낮추는 약을 혈압강하제라고 부르는데 이 약을 자몽과 함께 복용하면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차단물질 때문에 흡수율이 낮아 집니다. 아울러 자몽에 함유된 '나린진'은 약이 몸에서 배출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급성 혈압 감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와파린과 청국장
- 청국장, 녹황색 채소에는 비타민 K가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비타민 K는 피를 응고시키거나 뼈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다만 혈전(혈관의 혹)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혈전을 녹이는 약인 '와파린'을 복용하는 사람이 청국장을 복용하면 비타민K로 인해 혈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심심할 때 볼만한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후 체중증가, 몸무게 변화 근력운동 때문입니다 (0) | 2022.12.18 |
---|---|
약물치료, 생활습관 개선 식습관 콜레스테롤 관리가 우선 (0) | 2022.12.18 |
마그네슘 부족증상 마그네슘을 충분하게 섭취하는 방법 (0) | 2022.12.18 |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경구용 무좀약, 자몽주스 복용 섭취 부작용 (0) | 2022.12.18 |
심장박동, 정상 심박수 1분에 60~100회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