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건강 정보

팔꿈치 찌릿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요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3. 3. 11.
반응형

팔꿈치 찌릿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요

팔꿈치 저림

방치하면 어떻게 될 까요?

일상생활 중 팔꿈치 찌릿 할 때 여러분은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처음에 한 두번이야 그냥 넘어갈 법도 한데

이러한 증상이 잦아 진다면 ? 모르긴 몰라도

신체에 이상이 생겼음은 짐작해 볼 수 있겠죠

누워 있을 때, 앉아 있을 때, 심지어 그냥

서 있을 때도 팔을 움직일 때마다 팔꿈치 찌릿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단순 근육통이

아닐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만약 팔꿈치 찌릿하는 증상이 잦아진다면

테니스 엘보를 의심해 볼 수 있어요.

테니스 엘보는 골프 엘보라고도 불리는 질환으로

팔꿈치 통증과 관련해서는 흔하게 나타나는

통증 질환 중 하나랍니다.

국내에서 부르는 정식명칭은 외내상과염이라고

부르죠.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테니스 엘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테니스 엘보의 어원은 테니스를 칠 때 팔꿈치

바깥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통증이 생기곤

하는데 그 현상에서 착안하여 만들어진

단어라고 해요.

발병 연령대는 30~60대 사이에 발병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팔꿈치 찌릿, 테니스 엘보 원인은?

이렇게 팔꿈치가 찌릿찌릿한 테니스 엘보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팔꿈치 안쪽 뼈 부분에는 손목 관절을 굽히는

힘줄들이 이어져 있습니다.

같은 동작을 너무 많이 반복하게 될 경우 이

힘줄이 파열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거죠.

그래서 팔꿈치 저림 증상이 나타날 때 그냥

넘어가면 안 된다는 말이 나온 겁니다.

증상이 정말 심각해지면 물건을 잡을 때도

팔꿈치 통증이 느껴질 수도 있어요.

근육은 다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죠.

정상적인 생활에 지장이 생기기 전에

팔꿈치 저림 증상이 있다면 초기에

병원을 가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내측상과염, 외측상과염 예방

초기에 증상이 나타날 때 관리만 잘 해준다면

사실 내측상과염, 외측상과염은 그리 심각한

질환은 아니게 넘어 갈 수 있습니다.

지나치게 반복하는 행위를 자제하고 만약에

격한 운동이나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팔꿈치가

찌릿하는 느낌이 든다면 과격한 활동을 멈추고

여건이 허락한다면 휴식을 취하는게 좋겠죠.

현대 사회는 육체적인 노동은 줄어들었지만

그에 반해 손은 많이 쓰게 되면서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와 같은 증상으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분들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해요.

당장 저만해도 손을 정말 많이 사용하긴 하네요.

지금 포스팅도 손을 이용해서 타이핑을 하고

있으니까요. 오래 써야하는 관절인만큼 앞으론

좀 더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테니스엘보, 골프엘보 치료방법

피치 못할 사정으로 내외측상과염 증상이

심화된 분들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선 손목 및 팔꿈치 관절을

최대한 쉬게 하고 수시로 냉찜질을 실행해

주면 매우 효과가 좋습니다.

통증이 너무 심한 경우라면 초음파, 전기자극과

같은 물리치료를 받으셔야 하는데 사실 가장

중요한 건 충분한 휴식입니다.

모든 질병이 그렇듯이 휴식이 최고에요.

하지만 통증이 너무너무너무 심하다면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 볼 필요가 있긴 합니다.

아주 가끔씩 수술적 요법이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너무 아프다면 내원하셔야 합니다.

또, 아프다고 쉬면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내측상과염&외측상과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포스팅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테니스 엘보의 원인이되는

팔꿈치 찌릿 증상과 관련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내측상과염, 외측상과염은 자칫 방치하면

큰 화를 초래 할 수도 있으니 증상이 진전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시길 바랍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