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분기보고서 기업분석
회사의 핵심 사업은 Beauty(화장품), Home Care & Daily Beauty (이하 HDB, 생활용품), Refreshment(음료)으로 구분됩니다. 2021년 연간 기준으로 각 사업부문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Beauty(54.9%), HDB(25.4%), Refreshment(19.7%)입니다.또한 Beauty와 Daily Beauty를 포함하는 Total Beauty는 전체 매출의 70.8%를 차지합니다.
Beauty 사업부문의 주요 럭셔리 브랜드인 '후', '숨', '오휘' 는 회사의 성장 동력으로서 회사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연주의 브랜드 '더페이스샵', 더마 브랜드 'CNP', 메이크업 제품에 강점이 있는 'AVON' 브랜드 등 다양한 프리미엄 브랜드로 국내외 화장품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HDB 사업부문은 크게 Daily Beauty(DB)와 Home Care로 구분될 수 있는데, DB는 샴푸, 바디워시, 치약처럼 개인의 미용과 위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Beauty 용품이고, Home Care는 집안 청소와 의류 세탁에 사용되는 생활용품입니다. 생활용품에 들어가는 원료를 판매하는 사업도 하고 있는데, 이는 Home Care에 포함되어 있습니다.HDB 사업부문은 회사의 가장 오래된 사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굳건한 1위 지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Refreshment 사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브랜드는 '코카콜라'입니다. 회사의주요 종속회사인 코카콜라음료(주)가 코카콜라의 보틀링 파트너로서 코카콜라사로부터 원액을 구매해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방식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비탄산음료인 주스, 커피, 생수 등의 제품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더운 여름이 성수기인 Refreshment 사업과 춥고 건조한 계절이 성수기인 Beauty 사업은 상호 보완하여 매출의 연중 변동성을 축소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내수 지위를 갖고 있는 Home Care와 Refreshment 사업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동시에 럭셔리 및 프리미엄 Beauty 브랜드와 Daily Beauty 브랜드의 해외 시장 안착을도모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 II. 사업의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
가. 주요 제품 현황
(2022.3.31 기준) | (단위 : 억원) |
사업주요제품주요상표 등제22기 1분기 매출액(비율)제21기 매출액(비율)제20기 매출액(비율)
Beauty (화장품) |
기초 화장품 | 후, 숨, 오휘, CNP | 6,996 (42.5%) |
44,414 (54.9%) |
43,698 (55.7%) |
색조 화장품 | VDL, VDIVOV | ||||
HDB (생활용품) |
샴푸 등 | 엘라스틴, 리엔 | 5,527 (33.6%) |
20,582 (25.4%) |
19,615 (25.0%) |
치약 등 | 페리오, 죽염 | ||||
바디로션 등 | 벨먼, 피지오겔 | ||||
세탁세제 등 | 테크, 샤프란 | ||||
주방세제 등 | 자연퐁, 홈스타 | ||||
생산원료 등 | 계면활성제, 지방산 | ||||
Refreshment (음료) |
탄산음료 | 코카콜라, 스프라이트, 몬스터 에너지 | 3,927 (23.9%) |
15,919 (19.7%) |
15,132 (19.3%) |
비탄산음료 | 미닛메이드, 조지아, 파워에이드 | ||||
생수 | 평창수 | ||||
합 계 | 16,450 (100.0%) |
80,915 (100.0%) |
78,445 (100.0%) |
나. 주요 제품 가격변동 현황
(2022.3.31 기준) | (단위 : 원) |
사업 | 품 목 | 제22기 1분기 | 제21기 | 제20기 | 비 고 |
Beauty (화장품) |
오휘 스킨 | 33,000 | 33,000 | 33,000 | - |
이자녹스 로션 | 33,000 | 31,200 | 31,200 | - | |
수려한 비책자단 메탈쿠션 FD | 28,200 | 25,800 | 25,800 | - | |
닥터벨머 시카 수분크림 | 20,400 | 19,200 | 19,200 | - | |
HDB (생활용품) |
페리오 치약 | 2,190 | 2,020 | 2,020 | - |
리엔 샴푸 | 12,210 | 11,186 | 10,160 | - | |
자연퐁 | 4,430 | 4,290 | 4,290 | - | |
테크 | 15,890 | 14,400 | 14,400 | - | |
샤프란 | 5,520 | 4,910 | 4,910 | - | |
Refreshment (음료) |
코카콜라 | 2,386 | 2,386 | 2,212 | - |
미닛메이드 | 2,742 | 2,742 | 2,545 | - |
주) 상기 제품 가격은 공장도가격 기준입니다. |
가. 주요 원재료
(1)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2022.3.31 기준) | (단위: 억원) |
사업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 용도 | 매입액 | 비율 | 주요 매입처 |
Beauty (화장품) |
원재료 | 스쿠알란, 알부틴, Macademia Oil 등 | 각종 화장품 원료 | 261 | 18.9% | 엔에프씨, 고원화성 등 |
부재료 | 용기, 캡, 단상자 등 | 보조재 | 570 | 41.4% | (주)신우, (주)연우 등 | |
상품 | 스킨, 로션, 트웨이케익 등 | 상품 판매 | 547 | 39.7% | 제니코스, 코스맥스 등 | |
소계 | - | - | 1,378 | 100.0% | - | |
HDB (생활용품) |
원재료 | 소다회, AOS, 우지, Palm Stearin Oil 등 | 샴푸, 비누, 치약 등의 원료 |
669 | 34.7% | 이수화학, 동남합성 등 |
부재료 | 용기, 캡, 단상자 등 | 보조재 | 233 | 12.1% | 일양화학, 한일프라콘 등 | |
상품 | 칫솔 등 | 상품 판매 | 1,027 | 53.2% | 에버코스, 럭키산업 등 | |
소계 | - | - | 1,929 | 100.0% | - | |
Refreshment (음료) |
원재료 | 원액, 당류, 과즙 등 | 음료(탄산, 비산탄 음료)원료 |
909 | 42.1% | 한국코카콜라유한회사, 인그리디언코리아 등 |
부재료 | 용기, 캡, 상자 등 | 보조재 | 551 | 25.5% | 테크팩솔루션, 한일제관 등 | |
상품 | 음료(탄산 및 비탄산 음료) 원료 등 | 상품 판매 | 698 | 32.4% | 오케이에프 등 | |
소계 | - | - | 2,158 | 100.0% | - | |
합계 | 원재료 | 1,839 | 33.7% | - | ||
부재료 | 1,354 | 24.8% | - | |||
상품 | 2,272 | 41.6% | - | |||
합계 | 5,465 | 100.0% | - |
(2)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 현황
(2022.3.31 기준) |
사업 | 품 목 | 통화 | 단위 | 제22기 1분기 | 제21기 | 제20기 |
Beauty (화장품) |
Macadamia Oil | KRW | Kg | 7,394 | 7,396 | 6,930 |
Cetyl Alcohol | KRW | Kg | 9,002 | 8,931 | 7,699 | |
Stearyl Alcohol | KRW | Kg | 10,595 | 9,794 | 9,682 | |
HDB (생활용품) |
Palm Stearin Oil | USD | ton | 1,551 | 1,291 | 684 |
Palm Kernel Oil | USD | ton | 2,394 | 2,024 | 855 | |
Refreshment (음료) |
원액 | KRW | SU | 446,381 | 431,614 | 403,710 |
당분류 | KRW | Kg | 640 | 574 | 540 | |
오렌지과즙 | KRW | Kg | 3,718 | 3,250 | 3,616 | |
포도과즙 | KRW | Kg | 3,350 | 3,186 | 3,111 |
주) 원자재 중 매입금액 상위품목 및 여러 제품에 자주 사용되는 품목을 선정하였습니다. |
나.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생산실적, 가동률
-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2022.3.31 기준) | (단위: 억원) |
사업 | 품 목 | 사업소 | 제22기 1분기 | 제21기 | 제20기 | |||
생산능력 | 생산실적 | 생산능력 | 생산실적 | 생산능력 | 생산실적 | |||
Beauty (화장품) |
화장품 | 청주 | 5,478 | 4,489 | 41,970 | 34,493 | 41,582 | 34,068 |
소계 | 5,478 | 4,489 | 41,970 | 34,493 | 41,582 | 34,068 | ||
HDB (생활용품) |
치약, 샴푸, 세제, 섬유유연제 등 | 청주 | 1,631 | 1,176 | 6,457 | 4,740 | 6,736 | 4,968 |
피부용품, 세탁용품계면활성제 등 |
울산 | 949 | 552 | 2,986 | 1,942 | 2,438 | 1,665 | |
온산 | 423 | 311 | 1,639 | 1,296 | 1,677 | 1,144 | ||
세트, 랩 | 나주 | 17 | 11 | 75 | 49 | 64 | 45 | |
소 계 | 3,020 | 2,049 | 11,158 | 8,027 | 10,915 | 7,822 | ||
Refreshment (음료) |
탄산 및 비탄산음료 | 여주 | 2,281 | 1,353 | 9,582 | 5,284 | 8,926 | 5,247 |
양산 | 1,161 | 552 | 4,533 | 2,411 | 4,052 | 2,336 | ||
광주 | 887 | 527 | 3,072 | 1,376 | 2,719 | 1,529 | ||
천안 | 499 | 347 | 1,981 | 1,294 | 2,147 | 1,309 | ||
익산 | 80 | 52 | 381 | 233 | 418 | 202 | ||
생수 | 평창 | 139 | 70 | 578 | 289 | 634 | 263 | |
철원 | 98 | 18 | 416 | 86 | 403 | 106 | ||
소계 | 5,146 | 2,921 | 20,544 | 10,973 | 19,299 | 10,991 | ||
합계 | 13,644 | 9,459 | 73,672 | 53,493 | 71,796 | 52,881 |
※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a) 산출방법
생산능력 = 이론Capa X 근무일 / 365일
※ 이론 Capa = 해당설비의 시간당 생산속도 X 24시간 X 365일
※ 당사의 제품특성상 조업일수 산출기준은 연속공정과 단속공정의 가중치로
산출됩니다.
b) 산출기준
제22기 (2022.01.01~2022.03.31)의 생산실적에 실제운용가능 Shift
(근무인원 고려) 기준으로 계산한 평균 가동률을 감안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2022.3.31 기준) | (단위 : 시간, %) |
사업 (사업소) | 제22기 누계 가동가능시간 |
제22기 누계 실제가동시간 |
평균가동률 | |
Beauty (화장품) | 청주 | 576 | 472 | 81.9% |
HDB (생활용품) |
청주 | 919 | 663 | 72.1% |
울산 | 1,344 | 782 | 58.2% | |
온산 | 1,800 | 1,322 | 73.4% | |
나주 | 1,562 | 994 | 63.7% | |
Refreshment (음료) |
여주 | 10,944 | 6,492 | 59.3% |
양산 | 5,472 | 2,603 | 47.6% | |
광주 | 4,104 | 2,438 | 59.4% | |
천안 | 8,496 | 5,907 | 69.5% | |
익산 | 1,392 | 908 | 65.2% | |
평창 | 2,832 | 1,433 | 50.6% | |
철원 | 2,832 | 511 | 18.0% |
(2) 생산설비의 현황 등
- 국내 주요 사업장 현황
회사명 | 구분 | 소재지 |
(주)엘지생활건강 | 본사 |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58 LG광화문빌딩 |
대전 R&D 캠퍼스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175 | |
마곡 사이언스파크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0로 70 | |
청주공장 | 충청북도 청주시 백봉로 39 | |
울산공장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덕망로 275 | |
온산공장 | 울산광역시 이진로 19 | |
나주공장 |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로 54 | |
인천공장 | 인천광역시 부평구 백범로 604번길 22 | |
대전 오비엠랩 공장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41(탑립동) | |
코카콜라음료(주) | 여주공장 |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415 |
양산공장 | 경상남도 양산시 충렬로 269 | |
광주공장 | 광주광역시 북구 양일로 130 | |
해태에이치티비(주) | 천안공장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당산업길 250 |
평창공장 |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진조길 227-35 | |
철원공장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하문수동길 93 | |
익산 1,2공장 | 전라북도 익산시 석암로7길 31-17 | |
(주)한국음료 | 남원공장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덕과남길 115 |
(주)에프엠지 | 춘천 1,2공장 | 강원도 춘천시 퇴계공단길 72 |
태극제약(주) | 부여공장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금백로 821 |
향남공장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약공단3길 123 | |
장성공장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강변로 484-28 |
- 해외 주요 사업장 현황
회사명구분소재지
LG VINA COSMETICS COMPANY LIMITED |
베트남 공장 | Nhon Trach 2, Industrial Zone, Hiep Phuoc Village, Dong Nai Province, Vietnam |
BEIJING LG HOUSEHOLD CHEMICAL CO., LTD. |
(중국)북경J/V 공장 | No. 6 East Sixth Street in Zhongguancun Science and Technology Park & Opto Mechatronics Industrial Base of Tongzhou District, Beijing, China 101111 |
Avon Manufacturing (Guangzhou), Ltd. |
(중국)AVON 광저우 공장 | No.11 Industry Road, Conghua Economic Development Zone, Guangdong, China(510900) |
Ginza Stefany Inc. | 일본 사이타마 공장 | 2-chome-11-2 Toyonocho, Kasukabe, Saitama 344-0014, Japan |
LG H&H USA. INC | 도미니카 공장 | Carretera Sanchez KM 18 1/2, Parque Industrial Itabo, San Cristobal, Dominican Republic |
-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당사 및 연결대상 회사의 생산에 중요한 시설 등으로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기구, 비품 등이 있습니다. 세부현황은 아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2.3.31 기준)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자산 | 합계 |
기초금액 | 702,671 | 863,853 | 74,325 | 448,944 | 17,201 | 37,731 | 98,629 | 712 | 205,046 | 2,449,112 |
취득 | - | 7 | - | 138 | 62 | 637 | 4,094 | - | 33,682 | 38,620 |
처분 | (1,803) | (795) | - | - | (78) | (7) | (427) | - | - | (3,110) |
사업결합으로 인한 증가 | - | -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6,598) | (1,018) | (18,327) | (1,289) | (4,930) | (9,886) | (132) | - | (42,180) |
손상차손 | - | - | - | - | - | - | - | - | - | - |
기타증감(*) | 22,489 | 1,931 | 368 | 17,601 | 47 | 179 | 3,974 | - | (58,990) | (12,401) |
외화환산조정 | (853) | 165 | 9 | 428 | 5 | (4) | 847 | - | 166 | 763 |
기말금액 | 722,504 | 858,563 | 73,684 | 448,784 | 15,948 | 33,606 | 97,231 | 580 | 179,904 | 2,430,804 |
(2021.12.31 기준)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자산 | 합계 |
기초금액 | 659,800 | 827,279 | 64,539 | 327,188 | 17,611 | 35,933 | 108,222 | 1,343 | 287,919 | 2,329,834 |
취득 | 199 | 417 | 75 | 1,385 | 84 | 4,348 | 18,163 | 43 | 283,365 | 308,079 |
처분 | (759) | (9,021) | (15) | (2,189) | (16) | (141) | (2,871) | - | (4) | (15,016) |
사업결합으로 인한 증감 | - | - | - | 10,645 | 157 | - | 3,494 | - | 887 | 15,183 |
감가상각비 | - | (24,071) | (3,957) | (66,073) | (5,152) | (20,525) | (41,234) | (673) | - | (161,685) |
당기손상차손 | - | - | - | (3,195) | - | (179) | (321) | - | - | (3,695) |
기타증감(*) | 43,920 | 65,349 | 13,455 | 180,009 | 4,503 | 18,211 | 9,652 | - | (367,611) | (32,512) |
외화환산조정 | (489) | 3,900 | 228 | 1,174 | 14 | 84 | 3,524 | (1) | 490 | 8,924 |
기말금액 | 702,671 | 863,853 | 74,325 | 448,944 | 17,201 | 37,731 | 98,629 | 712 | 205,046 | 2,449,112 |
(2020.12.31 기준)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자산 | 합계 |
기초금액 | 647,210 | 622,782 | 53,879 | 319,273 | 15,323 | 34,985 | 119,844 | 2,328 | 220,421 | 2,036,045 |
취득 | - | - | - | - | - | - | 10 | - | - | 10 |
처분 | 950 | 899 | 491 | 3,880 | 178 | 2,871 | 23,567 | 7 | 424,027 | 456,870 |
사업결합으로 인한 증감 | (750) | (2,749) | (718) | (3,577) | (103) | (105) | (3,318) | - | - | (11,320) |
감가상각비 | - | (20,481) | (3,530) | (54,387) | (4,156) | (24,283) | (40,594) | (1,067) | - | (148,498) |
당기손상차손 | - | - | - | - | - | - | (959) | - | - | (959) |
기타증감(*) | 12,622 | 227,206 | 14,633 | 62,647 | 6,372 | 22,490 | 11,076 | 76 | (356,290) | 832 |
외화환산조정 | (232) | (378) | (216) | (648) | (3) | (25) | (1,404) | (1) | (239) | (3,146) |
기말금액 | 659,800 | 827,279 | 64,539 | 327,188 | 17,611 | 35,933 | 108,222 | 1,343 | 287,919 | 2,329,834 |
주1) 기타증감액은 유형자산 외의 계정으로 대체된 금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주2)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 판단이 어려워 시가 기재를 생략합니다. |
주3) 산출근거는 'III. 재무에 관한 사항'의 '3.연결재무제표 주석' 중 '12. 유형자산'을 참조 바랍니다. |
(3) 주요 투자에 관한 사항
- 진행중인 투자 및 향후 투자액
(단위 : 억원) |
사업투자목적투자기간투자내용투자기대효과총 투자액(22기 예상)기 투자액(당기 누계)향후 투자액
Beauty (화장품) |
신규 및 기존 설비 증설 등 | '22년 01월-'22년 12월 | 건물, 기계장치, 유통설비투자 등 | 생산capa 증대 등 | 933 | 86 | 847 |
HDB (생활용품) |
신규 및 기존 설비 증설등 | '22년 01월-'22년 12월 | 건물, 기계장치, 유통설비투자 등 | 생산capa 증대 등 | 332 | 78 | 254 |
Refreshment (음료) |
신규 및 기존 설비 증설등 | '22년 01월-'22년 12월 | 건물, 기계장치, 유통설비투자 등 | 생산capa 증대 등 | 1,807 | 116 | 1,690 |
공 통 | 신규 및 기존 설비 증설등 | '22년 01월-'22년 12월 | 생산, 물류시설 구축, IT시스템, 비품 등 | 생산, 물류capa 증대, 자재확충 등 |
1,496 | 80 | 1,416 |
합 산 | 4,568 | 360 | 4,208 |
주) 상기 예상 투자액은 작성기준일 현재 계획 기준이며, 향후 사업 여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가. 매출실적
(단위 : 억원) |
사업 | 매출유형 | 품 목 | 제22기 1분기 | 제21기 | 제20기(*) | |
Beauty (화장품) |
제품 상품 |
기초 및 색조 등 | 한국 | 3,648 | 25,645 | 30,656 |
해외 | 4,659 | 29,164 | 21,700 | |||
내부거래조정 등 | (1,311) | (10,395) | (8,658) | |||
합계 | 6,996 | 44,414 | 43,698 | |||
HDB (생활용품) |
제품 상품 |
치약, 샴푸, 바디로션 등 |
한국 | 3,722 | 13,484 | 13,879 |
해외 | 2,442 | 9,653 | 7,475 | |||
내부거래조정 등 | (637) | (2,555) | (1,739) | |||
합계 | 5,527 | 20,582 | 19,615 | |||
Refreshment (음료) |
제품 상품 |
코카콜라, 환타 등 | 한국 | 4,311 | 17,431 | 17,124 |
해외 | 59 | 245 | - | |||
내부거래조정 등 | (443) | (1,757) | (1,992) | |||
합계 | 3,927 | 15,919 | 15,132 | |||
합 계 | 한국 | 11,681 | 56,560 | 61,659 | ||
해외 | 7,160 | 39,062 | 29,175 | |||
내부거래조정 등 | (2,391) | (14,707) | (12,389) | |||
합계 | 16,450 | 80,915 | 78,445 |
주) 전기 중 영업부문 구성이 변경되었으며, 전기 분류 기준에 따라 전전기 부문정보를 재작성하였습니다.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지배회사인 (주)엘지생활건강의 판매조직은 청주, 울산, 나주, 온산 등에서
생산된 제품을 배송하는 출하부서와 이를 전국으로 신속 원활히 배송하는
물류센터가 있으며, 최종소비자에게 제품, 상품을 판매하는 대리점 및 위탁점을
관리하는 수십여개의 지방영업소와 출장소 등 전국적인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코카콜라음료(주)와 해태에이치티비(주)는 여주, 천안, 양산, 광주
등의 자가공장 등에서 생산된 제품, 상품을 유통 채널(식품점, 할인점, 체인슈퍼,
편의점 등)에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해 전국에 걸친 영업 및 물류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LG Household & Health Care Trading(Shanghai) Co., Ltd는
중국 통합법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생활용품 및 화장품 마케팅 조직, 영업 조직,
지원 조직을 갖추고 있습니다. 영업은 상해를 중심으로 23개 분공사(영업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출은 백화점, 온라인채널, 대형 유통매장, 대리점 판매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Ginza Stefany Inc.는 동경 소재 긴자에 본사가 있습니다. 고객
정보를 기초로 견본 발송 후 전문 상담원의 개별 전화상담을 통해 주문을 접수하고,
나리타 배송센터에서 고객에게 직접 배송하고 있습니다. 전문 상담원을 통한 통신
판매 매출 이외에 가맹점 및 소매점 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Everlife Co., Ltd.는 광고를 보고 고객들이 전화를 하면 콜센터에
배속되어 있는 사원들이 주문을 받아 판매하는 통신판매의 형태이며, 콜센터는
후쿠오카와 미야자키에 있습니다. 전화를 통해 매출이 발생하면 물류센터에서
제품을 포장하여 택배회사를 통하여 고객에게 제품을 배송하는 형태입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LG H&H USA, Inc.는 1990년 법인 설립 이후, 2015년 세포라
(Sephora)에 '빌리프'를 론칭하면서 미국의 메인 유통채널에 진출하며 본격적인
화장품 사업을 전개하였습니다. 이후 2019년 인수한 The Avon Company를 통해 직접판매 채널에도 진출하는 등 지속적으로 사업 채널 범위를 확대해 나가며, 현재 세포라와 얼타를 비롯한 온라인을 통하여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2020년 모회사인 LG생활건강이 치실 등의 제품을 주력으로 하는 Reach 브랜드의 북미 사업권을 인수하며 현지인을 대상으로 하는 데일리뷰티 시장으로도 사업확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The Avon Company는 온라인(Avon.com)과 브로셔를 통해서 제품을 판매원에게 소개하고, 판매원이 일반소비자에게 재판매하는 형태의 사업입니다. 판매원이 온라인을 통해서 주문을 하면, 물류센터에서 각 판매원에게로 제품을 배송하는 형태입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태극제약(주)는 부여, 향남, 장성 등의 공장에서 생산된 의약품을 전국 영업망을 통해 주문을 받고, 이를 도매 및 소매상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Avon Manufacturing(Guangzhou), Ltd.는 생산법인으로 프리미엄 화장품과 생활용품 제품 등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생산기지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판매경로 및 매출액 비중
당사와 주요종속회사의 판매경로 및 매출액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회사명 | 사업 | 판매경로 | 매출액 비중 | 비 고 |
(주)엘지생활건강 | Beauty (화장품) |
일반영업 | 80.4% | 백화점, 면세점, 유통점, 방문판매 등 |
기타 | 19.6% | 수출 등 | ||
소계 | 100.0% | - | ||
HDB (생활용품) |
일반영업 | 73.7% | 대리점, 대형마트, 온라인, 할인점, 체인슈퍼, 편의점 등 |
|
기타 | 26.3% | 원료, 수출 등 | ||
소계 | 100.0% | - | ||
코카콜라음료(주) | Refreshment (음료) |
일반영업 | 68.1% | 식품점, 도매상, 온라인 등 |
신유통 채널 | 31.9% | 할인점, 체인슈퍼, 편의점 등 | ||
소계 | 100.0% | - | ||
해태에이치티비(주) | Refreshment (음료) |
일반영업 | 86.6% | 식품점, 도매상, 온라인 등 |
신유통 채널 | 13.4% | 할인점, 체인슈퍼 등 | ||
소계 | 100.0% | - | ||
태극제약(주) | HDB (생활용품) |
일반영업 | 88.2% |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약국, 의원 등 |
기타 | 11.8% | 수출, 수탁 등 | ||
소계 | 100.0% | - |
[해외]
회사명 | 사업 | 판매경로 | 매출액 비중 | 비 고 |
LG Household & Health Care Trading (Shanghai) Co., Ltd |
Beauty(화장품), HDB(생활용품) |
일반영업 | 85.7% | 백화점, 온라인 등 |
기타 | 14.3% | 대리점 | ||
소계 | 100.0% | - | ||
Ginza Stefany Inc. | Beauty(화장품) | 통신판매 | 53.2% | 최종 소비자 |
기타 | 46.8% | 홈쇼핑, 온라인, 면세점, 백화점 등 | ||
소계 | 100.0% | - | ||
Everlife Co.,Ltd. | Beauty(화장품), HDB(생활용품) |
통신판매 | 72.1% | 최종 소비자 |
기타 | 27.9% | 온라인, 드럭스토어 등 | ||
소계 | 100.0% | - | ||
LG H&H USA, Inc. | Beauty(화장품), HDB(생활용품) |
일반 매장 | 88.9% | 최종 소비자 |
기타 | 11.1% | 온라인 등 | ||
소계 | 100.0% | - | ||
The Avon Company | Beauty(화장품), HDB(생활용품) |
직접판매 | 82.2% | 판매원 |
기타 | 17.8% | 온라인 등 | ||
소계 | 100.0% | - | ||
Avon Manufacturing (Guangzhou), Ltd. |
Beauty(화장품), HDB(생활용품) |
내수 | 66.0% | - |
수출 | 34.0% | 한국, 베트남, 유럽 향 등 | ||
소계 | 100.0% | - |
(3) 판매방법 및 조건
법인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주로 외상매출에 의한 매출이며 현금과 함께 어음
등으로 대금을 회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일부 해외 법인의 경우 일반매장 외에 통신판매, 판매원을 통한 직접판매 등의
방법으로 매출이 발생하며, 대부분 카드 수금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럭셔리 제품 라인업,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을 통해 경쟁사와의 제품 차별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한 광고 활동을 전개하고 해외시장 확대 및 전자상거래 채널 강화 등 새로운 판매전략을 수립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당사의 장점인 전국에 걸쳐 있는 물류 및 영업망을 활용한 전 유통채널 Coverage 확대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후', '숨', '오휘' 등의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 중심으로 최고급 백화점 입점과 온라인에서 판매하며 채널 확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데일리뷰티 사업은 차별화된 프리미엄 제품 위주의 전략을 통해 성장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오랄케어, 헤어케어 및 바디케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해외 생산법인의 경우 프리미엄 화장품 및 일부 생활용품의 중국 생산기지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원가경쟁력 확보를 통한 아시아로의 시장 확대를 위하여
원부자재의 로컬화, 직매입 및 고정비 개선 등을 통해 원가절감을 하고 있습니다.
(5) 주요매출처
회사의 주요 매출처는 백화점, 면세점, 대형마트 등이며, 채널별 매출 비중은
상기 '(2) 판매경로 및 매출액 비중'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수주상황
연결실체 제품시장의 대부분은 범용화된 시장으로서 대량 생산에 의한 매출형태를 따르며 이에 따라 주문, 도급 등과 같이 수주에 의한 매출은 미미합니다.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시장위험과 위험관리는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39. 재무위험관리」를 참조 바랍니다.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공시서류작성기준일(2022년 3월 31일) 현재 회사가 보유 또는 의무를 부담하고 있는 파생상품, 기타 타법인 주식 또는 출자증권 등의 취득과 관련하여 체결한 풋옵션(Put Option), 콜옵션(Call Option), 풋백옵션(Put Back Option)등 계약 및 그 계약에 관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로아코리아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 주주간계약서(SHA) |
거래상대방 | 신영원, 박성준(Sung Joon Park) |
계약일 | 2020.11.11 |
만기일 | 2022.12.15 |
계약 체결 목적 | 색조화장품 사업의 경쟁력 제고 |
계약 내용 및 조건 | 대표주요주주가 로아코리아의 대표이사직 또는 이사직에서 퇴임한 경우, 중대한 계약 위반이 발생한 경우 및 LG생활건강이 계열회사 외의 제3자에게 보유주식을 처분한 경우, 주요 주주는 Put Option을 보유하고 당사는 Call Option을 보유하며, Put / Call Option 행사 시 당사는 로아코리아 주식을 인수해야 함 |
계약 금액 | 옵션행사연도 로아코리아의 매출액 X 0.42 X 영업이익률에 따른 배수 적용 (최저보장금액 6억원~최대 54억원 한도) |
결제 방법 | 현금 |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 없음 |
2) Boinca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내용
계약의 명칭 | 주주간계약서(SHA) |
거래상대방 | Edward Jin Bae, John Oh |
계약일 | 2021.08.31 |
만기일 | 2026.12.31 |
계약 체결 목적 | 하이엔드 패션 헤어케어 사업 경쟁력 강화 |
계약 내용 및 조건 | 주요 주주는 보유하고 있는 잔여 지분에 대해서 '23년부터 '26년에 걸쳐 아래 산식에 의한 금액으로 Put Option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Option 행사 다음연도에 주식을 인수함 |
계약 금액 | 옵션 대상 주식 비율 X {(옵션행사연도 순매출 X 1.625) + (옵션행사연도 EBITDA X 6.5)} (단, 상한금액 USD 250백만) |
결제 방법 | 현금 |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 없음 |
가. 경영상의 주요 계약
회사명 | 계약체결시기 및 계약 기간 | 계약 상대방 | 계약 금액 | 계약의 목적 및 내용 | 비고 |
(주)엘지생활건강 | 2016.10 ~ 계약 해지 시 | Farouk Systems, Inc | 10억 (50% 지분투자) |
헤어케어 관련 사업을 강화하고자 미국 프로폐셔널 헤어케어 전문기업 Farouk Systems, Inc. 와 합작법인 LG Farouk Co.(엘지파루크(주))를 설립함. |
Joint Venture Agreement |
2018.10 ~ 계약 해지 시 | 울릉군 | 자본금 520억 (87% 지분율) |
먹는 샘물 사업을 강화하고자 울릉군과 민관 합작법인인 (주)울릉샘물을 설립함. | 민관 합작 실시 협약 |
|
2019.02 ~ 계약 해지 시 | SC Johnson | - | 살충제, 밀폐용기 시장에 진출하고, 기존의 생활용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생활용품 전문기업 SC Johnson의 대한민국 독점 판매권을 획득함 |
전략적 제휴 | |
2020.02.20 계약체결 2020.05.29 자산인수완료 |
GSK Consumer Healthcare Holdings (No. 2) Limited, Stiefel Consumer Healthcare (UK) Limited, SmithKline Beecham Limited |
GBP 125,000,000 (자산인수) |
(주)엘지생활건강이 더마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사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Stiefel Consumer Healthcare (UK) Limited 등으로부터 피지오겔(Physiogel) 브랜드의 아시아퍼시픽 및 북미 지역 사업권 취득하는 계약 체결하였으며, 현재 자산인수가 완료되었음. |
Asset Purchase Agreement |
|
2020.11.13 계약체결 2020.11.13 자산인수완료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ilag GmbH International |
USD 63,376,000 (자산인수) |
글로벌 Oral Care 사업 강화를 위해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등이 보유한 치실, 치약, 칫솔 Oral Care 브랜드의 북미와 유럽 사업권을 인수함. |
Asset Purchase Agreement |
|
2021.08 ~ 계약 해지 시 | Edward Jin Bae, John Oh | Boinca Inc. 잔여지분 43.96%에 대한 콜/풋 옵션 |
당사는 Boinca Inc. 지분 56.04%을 취득하면서, 매수인(당사)과 매도인(Edward Jin Bae, John Oh)은 잔여지분 43.96%에 대하여 '24~'27년도에 걸쳐 매수/매도할 수 있도록 콜/풋옵션을 부여한 계약을 체결하였음. |
Shareholders Agreement |
|
LG H&H USA | 2021.05.11 계약체결 2021.12.31 자산인수완료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 USD 11,000,000 (자산인수) |
치실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가 소유한 도미니카 소재 치실공장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함 |
Asset Purchase Agreement |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하여 제품 핵심 기술 확보 및 사업영역의
First Mover 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엘지생활건강 연구소는 차별화된 소재 및 제형 기술 개발은 물론 첨단 바이오
융합기술을 확보하여 화장품, 생활용품, 음료의 전 사업 영역에 걸쳐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신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방원료, 발효원료, 피부 유전자연구,
친환경소재와 같은 당사의 핵심 기술을 고도화하여 현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성장을 위한 신규 사업영역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엘지생활건강 R&D 조직은 CTO 및 사업본부 산하의 국내 및 해외 연구소와
디자인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중국, 일본 연구소를 통해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제품 개발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탄탄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뒷받침하는 연구개발 노력을 통해, 고객이 스스로의 아름다움과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서포트하는 종합 Lifestyle 기업을 지향합니다.
(2) 연구개발 담당 조직
회사명 | 연구조직 |
(주)엘지생활건강 | 생활용품연구소 |
화장품연구소 | |
IB연구소 | |
기술연구원 연구지원부문 | |
센베리퍼퓸하우스 | |
디자인센터 |
(3)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
과 목 | 제22기 1분기 | 제21기 | 제20기 | |
연구개발비용 계 | 38,201 | 156,624 | 160,282 | |
회계처리 | 판매비와관리비 | 38,201 | 156,624 | 160,282 |
개발비(무형자산) | - | - | - | |
(정부보조금) | - | - |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3.2% | 2.5% | 2.7% |
주1) 상기 연구개발비용 및 매출액은 (주)엘지생활건강, (주)에프엠지, 태극제약(주) 등의 연구개발비용 및 관련 매출액입니다. |
주2) 상기 연구개발비용계는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 총액입니다. |
주3) 산출 기준 변경으로 과거 수치가 수정되었습니다. |
(4) 연구개발실적
년도 | 사업 | 주요성과 | 내 용 |
2020 | Beauty (화장품) |
후 천기단 화현 아이세럼 | 왕실 안색 처방의 멜라닌 세포 정상화를 통해 피부 속부터 빛나는 눈가로 가꿔주는 럭셔리 아이 세럼 1) 멜라닌 세포 정상화 기술의 PyrujuvenTM 왕실 안색 처방과 눈가 특화 처방으로 밝게 빛나는 '화현' 눈가 케어 2) 피부 생체 인지질 유사 구조의 보습 성분 안정화로 흡수가 빠르고 밀착감과 농축감이 우수한 아이 세럼 3) 눈가 붓기 완화, 광채, 탄력 개선 효과의 인체 적용 시험 완료 |
숨37도 로시크숨마 앰풀 프로그램 3종 |
정화 - 회복 - 재생으로 이어지는 고기능 럭셔리 12주 앰풀 프로그램 1) 정화(수프림 포어 앰풀) : 세린을 2% 함유한 모공 및 피부결 케어 앰풀. 건강한 피부 케어를 위한 1단계 케어 2) 회복(울트라 하이드레이팅 앰풀) : 베타-글루칸(0.06%)을 고함유한 수분/진정 앰풀로 생기 있는 피부로 케어 3) 재생(미라클 에너지 앰풀) : 극한 환경을 이겨내는 미생물 에서 찾아낸 엑토인(0.5%) 및 2,3-BDO(9%) 성분을 다량 함유한 앰풀로 피부에 활력 부여 |
||
CNP 팜슈티컬 라인 | 영국의 청정 Herb 성분과 CNP의 기술력으로 완성된 그린&클린 더마 스킨케어 라인 1) 에딘버러 농장에서 재배된 강인한 생명력의 4가지 허브를 콜드브루밍 기법으로 추출한 Slow Herb Complex 함유 2)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독자 특허성분 CNP Calming Complex(특허 KR 10-1064904) 함유 3) 피부자극 성분을 배제한 무첨가 클린 처방(민감성 피부 사용적합 테스트 완료), 동물성 원료 배제 비건 프렌들리 처방(비건 인증) |
||
후 환유 본초 세럼 | 피부 바탕을 다져 환유의 효능을 극대화하여 동안빛 피부를 완성하는 첫단계 럭셔리 안티에이징 세럼 1) 화담, 익진, 소생의 환유 동안단(還幼童顔丹)을 담아 피부의 담음을 풀고 소실된 진액과 기력을 보충하여 피부 바탕을 완성 2) 발효 당지질 가용화 기술 빛 다당체 보습 성분 적용의 끈적임이 적은 생체 친화 고보습 투명 농축 제형 3) 피부 동안 지수 47.2% 개선(4주)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보습(익진)/유연성(화담)/광채(소생) 개선 인체 적용 시험 완료 |
||
씨앤피 히알루로닉 더마텐션세럼 | 의료용 히알루론산과 콜라겐 함유한 보습/탄력 솔루션 세럼 1) 미용성형 필러 성분(히알루론산)과 면역반응 유발 성분을 제거한 의료용 콜라겐(아텔로 콜라겐) 적용 2) 저분자부터 고분자까지 분자량에 따른 6종 히알루론산 고농도(1%) 함유 3) 피부 3중 탄력/리프팅, 안티에이징 개선(2주/4주 사용), 3중 리프팅(4주 사용 후 2주 중단시) 인체적용시험 완료 |
||
HDB (생활용품) |
세균아꼼짝마 에이비와이 손소독티슈 | 인체 유해세균에 대한 99.9% 살균효과로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게 1) 의약외품 허가제품 2) KCL(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살균력 평가 99.9% (5종균주, 외용소독제 효력평가법) |
|
엘라스틴 햄파맥스 헤어세럼 |
끈적임 번들거림 없이 산뜻한 사용감으로 손상된 모발을 케어하는 고영양 헤어 오일 세럼 1) 오메가 3·6 에너지 햄프씨드로 두피가 편한, 무겁지 않은 손상케어 2) 저온 추출 햄프씨드 오일, 아르간오일, 아몬드오일, 호호바씨오일 등 내추럴 오일 함유 3) 독일 더마테스트, 영국 비건 협회 공식 인증 등으로 처방의 safety 확보 |
||
피지오겔 DMT 클렌징젤 | 민감한 피부의 고객까지 아우르는 마일드한 클렌징을 원하는 고객을 대한으로한 제품 1) 무향/무색소/무방부의 저자극 처방(건성&민감성 피부 임상, Hypoallergenic 인제적용시험 완료) 2) EWG All Green 등급으로 소비자들이 유해하다고 생각하는 성분을 최대한 배제한 처방 3) 내추럴검 점증 시스템으로 밀착감있는 기포 마사지감이 특징적인 제품 |
||
피지 바이럭스 액체세제 | 식물에서 유래한 항균성분을 적용하여 살균 및 24시간 항균효과와 함께 바이러스 불활화 기능까지 갖춘 액체 세탁세제 1) 공인시험기관(KATRI) 9종의 세균에 대한 살균력 평가 99.9%, 24시간 지속 항균효과 99.9% 2) 5가지 바이러스에 대한 외부기관 (KR바이오텍, KTR, KRICT) 평가 결과 바이러스 불활화 99% 이상 3) 악취 원인균을 제거하여 빨래 쉰내는 물론, 실내건조에도 꿉꿉한 냄새까지 해소 |
||
기타 | 베비언스 우리아이워터 유산균 |
열처리 유산균을 함유한 멸균 워터 1) 50억 마리 이상의 열처리 유산균과 치커리 식이섬유 배합으로 유아의 장건강에 도움 2) 상온보관 멸균 제품으로 어디서나 편하게 음용 가능 |
|
2021 | Beauty (화장품) |
후 천율단 화율 라인 | 진귀한 철피석곡의 생명력을 담아 차오르는 얼굴선과 피부빛을 선사하는 럭셔리 광채 리프팅 라인 1) 철피석곡꽃효모와 석곡류 유효성분을 강화한 화율석곡Complex™에 천기비단을 더하여 수윤, 선율, 화현 효과 업그레이드 2) 일년 중 하루만 피고지는 귀한 궁중천초화의 항산화 성분 함유 3) 8각 파노라마 광채리프팅™및 수분밀도 상승에 따른 피부탄력빛과 피부수분채움(4주) 개선 대외인체시험 완료 |
후 천기단 화현 리파이닝 에센스 | 피부 턴오버에 도움을 주는 효소 성분을 함유하여 어린 피부빛과 어린 피부결을 선사하는 첫단계 에센스 1) 효소와 저자극 각질케어 성분 PHA, 자사특허성분 IPA를 독자 안정화 기술로 담아 더욱 강화된 정화재생 효과의 화현 Refining Complex™ 적용 2) 왕실에서 맑은 피부를 위해 사용해온 궁중비방 연구로 얻은 천기백영단으로 화현 효과 업그레이드 3) 즉각적인 광채 개선 및 4주 후 피부 투명도, 피부결, 모공노화 개선 대외인체적용시험 완료 |
||
숨37 타임에너지 스위트 4종 (워시, 로션, 크림, 선쿠션) |
자극 우려는 줄인 촉촉한 피부를 위한 온가족 보습/진정 케어 1) LG 독자 진정 효능 성분 Organic Greenary Complex 적용 (특허 KR10-2113193) 2) 덴마크 비피도 유산균 발효 성분으로 4중 피부 케어(진정-보습-장벽강화-민감도감소) |
||
오휘 더 퍼스트 다이아데인 솔리테어 크림 |
심층 안티에이징 케어로 광채 탄력 피부를 완성해주는 크림 1) 274종 유효 성분을 검토하여 선정한 피부 활성화 핵심성분인 마그놀올 함유 2) 0.3 캐럿의 다이아몬드 파우더 안정화 기술 적용으로 극강의 럭셔리한 제형감 선사 3) 적용 2주후 피부 탄력 14.06%, 피부 윤기 18% 개선 효과 확인 |
||
HDB (생활용품) |
닥터그루트 마이크로바이옴 제네시크7 두피 진정 토닉 |
마이크로바이옴 과학을 담은 두피진정토닉 1) 7가지 프리바이오틱스와 파라프로바이오틱스함유한 탈모솔루션 제공 2) 가볍고 산뜻한 분사를 위해 미스트 타입 제형으로 출시 3) 끈적임 없는 제형으로 산뜻하고 빠르게 두피에 흡수되는 제형 |
|
유시몰(Euthymol) (치약, 양치액, 마우스스프레이) |
122년 전통의 영국대표 치약인 유시몰 치약의 핑크빛 색상과 윈터그린향을 담은 치약, 양치액, 마우스 스프레이 (국내의약외품 허가완료) 1) Euthymol 치약 : DCPD베이스의 묵직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의 무불소치약, 잇몸염증예방 및 12시간 구취억제 임상완료 2) Euthymol 양치액 : 유화제형의 백탁제와 점증제를 처방하여 볼륨감있는 사용감의 국내최초 유화백탁제형의 양치액 3) Euthymol 마우스스프레이 : 구취제거 성능의 쿠르쿠마잔토리자유와 에탄올을 함유하여 뿌리는 즉시 느껴지는 윈터그린 민트향의 상쾌함 구현 |
||
빌려쓰는지구 친환경 생분해 물티슈 | EU Ecolabel을 받은 친환경 생분해 원단이 적용된 친환경 인증 물티슈 1) 물티슈 국내 최초 북유럽 친환경 인증마크 노르딕스완에코라벨(Nordic Swan Ecolabel) 획득 2) 플라스틱 무첨가 의 자연에서 생분해되는 자연유래소재 레이온 100% 원단 사용 3) 국내 물티슈 최초 ㈜한국비건인증원의 비건(Vegan)인증 획득 4) 알러지에 민감한 피부를 자극없이 케어하도록 하이포알레제닉(Hypoallergenic) 테스트, 독일더마테스트 완료 |
||
오가니스트 스칼프RX클리닉 샴푸 2종 | 오가니스트만의 내추럴 비듬두피 케어 전문 포뮬라 샴푸 1) 3대 두피 고민 케어 : 비듬 + 건조로 인한 가려움 + 냄새제거 2) 실리콘등 10무첨가, 특허받은 받은 비듬 제거 포뮬라로 기름진 두피부터 건조하여 가려운 두피까지 케어 (특허 제10-1503922호) 3) 답답하고 기름진 두피용 : 딥클린 쿨멘솔 + 대나무 숯 / 건조해서 가려운 두피용 : 두피 클렌징&진정 편백 + 유칼립투스 |
||
피지오겔 스킨 스테빌리티 프로 인텐시브 크림 MD |
자사 최초 의료기기(MD) 크림 출시 (건성 및 문제성 피부를 위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1)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물리적인 막을 형성하고 피부 환경에 수분을 유지시켜 손상된 부위의 피부를 보호해주는 크림 제형 개발 2) 의료기기 품목 허가 및 실비보험 적용 의료기기('21년 11월 출시) |
||
기타 | 생활정원 하나미 비컴 궁/강 | 신체리듬을 깨워 빛나는 생기와 활력을 되찾아주는 발효태반 건강기능식품 1) 국내 최초, 유일의 기능성을 인정받은 개별인정형 발효태반 제품 2) 약 100일의 발효숙성을 거쳐 빚어낸 2500% 농축 돈태반발효추출물과 비타민8종, 미네랄 4종 복합기능성 제품 3) 피로개선, 건강한 에너지와 대사활동,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도움을 주는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
|
F&M 복부지방 서포트 | 지방 분해 활성화 성분인 블랙진저를 주원료로 한 복부 지방 감소 기능성표시식품 1) 에너지 대사를 높여 지방분해를 촉진함으로써 복부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 감소를 임상에서 확인한 블랙진저의 폴리메톡시플라본 배합 2) 복부지방 감소 기능성을 직접 소구 가능한 기능성표시식품(신고번호 F596) |
||
2022 | Beauty | 숨37 옴므 엘릭서 라인 | 숨의 발효 과학으로 남성 피부의 8가지 도시형 노화 증상을 케어해주는 럭셔리 안티에이징 솔루션 1) 발효 히알루론산, 감초산, 식물 유래 토코페롤 등 맞춤 성분 적용으로 보습, 진정 및 항산화 안티에이징 효과 (ORAC 테스트 완료) 2) 콩추출물 유화 기술의 에멀전, 인지질 가용화 기술로 높은 피부 친화력의 저점성 세럼 등 산뜻하고 편안한 사용감의 마일드 포뮬러 |
CNP RX 스킨 리바이브 디멜라인 앰플 | 기미, 잡티, 피부톤 고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럭셔리 더마 앰플 1) 미백 자생력 강화(글루타치온, 치오틱애씨드)+ 멜라닌 생성/전이 저해(유비퀴논,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트라넥사믹애씨드)+ 피부 각질/톤 정돈(IPA) 2) 인체적용시험 완료 : 검고 진한 기미 개선 22.64%, 기미, 주근깨, 잡티 크기 개선 9.43% |
||
HDB | 죽염 명약원 메디케어 / 인텐스 치약 | 국내 최초 잇몸에 직접 발라 효능·효과를 올린 죽염 명약원 메디케어 치약 1) 잇몸도포가 용이한 제형을 실리콘 팁 튜브 용기에 담은 인텐스 케어 치약과 일상적인 양치질로 치주염증을 예방, 완화하는 데일리케어 치약 2종 구성 2) 의약품에 사용된 3종 생약 유효성분(후박이산화탄소초임계건조엑스, 옥수수불검화정량추출물, 센텔라정량추출물)함유로 잇몸전문 케어 3) 은은한 허브향, 7가지 화학성분 무첨가, 그린프로폴리스 함유, 12hr 구취억제 |
|
아우라 스마트 디퓨저 | 스마트 센서 & 타이머 기능으로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컴팩트한 디자인 자동 분사 방향제 1) Mo(모션모드)선택 시, 1.5M앞에서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분사 (최소 분사 간격 15분), 타이머 설정 가능(15, 30, 60분) 2) 조도센서가 5Lux 이하의 늦은 밤 또는 아주 어두운 공간에서 자동으로 작동을 멈춰 효율적인 사용 가능 3) 수평감지센서가 제품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들어올릴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계 |
||
닥터그루트 제이 몬스터즈 바디워시 2종 | 여드름 유발시키는 과다 피지와 체취 케어 효과의 청소년 타겟의 여드름 기능성 바디워시 1) Clay MonstersTM 50,000 ppm 함유 약산성 포뮬러로 피지와 노폐물 말끔 세정 2) 항균 99% 효과 (황색포도상구균), 여드름 기능성 바디워시 3) 상쾌한 허벌 시트러스향, 부드러운 파우더리 머스크향 |
||
기타 | 베비언스 킨더밀쉬 바이오틱스 포뮬러 | 성인의 축소판이 아닌, 아이 고유의 영양 요구량에 맞춘 영양간식 가공유 ('22년 1월 출시) 1) 현대 소아 의학의 아버지 오토 호이프너의 철학(어린이는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다.)을 바탕으로 어린이의 영양요구량을 기준으로 설계 2) 섭취가 부족한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 보충 뿐만 아니라 프리바이오틱스와 포스트바이오틱스를 복합 배합 3)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보관하고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실온 보관 멸균 PET 포장 제품 |
가.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회사는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의 가치 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브랜드 개발, 심의, 상표권을 비롯한 브랜드와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출원, 등록 등의 브랜드 관리 정책을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인트라넷 시스템인 'IPM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은 소중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전 브랜드 고객관리를 통합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에 대한 일관되고 지속적인 세심한 배려를 행동 지침으로 삼아고객과의 특별한 관계 형성에 노력하며 강력한 브랜드 로열티를 축적해 나가겠습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당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2년 3월 31일 기준 누적으로 국내 1,889건,
해외 636건의 등록 유지중인 특허권이 있으며, 이중 주요 특허권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취득일지적재산권 내용근거법령취득소요상용화 여부 및 매출기여도인력/기간
세제 | 2012.5.8 | 세탁수에서 100% 용해되는 시트형의 수용성 세제에 관한 특허로 향후 9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1년 | 테크 OK 녹는시트 세제에 적용중 |
섬유유연제 | 2013.6.17 | 시트형으로 제조된 섬유유연제에 관한 특허로 향후 5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6년 | 샤프란 아로마시트에 적용중 |
피부투과펩타이드 | 2013.11.7 | 피부투과성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약효물질을 경피전달할 수 있는 기술로서 향후 8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1명, 1년6개월 | 오휘 등에 적용중 |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
2016.3.15 | 함침재에 열압착 등을 통해 상면에 압축부를 형성하여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면에 패턴이나 문양 등을 각인한 형태의 화장품에 대한 특허로 향후 12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3명, 1년6개월 | 함침화장품 주요제품 적용 계획중 |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
2016.3.30 | 함침재 없이 저점도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막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특허이며, 향후 12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5개월 | 오휘 등 워터스판 제품에 적용 |
섬유 유연제 | 2016.7.1 | 발효 식초를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한 특허로 향후 14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1년4개월 | 꽃담초 섬유유연제 적용중 |
액상 조제유 | 2016.7.8 | 액상 조제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로 향후 12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1년7개월 | 베비언스 액상조제유 적용중 |
표면 개질 조성물 (모발) |
2016.9.29 | 모발 표면에 유효성분을 결합시킬 수 있는 Bio-접합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관련 특허로 향후 14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8명, 6개월 | 리엔, 바이오테라피 등 주요 헤어제품 적용 |
자외선 차단용 쿠션 화장품 |
2017.1.3 | 쿠션형태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로서, 스펀지와의 상용성 (흡착문제 해결)을 향상시킨 내용으로, 향후 13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1년2개월 | 다수의 쿠션 화장품에 적용중 |
펌핑치약 | 2017.10.25 | 치약을 펌핑 용기를 통해 배출하는데 적합한 치약조성물로서 향후 12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4년 | 페리오 펌핑치약 등 적용중 |
배수관 세정제 | 2018.5.4 | 배수관 세정제와 특수 배수관 세정 용기를 포함하는 배수관 세정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향후 14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2년1개월 | 홈스타 싱크대 배수관 세정제 적용중 |
치아미백패치 | 2019.05.23 | 약물층 희석방지를 위한 전이방지층을 치아미백 약물층에 포함하여 치아미백성능을 향상시킨 다층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향후 11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5년6개월 | 자사 치아 미백패치 다수에 적용중 |
자외선 차단제품 | 2019.09.24 |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의 자외선 차단제품을 특수 용매 시스템과 함께 사용, 자외선 조사에 의해 자외선 차단효능이 향상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향후 17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3명, 9개월 | 오휘 적용중 |
시린이용 치약 | 2020.03.26 | 디카르복실산, 부분 용해성 칼슘염 및 인산염을 포함하는 시린이 방지 또는 완화용 치약에 관한 것으로서, 향후 14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5명, 3년11개월 | 시린탁효, 죽염 시린고 치약에 적용중 |
화장품 | 2020.11.16 | 세라마이드 등 난용성 유효성분을 화장품에 안정하게 배합하는 제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향후 17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2년 | 숨37 숨마 엘릭서 에센스 적용중 |
모공 개선 화장품 | 2021.06.18 | 세린 및 아르기닌의 공용혼합물을 통한 모공개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향후 18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5명, 10개월 | 후 환유 밸런서 등 다수의 제품에 적용중 |
염색제 제공 시스템 | 2021.11.30 | 염색제 토출 디스펜서 및 제공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서, 향후 17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6명, 3년 | 엘지 CHI 염색제 토출 디스펜서에 적용 중 |
화장품 | 2022.2.8 | 막 유화법에 의한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세라마이드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향후 17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년, 3년 1개월 | 오휘 등에 적용 예정 |
주) 연결회사는 상기 중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 중이며, 대부분 화장품 및 생활용품 등에 관한 특허로 회사의 주력사업 제품에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다. 환경 관련 규제 준수사항
(1) 에너지/온실가스 저감활동
전 세계적으로 환경 규제 강화와 함께 환경 요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환경 분야에서의 기업의 역할 또한 중요해졌습니다. 환경이슈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 전사 통합 경영시스템을 통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공급망 측면에서
고려하여 환경 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구단계에서부터 지속가능제품 속성을 정의하고 개발하고 있으며, 그린경영을 통해 생산, 구매, 물류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고 사용과 폐기 단계의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품 전과정평가를 통한 처방 개선과 용기의 자원 재활용성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환경경영 전략을 구축하고, 설비 및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환경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환경안전경영 중장기 전략을 기반으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업 활동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사용 절감, 수자원 관리 등의 환경 영향 저감 노력을 실천하고 있으며, 임직원 및 협력회사 구성원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안전을 위해 다양한 안전보건 교육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외에서 가장 크게 이슈화 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그린경영 전략을 통해 전 사업 분야에 걸친 에너지 절감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및 용수에 대한 중장기 감축 목표와 연도별 감축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사업 성장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사업장, 물류, 연구소에 대한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성과는 제3자 검증을 통해 매년 발간하는 ESG보고서와 홈페이지 및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를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2)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협약 체결
에너지의 절약과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 현상을
방지하고자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진행하는「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여 친환경적인 에너지로의 대체 및 지속적인 공정
개선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에너지 사용저감 및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공장별 에너지 소비량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사 중장기 저감계획을 수립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자발적 협약 이행실적에 대한 결과는 에너지관리
공단에 매년 1월 보고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라. 제품을 통한 환경영향 저감
(1) 사회환경 가치 제품 확대
최근 기업들은 경제적 가치 뿐아니라 사회 환경적 가치를 고려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기업의 목적이 경제적 가치 창출에만 있지 않고, 기업과
사회, 나아가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반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선진 기업들은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기술과 비즈니스를 연계하여 사회환경적 효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활동을 확대하고, 가치사슬 전반에
사회적 가치를 담으려고 노력합니다.
당사는 제품에 환경표지를 표시하여 소비자에게 환경성 개선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환경표지제품에 대한 선호에 부응하기위해 환경표지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환경표지제도란 기업의 친환경제품 생산/개발 및 자발적 환경개선을 유도하는 인증제도로 당사는 세탁세제, 주방세제, 세정제류 제품에 환경표지인증을 지속적으로
취득하여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성 제고를 위해 제품
전 과정에 사용, 배출되는 물질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계량적으로 표시하는
환경성적표지제도(환경성적표지, 저탄소제품)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린패키징 가이드는 포장재의 중량, 체적, 재질, 재활용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신제품 출시전 제품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주)엘지생활건강 고유의 평가척도
입니다. 또한, 친환경 소비 트렌드에 맞추어 환경마크 및 탄소배출량 인증 제품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인체에 안전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천연유래 물질을 사용하고, 사용 및 폐기단계에서 용수 사용량과 수질오염을
줄일 수있는 친환경 제품입니다.
탄소배출량 인증은 제품의 전과정인 생산, 수송 및 유통, 사용, 폐기의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발생량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인증을 획득한 후 제품에 부착하여소비자로 하여금 녹색제품의 구매를 촉진하는 제도입니다.
탄소배출량 인증제품은 공정개선이나 연료 효율을 개선하여 종전보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게 되는 경우 저탄소 제품 인증을 획득하게 됩니다. 향후 제품별
탄소정보를 확대 조사하는 한편 공정개선을 통해 제품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해
나갈 예정입니다.
(2) 인증현황 (2022년 3월 31일 기준)
구 분 | 환경마크 인증 | 탄소발자국 인증 | 저탄소 제품 인증 |
품목 수 | 174 | 8 | 0 |
주1) 인증기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주2) 환경기술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마.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당사의 사업은 Beauty(화장품) 사업, Home Care & Daily Beauty(HDB,생활용품) 사업, Refreshment(음료)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 말 각 사업별 주요 종속회사와 주요제품 및 브랜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 | 주요 종속회사 | 주요제품 | 주요 브랜드 |
Beauty (화장품) |
(주)엘지생활건강, LG Household & Health Care Trading (Shanghai) Co., Ltd, Ginza Stefany Inc., LG H&H USA, Inc., The Avon Company, Everlife Co., Ltd., Avon Manufacturing(Guangzhou), Ltd. |
기초 및 색조 화장품 등 | 후, 숨, 오휘, 빌리프, CNP, 이자녹스, 더페이스샵 등 |
HDB (생활용품) |
(주)엘지생활건강, LG Household & Health Care Trading (Shanghai) Co., Ltd, LG H&H USA, Inc., The Avon Company, 태극제약(주), Everlife Co., Ltd., Avon Manufacturing(Guangzhou), Ltd. |
샴푸, 치약, 바디로션, 세탁세제, 주방세제 등 |
엘라스틴, 벨먼, 피지오겔 페리오, 테크, 자연퐁 등 |
Refreshment (음료) |
코카콜라음료(주), 해태에이치티비(주) | 탄산음료, 비탄산음료, 생수 등 |
코카콜라, 스프라이트, 몬스터 에너지, 파워에이드, 미닛메이드, 조지아, 평창수, 토레타 등 |
[Beauty - 화장품]
(1) 산업의 특성
화장품은 지속적으로 수요를 창출해내고 있는 미래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내수 사업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산업입니다. 2000년 화장품법 시행이후 안티에이징을 중심으로한 기능성 화장품과 한방/자연주의 화장품의 성장이 전체적인 시장 성장을 견인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의학적으로 검증된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을 뜻하는 코스메슈티컬과 더불어 유해한 화학성분이 배제되어있고 제품효능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비건, 클린뷰티가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는 등 다양한 컨셉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5년 메르스, 2017년 사드배치 등을 겪으면서 화장품 시장도 동반 위축되었으나, 럭셔리 시장의 안정적이고 꾸준한 성장과 저가 브랜드샵의 확대, 그리고 해외수요 유입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국경봉쇄, 입국제한 등의 이동금지로 해외관광객이 급감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소비자들의 외부활동이 줄어들면서 국내 화장품시장은 불확실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주요 시장에서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새롭게 형성된 일상생활 습관과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지출 감소로 단기간 내 성장세 회복이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화장품은 대체로 경기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이나, 브랜드 로열티
유무에 따라 반응하는 정도는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계절성 면에서는 더운 날씨가 지속되는 하절기에는 기초 스킨 제품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국내시장 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국내 화장품 시장은 여성의 경제활동 및 소득 증가, 다 채널/다 브랜드 사용 등 소비자의 구매패턴 변화, 새로운 소비 트렌드 부상과 유통채널의 다양한 발전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12년 이후 내수 경기침체와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시장이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해외 수요의 유입으로 면세점 등 일부 채널에서 높은 성장을 보였습니다. 동시에 OEM/ODM 전문업체의 발달로 인해 신규 업체와 신규 브랜드의 진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상황입니다. 유통환경 또한 정부의 가맹점과 할인점에 대한 신규 출점 제한, 영업일수 제한 등규제가 강화되어 성장이 어려웠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오프라인 시장이 감소하고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 채널이 활성화되면서 라이브 커머스 등 온라인 쇼핑 이용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화장품시장도 유통채널과 마케팅을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구 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국내 럭셔리 시장점유율 | 25.1% | 28.5% | 25.9% |
국내 프리미엄(매스티지와 브랜드샵) 시장점유율 | 5.8% | 7.9% | 9.7% |
주1) 2022년 시장점유율 집계 전 |
주2) 출처: 칸타월드패널 데이터 |
주3) 시장점유율 산출 기준 변경으로 2021년 수치가 수정되었습니다. |
(5) 해외시장 여건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성이 높은 중국시장을 필두로 인접한 홍콩/대만/싱가포르 등 중화권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후', '숨', '오휘', 'CNP' 등 럭셔리 브랜드중심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 선진 시장인 미국, 유럽 등지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한류
영향이 큰 지역의 글로벌 면세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브랜드 위상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6)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첫째, 차별적인 컨셉의 다양한 럭셔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궁중 브랜드 '후', 자연발효 브랜드 '숨', 피부과학 브랜드 '오휘', 클린뷰티 브랜드
'빌리프'와 같은 경쟁력 있는 럭셔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최근 소비자들의 피부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더마
화장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더마화장품 브랜드 'CNP'와 럭셔리라인 'CNP
Rx' 출시 등을 통해 더마화장품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였습니다.
둘째, 경쟁력 있는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백화점, 면세점, 방문판매 등 럭셔리 채널과 네이처컬렉션, H&B스토어, 브랜드샵 등 프리미엄 채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시장에서는 온라인, 모바일, SNS 등 디지털 채널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신규 성장 채널 투자를 통해 유통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미국에서 신규로 인수한 The Avon Company(구, New Avon Company)를 통해 아시아를 넘어 북미 시장으로의 확장을 가시화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였습니다.
셋째, 각 영역에서 화장품 산업을 선도하는 자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수준의 화장품 연구소와 디자인센터, 공장 및 물류센터 등 최상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최고의 제품을 개발, 생산, 관리할 수 있는 글로벌 수준의 화장품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제품 안전성 강화를 위한
소비자안심센터와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고객상담실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Home Care & Daily Beauty(HDB) - 생활용품]
(1) 산업의 특성
생활용품은 일상 생활에 사용하는 제품으로 치약, 샴푸, 바디워시,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등 생활 필수품입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수요는 안정적이나,유통업체별 스토어브랜드(Private Labeled Brand) 육성 등으로 경쟁이 치열해져
가격과 판촉이 매출에 영향을 미칩니다.
(2) 성장성
생활용품의 주요 카테고리는 성숙 시장으로 저성장 내지 감소세입니다.
더불어 최근 불황의 장기화와 각종 유통규제로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통환경 면에서는 온라인, H&B스토어 등 신규 채널이 부상하면서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향후 가격에 민감한 가치소비와 감성 중심의 프리미엄 시장이 공존하면서 소비양극화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생활 필수품이라는 특성상 경기 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지는 않지만, 불황의 장기화로
생활용품 시장도 위축되고 있습니다. 계절적으로 설과 추석시즌에 대표적인 명절
선물인 선물세트를 구성하는 치약, 샴푸, 바디워시의 판매량이 상승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4) 국내 시장 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생활용품은 필수 소비재로 시장은 정체돼 있지만, 한편으로 안정된 시장이기도
합니다. 국내 업체들이 시장점유율 상위를 차지하며 경쟁하고 있으나, 글로벌
업체들이 일부 카테고리에서 강력한 판촉을 전개하고, 유통업체들이 다양한
카테고리로 스토어브랜드 확장에 적극적이어서 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구 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8대 주요 카테고리 시장점유율 | 36.8% | 36.7% | 36.6% |
주1) 8대 카테고리 : 샴푸/린스, 바디워시/비누, 치약/칫솔, 세탁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주거위생제 |
주2) 2022년 시장점유율 집계 전 |
주3) 출처: 한국닐슨 |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당사는 생활용품의 대부분 카테고리에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국내 최대의
전문기업으로 주요 카테고리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우수한 R&D 및 마케팅 역량, 뛰어난 영업실행력은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로 경기 불확실성과 경쟁심화 등 어려운 환경에서도 차별화된 선도상품을 지속
출시하면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창출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유해물질에 대한 소비자 경각심이 높아지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소비자안심센터를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안심품질 인증제도를
개발 및 운영하여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최근 프리미엄화
트렌드에 걸맞는 고가 제품 출시로 소비자 니즈에 적극 대응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Refreshment - 음료]
(1) 산업의 특성
음료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작은 산업이나,
원부자재수입 의존도가 높아 환율, 국제 원자재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성장성
음료 산업은 카테고리별로 편차가 있으나 전체 시장 측면에서는 소폭 성장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소비 습관과 생활 환경 변화로 카테고리별 트렌드가 변화
하면서 탄산시장은 제로 제품의 성장세와 배달 시장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성장
중이나, 가정 내 음용이 줄어드는 주스 등은 역신장 트렌드를 보이고 있습니다.
탄산수, 에너지 음료 카테고리를 비롯하여 프리미엄 커피시장과 같이 음용층이
늘어나고, 음용빈도의 상승 기회가 있는 카테고리의 성장세는 유지될 전망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음료 산업은 타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의 영향을 덜 받는 편이나, 하절기보다 동절기
매출이 감소하는 등 계절적 요인에는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특성을 보입니다.
(4) 국내 시장 여건 (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음료시장의 경우 진입장벽이 낮아 신규진입이 용이한 편입니다. 제약업체, 유업체, 유통업체 등의 음료 시장 진출이 확대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로 인해 경쟁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구 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시장점유율 | 35.2% | 34.4% | 31.9% |
주1) 2022년 시장점유율 집계 전 |
주2) 출처: 한국닐슨 및 한국 리서치 |
주3) 시장점유율 산출 기준 변경으로 과거 수치가 수정되었습니다. |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당사는 우수한 브랜드('코카콜라', '스프라이트', '몬스터에너지' 등)와 전국에 산재
되어 있는 물류 및 영업망 등이 타사와 차별화되는 경쟁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하고, 신규 음료의 지속적 출시 등을 통해 즉석음용시장 및 신규 성장 중인 온라인 등을 비롯한 전 채널의 Coverage 확대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바.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1) 매출액 및 영업이익
(단위 : 억원) |
사업 | 제22기 1분기 | 제21기 | 제20기(*) | |||||||||
매출액 | 비율 | 영업이익 | 비율 | 매출액 | 비율 | 영업이익 | 비율 | 매출액 | 비율 | 영업이익 | 비율 | |
Beauty (화장품) |
6,996 | 42.5% | 690 | 39.3% | 44,414 | 54.9% | 8,760 | 67.9% | 43,698 | 55.7% | 8,036 | 65.8% |
HDB (생활용품) |
5,527 | 33.6% | 552 | 31.5% | 20,582 | 25.4% | 2,089 | 16.2% | 19,615 | 25.0% | 2,245 | 18.4% |
Refreshment (음료) |
3,927 | 23.9% | 514 | 29.3% | 15,919 | 19.7% | 2,047 | 15.9% | 15,132 | 19.3% | 1,928 | 15.8% |
합 계 | 16,450 | 100.0% | 1,756 | 100.0% | 80,915 | 100.0% | 12,896 | 100.0% | 78,445 | 100.0% | 12,209 | 100.0% |
주) 전기 중 영업부문 구성이 변경되었으며, 전기 분류 기준에 따라 전전기 부문정보를 재작성하였습니다. |
(2) 자산과 부채
(단위 : 억원) |
사업 | 제22기 1분기말 | 제21기말 | 제20기말 | |||||||||
자산 | 비율 | 부채 | 비율 | 자산 | 비율 | 부채 | 비율 | 자산 | 비율 | 부채 | 비율 | |
Beauty (화장품) |
30,780 | 41.4% | 11,272 | 55.4% | 31,376 | 41.5% | 12,307 | 59.8% | 29,160 | 42.9% | 11,699 | 59.9% |
HDB (생활용품) |
16,379 | 22.0% | 4,127 | 20.3% | 15,112 | 20.0% | 3,356 | 16.3% | 13,712 | 20.2% | 3,471 | 17.8% |
Refreshment (음료) |
16,915 | 22.7% | 2,841 | 14.0% | 16,924 | 22.4% | 3,001 | 14.6% | 15,109 | 22.2% | 2,785 | 14.3% |
공 통 | 10,342 | 13.9% | 2,120 | 10.4% | 12,140 | 16.1% | 1,910 | 9.3% | 10,033 | 14.8% | 1,567 | 8.0% |
합 계 | 74,416 | 100.0% | 20,360 | 100.0% | 75,552 | 100.0% | 20,574 | 100.0% | 68,014 | 100.0% | 19,522 | 100.0% |
- 공통비용 및 공통자산의 배부기준
공통비용 및 공통자산의 배부는 각 사업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별도의 배부기준을 적용하여 각 사업
부문에 배부하고 있습니다.
사. 중요한 신규사업의 내용과 전망
당사는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및 해외사업 확대 기회를 꾸준히 탐색하고 있습니다.
- 전기(제21기)
[Boinca Inc. 인수]
지배기업은 8월 31일에 하이엔드 패션 헤어케어 사업 경쟁력 및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해 보인카(Boinca Inc.)의 의결권 있는 주식 56.04%를 취득함에 따라 지배력을 획득하였습니다.
[도미니카 소재 치실 공장 인수]
당사의 종속회사인 LG H&H USA는 생활용품 생산경쟁력 강화 및 안정적인 제품 공급력 확보를 위해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로부터 도미니카 소재 치실 공장을 인수하였습니다.
- 전전기(제20기)
[피지오겔 브랜드 아시아 및 북미지역 등 사업권 취득]
지배기업은 더마 화장품 및 데일리뷰티 사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2020년
5월 29일에 Stiefel Consumer Healthcare (UK) Limited 등으로부터 피지오겔 브랜드의 아시아 및 북미지역 등 사업권을 취득하였습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아연 기업분석 반기보고서 (0) | 2022.08.23 |
---|---|
SK텔레콤 분기보고서 기업분석 (0) | 2022.08.22 |
하나금융지주 분기보고서 기업분석 (0) | 2022.08.22 |
솔루엠 2022.08.11 회사의 개요 (0) | 2022.08.22 |
대성미생물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0)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