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월급(급여) 연봉 - 초등/중등/고등학교 교사 월급, 연금 수령액
어렸을 때 선생님(교사)이 꿈이라는 아이들이 참 많았습니다. 이번 글은 숱한 아이들의 동경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선생님의 월급(급여), 연봉, 급여, 업무, 하는 일 등에 대해 정리해 볼게요.
선생님 월급(급여)
얼마 전 2022년 교원 봉급표가 인사혁신처를 통해 공개됐습니다. 유치권 교사, 초등학교 선생님, 중학교 교사, 고등학교 선생님 등을 교원이라고 일컫습니다. 유치원 원장, 원감님과 학교의 교감, 교장님도 모두 교원에 포함됩니다. 국립 유치원, 공립 유치원, 각 학교들의 교원분들 모두 국가 공무원에 속하며 국립대학교 교원의 경우 지방공무원으로 분류됩니다. 서울대학교는 조금 다른데 별도 국립대학 법인이기 때문에 공무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모든 선생님(교사)들은 나라에서 정한 호봉에 따라서 월급이 지급됩니다. 2022년 봉급은 2021년 급여에 비해 1.4%가 인상되었지만 아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이네요. 그래도 얼마나 올랐는지 비교하기 쉽도록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래 표에 기재된 봉급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모두에게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호봉
|
2022년 월급(봉급)
|
2021년 월급(봉급)
|
1호봉
|
1,700,000원
|
1,672,800원
|
2호봉
|
1,751,500원
|
1,723,500원
|
3호봉
|
1,803,700원
|
1,774,900원
|
4호봉
|
1,855,800원
|
1,826,100원
|
5호봉
|
1,908,300원
|
1,877,800원
|
6호봉
|
1,960,600원
|
1,929,300원
|
7호봉
|
2,012,400원
|
1,980,200원
|
8호봉
|
2,064,400원
|
2,031,000원
|
9호봉
|
2,116,400원
|
2,082,600원
|
10호봉
|
2,173,700원
|
2,139,900원
|
11호봉
|
2,229,800원
|
2,194,200원
|
12호봉
|
2,287,100원
|
2,250,600원
|
13호봉
|
2,391,300원
|
2,353,100원
|
14호봉
|
2,495,900원
|
2,456,000원
|
15호봉
|
2,600,400원
|
2,558,800원
|
16호봉
|
2,705,100원
|
2,661,900원
|
17호봉
|
2,808,600원
|
2,763,700원
|
18호봉
|
2,916,900원
|
2,870,300원
|
19호봉
|
3,024,600원
|
2,976,300원
|
20호봉
|
3,132,400원
|
3,082,300원
|
21호봉
|
3,240,100원
|
3,188,300원
|
22호봉
|
3,359,700원
|
3,306,000원
|
23호봉
|
3,478,300원
|
3,422,700원
|
24호봉
|
3,597,100원
|
3,539,600원
|
25호봉
|
3,715,900원
|
3,656,500원
|
26호봉
|
3,835,200원
|
3,773,900원
|
27호봉
|
3,959,500원
|
3,896,200원
|
28호봉
|
4,083,600원
|
4,018,300원
|
29호봉
|
4,213,300원
|
4,146,000원
|
30호봉
|
4,343,600원
|
4,274,200원
|
31호봉
|
4,473,400원
|
4,401,900원
|
32호봉
|
4,603,000원
|
4,529,400원
|
33호봉
|
4,734,700원
|
4,659,000원
|
34호봉
|
4,866,000원
|
4,788,200원
|
35호봉
|
4,997,400원
|
4,917,500원
|
36호봉
|
5,128,400원
|
5,046,400원
|
37호봉
|
5,242,400원
|
5,158,600원
|
38호봉
|
5,356,400원
|
5,270,800원
|
39호봉
|
5,470,700원
|
5,383,300원
|
40호봉
|
5,584,300원
|
5,495,100원
|
2022년 기준 교사(교원) 1년차 신규교사의 기본급은 9호봉 봉급인 2,116,400원이 적용되고 월급 기준으로 연봉은 25,396,800원 입니다.
교사는 보통 2급 정교사로 임용되고 3년 후 자격연수를 이수할 경우 1급 정교사 자격을 취득하게 됩니다. 교대 졸업자에 한하여 기존 경력으로 인종되어 신규교사는 9호봉, 비사범대는 8호봉, 교육대학원 졸업은 10호봉부터 시작됩니다.
선생님들은 월급 외의 별도로 '초과정액분, 초과근무수당, 교원연구비, 교직수당, 정근수당가산금, 정근 수당, 가족수당, 정액수당, 명절휴가비'등등 다양한 명목으로 수당이 지급됩니다.
선생님(교사) 연금
보통 20대 일을 시작하면 보통 30년 정도는 근무를 합니다. 30년 재직을 기준으로 연금을 지급 받는다 가정해 본다면 선생님들의 평균 연금은 약 200~300만 원 사이입니다. 꽤 높죠? 이 금액은 은행 이자 2%를 기준으로 약 10억~15억이 있어야 하는 금액입니다. 물론, 세금까지 따진다면 더 높아지고요.
하지만, 임용된 년도 별로 수령하는 연금액이 달라집니다. 어떻게 다른지 표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9급/7급 공무원 년도 기준
|
현행유지 시 연금수령액
|
연금개혁 후 수령액
|
|
9급 공무원
|
1996년 임용, 30년 재직
|
200만 원
|
193만 원
|
2006년 임용, 30년 재직
|
169만 원
|
153만 원
|
|
2016년 임용, 30년 재직
|
137만 원
|
134만 원
|
|
7급 공무원
|
1996년 임용, 30년 재직
|
243만 원
|
232만 원
|
2006년 임용, 30년 재직
|
203만 원
|
177만 원
|
|
2016년 임용, 30년 재직
|
173만 원
|
157만 원
|
선생님(교사) 되는 방법
선생님 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교대, 사범대, 교원대인데요.
- 교대
우선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기 위해 교대를 졸업하고 초등학교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한 뒤 임용고시에 합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교대는 초등학교에서 초등학교로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사범대
중등교사(중학교선생님)가 되는 방법은 사범대를 졸업하고 중등학교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한 뒤 임용고시를 보는 겁니다. 사범대의 경우 단과로 영어 교육과, 체육 교육과 등으로 분류됩니다. 본인이 원하는 교과를 선택한 후 졸업하게 되면 자격증이 발급되고 임용고시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임용고시를 보고 중학교, 고등학교 중 선택해서 지원할 수 있고 사범대의 경우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고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 교원대
교원대는 국내에서 유일한 교원 양성 대학교라고 보시면 됩니다. 순수하게 선생님을 배출하기 위해 설립된 곳이죠. 교사 양성, 연수, 연구 등을 수행합니다. 학부과정에서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 간의 복수 전공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에서 매우 유리한 편입니다. 졸업 후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임용고시를 치뤄야 하고 임용고시에 합격해야 선생님이 될 수 있습니다.
- 교직이수, 교육대학원
교대나 사범대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을 교사로 양성하기 위한 제도로 '교직 이수'가 있습니다. 일반 대학교에서 교직이수가 가능한 전공으로 공부를 하다가 교직 이수과정을 거치면 중등학교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주어집니다. 이후 임용 고시에 합격하면 중학교, 고등학교 선생님이 될 수 있습니다.
교육대학원은 현직 교사들을 재교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습니다. 추천하진 않는 방버비지만 간혹 교육대학원을 거쳐 중등학교 2급 자격증을 취득해 임용고시를 보고 선생님이 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선생님 업무
- 학생자치업무
- 학생증발급
- 학생임원 당선증 배부
- 학생회 업무 일 추진
- 전교 학생회장 선거 관리
- 학생회 리더십 캠프 업무
- 교복 선정 및 생홟복 업무 보조
- 학교 축제 관련 업무
- 안전 업무
- 매달 안전점검 계획 수립 및 보고
- 안전훈련 실시
- 안전 관련 집계 보고서 제출
- 교육
- 교육을 위한 공부방법 연구 및 계획
- 학습지도안 작성 및 수업자료 준비
- 교과서 및 시청각자료로 교육 실시
- 숙제 관리 시험문제 출제
- 학력 평가 및 기록
-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 지도
- 학업 및 행동발달 문제 관련 업무
- 단체활동 및 특별활동 지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탁판매 사이트, 도매 배송대행 사이트 모음 (0) | 2023.01.17 |
---|---|
깻잎논쟁 비슷한거, 롱패딩 논쟁, 패딩 논쟁, 새우 논쟁 (0) | 2023.01.17 |
전월세 신고제 과태료, 대상, 방법, 확정일자 정보 요약정리 (0) | 2023.01.17 |
혈액형 조합, 유전 - 혈액형 특징 및 성격 정리 (0) | 2023.01.17 |
공익광고 도입기의 주제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