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원 연봉, 월급 시의원 하는 일, 연금 급여 정리
이번 시간에는 시의원 연봉, 월급과 업무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 연금과 급여 정보도 간단하게 다뤄 보겠습니다. 평소에 위 정보가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시의원 연봉 및 월급
시의원의 연봉 및 월급은 지역마다 다릅니다. 의정활동비, 보조활동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월정수당은 많은 차이가 납니다. 수당 등을 제외한 시의원 연봉 평균은 4,000만 원입니다.
의정활동비는 지역 불문하고 1,200,000원입니다. 보조활동비는 지역 불문하고 300,000원입니다.
지역
|
월정수당
|
월급
|
연봉
|
서울
|
3,815,000원
|
5,315,000원
|
63,780,000원
|
제주
|
3,251,250원
|
4,751,250원
|
57,015,000원
|
세종
|
2,000,000원
|
3,500,000원
|
42,000,000원
|
부산
|
3,273,330원
|
4,773,330원
|
57,279,960원
|
인천
|
3,459,167원
|
4,959,167원
|
59,510,004원
|
대구
|
3,299,650원
|
4,799,650원
|
57,595,800원
|
대전
|
3,270,000원
|
4,770,000원
|
57,240,000원
|
광주
|
3,146,310원
|
4,646,310원
|
55,755,720원
|
울산
|
3,345,000원
|
4,845,000원
|
58,140,000원
|
경기
|
3,767,500원
|
5,267,500원
|
63,210,000원
|
충남
|
3,172,000원
|
4,672,000원
|
56,064,000원
|
충북
|
3,000,000원
|
4,500,000원
|
54,000,000원
|
강원
|
2,820,000원
|
4,320,000원
|
51,840,000원
|
전북
|
2,925,930원
|
4,425,930원
|
53,111,160원
|
전남
|
2,733,330원
|
4,233,330원
|
50,799,960원
|
경북
|
2,893,333원
|
4,393,333원
|
52,719,996원
|
경남
|
2,936,588원
|
4,436,588원
|
53,239,056원
|
시의원 정의
시의원은 통상적으로 주민의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됩니다. 4년의 임기를 갖고 있으며 선거직 지방공무원에 속합니다. 시의회의 구성원으로 임기 동안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갖게 됩니다. 시의원은 의회 회의에 출석 할 수 있는 의회출석권, 회의석상에서 발언할 수 있는 발언권, 특정 의제에 찬성 부결을 표할 수 있는 표결권, 의안 제출을 위한 의안 발의권, 의장, 부의장, 상임위언장을 선출할 수 있는 선거권과 회의소집 요구권, 의원 징계요구권, 청원소개권 등의 권리를 갖습니다.
공공이익을 위해 양심에 따른 직무 수행을 성실히 하고 청렴 및 품위 유지에 신경 써야하며 지위를 남요한 권익 도모의 금지 의무 등을 갖습니다. 시의원은 무보수 명예직으로 분류되며 일정 범위에서 경비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시의원 하는 일, 연금
시의원은 2022년 4월 기준, 연금이 없습니다.
시의원의 업무는 주민의 뜻을 파악해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합니다. 주민의 뜻을 알기 위해 평소 주민들과 대화를 꾸준히 하고 현장을 방문합니다. 의원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일은 회의에서 발언해야 하고 의회가 하는 일에 의사를 표명할 수 있고 주민의 억울한 사정을 의회에 소개하기도 합니다. 관계 공무원에게 서류제출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이를 바로 잡는 역할을 합니다.
의원들이 공동으로 행사할 수 있는 일은 회의를 소집하는 일, 의회에서 심의, 의결할 의안을 내놓는 일, 관계 공무원들을 출석시키는 일 등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새로운 조례를 만드는 제정, 기존 조례를 개정하는 일을 합니다. 시민들의 세금으로 예산되는 일들에 대해 심의 및 확정하는 일을 수행합니다.
시민들이 불편해 하는 것들, 시 행정에 도움이 되는 건의사항 등을 심사 및 처리하는 일을 합니다. 시에서 하는 일들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합니다. 시의 운영 실태를 파악해 1년에 한번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정의, 합목적성, 법적안정성이라는 법 이념에 합당하게 행정행위를 했는지 체크하고 공무원이 기강을 위배하는 사실은 없는지도 체크해야 합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로스마케팅 정의 및 관련 용어 공부 (0) | 2023.01.17 |
---|---|
판사 연봉, 월급, 계급 - 판사 임용 및 하는 일 (0) | 2023.01.17 |
도의원 연봉, 선거 도의원 월급, 연금, 하는 일 (0) | 2023.01.17 |
위탁판매 사이트, 도매 배송대행 사이트 모음 (0) | 2023.01.17 |
깻잎논쟁 비슷한거, 롱패딩 논쟁, 패딩 논쟁, 새우 논쟁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