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포스코케미칼은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회사이자 40,000톤/년(2020년)의 Hi-Ni계 양극재 생산 capa를 보유한 국내 유일 음/양극재 소재를 동시 생산 및 납품하는 이차전지 소재사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은 1963년 1월 염기성내화물을 생산,판매 목적으로 설립된 삼화화성(주)와 1971년 5월 각종 산업로 보수 및 축로 시공을 목적으로 설립된 포항축로(주)가 1994년 12월 1일부 합병하여 포철로재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여 내화물 제조에서 시공까지 일관체제를 갖춘 종합노재회사로서 발판을 마련하였고, 2008년 제철소 석회소성설비 위탁운영, 2010~2011년 제철소 화성공장위탁운영 및 화성품 판매사업을 실시하며 외형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이후 2010년 LS Mtron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합병 하며 음극재사업을 시작하여, 2011년 음극재 세종 공장 준공(1호기, 600톤), 2013년 음극재 공장 1차 증설(2호기, 1,200톤)을 거쳐 2019년 음극재 세종 2-1 공장 준공(20,000톤)까지 총 44천톤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천연흑연 음극재 제품부터 인조흑연, 실리콘 음극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보유, 개발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사업부문은 2019년 포스코ESM 인수를 통해 양극재사업에 진출하여 광양 1,2 단계 준공(30,000톤) 및 광양 3,4 단계 증설(58,000톤/~2022년 준공)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용량 Hi-Ni계 NCM을 양산, 최근 NCMA, 전고체 전지용 양극재, Co-free NMx 등 빠르게 변화하는 전기차 시장에 발맞춰 기술개발 및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부입니다.
매출액 별로는 분기말 기준, 내화물부문 21.4%, 라임화성부문 30.9%, 에너지소재부문 47.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각 부문의 주요 거래처는 내화물부문은 포스코홀딩스(주)(舊 (주)포스코) 등, 라임화성부문은 포스코홀딩스(주)(舊 (주)포스코) , OCI(주), Krakatau Posco 등, 에너지소재부문은 이차전지사인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이며, 2022년 1분기 누적 매출액 기여도 순 주요 매출처는 LG에너지솔루션(44.9%), 포스코홀딩스(舊 (주)포스코)(36.1%), OCI(5.3%), 피엠씨텍(3.3%), 삼성SDI(1.3%) 등 입니다. 구매처로부터 직접 또는 대리점을 통하여 수주하며, 정비작업 및 건설공사는 발주처를 직접 접촉하여 견적서를 제출한 후 수의계약 또는 견적 입찰을 통하여 수주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기차 보급,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 저장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aving System, ESS) 등이 각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등 정책 및 규제에 힘입어 전세계적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는 4차산업의 주요 소재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차전지 사업은 IT기기의 성장과 친환경, 각국의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른 EV, ESS시장의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은 중국의 강력한 전기차 산업 육성 정책,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글로벌OEM 업체들의 전기차 모델 비중확대 추세 속에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는 생산량 증대와 기술 강화 및 매출처 다변화로 시장상황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구분주요 재화 또는 용역주요 고객
내화물사업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포스코홀딩스(주)(舊 (주)포스코) 등 |
라임화성사업 | 생석회 제조, 화성공장 위탁운영 및 화성품 판매 | 포스코홀딩스(주)(舊 (주)포스코), OCI(주), Krakatau Posco 등 |
에너지소재사업 | 음극재, 양극재 제조 및 판매 |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
가. 주요 제품 등 매출액 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품 목구체적용도2022년 1분기(제52기)2021년 (제51기)2020년 (제50기)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
내화물 사업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142,301 | 21.4 | 462,518 | 23.3 | 452,824 | 28.9 |
라임화성 사업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205,168 | 30.9 | 675,258 | 33.9 | 580,146 | 37.0 |
에너지소재 사업 | 음극재, 양극재 | 배터리 소재 | 317,101 | 47.7 | 851,766 | 42.8 | 533,266 | 34.1 |
합 계 | - | - | 664,570 | 100.0 | 1,989,542 | 100.0 | 1,566,236 | 100.0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톤)
품 목제52기 1분기제51기 연간제50기 연간
내화물 | 1,076,406 | 913,164 | 964,689 |
생석회 | 130,811 | 104,272 | 105,755 |
* 이차전지소재부문 재료 가격변동추이는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미표기
(1) 산출기준
ㅇ 산출대상 및 선정방법: 내화물 매출(신내화제품 제외) 단가, 생석회 매출단가
ㅇ 산출단위 및 산출방법: 해당제품의 운임을 포함한 대상기간 매출액 기준 평균가격
(2) 주요 가격변동원인
ㅇ 내화물은 전방산업의 업황 및 원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판매가격 변동
ㅇ 생석회는 유틸리티 단가, 원료비등을 고려 하여 판매가격이 결정되며,가격변동폭이 크지 않음
ㅇ 이차전지소재 원재료는 국제 광물자원 수급에 따라 가격 변동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천원, %)
사업부문매입유형품 목구체적용도매입액비율비 고
내화물 | 원재료 | 기타 | 제품제조 | 27,576,461 | 8.2 | - |
생석회 | 원재료 | 석회석 | 제품제조 | 25,290,851 | 7.5 | - |
에너지소재 | 원재료 | 흑연 外 | 제품제조 | 22,356,575 | 6.6 | - |
에너지소재 | 원재료 | NCM 外 | 제품제조 | 261,975,728 | 77.7 | - |
계 | - | - | 337,199,615 | 100.0 | - |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톤)
품 목제52기 1분기제51기 연간제50기 연간
내화물 | 486,477 | 319,723 | 294,227 |
생석회 | 21,667 | 19,484 | 19,410 |
(1) 산출기준
ㅇ 단가는 입고금액 기준
(2) 주요 가격변동 원인
ㅇ 내화물 원료의 경우 중국의 원부원료 가격인상 및 구성비 차이
ㅇ 석회석의 경우 석회석 원재료비의 변동은 미미한 편이며, 운임단가에 따라 소폭 변동
ㅇ 이차전지소재부문 재료 가격변동추이는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미표기
다.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 톤)
사업부문품 목사업소제 52기 1분기제 51기 연간제 50기 연간
내화물 | 연와, 부정형 등 | 포항 | 28,250 | 113,000 | 115,000 |
LIME | 생석회 | 포항 | 270,000 | 1,095,000 | 1,098,000 |
광양 | 270,000 | 1,095,000 | 1,098,000 | ||
합 계 | 568,250 | 2,303,000 | 2,311,000 |
※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가) 산출방법 등
ㅇ 소성공장 : 소성로 생산능력 기준
구 분B-1,2계
소성로 보유수(기) | 1 | 1 |
생산능력(톤/년) | 15,000 | 15,000 |
ㅇ 불소성공장 : Press 생산능력 기준
구 분B-4,5B-6계
Press 보유수(기) | 6 | 3 | 9 |
생산능력(톤/년) | 22,600 | 23,400 | 46,000 |
ㅇ 부정형공장 : 혼련 및 포장 능력(분쇄 능력 고려) 기준
구 분U-2B-4계
Press 보유수(기) | 2 | 2 | 4 |
생산능력(톤/년) | 42,000 | 10,000 | 52,000 |
ㅇ 생석회공장
* 생석회 생산능력 : 설비 Cap' 기준 (단위 : 톤/년)
구 분Shaft KilnRotary Kiln계Becken BachMaerz
포항 | kiln 보유수 (기) | 2 | 6 | 2 | 10 |
생산능력 | 219,000 | 657,000 | 219,000 | 1,095,000 | |
광양 | kiln 보유수 (기) | - | 5 | 4 | 9 |
생산능력 | - | 547,500 | 547,500 | 1,095,000 |
* 생석회 생산능력 : 설비 Cap' 기준 년간 생산능력을 표기하였습니다.
- 포항 : 3,000톤/일 (10기) (Kiln 모두 생산능력 300톤/일)
- 광양 : 3,000톤/일 (9기) (Shaft Kiln 생산능력 300톤/일,
Rotary Kiln 생산능력 375톤/일)
(나) 평균가동시간 (단위 : 시간)
구 분일일평균가동시간월평균가동시간누적가동일수누적가동시간
내화물 | 19 | 582 | 67 | 1,747 |
LIME(포항) | 235 | 7,046 | 881 | 21,137 |
LIME(광양) | 192 | 5,768 | 721 | 17,305 |
* LIME(포항): KILN 10기 합산 기준
* LIME(광양): KILN 9기 합산 기준
라.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톤)
사업부문품 목사업소제52기 1분기제51기 연간제50기 연간
내화물 | 연와, 부정형 등 | 포항 | 20,595 | 83,884 | 80,587 |
LIME | 생석회 | 포항 | 287,721 | 1,151,419 | 1,101,589 |
광양 | 282,937 | 1,295,720 | 1,243,402 | ||
합 계 | 591,253 | 2,531,023 | 2,425,578 |
※ 화성공장은 POSCO 설비에 대한 단순 위탁운영임에 따라 생산 실적 생략
※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2) 1분기 가동률 (단위 : 톤, %)
사업소(사업부문)생산능력생산실적평균가동률
내화물공장 | 28,250 | 20,595 | 73 |
생석회공장(포항) | 270,000 | 287,721 | 107 |
생석회공장(광양) | 270,000 | 282,937 | 105 |
합 계 | 568,250 | 591,253 | - |
※ 화성공장은 POSCO 설비에 대한 단순 위탁운영임에 따라 생산능력, 생산실적,
평균가동률 생략
※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마. 생산설비의 현황
(단위 : 천원)
구 분토 지건 물구축물기계장치차량운반구기 타건설중인자산합 계
기초장부가액 | 115,959,572 | 217,456,608 | 14,481,371 | 473,084,882 | 4,485,617 | 12,613,201 | 620,865,465 | 1,458,946,716 |
기초취득원가 | 115,959,572 | 260,025,479 | 27,662,705 | 696,427,936 | 14,383,684 | 55,354,359 | 626,112,475 | 1,795,926,210 |
정부보조금 | - | (1,408,441) | (33,950) | (7,130,725) | (31,003) | (288,814) | (5,247,010) | (14,139,943) |
감가상각누계액 | - | (41,160,430) | (13,147,384) | (208,138,797) | (9,867,064) | (42,452,344) | - | (314,766,019) |
손상차손누계액 | - | - | - | (8,073,532) | - | - | - | (8,073,532) |
취득 및 자본적지출 | 4,765,132 | 189,282 | - | 215,962 | 73,171 | 1,028,696 | 127,463,287 | 133,735,530 |
정부보조금 수령 | - | - | - | - | - | (93,211) | (107,211) | (200,422) |
대체(주1) | 517,962 | 11,310,514 | - | 1,922,629 | - | 176,056 | (13,927,161) | - |
감가상각(주2) | - | (2,100,215) | (274,618) | (10,066,685) | (513,366) | (1,464,856) | - | (14,419,740) |
처분 | - | - | - | (1) | (2) | (99) | - | (102) |
순외환차이 | - | 2,663 | - | 23,524 | 6,329 | 15,417 | 2,552 | 50,485 |
분기말장부가액 | 121,242,666 | 226,858,852 | 14,206,753 | 465,180,311 | 4,051,749 | 12,275,204 | 734,296,932 | 1,578,112,467 |
취득원가 | 121,242,666 | 271,528,609 | 27,662,705 | 698,518,792 | 14,329,687 | 56,205,494 | 739,651,153 | 1,929,139,106 |
정부보조금 | - | (1,395,199) | (33,484) | (6,993,061) | (28,419) | (353,989) | (5,354,221) | (14,158,373) |
감가상각누계액 | - | (43,274,558) | (13,422,468) | (218,271,888) | (10,249,519) | (43,576,301) | - | (328,794,734) |
손상차손누계액 | - | - | - | (8,073,532) | - | - | - | (8,073,532) |
바. 생산설비의 신설ㆍ매입계획 등
(1) 진행중인 투자 (단위 : 억원)
사업부문회사명구분투자기간투자대상 자산투자효과총투자액기투자액향후투자액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2020-07~2022-11 | 양극재광양공장 3단계 | 생산 Line up 확대 | 2,895 | 1,948 | 947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2020-11~2024-03 | 양극재광양공장 4단계 | 생산 Line up 확대 | 2,758 | 1,392 | 1,366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2021-12~2024-06 | 양극재포항공장 | 생산 Line up 확대 | 3,263 | 250 | 3,013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2019-11~2022-12 | 음극재 2공장_2단계 생산 Line up 확대 | 생산 Line up 확대 | 1,651 | 1,380 | 271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2020-02~2024-05 | 인조흑연음극재 신설 | 생산 Line up 확대 | 2,177 | 1,197 | 980 |
내화물 제조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2020-10~2022-11 | 포항 내화물 소성공장 노후설비 합리화 |
노후 개선 | 327 | 23 | 304 |
(2) 향후 투자계획 (단위 : 억원)
사업부문회사명구분예상투자총액연도별 예상투자액투자효과자산형태금액2022년2023년2024년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고정자산 | 1,242 | 1,016 | 226 | - | 양극재광양공장 3단계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고정자산 | 1,889 | 1,480 | 409 | - | 양극재광양공장 4단계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고정자산 | 3,003 | 827 | 2,165 | 11 | 양극재포항공장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고정자산 | 2,991 | 418 | 2,423 | 150 | 양극재포항공장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고정자산 | 426 | 426 | - | - | 음극재 2공장_2단계 생산 Line up 확대 |
이차전지 소재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고정자산 | 1,035 | 297 | 738 | - | 인조흑연음극재 공장 신설 |
내화물 제조 |
(주)포스코케미칼 | 신/증설 | 고정자산 | 306 | 306 | - | - | 포항 내화물 소성공장 노후설비 합리화 |
가. 매출에 관한 사항
-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2022년 (제52기)1분기2021년 (제51기)연간2020년 (제50기)연간매출액매출액매출액
내화물 사업 | 상품, 제품, 용역, 기타매출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수출 | 10,953 | 43,084 | 36,279 |
내수 | 131,349 | 419,434 | 416,545 | |||
합계 | 142,301 | 462,518 | 452,824 | |||
라임화성 사업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수출 | 11,295 | 38,070 | 31,337 | |
내수 | 193,873 | 637,188 | 548,809 | |||
합계 | 205,168 | 675,258 | 580,146 | |||
에너지소재 사업 | 음극재, 양극재 | 수출 | 301,285 | 728,309 | 394,861 | |
내수 | 15,815 | 123,457 | 138,405 | |||
합계 | 317,100 | 851,766 | 533,266 | |||
합 계 | 수출 | 323,533 | 809,463 | 462,476 | ||
내수 | 341,037 | 1,180,079 | 1,103,760 | |||
합계 | 664,570 | 1,989,542 | 1,566,236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포항노재기술섹션, 광양노재기술섹션, 글로벌마케팅그룹, 라임화성전략그룹, 에너지소재마케팅실
(2) 판매경로
직판매, 직수출, 대리점 - End User
(3) 판매방법 및 조건
제품판매의 경우에는 구매처로부터 직접 또는 대리점을 통하여 수주하며, 정비작업 및 건설공사는 발주처를 직접 접촉하여 견적서를 제출한 후 수의계약 또는 견적 입찰을 통하여 수주하고 있습니다. 판매조건에 있어서 주요거래처인 포스코의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후 1주일내 현금 50%와 전자구매카드 50%로 수령하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에 의한 신규 수요창출로 고객만족 강화
- 해외설비투자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로 국내시장 점유율 증대
- 로보수 부분의 독점적 기술능력의 지속적 유지
(5) 주요매출처
2022년 누적 매출액 기여도 순 주요 매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44.9%), 포스코홀딩스(舊 (주)포스코)(36.1%), OCI(5.3%), 피엠씨텍(3.3%), 삼성SDI(1.3%) 등
다. 수주상황(요약)
당분기말 현재 포스코케미칼의 수주잔고 총액은 약 72,681백만원이며, 상세내용은 'XII. 상세표 4. 수주상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수주상황(상세)' 참조 |
가. 주요 시장위험
당사 및 연결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시장위험(환위험, 공정가치 이자율 위험, 현금흐름이자율 위험 및 가격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나. 위험관리방식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하고 승인합니다.
당사의 환위험 관리와 관련한 정책 방향은 Natural hedge로써, 외화수입을 외화지출에 우선 충당하는 것입니다. Natural hedge 후 잔여 과부족에 대해서는 통화스왑 등 파생상품 체결 및 매출채권 할인 등을 통해 환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위험 관리정책에 따라 환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외환 노출도를 축소해 나가고 있습니다. 외환거래는 실물거래에 국한하고 있으며, 투기적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매출채권액을 적정 선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결제 연기/지연 고객사에 대한 결제 독려와 담보 관리 강화를 실시하고 있고, 부도 위험성이 높은 고객사에 대해서는 선제적 대응으로 매출채권의 부실화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다. 위험관리조직
회사는 내부적으로 환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모든 외환 거래에 대해서 적절한 헤징을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환위험을 관리할 전문 인력으로 FX환율 관련 업무 2인, 송금 및 계좌관리 관련 업무 2인을 두고 상호 업무를 분리하여 내부적인 통제수단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획지원본부를 통해서도 전사적 통합 위험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라.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포스코케미칼은 환율변동에 따른 상품가격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022년 1분기 말 환율기준 동 통화스왑 계약을 평가하였으며,이와 관련하여 2022년 1분기 말 현재 재무제표에 반영된 손익은 2,421백만원입니다.
(단위 : USD)
구분금융기관통화계약일만기일계약금액
통화스왑 | SMBC | USD | 2020-05-15 | 2023-05-15 | 100,000,000 |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 해당사항 없음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담당조직
명칭조직형태
기초소재연구소 | 연구기획섹션 |
탄소케미칼연구그룹 | |
내화물솔루션그룹 | |
에너지소재연구소 | 에너지소재연구기획그룹 |
양극재연구그룹 | |
음극재연구그룹 |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구 분제52기 1분기제51기제50기비고
원 재 료 인 건 비 제 조 경 비 |
3,921 2,816 55 |
12,610 8,246 4,007 |
2,347 8,500 10,806 |
- |
합 계 | 6,792 | 24,863 | 21,653 | - |
정부보조금 | 35 | 729 | - | - |
자 산 계 상 비 용 계 상 |
1,071 5,721 |
5,535 19,328 |
2,546 19,107 |
- |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 1.0% | 1.3% | 1.4% | - |
(3) 연구개발 실적
▶ 2021년도
- Gen3 EV용 Ni 87% NCMA 개발
- Premium Gen3 EV용 Ni 87% NCMA 개발
- EV 원통형전지용 급속충전 향상 저팽창 천연흑연 개발
-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환경 친화 불소성 MgO-C 내화물 연구
- 인조흑연 전극봉 제조 공정 기술 연구
- 슈퍼커패시터용 활성탄 연구
▶ 2020년도
- 고성능 원통형 전지용 High Nickel NCMA 양극재 개발
- MgO-C 내화재의 고온열화가 슬래그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해가스 제거용 프리미엄급 활성탄소 제품 개발(Lab)
- MgO-C 제조용 binder의 특성 연구로 제조품질 향상
- 화성 콜타르 중 수분 저감 기술 개발
- 마그네시아 원료에 따른 CaO-Al2O3-SiO2 슬래그와의 용해거동 연구
▶ 2019년도
- 가성비 우위 천연흑연 음극재 개발
- 코크스 오븐 배개스 순환시스템 유동해석 모델개발
- MHP 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 STS 전로 바닥 수명향상 내화물 개발
- 친환경 무수분 코팅제 개발
- 주조래들 바닥용 저흑연 AMC 벽돌 개발
- 침상코크스 제조용 원료 물성 제어기술 개발
- 노즐주변충진재 품질 향상 재질 개발
- 고급재생원료 활용 내화물 기술 개발
- MgO-C 내화물의 제조품질 향상 기술 개발
- Gen2.5 EV용 NCM 양극재 N65 개발
- Gen2.0 EV용 NCM 양극재 N60 개발
- 염가형 고출력 LTO T34-Dx 개발
- 주행거리 500Km xEV向(G3.0) 천연흑연 음극재 개발
1. 사업에 관한 사항
가. 산업의 특성
(1) 내화물사업
- 내화물 제조
내화물(Refreactory products)이란 고온에서 연화가 되지 않고, 고온ㆍ고열에 견뎌내는 물질로서 1300℃ 이상의 열처리를 하는 모든 공업에 사용되는 세라믹스를 말합니다. 국내 내화물 산업은 90년대 중반까지 중화학 공업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 성장을 이루어 설비투자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으며 양적, 질적인 성장이 가능하였습니다.
- 내화물정비
제철소 고로 및 각종 플랜트에 내화물을 시공하는 노재정비는 제철, 화학업종의 경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국내외로부터 전문성을 인정받아 석유화학 및 플랜트 제조업체로의 매출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사의 내화물 시공분야 국내 최고수준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으며 고로건설과 개수, 철강, 비철, 소각로 및 석유화학 설비는 물론 해외 플랜트 내화물공사의 전문성까지 확보하고 있습니다.
(2) 라임화성사업
- 라임(LIME)사업
당사는 포스코홀딩스(주)(舊 (주)포스코)의 포항제철소 및 광양제철소의 COG가스를 정제하는 화성공장을 위탁운영 중에 있으며, 동공정 중 발생되는 화성품을 매입 및 가공하여 판매하는 화성사업을 영위중에 있습니다. 생석회 시장은 포스코向, 현대제철 제철용 생석회가 전체생석회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포스코로 공급을 하고 있는 당사와 현대제철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화성사업
당사가 포스코로부터 매입후 가공 판매하는 콜타르 및 조경유 등의 화성제품은 고로를 가진 제철소에서만 생산가능하며 국내에서는 진입장벽이 높은 사업입니다. 콜타르, 조경유 등 화성품 시장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석회 시장과 같이 소수 업체만이 경쟁하고 있는 과점 형태의 시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철 부산물로서 석탄화학 가공을 하는 수직계열화 시장의 특성이 존재합니다. 화성품 공급에 있어 당사는 관계사인 피엠씨텍, OCI 등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화성품 시장은 당사 및 현대제철로부터 생산되는 화성품이 대부분 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에너지소재사업
- 에너지소재사업
에너지 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0년 8월에 LS엠트론의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 하였고 2019년 4월에 양극재 회사인 포스코ESM 을 흡수합병하여 현재 이차전지 밸류체인에서 후방산업 성격을 띄고있는 고부가가치 소재인 음극활물질(음극재) 소재와 양극활물질(양극재) 소재를 모두 생산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시장규모 확대를 예상하며, 이에 따라 증가될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비 확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음극재 생산 능력은 현재까지 확정된 투자 계획 하에서 천연흑연계 음극재 기준 2021년 61천톤/년(준공기준) 수준에서 2025년에는 106천톤/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25년까지 인조흑연계에서도 62천톤/년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춰 2025년에는 총 168천톤/년 체제를 갖출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양극재 생산능력 또한 2021년 40천톤/년 수준에서 2025년에는 345천톤/년 수준까지 대폭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차전지 구성요소 및 양ㆍ음극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차전지의 구성 |
- 이차전지(Secondary cell)
이차전지란, 방전이 되면 사용 불가능한 일회적인 1차전지와는 달리, 전기를 저장했다가 2회이상 반복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말합니다. 재사용이 불가능한 1차전지보다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ESS(Energy Storage System), EV, IT/Moblie 용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양극재(Cathode)
양극재는 리튬이온전지의 4가지 핵심소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또한, 리튬의 공급원으로써, 전지 충/방전 시 양극재의 결정격자로부터 리튬을 방출/흡수하여, 전지 내에 전기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리튬을 많이 포함한 양극재를 사용할수록 용량이 커지게 되고, 음극재와 양극재의 전위차가 크면 전압이 커집니다.
- 음극재(Anode)
음극재는 리튬이온과 전자를 전지 충전 시 저장하였다가 방전 시 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전지가 충전상태일 때 리튬이온은 음극에 존재하며 방전 시 리튬이온은 전해액을 통해 다시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리튬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도선을 따라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및 경쟁요소
(1) 내화물 사업
내화물 시장은 국내 업체들도 치열한 가격 경쟁에서 살아 남기 위해 중국진출 등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세계시장에서도 충분한 원가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다국적기업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업체간의 과다한 경쟁을 자제하고 현재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국내 시장의 방어는 물론 경쟁력을 강화하여 세계시장으로의 확대도 가능하리라 여겨집니다.
(2) 라임화성 사업
화성품의 경우 제철공업 및 화학공업의 대표 원료로서 그 수요가 소폭 증가하고 있으나, 전극봉 및 인조흑연 음극재의 원료인 침상코크스 사업, 전극재의 주 원료인 피치코크스 사업, 흑연블록 사업 등 석탄화학 사업의 기초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콜타르수요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화성품, 석회의 품질 개선, 공급 확대 등에 대한 다양한 요구로 소성기술의 발전 및 신식 소성로의 도입 등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향후 고부가가치의 Down Stream사업(침상코크스, 음극재)의 성장에 따라 화성품 가치의 상승은 증대할 것으로 전망되며, 또 하나의 주요 신소재로서 자리매김하면서 그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에너지소재 사업
2차전지 산업 밸류체인 |
자료 : 신한금융투자
이차전지의 4대 핵심요소는 양극활물질(양극재), 음극활물질(음극재), 분리막 및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배터리 제조업체는 핵심 소재들을 매입 또는 자체생산하여 이차전지를 생산하고, 최종적으로 IT, 자동차, 에너지 업체들에 공급합니다. 주요 최종 적용 제품으로는 소형분야인 모바일기기와 중대형분야인 전동공구, E-bike, 전기차, 전력저장시스템(ESS) 등이 있습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리튬이온 이차전지 시장)은 2018년 179GWh에서 2030년 3,392GWh까지 약 17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대형분야인 전기차 시장은 전세계적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2030년 3,066GWh의 수요가 전망되며 2019년 대비 약 30배 가량의 폭발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이외에도 전력저장시스템(ESS), 전동공구, E-bike 및 모바일, E-모바일 등 소형분야에서도 이차전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차전지 시장 성장 추이 및 전망]
2차전지 시장 성장 추이 및 전망 |
자료 : SNE Research
[글로벌 리튬이온배터리 수요 산업 비중 변화 예상]
수요 산업 비중 변화 |
자료 : 포스코경영연구원, NICE평가정보
최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기차 보급, 신재생에너지의효율적 저장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aving System, ESS) 등이 각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등 정책 및 규제에 힘입어 전세계적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는 4차산업의 주요 소재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전기차 배터리업체를 대상으로 이차전지 주요 소재를 납품하여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배터리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당사의 주요 매출처인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2021년 누적기준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점유율 2위(20.3%)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와 함께 2020년 1월, 당사와 1조 8천억원 규모의 양극재 중장기 단가 및 공급계약을 체결하기도 하였습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 전망]
2040년 전기차시장 전망 |
이차전지 사업은 IT기기의 성장과 친환경, 각국의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른 EV, ESS시장의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은 중국의 강력한 전기차 산업 육성 정책,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글로벌OEM 업체들의 전기차 모델 비중확대 추세 속에 2018년 약 200만대 규모에서 2025년에는 약 1,500만대 규모로, 연평균 약 29%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시장 성장의 이유로는 아래와 같이 3가지의 이유로 보고 있습니다.
○ 주요국가의 EV Drive 정책
급격하게 증가하는 전기자동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각 국가별 다양한 이차전지
산업 육성 및 활성화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중국, 미국, 유럽 등 EV 주요 생산 및 판매 국가에서 구매자들에게 세제 혜택과 차량 보조금을 지급해주며 자동차 생산업체에게 전기차 생산을 의무화하고,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규제 강화 또는 내연기관의 퇴출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EV 구매의 매력 상승과 완성체 업체의 전기차 포트폴리오 확대 및 생산/공급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글로벌 Car OEM 업체들의 전기차 판매 목표
각국의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라인업이 추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본격적인 전기차 시장의 확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독일의 폭스바겐은 '트랜스폼 2025+' 라는 전략 하에 2025년까지 연간 150만대의 전기차 판매를 목표로 하며, 장기적으로는 2050년까지 완전한 탄소중립실현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일본의 도요타 또한 2030년까지 전기차 라인업을 30종으로 확대하며 연간 350만대의 판매량 목표를 세웠습니다.
○ 전기차 생산 기술 발전에 따른 주행거리 상승 & 가격 하락
최근 계속되는 양극재 중심의 배터리 발전으로 배터리의 에너지밀도가 향상되고 있습니다. 고가 소재인 코발트 중심의 양극재에서 하이-니켈 중심의 양극재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배터리 효율성이 개선되어 내연기관과 비교하여 단점이었던 EV의 주행거리가 상승하고 생산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1) 내화물 사업
내화물 산업의 매출비중은 제철, 제강산업이 약 70%, 시멘트, 요업산업이 약 10%로 2개 주요산업의 비중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어, 상기 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시장점유율 등
구 분2020년2019년2018년
포스코케미칼 | 19.4% | 19.8% | 22.1% |
주) 대한내화물공업협동조합발행책자(2021.6) '내화물공업현황'의 내화물제품
수급현황의 수요부문의 금액(2020년기준 1,127,895백만원)을 기준으로 내화물
제조사업부분만을 산정하였습니다.
(2) 라임화성 사업
생석회 및 화성사업은 제철소의 조강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조강생산량 증감에 따라 손익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국내 철강시장의 치열한 경쟁속에서도 지속적인 원가절감을 통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으며, 포스코 해외 제철소 사업에도 동반진출하여 관련사업을 영위중에 있습니다.
(3) 에너지소재 사업
이차전지소재사업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및 IT기기 시장의 성장확대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선진 국가들은 탄소저감을 위하여,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 등의 각종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는데 향후 국가별 정책변화에 따라 산업의 성장속도는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전 사업부문에서 계절적 영향은 크지 않은 편입니다.
라. 종속회사의 사업현황
당사는 PT.Krakatau Posco Chemical Calcination의 지분 80%, 장가항포항내화재료(유)의 지분 51%, (주)피앤오케미칼의 지분 51%, POSCO CHEMICAL FZE의 지분 100%를 보유 중입니다.
[PT.Krakatau Posco Chemical Calcination]
포스코케미칼은 포스코의 인니제철소 사업파트너 PT-krakatau Steel의 자회사인 PT-KIEC사와 8:2(포스코케미칼 : 80%, PT-KIEC : 20%)의 비율로 지분을 투자하여 인니에 설립된 해외법인으로, 생석회를 생산하여 인도네시아 일관밀 PT-KP(PT.Krakatau Posco) 제강 공장에 공급중에 있습니다.
[장가항포항내화재료(유)]
중국 강소성 장가항시에 소재하며 내화재료 공급, 노재정비 작업 수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피앤오케미칼]
(주)OCI와 합작하여 설립한 법인으로 전남 광양에 소재하고 있으며, 과산화수소, 정제COG 등 각종화학제품 및 부산물을 생산하여 판매할 예정입니다.
[POSCO CHEMICAL FZE]
나이지리아 레끼시에 등록된 법인으로, 현지내 특정 프로젝트의 내화물 시공공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 자원조달의 특성
- 내화물의 중요한 원.부원료는 중국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며, 당사는 자체 공장에서 고품위의 해수 마그네시아 클린커를 생산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원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생석회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당사와 포스코가 강원도 및 일본에서 공동구매 형식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 음극재의 주원료인 천연흑연은 중국이 최대 생산국이며 콜타르를 가공하여 생산
되는 인조흑연은 일본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 양극재의 주원료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바.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2021년은 With 코로나의 지연, 글로벌 공급망 차질 영향 등 사회, 경제적으로 험난한 경영환경 하에서 미래성장을 위한 에너지소재분야 대규모 증설 투자에 집중하는 한편, 수익성 향상활동과 지속가능경영 내실화를 통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인 매출액 19,895억원, 영업이익 1,217억원(연결기준)을 달성하였습니다.
지난 한해동안의 주요 경영성과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첫째, 에너지소재 사업은 생산 Capa 확대, 해외투자 가속화 등으로 중장기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
양극재는 현재 60천톤 규모의 증설과 추가로 60천톤 규모의 투자를 준비 중에 있으며, 음극재는 44천톤에서 61천톤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하였으며, 8천톤의 인조흑연 음극재 신설라인도 준공하였습니다. 또한, 음극재 원료업체 지분투자를 통해 안정적 공급기반을 구축하였으며, 美 OEM社와 북미 양극재 JV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전망 수요 대응을 위해서 연구개발을 강화하는 한편, 신규고객사들과의 협의,공급계약 및 MOU 체결 등 수주확대 노력에도 매진하였습니다.
둘째, 내화물, 라임화성 사업은 설비 신예화 등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였습니다.
내화물 사업은 공장설비 신예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신설 불소성품 공장 全공정을 자동화하였고 생산능력을 46천톤에서 52천톤으로 확대하였으며, 현재 소성품 및 기능성품 공장도 신예화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아울러, 경제성 제품 신규개발 및 EPC 역량 확보로 국내외 신규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한편, 라임화성사업은 공정기술 개발로 원가경쟁력 및 생산수율을 향상시켰습니다.
셋째, 안전문화 정착 및 ESG 활동으로 지속가능경영을 내실화하였습니다.
'안전해서 행복한 사업장' 구현을 위해, 전원 참여 활동 등 지속적 잠재위험 발굴 및 개선 활동을 추진하였으며, 직영 및 관계수급사 간 원활한 소통을 통해 실행과 확인 중심의 체계 강화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또한, 패각 자원화 추진을 통한 생석회 대체 등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 탄소중립, 자원순환 경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품 목구체적용도2022년 1분기(제52기)매출액매출액비율(%)영업손익영업손익 비율(%)
내화물 사업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142,301 | 21.4 | 6,012 | 23.5 |
라임화성 사업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205,168 | 30.9 | 6,135 | 24.0 |
에너지소재 사업 | 음극재, 양극재 | 배터리 소재 | 317,101 | 47.7 | 13,396 | 52.5 |
합 계 | - | - | 664,570 | 100.0 | 25,543 | 100.0 |
2. 기타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외부자금조달 요약표
[국내조달] (단위 : 백만원)
조 달 원 천기초잔액신규조달상환등감소기말잔액비고
은 행 | 212,590 | 60,518 | - | 273,108 | - |
보 험 회 사 | - | - | - | - | - |
종합금융회사 | - | - | - | - | - |
여신전문금융회사 | - | - | - | - | - |
상호저축은행 | - | - | - | - | - |
기타금융기관 | - | - | - | - | - |
금융기관 합계 | 212,590 | 60,518 | - | 273,108 | - |
회사채 (공모) | 660,000 | - | - | 660,000 | - |
회사채 (사모) | - | - | - | - | - |
유 상 증 자 (공모) | 1,273,518 | - | - | 1,273,518 | - |
유 상 증 자 (사모) | - | - | - | - | - |
자산유동화 (공모) | - | - | - | - | - |
자산유동화 (사모) | - | - | - | - | - |
기 타 | - | - | - | - | - |
자본시장 합계 | 1,933,518 | - | - | 1,933,518 | - |
주주ㆍ임원ㆍ계열회사차입금 | - | - | - | - | - |
기 타 | - | - | - | - | - |
총 계 | 2,146,108 | 60,518 | - | 2,206,626 | - |
(참 고) 당기 중 회사채 총발행액 | 공모 : | - | 백만원 |
사모 : | - | 백만원 |
[해외조달] (단위 : 백만원)
조 달 원 천기초잔액신규조달상환등감소기말잔액비고
금 융 기 관 | - | - | - | - | - |
해외증권(회사채) | 118,550 | 2,530 | - | 121,080 | - |
해외증권(주식등) | - | - | - | - | - |
자 산 유 동 화 | - | - | - | - | - |
기 타 | - | - | - | - | - |
총 계 | 118,550 | 2,530 | - | 121,080 | - |
나. 기타 중요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래프톤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21 |
---|---|
삼성생명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21 |
두산에너빌리티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20 |
LG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20 |
한국전력공사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