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 생활습관 개선 식습관 콜레스테롤 관리가 우선
그렇지 않습니다. 약물치료를 하기 전에 생활습관 개선이 우선돼야합니다. 먼저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생활습관 개선으로 효과가 없으면 이때 비로소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상지질혈증이 있을 때 약물치료의 일차 목표는 LDL 콜레스테롤을 목표수치 이하로, 이차 목표로는 non-HDL 콜레스테롤을 목표수치 이하로 조절하는 것입니다.
혈관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약물치료 전에 먼저 식사요법이나 운동요법, 금연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생활습관 개선으로도 호전되지 않으면 약물치료를 고려해야합니다.
이상지질혈증의 경우 약물치료의 일차 목표는 LDL 콜레스테롤을 목표수치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며 이차 목표로는 non-HDL 콜레스테롤을 목표수치 이하로 조절하는 것입니다.
약물치료는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와 LDL 콜레스테롤의 지질수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시행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심혈관질환 위험도는 저위험군, 중증도 위험군, 고위험군, 초고위험군으로 분류합니다.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및 허혈성 뇌경색의 병력이 있는 경우와 죽상경화성 동맥질환(대동맥류, 일과성 뇌허혈발작, 중증 경동맥 폐쇄) 또는 당뇨병 유무, 그리고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흡연, 고혈압, 저 HDL 콜레스테롤혈증, 조기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연령)의 수와 LDL 콜레스테롤수치에 의해 약물치료를 시작하며 치료목표수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약제를 조절 받습니다.
하지만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경우 또는 동맥류 및 정맥류처럼 혈관에 실제로 이상이 있는 경우는 약물치료로 완치나 예방이 불가능하다면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합니다. 이를 통해 증상이 악화되거나 진행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예방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혈관이 안 좋으면 무조건 약물치료를 해야 하나요? (혈관건강백서,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헬스경향)
That's not true. Lifestyle improvement should come first before taking medication. First of all, if you try to improve your lifestyle and it doesn't work by improving your lifestyle, you will only start medication at this time. In the presence of dyslipidemia, the primary goal of drug treatment is to control LDL cholesterol below the target level and non-HDL cholesterol below the target level as a secondary goal.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vascular health, it is more important to improve your lifestyle, such as diet, exercise, and smoking cessation, before medication. If lifestyle improvements do not improve, medic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dyslipidemia, the primary goal of drug treatment is to control LDL cholesterol below the target level, and the secondary goal is to control non-HDL cholesterol below the target level.
Drug treatment is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lipid level of LDL cholesterol.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s classified into a low-risk group, a severe risk group, a high-risk group, and an ultra-high-risk group.
Patients with a history of coronary artery disease, peripheral artery disease and ischemic cerebral infarction, and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ortic aneurysm, transient cerebral ischemia, severe carotid closure) or diabetes (smoking, high blood pressure, low HDL cholesterol, age) and can be controlled to start medication.
However, if the blood vessels are narrowed or blocked, or if there is an actual abnormality in the blood vessels, such as aneurysm and varicose veins, treatment or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f medication cannot be cured or prevented. This can actively prevent symptoms from worsening or progressing, preventing greater damage.
[Naver's Encyclopedia of Knowledge] If your blood vessels are bad, do you have to take medication? (Vascular Health White Paper, Korea Geophysical and Arterial Society, Health Trends)
'심심할 때 볼만한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잘오는 숙면 영양제 수면에 좋은 비타민 정리 (0) | 2022.12.18 |
---|---|
운동후 체중증가, 몸무게 변화 근력운동 때문입니다 (0) | 2022.12.18 |
비타민 먹고 커피 마시면 영양제 효과 사라져요 (0) | 2022.12.18 |
마그네슘 부족증상 마그네슘을 충분하게 섭취하는 방법 (0) | 2022.12.18 |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경구용 무좀약, 자몽주스 복용 섭취 부작용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