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족 뜻
요즘 20대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단어가 있다. 바로 자라족인데 자라는 영어 ZARA라는 의류 브랜드명이며 족은 한자어 무리 또는 가족이라는 의미다. 즉 옷을 사기 위해 알바를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과거 기성세대들은 경제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 지출이 필요했다. 하지만 현재 젊은 세대들은 다르다.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산도 많고 맞벌이 부부라면 기본적으로 월 소득이 높기 때문에 소비 성향 또한 높은 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트렌드에 민감한 패션업계에서는 어떻게 하면 더 많은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을지 연구했고 자연스럽게 가격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다. 실제로 국내 SPA 브랜드 매장만 둘러봐도 합리적인 가격대로 누구나 쉽게 트렌디한 디자인의 옷을 구매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자라족 유래
그렇다면 왜 하필이면 ‘자라’일까? 그것은 앞서 언급했던 대로 다른 해외 SPA 브랜드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생 및 사회 초년생 같은 경우 부담 없이 원하는 옷을 마음껏 살 수 있고 덕분에 하나의 문화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양면성이 존재하듯 긍정적인 측면 외 부정적인 측면도 분명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학업 혹은 업무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아르바이트에만 매달리게 된다면 당연히 효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본인 스스로 충분한 자금 마련 계획을 세우지 않고 무작정 큰 금액을 대출받아 명품 가방이나 신발을 사는 행위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만약 무리하게 돈을 빌려 물건을 샀다가 나중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자신에게 돌아오게 된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
이렇게 자라 증후군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 또한 진행되고 있다. 다시말해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나타날 것이며 이것이 트렌드라면 우리는 무조건 따라가야 하는 것일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데기 화재, 불 / 미니고데기 켜놓고 화재 화상 (0) | 2023.01.05 |
---|---|
쫌쫌따리 뜻, 의미 좀좀따리 유래 정리 (0) | 2023.01.04 |
시발비용 뜻, 의미, 유래 정리 (0) | 2023.01.04 |
복세편살 뜻, 의미, 유래 정리 (0) | 2023.01.04 |
문송합니다 뜻, 유래, 문송하다 유래 (0) | 202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