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반기보고서
[주요 용어 설명]
용어설명
핀테크 (FinTech) |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IT 기술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함 |
테크핀 (TechFin) |
기술(Technology)과 금융(Finance)의 합성어로 핀테크가 금융회사가 주도하는 기술에 의한 금융서비스를 이른다면 테크핀은 정보기술(ICT) 업체가 주도하는 기술에 금융을 접목한 개념 |
전자금융 | 금융업무에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자동화 및 전자화(Network화)를 구현하는 것으로, 국내의 전자금융거래법상 전자금융거래는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가 전자적 장치를 통하여 금융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의 종사자와 직접 대면하거나 의사소통을 하지 아니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거래' 로 정의됨 |
간편송금/간편결제 | 공인인증서나 OTP없이 비밀번호 입력이나 생체인식(지문, 안면인식) 등의 간단한 인증을 통해 송금 및 구매 절차를 간소화한 서비스 |
PG (Payment Gateway) |
전자지급결제대행을 뜻하며 인터넷 쇼핑몰 등의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로부터 대금을 수취하여 판매자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지급결제정보를 송수신하는 것 또는 그 대가의 정산을 대행하거나 매개하는 것을 의미 |
전자상거래 |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광고, 발주, 수주 등의 상거래 및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것 |
오픈뱅킹 | 금융데이터에 대한 정보 주체의 자기결정권 강화와 데이터 개방,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개방, 금융결제망에 대한 접근성 확대를 골자로 하는 금융서비스를 통칭함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 |
오픈 API | 인터넷 이용자가 웹 검색 결과와 이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받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응용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 |
로보어드바이저 | 로봇이 개인의 자산운용을 자문하고 관리해주는 자동화된 서비스 |
블록체인 (Blockchain) |
기존 금융회사가 중앙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것과는 달리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이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주는 시스템 |
크라우드펀딩 (Crowdfunding) |
자금이 필요한 개인, 단체, 기업이 웹이나 모바일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것 |
빅데이터 (Big Data) |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 |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
컴퓨터, 미디어, 영상 기기 등의 정보매체를 운영, 관리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아우르는 기술 |
금융규제 샌드박스 (Sandbox) |
신기술, 서비스에 규제를 적용하지 않고 실험 검증을 임시로 허용하는 것 |
인슈어테크 (InsureTech) |
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블록체인, 바이오인증,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절차를 줄이고 보험 지급 등을 자동화하는 혁신적인 보험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이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IT 자원(저장공간, 가상PC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서비스 |
솔루션 (Solution) |
이용자 요구에 적합하면서 특정한 형태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패키지나 응용프로그램과 연계된 문제를 처리해주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
UI (User Interface) |
이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약어로 모바일기기, 컴퓨터, 내비게이션 등 디지털 기기를 작동시키는 명령어나 기법을 포함하는 이용자 환경 |
UX (User eXperience) |
이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의 약어로 이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지각과 반응, 행동 등 총체적 경험을 통칭 |
플랫폼 (Platform) |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 또는 다른 서비스와 연계를 도와주는 서비스와 소프트웨어 |
O2O (Online to Offline) |
유통 관점 개념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제 오프라인에서 일어나는 활동(액티비티)을 일으키는 일종의 비즈니스 |
P2P (Peer to Peer) |
중개업체가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해 불특정 다수로부터 투자금을 모아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주는 개인 간 대출 서비스 |
언택트 (Untact) |
콘택트(Contact)에서 부정의 의미인 'Un'을 합성한 용어로 기술의 발전을 통해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생활 방식을 통칭. 비대면. |
SI (System Integration) |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의 약어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기획에서부터 개발과 구축, 운영까지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마이데이터 (My Data) |
은행, 카드, 통신회사 등에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한 곳에 모으거나 이동시켜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로서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관리 및 통제하고 이러한 정보를 신용이나 자산관리 등에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 |
MTS (Mobile Trading System) |
Mobile Trading System 의 약어로 스마트폰에서 주식거래, 자산조회, 뱅킹 업무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증권회사가 제공하는 앱을 통칭함 |
소수점거래 | 상법상 주식 거래의 최소 단위는 1주이나, 투자자들의 소수단위 주문을 취합하고 증권사가 부족분을 채워 1주를 만들어 거래소에 주문을 발주하는 방식을 의미 |
가. 업계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산업의 정의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상품 및 서비스에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데이터 처리 기술 등 첨단 IT 기술이 접목되어 일어나는 금융 및 산업 전반의 변화를 통칭합니다. 또한, 관련 소프트웨어나 솔루션, 위험관리, 포트폴리오 재구성, 성과관리, 시스템 통합 등 금융 시스템의 전반을 혁신하는 기술도 넓은 의미에서 핀테크의 일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핀테크로 인해 기존 금융서비스 대비 편의성이 높고 차별화,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면서 소비자들의 금융생활 및 금융산업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동향
1990년대 이후 개인컴퓨터(PC)가 대중적으로 보급되며 핀테크라는 개념이 등장했고, 기존 금융회사들은 새로운 IT 기술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창구를 통한 금융기관 거래 비율이 하락하고 인터넷 기반의 금융서비스 이용이 가파르게 증가하였으며, 이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모바일 스마트 기기가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모바일 기반 핀테크에 의한 금융 혁신은 급속도로 전개되었습니다.
최근에는 COVID-19 사태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EU의 PSD2, 국내의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 개정 등 금융정보 공유를 확대하는 법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핀테크(테크핀)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의 상업적 활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많은 스타트업과 대기업들이 공공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다양한 금융서비스 모델을 개발 중이며, IT기업들과 금융사들의 M&A 및 기술제휴 역시 확대되고 있어 핀테크 산업의 성장은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핀테크 서비스분야]
서비스 분야주요 내용업체 수(비중)
간편결제/간편송금 | 지급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은 모바일기기 등에서 간단한 본인인증을 통해 결제/송금서비스를 제공 | 81개사(16.7%) |
소액해외송금 | 외화 송금에 대한 시장은행의 독점을 막고 핀테크 기술 지원을 위해 핀테크 기업에게도 건당 0.5만달러, 연간 1인당 5만달러 내에서 송금이 가능하도록 소액해외송금업을 허용 | 24개사(5.0%) |
P2P 대출 | 기존 금융기관의 중개 없이 온라인 플랫폼으로 개인간 대출 및 차입이 이뤄지는 방식의 대출 | 39개사(8.1%) |
크라우드펀딩 | 창의적인 아이템을 가진 초기 기업가를 비롯한 자금수요자가 중개업자(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의 온라인플랫폼에서 집단지성(The Wisdom of Crowds)를 활용해 다수의 소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 | 18개사(3.7%) |
가상자산 교환/중개 | 가상자산 유통 서비스 제공 | 8개사(1.7%) |
인슈어테크 | 상품개발, 유통/판매 단계, 언더라이팅, 고객관리 등 보험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서 IT 기술을 활용하여 수익과 가치를 제공 | 33개사(6.8%) |
개인자산관리 | 기존 오프라인 중심의 자산관리를 디지털화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금융상품 통합관리, 신용점수 관리, 금융상품 추천, 금융 개인비서 등 폭넓은 자산관리 기능을 제공 | 43개사(8.9%) |
로보어드바이저 | 로봇 기반의 인공지능 투자 플랫폼을 의미하며, 투자자의 위험 감수 성향 및 목표수익률, 자금 성격 등을 진단한 후 이에 적합한 자산 배분 전략을 결정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함 | 14개사(2.9%) |
AI(RPA) |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은 반복적이고 단순한 업무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RPA에 AI(인공지능), ML(머신러닝) 기술을 적목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음 | 18개사(3.7%) |
블록체인 |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을 지칭하며, 기존 금융 분야에서 물류/유통/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음 | 20개사(4.1%) |
빅데이터 분석 |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에서는 빅데이터를 상품개발, 부정방지, 신용평가 및 고객관리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데이터 3법이 통과됨에 따라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가명 정보를 본인 동의 없이도 연구 목적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음. 이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가 창출되는 계기가 될 것임 | 18개사(3.7%) |
보안/인증 | 핀테크 서비스와 비대면 거래가 늘어남에 따라 핀테크 보안/인증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최근 FIDO(Fast Identity Online), DID(Decentralized Identification), FDS(Froud Detection System) 등의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음 | 50개사(10.3%) |
금융 소프트웨어 | 금융데이터, 핀테크 솔루션 등 핀테크 서비스 사업을 본업으로 하는 기업들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블록체인 상용화 및 자금세탁방지 의무 강화에 따라 리스크 관리 및 규제 관리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14개사(2.9%) |
기타 기술 | - | 14개사(2.9%) |
기타 서비스 | - | 90개사(18.6%) |
합계 | - | 484개사 |
출처: 2020 대한민국 핀테크 기업편람 (한국핀테크지원센터)
(2) 산업의 성장성
(가) 제도 변화에 따른 산업 성장
국내 핀테크 산업은 정부의 규제개혁와 핀테크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금융산업의 혁신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난 2015년 'IT/금융 융합 지원방안'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규제 개선 정책을 추진하며 기존 오프라인 중심의 금융제도를 온라인과 모바일 환경에 맞춰 수정하였고, 핀테크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책자금을 조달할 뿐 아니라 전자금융업의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모바일 간편 결제/송금 서비스로 시작했던 핀테크 산업은 금융 전 분야로 저변을 확장할 수 있었고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한 정부의 '금융분야 규제특례' 및 '지정대리인 제도' 활성화와 맞물려 보다 고도화된 금융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2019년 4월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시행을 통한 금융규제 샌드박스의 도입과 함께 빅데이터 분석/이용 및 데이터 결합의 법적 근거 명확화 등 데이터 활용을 저해하는 규제를 정비하기 위한 신용정보법 개정을 추진하였으며 핀테크 사업자, 금융회사 등이 새롭고 편리한 결제 서비스를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결제 인프라를 혁신하여 사업자가 은행과 제휴 없이도 이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동 결제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금융회사의 핀테크 출자제약 완화와 같이 핀테크 고도화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핀테크 업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는 EU의 PSD2, 국내의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등 금융정보 공유 확대를 강제하는 법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핀테크(테크핀)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의 상업적 활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많은 스타트업과 대기업들이 공공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다양한 금융서비스 모델을 개발 중이며, IT기업들과 금융사들의 M&A 및 기술제휴의 확대로 핀테크 산업의 성장은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EU 테크핀 법제도 주요 내용]
시행시기법률명주요 내용비고
2018년 | PSD2 (Payment Service Directive2) |
은행권 Open API 도입 | 이용자가 동의한 경우 은행권은 TPPs에 오픈 API 형태로 금융정보를 제공해야 함 |
제3자 제공자(TPPs) 도입 | 지급결제지시서비스 제공업자(PISP) & 계좌정보서비스 제공업자(AISP) 도입 | ||
2018년 |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
정보주체인 개인의 권리 확대 | 데이터 삭제권 & 이동권 등의 법제화로 정보주체인 개인의 권리 확대 |
2019년 | RTS (Regulatory Technical Standards) |
강력한 고객 인증 의무화 | 온라인 결제시 2가지 이상의 인증 수단 사용 의무화 |
출처: 유럽집행위원회(EC)
[데이터3법 개정안 주요 내용]
법률명소관부처비고
개인정보 보호법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가명정보 개념 도입 및 동의 없이 사용 가능한 목적범위 구체화 |
가명정보 이용시 안전장치 및 통제수단 마련 | ||
개인정보 관리/감독 체계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일원화 | ||
신용정보법 | 금융위원회 | 신용주체자의 본인정보 통제 기능 강화 |
금융분야 빅데이터 분석 및 이용의 법적근거 명확화 | ||
마이데이터 도입 및 금융분야 규제 정비 | ||
정보통신망법 | 방송통신위원회 | 온라인상 개인정보의 규제/감독 권한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이관 |
출처: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러한 제도적 변화에 따라 연관산업의 시장 규모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간편결제 시장의 시장규모 변화 추이를 통해 파악 가능합니다. 한국은행 조사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연간 전자금융업자 간편결제 거래금액은 110.0조원으로 지난 6년간 연평균 77% 성장하였습니다. 제도 변화에 기반한 간편결제 산업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견되며, '마이데이터 산업' 등의 도입으로 자산관리, 대출, 보험 등 국내 핀테크 산업의 영역과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자금융업자 연간 간편결제 거래금액 추이]
(단위 : 조원)
간편결제 거래금액 추이 |
출처: 한국은행
한편, 선불업자에 대한 선불충전금 보호조치의 강화,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시행 등 금융소비자 권리 제고와 함께 금융 상품 및 서비스 공급자의 의무가 강화됨에 따라 핀테크 업체들은 금융당국의 소비자 보호 제도에 부합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금융업은 대체로 실물 경기, 글로벌 금융환경은 물론 정치, 사회 등 다양한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으로, 일반경기변동과의 상관관계가 다소 높은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금융업을 기반으로 하는 핀테크 사업 역시 일반경기수준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핀테크 사업은 전체 소득 및 소비 수준보다는 전자상거래 소비 등 온라인 및 비현금 결제 수준의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이 '디지털 경제' 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온라인 결제 및 송금 거래액은 일반경기수준의 상승 또는 하강에도 불구하고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즉, 일반 경기변동으로 인하여 전체 민간 소득 및 소비 수준이 하락한다 가정해도 이를 상쇄할 만큼 디지털 경제 시장이 고속성장 중이므로 핀테크 산업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민간 소비자 금융 생활 전반에 걸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계절적 요인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다만, 결제 사업부문이 아직까지는 수익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민간 소비가 집중되는 설/추석 등 연휴 시기, 연말, 학기 초 등에 거래액 및 매출이 보다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 편차는 크지 않습니다.
(4) 경쟁환경
국내 금융 산업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법, 규정 등에 의해 규제의 적용을 받는 산업 입니다. 그러나 최근 정부는 온라인 금융 서비스를 미래 한국 경제의 혁신적 성장을 위한 24개 핵심 부문 중 하나로 지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핀테크 산업은 최근 몇 년간보다 유리한 규제 환경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 변화에 따라 국내 핀테크 산업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의 성장에 따라 시장 참여자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대한민국 핀테크 기업편람에 따르면 당사의 주 사업분야인 송금/결제 서비스 영역에 총 81개사가 진출 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업체는 이용자를 모집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핀테크 서비스분야 별 업체 수]
서비스 분야업체 수
간편결제/간편송금 | 81개사 |
소액해외송금 | 24개사 |
P2P 대출 | 39개사 |
크라우드펀딩 | 18개사 |
가상자산 교환/중개 | 8개사 |
인슈어테크 | 33개사 |
개인자산관리 | 43개사 |
로보어드바이저 | 14개사 |
AI(RPA) | 18개사 |
블록체인 | 20개사 |
빅데이터 분석 | 18개사 |
보안/인증 | 50개사 |
금융 소프트웨어 | 14개사 |
기타 기술 | 14개사 |
기타 서비스 | 90개사 |
합계 | 484개사 |
출처: 2020 대한민국 핀테크 기업편람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많은 수의 이용자 수 확보가 중요합니다. 충분한 이용자 기반을 확보한 핀테크 기업은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기획 역량에 있어 경쟁사 대비 경쟁우위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용자 수 확대를 위해 보다 편리하고 저렴한 금융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플랫폼 구축이 필연적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이용자에게 기존 금융기관 대비 차별적인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모든 플랫폼 이용자가 플랫폼을 사용하며 이득을 보는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금융회사, 온/오프라인 판매 업자 등 기업 고객은 핀테크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사업을 발전 가능하게 하며, 개인 이용자는 기존 보다 편리한 금융 생활을 향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플랫폼을 이용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별화된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하는 것에 더불어 이용자에게 원활한 이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우수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그들의 참여도를 상승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여기에는 기능을 찾기 편하고, 이용함에 있어 복잡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안전한 금융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하는 보안기술이 포함됩니다. 전자금융 서비스 확산과 시장규모 증대가 예상되는 환경 하에서 기술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과 인적자본 투자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핀테크 업체는 타 업체 대비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어, 선점 효과를 통해 지속적인 신규 시장 개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시장 점유율
당사의 사업은 크게 결제와 금융으로 구분됩니다. 결제 사업은 온ㆍ오프라인 결제를 포함하며, 2021년도 연결재무제표 기준 총 매출액의 약 66.3%를 차지하는 주력 사업부문 입니다. 결제 서비스의 경우 결제대금을 기반으로 시장규모의 산출이 가능하며, 국내 결제서비스 산업은 소수의 기업이 지배적인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당사는 차별화된 경험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내 지위를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거래금액 기준 국내 결제서비스 시장점유율]
(단위: 조원, %)
구분2019년2020년2021년거래금액시장점유율거래금액시장점유율거래금액시장점유율
카카오페이 | 7.2 | 16.4 | 12.5 | 16.7 | 21.0 | 19.1 |
기타 | 36.6 | 83.6 | 62.6 | 83.3 | 89.0 | 80.9 |
전체 | 43.8 | 100.0 | 75.1 | 100.0 | 110.0 | 100.0 |
출처: 한국은행, 카카오페이는 당사 자료
(주1) 한국은행 [2021년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 상 전자금융업자 거래금액을 전체 시장으로 산정한 시장점유율
당사는 결제 사업의 탄탄한 시장 지위를 기반으로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당사의 자회사 등 제휴사가 제공하는 대출, 투자, 보험상품과 관련하여 대출비교 서비스 및 투자, 보험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 등 서비스 사업으로 금융플랫폼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상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설계 및 공급하기보다는 제휴 금융회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당사의 플랫폼에 게시하여 수수료를 취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사업부문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시장규모를 산출하기가 어렵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회사의 영업 및 생산
(가) 회사의 성장 과정
구분기간주요 내용
태동기 | 2014 ~ 2016년 | 2014년 9월, ㈜카카오 핀테크사업부를 통해 간편결제 서비스를 론칭했습니다. 2015년 9월 '카카오페이 멤버십', 2016년 2월 '카카오페이 청구서', 4월 '카카오페이 송금'을 출시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서비스 맥락을 확보하며 이용자 확보를 지속하였고 그 결과 2016년 6월 누적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하였습니다. |
성장기 | 2017 ~ 2018년 | 2017년 2월 앤트그룹으로부터 2억 달러 투자를 유치하며 파트너십을 체결하였고, 4월에는 ㈜카카오 핀테크사업부를 분사하여 독립법인인 ㈜카카오페이가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2018년 1월에는 카카오페이 카드, 5월에는 QR/바코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론칭하며 오프라인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동 연도 6월 사업규모의 빠른 확장에 따라 현재 오피스로 사옥을 이전하며 사업의 성장세 강화를 위한 기반을 확보하였습니다. |
역량 강화기 |
2019 ~ 2020년 | 2018년 11월 투자 광고 서비스를 시작으로 2019년 신용조회, 대출 및 보험 광고 등의 서비스를 연달아 선보이며 누구에게나 열린 금융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2019년 7월 인슈어테크 플랫폼인 GA(법인보험대리점)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케이피보험서비스㈜를 인수하였고, 2020년 2월 바로투자증권을 인수하며, 카카오페이증권을 통한 실명계좌 개설 및 펀드 판매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
도약기 | 2021 ~ 현재 | 2020년까지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역점을 두었다면, 2021년부터는 구축한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당사의 비전(일상의 모든 금융활동을 카카오페이 하나로)과 미션(누구에게나 이로운 금융서비스를 만들다) 수행을 본격화하는 시기로 보고 있습니다. 2022년 4월 카카오페이증권을 통해 MTS 서비스를 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증권에서의 주식, 주식 연관 파생서비스의 활성화, 펀드 등 제공 서비스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카카오페이는 2022년 7월 자회사 케이피보험서비스를 통해 보험마켓플레이스를 오픈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보험마켓플레이스는 국내 최초 보험의 소셜커머스로 원스톱 보험비교가 가능하고, 사용자 중심의 정보제공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험 시장의 혁신을 이끌어낼 계획입니다. 궁극적으로 카카오페이는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내 재산의 현황과 재산 및 소비지출 관리에 대한 인사이트를 유저에게 제공하고, 대출, 투자, 보험, 카드추천 등 금융사업으로의 기회들을 연결시켜가고자 합니다. 또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자체 개발한 신용대안평가모델을 통해 기존의 금융권의 높은 장벽으로 인해 금융 서비스의 이용에서 소외되었던 소비자들로 하여금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이용자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
(나) 사업부문별 개요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는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결제 서비스
당사는 2014년 국내 최초 간편결제 서비스를 론칭했으며, 결제수단으로는 카카오페이머니, 국내 신용ㆍ체크카드 등이 있습니다. 카드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없이 사전에 등록한 카드를 선택할 수 있고, 공인인증서와 같은 까다로운 인증 절차 대신 안면인식, 지문인증,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결제할 수 있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이상감지시스템(FDS: Fraud Detection System)을 기반으로 결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결제 정보는 암호화하여 분리 저장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하였습니다. 온라인에 이어 2018년 5월부터는 스마트폰의 QR/바코드로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며 새로운 결제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가) 온라인 결제 서비스
웹(Web) 또는 앱(App) 온라인 쇼핑몰에서 카카오톡을 연결해 결제할 수 있으며, PC 웹 쇼핑몰에서는 화면에 나타난 QR코드를 찍거나 카카오페이에 가입한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휴대폰의 카카오톡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또한 단건결제 뿐만 아니라 각종 구독서비스를 위한 정기결제 기능도 제공합니다. 국내 최초로 택시 자동결제, 멜론 순차결제, 선물하기 빠른결제, 애플 앱스토어 결제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이용자 중심의 새로운 결제 서비스 문화를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생성된 QR/바코드를 매장에 보여주거나 매장에 놓여진 결제 키트를 이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결제가 가능합니다. 결제 완료 시 카카오톡으로 결제 내용, 적립 금액 등이 안내되며 이용 내역은 '페이 내역조회'를 통해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철저한 보안을 위해 QR/바코드는 매 결제 시 새롭게 생성되어 1분간만 유효하며, 결제 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일체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결제 매장이 '카카오페이 멤버십' 제휴사일 경우, 하나의 통합 바코드를 통해 결제와 동시에 여러 제휴사(CJONE, L.POINT, 신세계포인트, 해피포인트 등 55개 제휴 가맹점) 의 멤버십을 자동 적립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합니다.
다) 생활 결제 서비스
가스ㆍ전기ㆍ수도요금, 지방세, 통신요금, 아파트 관리비 등 각종 생활요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2016년 2월부터 운영 중인 '청구서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은 카카오톡으로 청구서 도착 및 미납 안내 알림을 받아 바로 납부할 수 있어 종이고지서 분실과 이로 인한 연체 및 과태료 부담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우편 발송되는 종이 고지서의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청구서 서비스' 내에서 이용자의 고객 정보로 실시간으로 요금을 조회하여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동납부 기능과 도시가스 자가 검침 서비스 운영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라) 해외결제 서비스
글로벌 금융플랫폼 앤트그룹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카카오페이 유저가 해외 오프라인 가맹점 및 글로벌 온라인 가맹점에서 비밀번호와 지문 및 안면인식의 인증방식을 통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2019년부터 국내 카카오페이 사용자들이 일부 해외 지역에서 별도 환전 과정없이 스마트폰에 생성된 카카오페이 QR을 제시하면 결제가 가능하며 현지 통화뿐 아니라 원화기준으로도 결제금액을 제시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현재는 일본, 마카오, 싱가포르, 독일 등에서 해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7월 간편결제 서비스 중 최초로 한국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애플 앱스토어에 대해 결제 서비스를 오픈했으며, 이후 구글 플레이, 알리익스프레스,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 아이허브, 소니플레이스테이션 등 온라인 글로벌 가맹점에서 카카오페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확대하고 있습니다.
2) 금융서비스
가) 대출비교 서비스
금융 소비자의 관점에서 대출 상품의 금리와 한도는 신용점수, 직업, 소득 및 재산, 거래 실적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개인별로 다르게 산정되기 때문에 타 금융상품과 다르게 표준화하여 비교하기가 어렵습니다. 한편, 금융 공급자의 경우 대출 상품의 구조 혹은 조건 등을 개선하여 소비자를 모객하기보다는 광고나 오프라인 대출 모집 영업에 보다 의존하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점을 포착하여 카카오페이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 및 공급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이들의 효익을 증진하기 위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고 있습니다.
① 신용조회 서비스
당사는 2019년 8월부터 주식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와의 제휴를 통해 신용조회서비스를 런칭하였으며, 2021년 10월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NICE)와 추가 제휴를 통해 국내 대표 신용평가사인 NICE와 KCB의 신용점수 모두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는 신용조회 서비스를 통해 KCB, NICE로부터 본인의 신용점수, 신용정보 조회내역, 보유대출 잔액, 신용카드 이용현황, 연체 정보를 제공받아 효과적으로 자신의 신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페이를 통해 비금융정보 (소득정보, 국민연금, 건강보험 납부내역 등)를 신용평가사에 제출함으로 신용점수 평가 가점을 받으며 이용자가 직접 신용점수 올리기를 할 수 있습니다.
신용조회서비스 이용자는 기대출자이거나 잠재적 대출의향자일 수도 있으므로 신용조회 서비스는 대출광고 및 비교 서비스의 근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② 내 대출한도 서비스(대출비교 서비스)
당사는 이용자 별로 여러 금융사의 다양한 상품에 대한 가심사/한도 결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가장 유리한 대출상품을 비교하여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내 대출한도 서비스'를 2020년 6월 론칭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 대출모집업무 1사전속 규제 완화에 대한 혁신금융서비스를 지정받아 여러 금융회사와 위수탁계약 체결이 가능해졌으며, 2021년 9월 금융소비자보호법상 대출성상품 판매대리중개업자(온라인 대출모집법인) 등록을 통해 대출상품 중개에 관한 라이센스 기반으로 안정적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2년 6월 기준 54개 금융사와 대출모집업무 위수탁계약을 체결하여 신용대출, 전세대출 등 다양한 대출상품을 중개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가 주민등록번호, 직장 정보, 소득 정보를 입력하면 카카오페이는 제휴 금융사에 해당 정보를 대신 전달하여 대출 가능한 상품 리스트와 정확한 대출 한도 및 금리까지 한 눈에 조망이 가능합니다. 각 금융사의 지점에 방문했을 때와 동일한 심사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본인이 직접 각 금융사에 개별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필요 없이 카카오페이 플랫폼 안에서 편리하게 대출 가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동안 금융기관은 동시 대출에 따른 부정대출을 방지하고자 특정 기간 동안 대출 금리 및 한도 조회 건수가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 부결 처리하는 경우가 있어, 금융 소비자가 시간과 노력을 들이더라도 다수 금융사의 실제 대출 금리와 한도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당사의 서비스는 이용자로 하여금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 가능 상품 정보를 한 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 번 이용하더라도 신용 점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투자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한 투자는 어렵고 복잡했던 기존의 투자와 달리 카카오페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을 통하여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관한 광고를 제공받고 해당 기관과 연결하여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집니다. 카카오페이증권과의 연계를 통해 투자가 가능하며, 동전모으기 및 자동투자와 같은 부수적인 서비스로 이용자들이 부담없이 투자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용자들은 카카오페이증권과 연계된 펀드 투자에 관한 광고와 금융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투자상품에 관한 광고를 제공받고 해당 기관이 제공하는 투자상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기관에 연결하여 투자할 수 있으며, 카카오페이는 향후 다양한 상품군에 관한 광고를 추가적으로 공급하여 보다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카카오페이증권의 MTS를 통해 국내, 해외 주식을 쉽고 편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소수점 주식거래, 주식 선물하기 등의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투자문화를 만들기 위해 계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① 펀드
당사는 카카오페이증권 출범 후 카카오페이증권을 통해 2020년 2월 펀드 관련 서비스를 론칭하였으며, 유저는 카카오페이증권을 통해 증권 계좌를 개설한 이후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카카오페이증권은 주식ㆍ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되어 투자 위험도가 낮은 자산배분형 펀드를 중심으로 펀드 투자 경험이 없어도 본인의 성향에 따라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한 광고 및 부수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카카오페이증권을 통해 제공되는 투자서비스의 큰 특징은 편리한 UIㆍUX입니다. 누구나 쉽게 투자서비스를 접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가입, 계좌 개설, 예치금 준비 등 기존 투자의 어렵고 복잡한 절차를 최소화하고, 자산 규모가 적어도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었습니다. 이후 자동투자 및 동전모으기를 통해 지속적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카카오페이증권의 UIㆍUX의 맥락이 설계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시장의 흐름과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한 다양한 펀드 상품 라인업을 확충해 갈 계획입니다.
② 주식 (MTS)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증권은 약 2년간 투자서비스 운영을 통해 쌓인 다양한 경험을 기반으로 타 증권사의 MTS와는 차별화된 사용자 중심의 주식매매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2022년 2월에 베타서비스를 시작으로, 일부 서비스 및 기능을 보완하여 2022년 4월에 정식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론칭 하였습니다. 기존에 카카오페이증권 계좌를 개설한 고객은 바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고, 기본적인 국내 주식 서비스뿐만 아니라 준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해외 주식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해외 주식을 온주로만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점 단위로도 구매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소액으로 부담없이 직접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오픈 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 6월에 카카오톡 친구에게 주식을 선물할 수 있는 '주식 선물하기' 서비스를 출시하였고,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주식 투자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 할 계획입니다.
다) 보험
카카오페이는 복잡하고 접근이 어려웠던 보험의 진입장벽을 낮춰 이용자 중심의 보험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회사인 케이피보험서비스 및 제휴 보험사를 통하여 크고 작은 건강 및 생활 리스크에 대비할 수 있는 합리적인 보험 상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GA(법인보험대리점)인 케이피보험서비스㈜는 보험회사로부터 상품을 소싱 및 모집하여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보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보험상품의 가입 요건에 맞는 이용자라면 누구나 모바일기기를 통해 비대면으로 쉽고 간편하게 제휴 보험사가 제공하는 광고를 접하고 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는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케이피보험서비스㈜로 진입하여 케이피보험서비스㈜가 판매하는 보험상품을 간편하고 손쉽게 가입할 수 있으며, 카카오페이와 직접 제휴를 맺고 있는 보험사의 자동차보험광고 상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케이피보험서비스를 통해 이용자의 수요와 생활에 보다 밀착된 보험상품 및 보험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주요 상품 및 서비스]
주요 상품/서비스개요
보험상품 | |
암보험 | 보험료 인상 없이 일반암 6천만원을 보장해주는 비갱신형 암보험 |
실손의료비보험 | 모바일을 통해 언제든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실손의료비보장보험 |
연금저축보험 | 노후준비와 세액공제를 위한 연금저축보험으로 카카오페이 회원은 보험료 1% 추가 할인 혜택 제공 |
저축보험 | 1만원부터 부담없이 가입 가능하며 중도 인출 및 추가 납입 가능 |
원데이자동차보험 | 타인의 차량 또는 렌터카 운전시 가입할 수 있는 단기 자동차보험 |
3대진단비보험 |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진단비 준비가 한번에 가능하고, 100세 만기 선택 시 보험료 오름없이 최대 100세까지 혜택을 받는 상품 |
연금보험 | 연복리 2.32%와 15.4%의 비과세 혜택, 그리고 장기유지 보너스를 받을 수 있는 상품 |
자동차보험 | 여러 보험사의 자동차 보험상품 광고 및 자동차 관련 컨텐츠 제공 |
어른살이보험 | 애주가 애연가를 위한 사회생활 애환보험 |
집보험 | 우리집 재산을 지키는 가정보장보험 |
서비스 | |
전세반환보증 | 전세보증금을 지켜주는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상품 |
병원비청구 | 서류없이 카톡에서 간편하게 진행하는 실비보험 청구 서비스 |
(다)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1) 국내 모바일 금융 시장의 선두 플랫폼
2014년 9월 국내 최초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출시하며 시장에 진출한 당사는 전 국민이 보다 편리한 금융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금융서비스 전반에 대한 모바일 생활금융 플랫폼을 구축하였습니다. 당사의 플랫폼은 최근사업연도 말 기준 가장 많은 활성 이용자를 보유한 국내 최대의 플랫폼으로 가입자 수, 거래액 규모, 유저 당 거래 건수 그리고 가맹점의 수 등 여러 측면에서 국내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주요 수치]
카카오페이 주요수치 |
당사 플랫폼을 이용하는 가입자는 2022년 2분기 말 기준 약 3,815만명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1년 말, 국내 총 인구는 5,174만명, 경제활동 인구는 2,828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당사는 국내 대다수의 국민이 이용하는 대표 모바일 금융서비스 플랫폼입니다.
결제 및 송금 서비스를 기반으로 국민의 대다수가 이용하는 생활금융 플랫폼으로 등극한 당사는 청구서, 멤버십, 전자문서 등 일상적인 경제활동 서비스를 출시하여 모집된 이용자를 당사의 플랫폼에 락인(Lock-in)한 이후, 이들에게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적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 및 자회사는 서비스 영역의 지속적 확대를 위해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고, 더 넓은 고객층을 공략하며, 기존 서비스에 혁신적인 기능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결제서비스 영역에서는 유저 관점에서 결제의 범용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뿐 아니라 오프라인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시장 확대를 위해, 카카오페이 비즈니스앱의 경우 매출부터 입금관리, 매출 리포트, 매장 관리 등 사업 운영에 필요한 기능을 소상공인에게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가맹점 사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대출비교 서비스 분야는 카카오페이만의 신용평가모델을 고도화하고, 전월세대출, 대환대출 등 상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예정입니다. 투자분야는 카카오페이증권을 통해 혁신적인 MT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험분야는 자회사인 케이피보험서비스를 통해 보험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며, 맞춤형 건강보험 및 미니운전자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 고객 대상 보험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수사인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을 통해 혁신적인 1P 보험상품을 개발하여 많은 이용자에게 이로움을 주는 보험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카카오페이 및 자회사 사업 로드맵]
카카오페이 및 자회사 사업 로드맵 |
2) 국내 최고 수준의 이용자 참여도
당사의 플랫폼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월간 활성 이용자 (MAU, Monthly Active Users)를 확보한 모바일 금융 시장의 선두주자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2022년 2분기 말 기준 당사의 MAU는 2,195만명으로 파악되며, 이는 '21년 말 기준 국내 경제활동인구(2,828만명)의 약 78%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결제 또는 송금 등 카카오페이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1년 중 한번이라도 거래한 사람 수를 나타내는 연간 활성 이용자 (AAU, Annual Active Users)는 '20년 말 2,680만명에서 '22년 반기 기준 2,950만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3개 이상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 비중이 '20년 말 52.2%에서 '22년 반기 기준 65.8%로 13.6%p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카카오페이의 헤비유저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카카오페이 내 다양한 금융서비스로의 교차 사용이 일반적인 패턴이 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유저들은 더 많은 서비스를 쓰며 당사의 이용자 당 거래 건수, 거래 금액을 활발하게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서비스 분포별 연간 활성 이용자 수]
서비스 분포별 연간 활성 이용자 수 |
당사는 이러한 시장 선두지위에 기반하여 전자결제 서비스 분야의 이용자 참여도를 성공적으로 상승시켜왔습니다. 그 결과는 당사의 전자결제 서비스의 인당 결제금액 변화추이로 확인 가능합니다. 2016년 이후 동사의 전자결제 플랫폼을 이용한 이용자들의 이용 연차별 거래액은 매년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며, 거래액 측면에서 이용자의 당사 플랫폼 이용도는 해가 지날수록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2016년 인당 결제금액 변화추이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1차년도에는 1인당 약 66,000원을 사용했는데 22년 2분기 거래액을 기준으로 22년 7년차의 연간 예상 거래 금액을 환산해볼 때 25배 높은 약 163만원의 거래액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해를 거듭할 수록 유저들의 첫 해 이용 금액은, 더 높은 이용자별 결제금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연도에 처음으로 당사의 전자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중 최근사업연도 말까지 계속해서 당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수의 비중을 나타내는 리텐션율(Retention Rate)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평균 87%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2분기 유저 리텐션율은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 간의 결제 서비스 이용자로 집계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아보일 수 있으며, 하반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냅니다. 이같은 지표를 통해, 카카오페이 서비스의 유저 락인(Lock-in)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견고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카카오페이 이용자들은 해당 서비스에 익숙해지면서 더 활발히 거래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이용자 당 거래액 및 리텐션율]
카카오페이 이용자 당 거래액 및 리텐션율 |
당사의 전체 이용자 수가 급격히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플랫폼에 더욱 많은 이용자를 유치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당사는 지속적으로 이용자 당 거래액과 총 거래 건수를 상승시키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당사는 향후 지속적으로 대출, 보험, 증권, 자산관리 등의 분야로 금융 서비스 영향력을 확대해 나감에 따라, 이용자의 충성도와 이용자별 거래 규모는 더욱더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가능케하는 플랫폼 개발 기술력
당사의 주요 경쟁력 중 하나는 모바일 환경에서 최고의 이용자 경험을 위한 최적화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입니다. 이용자에게 차별화된 편리한 금융생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당사는 전체 임직원의 약 50%를 개발인력으로 구성하여 기술 확보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술 연구개발 목표는 (i) 안전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 (ii) 이용자의 충족되지 않은 요구 사항을 발견하고 이용자의 편리한 금융생활를 촉진하는 것, (iii) 디지털 혁신을 위한 유연한 IT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는 궁극적으로 직원과 기술에 대한 투자로 이어집니다.
그 결과, 당사는 이용자, 파트너 금융 기관 및 판매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강력하고 확장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였습니다. 당사의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빠르게 진화하는 모바일 금융 산업에서 필수적인 민첩하고 유연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기술 배포 기능을 지원합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율적이고 우수한 소프트웨어 인프라와 인공 지능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내외부 클라우드 시스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 AI, 머신러닝, 블록체인 등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기술력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다음의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가) 국내 최고 수준의 UX (User Experience)
당사 플랫폼은 이용자에게 간단하고 직관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원활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춰 개발되었습니다. 이용자는 주요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고, 빠르고 편리하게 거래하며, 당사 서비스 및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에 쉽게 파악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 서비스는 당사 서비스가 필요한 다른 애플리케이션, 특히 카카오 생태계의 애플리케이션과 원활하게 통합되어 이용자가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고 점점 더 서비스에 lock-in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 T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요금을 결제하는 이용자는 하차 시 당사의 결제 서비스를 통해 요금을 지불하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습니다.
나) 보안 및 위험 관리 역량
당사는 전자금융거래법, 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등의 정보보호 관련 법규를 엄격히 준수하고 ISMS-P, ISO27001, PCI DSS 등의 다양한 정보보호관련 인증을 획득하고 유지함으로써 이용자 정보보호 및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높은 수준의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수립,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증, 정보보호, 위협 탐지 및 차단 등의 보안과 관련한 다양한 자체 기술을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및 머신러닝 기반의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자체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의심스러운 거래를 탐지하고 적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안 및 위험관리에 대한 전사적인 지원 및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이용자 및 회사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서비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 기술 기반의 혁신 (Technology-driven innovation)
당사의 혁신은 기술 개발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하이브리드 서비스 아키텍쳐, 블록체인 기술, 인공지능 기술 등 핀테크 도메인에서 선도적 기술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여 새로운 서비스 및 금융상품을 창출하고, 기존 서비스 및 금융상품을 더욱 혁신해 나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사의 안면인식 AI 기술은 비대면 계좌개설과 eKYC(비대면 고객 신원 확인) 서비스에 적용하여 매우 안정적이고 편리한 인증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용자가 카카오페이 플랫폼에서 안면인식 기능에 접근할 때마다 안면인식 데이터를 축적하고,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여 머신러닝 모델 학습으로 성능을 강화하여 보안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4) 카카오 그룹사로서의 시너지 창출 역량
당사의 모회사인 ㈜카카오에서 운영중인 카카오톡은 MAU가 약 4,700 만 명이 넘는 명실상부 국내 대표 모바일 메신저 입니다. 당사는 모회사와의 전략적 협업관계를 유지하며 보다 많은 이용자에게 편리한 결제 및 금융환경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더 나은 서비스로 확대하는 중요한 기회로 삼고 있습니다.
그외에도 커머스, 모빌리티, 게임,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는 카카오의 그룹의 서비스에서 카카오페이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결제 편의성과 고객 경험의 퀄리티 증대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카카오 그룹 내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창출되는 시너지는 각 사 모두에게 상호적이며 카카오페이는 더 많은 이용자접점을, 상대 회사는 이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결제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카카오 그룹사의 사업분야별 플랫폼]
카카오 그룹사의 사업분야별 플랫폼 |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선도적인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다양한 플랫폼을 사용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당사가 경쟁사에 비해 확보한 주요 경쟁요소 입니다. 당사는 그룹 계열사간의 전략적 사업 협력의 기회를 가지고 있다는 측면에서 신규 이용자를 모집하고, 거래액 규모를 확대하는데 경쟁사 대비 우위에 있다고 자부합니다.
또한, 카카오 그룹은 국내 모바일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이용자 참여도/충성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당사는 그 일원으로서 이용자 데이터 확보 측면에서 차별화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플랫폼에 결제 및 지불을 대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각 플랫폼 이용자의 금융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커머스, 모빌리티 산업 등에서 각 계열사가 축적한 방대한 양의 비금융 데이터 또한 적법한 절차를 통해 취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카카오페이 손해보험 정식 출범
당사는 2021년 6월에 금융당국으로부터 디지털 손해보험사 설립을 위한 예비인가를 획득하여 2022년 4월 본허가를 승인 받았습니다. 카카오페이 손해보험은 ICT와 보험이 결합된 국내 최초 핀테크 주도 디지털 손해보험사로, 기존 보험사가 아닌 신규 사업자가 통신판매전문보험사 본허가를 받은 첫 사례입니다.
당사 및 자회사는 일상 속 위험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는 인슈어테크 기반 새로운 혁신을 만들어가며 보험에 대한 인식 개선 및 보험 사각지대 해소에 앞장설 예정입니다. 법인보험대리점(GA)인 케이피보험서비스㈜와 함께 '22년 7월 보험마켓플레이스를 선보였으며, 국내 최초의 보험 소셜커머스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카카오페이 손해보험을 통해 합리적이고 차별화된 보험 밸류체인(Value Chain)을 구축해 나갈 계획입니다. 당사는 케이피보험서비스㈜와의 제휴 및 카카오페이 손해보험과 함께 당사의 플랫폼과 이들 자회사를 연결하여 이용자 니즈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생활 환경 속에 다양한 혁신을 추구할 예정입니다.
카카오페이 손해보험의 초기 주력상품은 카카오페이의 생활금융 데이터와 카카오 계열사의 에코 시스템에 연계된 생활밀착형 소액단기 보험이 될 것이며, 단계적으로 개인맞춤형 건강보험 및 카카오T 등과 연계한 신규 모빌리티 영역으로의 신규시장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나) K-CSS (Kakaopay Credit Scoring System)
최근 핀테크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금융 소외계층의 금융 서비스 접근성 및 이용을 높여 취약 가구 및 기업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포용적 금융(Financial Inclusion)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포용 금융 정책의 대표적인 예로 중금리 대출이 있으며 '대안 데이터(Alternative Data)를 활용한 대안신용평가'를 통해 금융 소비자들에게는 합리적인 금리를 제공하는 한편 금융기관에는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안신용평가는 통신 이용 정보, 온라인 커머스 정보, 핀테크 서비스 이용정보(결제, 송금)등 기존 금융기관에서 신용평가에 활용하지 않았던 비금융정보를 활용하여 금융이력부족자(Thin Filer)들의 신용을 평가하여 폭넓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내부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비금융,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안신용평가 모델을 개발 중입니다. 카카오페이 평점(Kakaopay Score)은 결제와 송금 등과 같은 카카오페이 서비스와 이용자 행동 데이터 기반으로 모델을 구성하고, 최신 기술을 결합해 다면적 평가를 진행합니다. 여기에, 신용평가사가 제공하는 신용정보의 신뢰성과 대안 데이터가 가지는 변별력이라는 두 장점을 결합하여 카카오페이만의 대안신용평가시스템인 K-CSS(Kakaopay-Credit Scoring System)를 구축했습니다.
K-CSS는 당사의 2022년 1월 출시한 모바일 후불교통 서비스에 우선 적용되어 되었으며, 금융이력부족자들의 금융접근성을 높이고 이후 긍정적인 금융 이력을 쌓아 금융혜택을 받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카카오페이신용카드 발급 심사를 위한 대안신용평가 서비스가 금융위원회에서 제 8차 지정대리인으로 지정되어, 발급사인 삼성카드가 보유한 정보에 카카오페이가 제공한 대안신용평가 정보가 더해져 이용한도 부여 및 카드발급 심사 등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금융거래 정보가 부족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려운 학생 및 사회초년생 등의 금융이력 부족자 신용도를 평가할 수 있어 포용금융 확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 비즈니스 앱 고도화를 통한 소상공인 가맹점의 효율적 운영 지원
카카오페이 소호결제 키트를 도입한 소상공인 가맹점의 결제 관리를 돕기 위해 2020년 출시한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을 업그레이드하여 이제는 모든 소상공인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상공인 매장을 지원하고 매장 운영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카카오페이 가맹 여부와 상관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카카오페이 가맹점의 경우 카카오페이로 결제된 매출을 조회하고 취소할 수 있는 기능은 물론, 비가맹점이더라도 여신금융협회, 국세청, 배달앱과 정보를 연동하여 다양한 형태의 매출 및 정산 입금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큰 변화와 함께 앱 내에 '카카오페이 소상공인 멤버십' 서비스 또한 새롭게 출시하였습니다. 기존 '카카오페이 멤버십' 서비스는 하나의 바코드로 다양한 매장에서 포인트나 스탬프를 적립하고 그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대형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였습니다. 이제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의 '소상공인 멤버십' 서비스를 통하여 소상공인도 이러한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
당사는 소상공인의 매장 운영 효율화와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향후 지속적으로 비즈니스 앱의 기능을 다양화하여 이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카카오페이 생태계 내에서 소상공인 가맹점이 적극적으로 노출되도록 서비스를 통하여 지원하고, 그렇게 방문한 손님이 카카오페이를 이용하여 결제와 멤버십 적립을 하고, 소상공인 사장님은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을 통하여 매장을 보다 편리하게 운영하는 선순환 구조를 지향합니다.
다.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표준산업분류코드사업부문
K6619 | 기타 금융 지원 서비스업 |
가. 주요 서비스등의 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론칭일2022년 반기(제6기)2021년(제5기)2020년(제4기)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
결제서비스 | 2014.09 | 188,053 | 73.05% | 303,945 | 66.27% | 204,599 | 71.95% |
금융서비스 | 투자(2018.11) 대출/보험(2019.10) |
57,218 | 22.22% | 131,316 | 28.63% | 64,449 | 22.66% |
기타서비스 | 송금(2016.04) 전자문서(2017.06) |
12,174 | 4.73% | 23,386 | 5.10% | 15,322 | 5.39% |
Total | 257,445 | 100.00% | 458,647 | 100.00% | 284,370 | 100.00% |
나. 주요 서비스 등의 가격변동추이 및 가격변동원인
당사는 플랫폼 업체로서, 참여자들의 연결과 상호 작용을 통해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와 혜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가맹점 및 금융사 등과 계약을 체결할 시, 시장 지위 및 규모에 따라 각기 다른 수수료율을 책정합니다. 따라서 당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단위 가격이 따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간별로 비교가 어렵습니다.
가.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당사 및 종속회사는 결제 및 금융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으로 생산설비를 통한 생산이 아닌 인적자원을 활용한 사업이 주가 되므로 생산활동과 관련한 원재료 매입이 존재하지 않는 바, 매입에 관한 사항은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나. 영업설비
당사 및 종속회사는 결제 및 금융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핀테크기업으로 생산설비를 통한 생산이 아닌 주로 인적자원을 활용한 사업이 주가 됩니다. 당사 및 종속회사는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서버 하드웨어, 네트워크 장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 유형자산과 이에 대한 유지보수, 이를 운용하기 위한 IDC 상면, 전력, 네트워크 접속, 보안관제, 시스템 운영, 정보보호, 장애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가산동 LG CNS와 판교 SK C&C 사업부에 각각 1개의 IDC(Internet data center)센터를 임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당 IDC센터는 전력 및 회선, 그리고 보안 목적으로 별도센터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설립 시 카카오로부터 이관을 하여 현재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산동 IDC센터가 메인이며 판교 IDC센터는 유사 대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긴급복구센터입니다. 각 센터에는 서버, 네트워크장비, 보안장비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년 주기로 계약을 갱신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2개의 센터를 유지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IDC센터는 외주인원을 통해 관리를 하고 있으며 당사의 기계장치 대부분은 IDC센터에 소재하고 있고, 비품의 대부분은 본사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1) 유형자산
가. 비금융업
(단위 : 천원)
과목당반기전반기
<장부금액의 변동> | ||
기초 순장부금액 | 17,352,628 | 9,481,730 |
취득 | 13,614,011 | 5,331,551 |
처분 | (57,034) | (1,674) |
대체(주1) | 61,549 | 30,000 |
감가상각비 | (2,983,083) | (1,877,022) |
반기말 순장부금액 | 27,988,071 | 12,964,585 |
<취득원가 및 장부금액> | ||
반기말 | ||
취득원가 | 40,025,522 | 20,118,227 |
감가상각누계액 | (12,037,451) | (7,153,642) |
순장부금액 | 27,988,071 | 12,964,585 |
(주1) 전기말 장기선급금이 당반기 중 건설중인 유형자산으로 재분류된 금액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나. 금융업
(단위 : 천원)
과목당반기전반기
<장부금액의 변동> | ||
기초 순장부금액 | 11,782,314 | 5,849,724 |
취득 | 4,659,862 | 1,234,242 |
처분 | (753,637) | - |
감가상각비 | (1,489,759) | (695,314) |
반기말 순장부금액 | 14,198,780 | 6,388,652 |
<취득원가 및 장부금액> | ||
반기말 | ||
취득원가 | 19,862,026 | 9,771,590 |
감가상각누계액 | (5,663,246) | (3,382,938) |
순장부금액 | 14,198,780 | 6,388,652 |
(2) 설비의 신설 매입계획 등
IT 설비투자는 정보처리시스템 투자와 정보보호시스템 투자로 구분합니다. 정보처리시스템 투자는 금융 서비스 확대 및 이용자 증가에 따른 투자와 인프라 투자로 구성되며, 연도별로 사업규모 확대에 따라 지속 증가할 전망입니다.
정보보호시스템 투자는 안정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보안 인프라 및 시스템 투자이며, 2022년부터는 보안 고도화를 위해 2021년 대비 투자 금액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향후 3년간 IT 설비투자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2022년2023년2024년비고
정보처리시스템 (서버, 솔루션 등) |
8,869,674 | 16,493,968 | 23,583,003 | 이용자 및 서비스 증가에 따른 점진적 증가 |
정보보호시스템 (서버, 솔루션 등) |
3,427,894 | 4,157,270 | 4,599,555 | 2022년 보안 투자 금액 증가 |
합계 | 12,297,568 | 20,651,238 | 28,182,558 | - |
가. 매출업무
당사의 매출은 결제, 금융서비스 및 기타서비스 수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결제서비스는 이용자가 당사 플랫폼을 이용해 물품 또는 용역에 대한 대가를 결제시, 이를 가맹점에 정산하고 일정률의 수수료를 가맹점으로부터 수취하는 사업으로 가맹점 등과 계약체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수수료 정산 및 종료의 순으로 업무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카카오페이머니 또는 신용카드로 결제시 가맹점이 수취하는 물품 및 용역대금에 대하여 K-IFRS에 따라 수행의무 계약에 따른 통제가 이전되는 결제승인시점에 일정률의 수수료를 가맹점으로부터 받아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서비스 업무는 대출, 투자, 보험 관련 서비스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케이피보험서비스㈜ 및 ㈜카카오페이증권이 제휴사 금융 상품 등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들 자회사는 판매에 대한 대가로 제휴사로부터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해당 업무는 금융기관과 계약체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상품 판매, 수수료 정산 및 종료의 순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K-IFRS에 따라 각각의 수행의무 계약에 따른 통제가 이전되는 시점에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 업무로는 송금, 전자문서 등이 있으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수수료 정산 및 종료의 순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로 인한 수익은 K-IFRS에 따라 각각의 수행의무 계약에 따른 통제가 이전되는 시점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나.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매출유형품목2022년 반기(제6기)2021년(제5기)2020년(제4기)
결제서비스 | 결제 | 188,053 | 303,945 | 204,599 |
금융서비스 | 대출/투자/보험 | 57,218 | 131,316 | 64,449 |
기타서비스 | 송금/전자문서 등 | 12,174 | 23,386 | 15,322 |
합계 | 257,445 | 458,647 | 284,370 |
다. 판매 경로
당사는 플랫폼을 통해 금융사들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수행하므로 별도의 판매활동을 영위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당사는 가맹점 확대 및 금융회사 제휴 등을 위한 영업조직을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와 자회사를 포함한 영업조직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 및 자회사의 영업조직 현황]
구분역할
결제사업부문 | - 국내외 온,오프라인 결제 가맹점 영업, 관리 및 신규 비즈니스 발굴, 확대 - 알리페이 프로세싱 비즈니스 관리 - 가맹점용 앱서비스 기획, 개발, 운영 및 가맹점 신규 서비스 발굴, 제공 - 생활결제 관련 청구서 전달, 납부 서비스 제공 및 신규 비즈니스 발굴, 확대 |
투자부문 | - 투자영역 발굴 및 제휴 - 안정적인 주식 및 금융상품 매매 서비스 운영을 위한 제휴 |
보험부문 | - 보험상품/서비스 제휴, 운영 및 신규 비즈니스 발굴, 확대 |
대출부문 | - 신용조회/대출한도금리 비교 중개 서비스 제휴 및 개발, 운영 |
채널부문 | - 카카오페이머니 충전/송금 서비스 운영 - 자산관리/금융리포트를 통해 금융상품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운영 |
전자문서부문 | - 전자문서 수발신/열람 서비스 기획 및 이용기관/대행사 제휴 - 내문서함 시스템 운영 및 신규 비즈니스 발굴 |
사업지원 | - 은행, 카드사,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권과 카카오페이 서비스 간 제휴 및 협의 |
당사는 위 영업조직을 활용하여 직접 용역을 수행하여 가맹점과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중ㆍ소형 가맹점의 경우 제휴 PG사를 통해 영업대행을 진행합니다. 금융서비스의 경우 당사와 이용자간 직접 계약 관계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케이피보험서비스㈜, ㈜카카오페이증권 등 자회사를 통한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라. 판매 전략
(1) 결제서비스
(가) 내/외부 고객채널 확대
대내적으로는 카카오 계열사와의 긴밀한 결제서비스 협업을 통해 이커머스, 모빌리티 및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성장을 레버리지하며 사업을 확대시킬 예정입니다. 대외적으로는 배달의 민족, 야놀자 등 주요 외부 가맹점에서 차지하고 있는 현재의 선도적인 시장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생 커머스 및 O2O 서비스 가맹점을 발굴하고 이들과의 동반 성장을 위한 협업을 통해 시장내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자 합니다.
구분제휴전략
커머스 | - 선물하기, 쇼핑하기 등 주요 가맹점과의 수시 프로모션 진행 |
모빌리티 | - 택시, 대리운전, 주차, 바이크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에 카카오페이 결제 도입 |
멜론 | - 멜론 결제 성공률 증대를 위한 순차결제 기능 도입 - 카카오페이 정기결제 기능 제공 및 이용자 확대를 위한 프로모션 진행 |
카카오벤처스 | - 벤처, 스타트업종 진출시 카카오페이 결제 도입 협의 |
또한, 당사는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가맹점 확대 및 신규시장 개척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진행 중입니다. E&Y에 의하면 2020년 기준 오프라인 결제시장은 776조원으로 규모가 크고, 많은 이용자들이 참여하는 시장이기에 카카오페이 이용자의 사용 경험 제고를 위해, 그리고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반드시 획득하여야 하는 시장입니다. 현재 오프라인 가맹점은 약 250만개로 추산되며 당사는 그 중 약 150만개 이상의 가맹점을 2~3년 내로 추가 확보해 카카오페이의 범용성을 강화하고, PC방, 의ㆍ제약, 주차장 등 특수업종을 발굴해 시장의 저변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러한 오프라인 결제 사업의 강화를 위해 당사는 전국 각지의 모든 도시를 동시 공략하는 것이 아닌 지역 집중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결제의 신규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비교적 적을 것으로 판단 되는 젊은 층의 소비가 활발한 도시를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가맹점 수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및 지역화폐와의 연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오프라인 결제 사용율을 높이고, 그 다음 타겟 지역을 공략하여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전 지역에 오프라인 결제의 붐을 일으키고자 합니다.
(나) 글로벌 진출 확대를 통한 카카오페이 유저 사용처 확대
당사는 카카오페이 사용처 확대를 위해 글로벌 해외 가맹점 중 대형 가맹점 런칭을 확대하고 있으며, 구글, 애플, 넷플릭스 등에 이어 업종별 확대를 위한 여행, 숙박, 게임 등 주요 글로벌 기업 사용처 증대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현재는 카카오페이 이용자가 일본, 마카오, 싱가포르 등 해외 방문시 카카오페이 앱을 통한 결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국 등 아시아 전체와 호주까지 서비스 확대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아울러,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지역으로도 서비스 영역을 점진적으로 넓혀 나갈 예정입니다
(다) 마케팅 고도화
고객 혜택 제공 및 제휴 효과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모션을 기획하여 상시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마케팅 전략]
구분운영방식
즉시할인 | - 카드, 카카오페이머니 결제 전체 또는 카카오페이머니 한정 선택적 운영 - 특정 카드사 즉시 할인 기능 |
청구할인 | - 특정 카드 청구 할인 |
가맹점 할인 | - 가맹점 할인 쿠폰 (특정 딜, 상품 한정 진행 가능) - 가맹점 포인트 지급 |
온라인 결제 쿠폰 | - 카카오페이 채널에서 쿠폰 다운 후 결제 시 사용 |
페이포인트 제공 | - 결제 완료 시 포인트 사후 지급 |
고객 참여 경품 이벤트 | - 카카오프렌즈 굿즈 및 문화 티켓 활용 응모 이벤트 |
또한, 가맹점 니즈에 따라 카카오페이 이용자 데이터 기반 Target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Target 마케팅 전략]
구분운영방식
신규 이용자 | - 동종업계 이용고객 대상 가맹점 첫 결제 할인 |
휴면 이용자 | - 특정기간 미 구매고객 대상 시크릿 쿠폰 지급 - 특정 Day 선착순 할인 |
VIP 이용자 | - 가맹점 유료 멤버십 가망 고객 대상 가입 시 추가 혜택 지급 |
카카오페이 서비스 이용자 |
- 결제 채널 간 크로스 마케팅 : 카카오 내ㆍ외부, 온ㆍ오프라인 결제 채널 간 교차 사용 목적 타겟 쿠폰 지급 - 결제/금융 서비스 간 크로스 마케팅 : 결제만 사용하는 이용자 대상 금융 서비스 전이 : 송금, 청구서, 금융 서비스만 사용하는 이용자 대상 첫결제 유도 진행 |
(라) 서비스 개선/기능 고도화
결제 편의성의 증대를 위해 순차결제(1순위 결제수단 실패시 2순위 수단으로 결제하여 결제성공률을 증대), 정기결제, 송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2) 금융서비스
(가) 대출
기본적으로 다양한 상품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서비스 전략은 유지한 채 제휴 기관 및 상품의 다양성을 늘리는 방향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Aggregator로서의 신용대출 비교서비스의 성장세를 카드대출과 대환대출, 사업자대출, 오토론 관련 서비스까지 확대하고, 그동안 오프라인 서류준비 및 심사의 불편함이 있었던 전세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관련 서비스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대출서비스 중 내 대출 한도 서비스는 소비자가 금융기관을 직접 찾아다니면서 상품을 비교하는것이 아닌 이용자 개개인의 조건에 맞는 대출 상품을 카카오페이 플랫폼에서 비교하여 선택하게 할 수 있게 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서비스를 시장에 선보임으로써 금융시장이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상품확장과 더불어 여신 value chain 상 역할 확대를 동시에 추진해, K-CSS를 통한 앞단에서의 신용도 스크리닝을 통해 추가적 가치를 창출하는 한편, 후불교통과 후불결제 서비스 제공을 통해 결제 이용자의 편의 증진과 함께 K-CSS 고도화 및 추가 수수료 수익원을 확보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용자 수 확대 측면에서도, 일반 소비자를 넘어 비즈니스앱 이용자를 대상으로도 대출 광고 및 비교 서비스를 확장하는 한편, 2022년 상반기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증권을 통해 론칭한 MTS 서비스와 연계하여 신용거래 및 주식담보대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휴서비스를 추가할 계획입니다.
(나) 투자
당사 및 카카오페이증권은 플랫폼을 통하여 이용자들이 투자 가능한 상품의 다양성을 넓히며 이용자들로 하여금 제도적 금융상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고도화 하고자 합니다. 이에 카카오페이증권은 높은 트래픽을 기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투자상품 및 상품당 잔고가 높은 투자상품군을 각각 신규 출시할 예정이며, 서비스 영역을 강화해 재미와 투자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투자서비스와 컨텐츠를 확대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증가한 트래픽을 기반으로 카카오페이증권은 주식매매서비스(MTS)를 계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투자상품군(연금저축 등)을 계속적으로 추가하며, 일반 이용자들도 누구나 이용 가능한 private banking 투자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다) 보험
기존 보험은 설계사를 중심으로 한 대면 영업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당사의 보험 관련 서비스는 자회사인 케이피보험서비스㈜와의 협력을 통해서 기존과 같은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이용자들이 비대면으로 손쉽게 보험을 접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이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보험 관련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트래픽을 확보하여 서비스를 활성화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법인보험대리점인 당사의 자회사 케이피보험서비스㈜와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6월에 정식 출범한 디지털손해보험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을 통해 혁신적인 보험상품 및 서비스가 개발되면,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보험 트래픽 확보 및 보험 관련 사업의 확대 기회로 활용할 전략을 수립 중입니다.
마. 주요 매출처
2022년 반기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카카오, ㈜우아한형제들이며, 주요 2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 대비 약 38.3% 수준 입니다.
1) 시장위험과 위험 관리
당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과 유동성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위험관리 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사의 시장위험은 이자율위험, 가격위험, 외환위험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1) 이자율위험
이자율 위험은 미래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조건의 차입금과 예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자율위험관리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2) 가격위험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율변동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사는 유동성관리 및 영업상의 필요 등으로 비상장주식을 포함하는 지분증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수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3) 외환위험
외환위험이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환율위험은 금융상품을 측정하는 기능통화 이외의 통화로 표시된 금융상품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비화폐성 항목이나 기능통화로 표시된 금융상품에서는 환율위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당사에 환율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유의적인 자산ㆍ부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기업 및 개인 이용자에 대한 신용거래와 채권 뿐 아니라 현금성자산, 채무상품의 계약 현금흐름, 유리한 파생상품 및 예치금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당사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금융기관에 예치되고 있으며,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일반거래처의 경우 이용자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실충당금 차감 후 금액으로 당사의 신용위험 최대노출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 유동성위험
당사는 적정 유동성의 관리를 위해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조정을 통해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현금흐름의 예측은 당사의 재무부서가 수행합니다. 당사의 재무부서는 영업자금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당사의 자금조달계획, 약정 준수, 연결기업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라. 자본위험관리
자본관리의 주요 목적은 안정적 재무구조의 유지입니다. 당사는 자본관리 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2022년 반기2021년
부채 | 1,455,589 | 1,637,071 |
자본 | 1,796,831 | 1,795,638 |
부채비율 | 81.01% | 91.17% |
금융감독원은 금융투자업자의 자본적정성 유지를 위해 순자본비율을 100%이상 유지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순자본비율이 일정수준에 미달한 회사에 대하여는 경영개선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순자본비율 별 금융감독원의 경영개선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ㆍ 순자본비율 50% 이상 ~ 100% 미만: 경영개선 권고
ㆍ 순자본비율 0% 이상 ~ 50% 미만: 경영개선 요구
ㆍ 순자본비율 0% 미만: 경영개선 명령
당반기말 현재 금융투자업자인 자회사의 순자본비율은 경영개선조치 기준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2) 파생상품 거래 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2022년 반기2021년
주식인수약정으로 인한 파생상품부채 | - | - |
(단위: 백만원)
구분2022년 반기2021년
기초금액 | - | 2,000 |
당기손익인식액 | - | 1,150 |
대체 | - | (3,150) |
당반기말금액 | - | - |
ALIPAY SINGAPORE HOLDING PTE. LTD.와 전기 이전에 체결한 주식인수약정에 따라 ALIPAY SINGAPORE HOLDING PTE. LTD.는 2021년 4월에 당사가 신주 발행한 보통주 2,222,665주를 인수하였고, 이로 인해 전기중 파생상품부채가 자본잉여금으로 대체되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가 인식하고 있는 파생상품부채는 없습니다.
1) 경영상의 주요계약
반기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경영상의 주요 계약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계약체결일계약기간계약목적 또는 내용
산청건설 주식회사 | 2020.02.07 | 60개월 | 골드타워 4층 414호 임차계약 |
에스케이 주식회사 | 2020.08.31 | 36개월 | IT 서비스 계약 |
에스케이 주식회사 | 2021.07.30 | 5개월 | 보험원수사 장기보험 시스템 구축계약 |
주식회사 카카오 | 2021.10.27 | 120개월 | 카카오판교아지트 B동 8~15층 전대차계약 |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증권 | 2021.12.01 | 60개월 | 카카오판교아지트 B동 8층, 9층 전전대 제공계약 |
주식회사 케이피보험서비스 | 2022.05.12 | 59개월 | 카카오판교아지트 B동 9층 일부구역 전전대 제공계약 |
2) 연구개발 활동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당사는 반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5개의 실, 5개의 각 부분 비즈니스를 위한 목적성 조직을 중심으로 데이터, 서비스기반 플랫폼 구축 및 기술안정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조직 현황]
조직주요 업무
IT전략실 | - 전사 IT 전략 수립 |
기술플랫폼실 | - 핀테크 서비스를 위한 안정적이고 유연한 인프라(시스템/네트웍/DB) 구축 및 운영 - 핀테크 기술 선도를 위한 기술 분석 및 R&D 진행 |
서비스플랫폼실 | - 전사 핵심 서비스 기반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계정 / 메시지 / 정산 - 핀테크 비즈니스 에코시스템 확대를 위한 카카오페이 오픈 API -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데이터실 | - 다양한 기술을 통한 비즈니스 문제 해결 및 데이터 기반 AI/ML 애플리케이션 구축 - FDS / Kakaopay Credit Scoring / 안면인증 eKYC / 신분증 OCR |
클라이언트개발실 | - 카카오페이 이용자에게 최고의 사용성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App 개발 - Android / iOS / Front-End 개발 |
비즈니스별 목적성 조직 | - 다양한 핀테크 비즈니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결제 / 자산관리 / 투자 / 대출 / 전자문서 각 부문 비즈니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나. 연구개발비용
당사의 자회사의 경우 반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유의적인 연구개발 활동이 없으며, 별도기준 연구개발비용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2022년 반기(제6기)2021년도(제5기)2020년도(제4기)
인건비 | 41,981,979 | 85,344,059 | 41,449,164 |
제조경비 | 16,413,673 | 21,520,601 | 15,057,821 |
합계 | 58,395,652 | 106,864,660 | 56,506,985 |
자산계상 | - | - | - |
비용계상 | 58,395,652 | 106,864,660 | 56,506,985 |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용 | 24.44% | 26.49% | 23.01% |
다. 연구개발실적
연구개발에 따른 당사 및 자회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과제기대효과상품화
K-CSS(Kakaopay Credit Scoring System) 개발 | 금융이력부족자들의 금융접근성을 높이고 이후 긍정적인 금융 이력을 쌓아 금융혜택을 받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기위한 카카오페이 신용평점 모델 구축 | 모바일 후불교통 서비스 |
오프라인 바코드 및 QR 결제 시스템 개발 | 모바일 기반의 국내 가맹점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제공, 카카오페이가 등록된 모바일 기기만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활용 가능 | 국내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
모바일 기반 글로벌 결제 시스템 개발 | 진입장벽이 높은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온·오프라인 결제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빠르게 글로벌 시장으로 비즈니스를 확대할 수 있는 기반 구축 |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 및 해외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
HCE 모바일 교통카드 | 온라인 및 언택트 기반의 편리하고 간편한 교통카드 가입 지원과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단말 잠금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교통카드 사용 | 카카오페이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 |
페이카드, 페이카드2.0 | 하나의 실물카드 하나로 은행 구분없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활용 | 카카오페이카드 서비스 |
결제 RM(Risk Management) 플랫폼 | 결제시 발생하는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 | 카카오페이 결제 RM 시스템 |
카카오페이인증 및 관련 서비스 | ActiveX 없이 공동인증서 수준의 본인인증 서비스 제공 |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
공인전자문서 중계시스템 및 관련 서비스개발 | 공인전자문서 전담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유통정보를 적재 및 유통 | 카카오페이 공인전자문서중계 시스템 |
카카오페이 인하우스 전자서명 서비스 | 증권계좌 개설, 고액송금등 금융서비스 사용시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인방지 기능 개발 | 카카오페이 증권계좌 개설, 고액송금 인증 서비스 |
실시간 이벤트 처리 룰 관리 시스템 | 전사 서비스간 연동 효율성 및 재사용성 극대화. 서비스 성장을 위한 프로모션이나 마케팅에 활용 |
펀드 정기투자, 자동투자, 알모으기 투자, 버킷리스트 등 카카오페이증권의 다수 서비스에 적용 |
멀티 데이터소스 기반 타게팅 질의 엔진 | 데이터 소스와 형태에 상관없이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결과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연계 효율성이 증대 | 프로모션 플랫폼, 실험 플랫폼, 개인화 이벤트 룰 관리 시스템등 개인화 기반 엔진으로 서비스 적용 |
컨텐츠 기반 실험 플랫폼 | 실험 기반 서비스 기획 및 운영 가능. 네이티브 기반으로 구축된 서비스들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운영 가능. 이용자의 행동패턴 및 행동내역을 수집해서 서비스 개선 사항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 |
페이앱 및 카카오톡 기반 카카오페이에서 활용 |
서비스매쉬, 카나리 배포를 지원하는 컨테이너 기반CI/CD 시스템 | 서비스의 기능을 점진적으로 배포하는 기능을 통해 미션크리티컬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환경 제공 | 카카오페이 컨테이너 환경의CI/CD 시스템 |
쿠버네티스(Kubernetes) 감사 및 모니터링 시스템 | 운영 성능 및 안정성 강화 | 카카오페이 쿠버네티스 감사& 모니터링 시스템 |
메모리 기반의 이기종 스토리지 쿼리 서비스 | 서로 다른 스토리지간 분석 및 ETL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지원하며, 쿠버네티스 기반으로 서비스마다 독립적인 시스템 구성으로 간섭 최소화 | 수퍼셋, 쿠버네티스, 프레스토(Presto) 기반의 쿼리 서비스 |
대용량 데이터 실시간 통계 시스템 | 전사 데이터를 한곳에서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마케팅 및 FDS, 추천 시스템에서 운영 효율성을 높임 | 카카오페이 전사 실시간 통계 시스템 |
HBase DR(Disaster Recovery) 클라이언트 기술 개발 |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Pheonix Driver 만으로도 장애시 자동 커넥션 전환되어 시스템 운영 안정성 강화 | 오픈뱅킹, 마이데이터, 추천 시스템에서 적용 |
Kakaopay Credit Scoring Model 및 System 개발 | 전통적인 신용평가 방식을 통해 신용도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 하는 금융소외계층에게 카카오페이 후불교통/결제등의 금융서비스를 합리적으로 제공 | 후불교통 서비스 및 PLCC 적용 예정 |
개인 맞춤형 생활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금융 컨텐츠 추천 플랫폼 | 카카오페이를 이용하는 고객의 편의성, 서비스 이용 만족도 증가 | 카카오페이 금융 컨텐츠 추천 플랫폼 예정 |
SSDP(Self-Service Data Preparation)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플랫폼 개발 | 이용자가 별도의 ETL 절차없이 통합된 DW 데이터를 활용해 셀프 분석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요청/분석하는 사이클을 자동화하여 시간을 단축 | 카카오페이 데이터 분석 시스템 |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한 eKYC 서비스 개발 |
기존 제공되던 비대면 본인인증방법(전화/1원인증/영상통화)등에 비해 고객 편의성 제고 | 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송금/결제 인증 |
딥러닝(DL)을 이용한 신분증 문자인식(OCR) 기술 개발 | 신분증 인식, 문서인식등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에서 고객의 별도 입력 절차 없이 모바일 카메라 사진 촬영만으로 신분증, 문서에서 문자 인식 | 카카오페이증권 계좌 개설시 신분증 인식 |
카카오페이 주식 서비스 | 사용자의 편의성과 직관성을 극대화하여 남녀노소 편리하게 주식 투자가 가능하고, 국내 투자뿐 아니라 미국주식 선물하기 등 새로운 투자 문화를 조성하는 효과 | 카카오페이 주식 서비스 |
가. 지적재산권 현황
당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특허권, 상표권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 지적재산권 현황]
(기준일: 2022.06.30) (단위: 건)
구분출원등록
특허 | 16 | 31 |
상표 | 0 | 39 |
합계 | 16 | 70 |
(주1) 2022.3.18 제출한 사업보고서 대비 등록상표의 수의 변동은 공시대상 기간중 사용하지 않는 상표권이 소멸하여 감소되었습니다.
나. 규제사항 등
당사 영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관련 법령은 크게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전자금융거래법', '금융소비자보호법' 등이 있습니다.
구분내용주무부처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 전자문서중계업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 본인확인기관이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주민등록번호를 연계정보로의 변환요청에 응하도록 허용 (행정/공공기관과 연계하여 기존 우편을 통한 각종 고지를 모바일(알림톡)로 발송하는 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 은행, 보험사, 직업훈련기관 등 민간기관의 기존 우편을 통한 각종 고지를 모바일(알림톡)로 통지하고 확인하는 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의 앱인앱 형태로 제공하는 비대면 이동통신 가입(KT, 알뜰폰) 채널을 이용하여 카카오페이 인증서를 발급받아 편리하게 본인확인 절차를 진행하고 휴대전화를 개통할 수 있는 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전기통신사업법 | 부가통신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통신판매업 | 공정거래위원회 |
외국환거래법 | 외국환업무 (전자지급결제대행에 관련된 외국환업무) |
기획재정부 |
외국환거래법 | 외국환업무 (선불전자지급수단발행 및 관리에 관련된 외국환업무) |
기획재정부 |
전자금융거래법 | 전자지급결제대행업 | 금융위원회 |
전자금융거래법 | 결제대금예치업 | 금융위원회 |
전자금융거래법 | 전자고지결제업 | 금융위원회 |
전자금융거래법 |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 및 관리업 | 금융위원회 |
전자금융거래법 | 직불전자지급수단 발행 및 관리업 | 금융위원회 |
금융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금융상품에 대한 판매, 대리·중개, 자문업 금융상품 및 업무에 대한 광고 |
금융위원회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 본인신용정보관리업(마이데이터) | 금융위원회 |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솔루션 반기보고서 (0) | 2022.08.25 |
---|---|
삼성화재 반기보고서 (0) | 2022.08.25 |
대한항공 반기보고서 기업분석 참고자료 (0) | 2022.08.24 |
에스트래픽 22.08.16 주주에 관한 사항 (0) | 2022.08.24 |
에스트래픽 22.08.16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