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 반기보고서
연결회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부문의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사업 포트폴리오 관리 강화 목적으로 전자부품 사업을 별도 사업담당체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주요제품
광학솔루션 | Camera Module 등 |
기판소재 | 반도체기판, Tape Substrate, Photomask 등 |
전장부품 | 모터/센서, 차량통신 등 |
기타 | 전자부품 등 |
(1) 광학솔루션 사업
광학솔루션 사업부문은 신모델 적기 개발과 품질 경쟁우위 확보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49% 성장한 상반기 매출 5.9조원을 달성하며 글로벌 일등 지위를 확고히 하였습니다. 당사는 차별화 기술 기반의 신제품 개발과 무인화/지능화와 연계된 제조 경쟁력 향상을 추진하여 향후에도 사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2) 기판소재 사업
기판소재 사업부문은 Capa. 적기 확장과 제품/공정 역량 강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경쟁력을 유지하여 전년 동기 대비 20% 성장한 상반기 매출 0.9조원을 달성했습니다. 반도체 기판의 기술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과 테이프 기판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내실화에 주력하고 포토마스크는 프리미엄 모델 확대에 집중하여 글로벌 선두업체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3) 전장부품 사업
전장부품 사업부문은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 자율주행 관련 부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성장한 상반기 매출 0.6조원을 달성하였으며, 플랫폼 모델 중심의 개발과 수주활동 전개 및 지속적인 원가 구조 개선 활동으로 수익성을 동반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가. 주요 제품의 내용
연결회사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동차, 사물인터넷 등의 사업 영역에서 관련소재ㆍ소자, 전기전자 부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각 제품별 매출액 및 비율은 다음과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2022년 반기2021년2020년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
광학솔루션사업부 | 제품/ 상품/ 기타 등 |
Camera Module 등 | 5,891,953 | 77.0% | 11,845,720 | 79.3% | 7,055,923 | 74.0% |
기판소재사업부 | 반도체기판, Tape Substrate, Photomask 등 | 866,745 | 11.3% | 1,567,008 | 10.5% | 1,218,386 | 12.8% | |
전장부품사업부 | 모터/센서, 차량통신 등 | 644,202 | 8.4% | 1,062,310 | 7.1% | 910,246 | 9.5% | |
기타 | 전자부품 등 | 251,418 | 3.3% | 470,571 | 3.1% | 357,235 | 3.7% | |
합계 | 7,654,318 | 100.0% | 14,945,609 | 100.0% | 9,541,790 | 100.0% |
주1) 상기 매출액은 부문간 내부매출과 중단영업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금액
입니다.
주2) 연결회사는 차량CM 사업담당을 전장부품사업부에서 광학솔루션사업부로
이관하였으며, 2021년 및 2020년의 각 보고부문 정보는 당기의 영업부문
분류에 따라 재작성 하였습니다.
나. 주요 제품의 가격변동추이
(1) 가격변동추이
- 카메라모듈의 2021년 평균 판매가격은 2020년 대비 13.7% 상승하였으며,
2022년 반기는 2021년 대비 5.4% 상승하였습니다.
- 반도체기판의 2021년 평균 판매가격은 2020년 대비 14.9% 상승하였으며,
2022년 반기는 2021년 대비 7.8% 상승하였습니다.
- Tape Substrate의 2021년 평균 판매가격은 2020년 대비 2.1% 하락하였으며,
2022년 반기는 2021년 대비 4.4% 하락하였습니다.
- Photomask의 2021년 평균 판매가격은 2020년 대비 5.0% 상승하였으나,
2022년 반기는 2021년 대비 0.1% 하락하였습니다.
- 모터/센서의 2021년 평균 판매가격은 2020년 대비 4.8% 상승하였으며,
2022년 반기는 2021년 대비 8.5% 상승하였습니다.
- 차량통신의 2021년 평균 판매가격은 2020년 대비 4.9% 하락하였으나,
2022년 반기는 2021년 대비 2.4% 상승하였습니다.
(2) 주요 가격변동원인
- 각 제품군 사양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
- 고객사의 판가인하 요구
- 시장경쟁의 심화
- 환율 변동
- 모델 Mix
3-1.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회사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업부문별 원재료의 매입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사업품목2022년 반기2021년2020년주요매입처매입액비율매입액비율매입액비율
광학솔루션 | Image Sensor | 1,433,855 | 32% | 2,985,732 | 32% | 1,626,862 | 29% | Sony, ST Micro 등 |
Lens | 607,543 | 14% | 1,441,834 | 16% | 1,235,143 | 22% | Largan, Genius 등 | |
VCM | 1,274,180 | 29% | 2,295,410 | 25% | 853,811 | 15% | Alps, Mitsumi 등 | |
기타 | 1,108,805 | 25% | 2,562,514 | 27% | 1,808,932 | 34% | ||
소계 | 4,424,383 | 100% | 9,285,490 | 100% | 5,524,748 | 100% | ||
기판소재 | FCCL | 31,482 | 13% | 78,824 | 17% | 80,641 | 21% | SK넥실리스, Sumitomo Metal Mining 등 |
Chemical | 45,901 | 19% | 87,105 | 19% | 68,029 | 18% | Uyemura, 아토텍코리아 등 | |
CCL/PP | 47,103 | 19% | 78,229 | 17% | 57,094 | 15% | Mitsubishi Gas Chemical, Showa Denko 등 | |
기타 | 117,914 | 49% | 223,351 | 47% | 176,315 | 46% | ||
소계 | 242,400 | 100% | 467,509 | 100% | 382,079 | 100% | ||
전장부품 | IC | 132,294 | 28% | 237,767 | 30% | 193,247 | 31% | Qualcomm, Cypress 등 |
차량 Assy | 83,848 | 18% | 133,088 | 17% | 112,107 | 18% | 씨앤엠, 덕우전자 등 | |
PCB | 27,822 | 6% | 49,706 | 6% | 35,898 | 6% | 현우산업, 이레전자 등 | |
기타 | 227,392 | 48% | 377,278 | 47% | 281,404 | 45% | ||
소계 | 471,356 | 100% | 797,839 | 100% | 622,656 | 100% | ||
기타 | 169,192 | 343,939 | 301,078 | |||||
부문계 | 5,307,331 | 10,894,777 | 6,830,561 | |||||
사업부문간 내부거래 | 12 | 35 | 17,940 | |||||
총합계 | 5,307,319 | 10,894,742 | 6,812,621 |
주1)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은 연결회사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사업부문간 내부
거래 제거 금액은 별도 표시하였습니다.
주2) 중단영업부문의 원재료 매입내역은 기타 부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 현황
(1)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
- 광학솔루션 사업의 주요 원재료인 Image Sensor의 2021년 평균가격은
2020년 대비 3.9% 상승하였으며, 2022년 평균가격은 2021년 대비 12.1%
상승하였습니다.
- 기판소재 사업의 주요 원재료 중 FCCL의 2021년 평균가격은 2020년 대비
9.4% 하락하였으며, 2022년 평균가격은 2021년 대비 0.9% 상승하였습니다.
- 전장부품 사업의 주요 원재료인 IC의 2021년 평균가격은 2020년 대비
10.1% 하락하였으며, 2022년 평균가격은 2021년 대비 22.4% 상승하였습니다.
(2) 주요 가격변동원인
- 국제 원자재가격 변동에 따른 부품가격 변동
- 각 제품군의 사양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
- 원재료 국산화로 인한 가격변동
- 환율 변동
3-2.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사업품 목사업소단위2022년반기2021년 2020년
광학솔루션사업부 | Camera Module | 구미, 중국, 베트남 | 천 개 | 340,878 | 584,058 | 497,780 |
기판소재사업부 | Photomask | 구미 | 천 개 | 2.124 | 4.560 | 4.202 |
Tape Substrate | 구미 | 천 미터 | 11,626 | 22,002 | 19,513 | |
반도체기판 | 구미 | 천 시트 | 450 | 769 | 528 | |
전장부품사업부 | 모터/센서 | 평택, 광주, 중국, 멕시코, 폴란드 | 천 개 | 17,575 | 38,719 | 33,804 |
차량통신 | 광주 | 천 개 | 8,356 | 13,943 | 11,395 |
※ 생산능력 산출기준 :
- 광학솔루션/기판소재
시간당 평균 생산수량 ×1일 평균가동시간 ×월평균가동일수 × 당기간 월수
- 전장부품사업부
시간당 생산가능수량 ×1일 가동가능시간 ×당기간 가동가능 일수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사업품 목사업소단위2022년반기2021년 2020년
광학솔루션사업부 | Camera Module | 구미, 중국, 베트남 | 천 개 | 173,469 | 407,407 | 270,266 |
기판소재사업부 | Photomask | 구미 | 천 개 | 1.841 | 4.206 | 3.787 |
Tape Substrate | 구미 | 천 미터 | 9,332 | 20,516 | 18,664 | |
반도체기판 | 구미 | 천 시트 | 445 | 759 | 514 | |
전장부품사업부 | 모터/센서 | 평택, 광주, 중국, 멕시코, 폴란드 | 천 개 | 8,944 | 16,857 | 14,225 |
차량통신 | 광주 | 천 개 | 6,662 | 11,485 | 9,195 |
(2) 당기 가동률
사업품 목사업소단위생산능력생산실적평균가동률
광학솔루션사업부 | Camera Module | 구미, 중국, 베트남 | 천 개 | 340,878 | 173,469 | 50.9% |
기판소재사업부 | Photomask | 구미 | 천 개 | 2.124 | 1.841 | 86.7% |
Tape Substrate | 구미 | 천 미터 | 11,626 | 9,332 | 80.3% | |
반도체기판 | 구미 | 천 시트 | 450 | 445 | 99.0% | |
전장부품사업부 | 모터/센서 | 평택, 광주, 중국, 멕시코, 폴란드 | 천 개 | 17,575 | 8,944 | 50.9% |
차량통신 | 광주 | 천 개 | 8,356 | 6,662 | 79.7% |
다. 설비에 관한 사항
[기준일: 2022년 6월 30일] | (단위: 백만원) |
구 분기초 장부가액당기 증감당기 상각기말 장부가액
토지 | 218,188 | 52,586 | (236) | 270,538 |
건물 및 구축물 | 1,228,277 | 356,652 | (41,859) | 1,543,070 |
기계장치 | 1,365,839 | 344,067 | (329,545) | 1,380,361 |
공구와기구 및 비품 | 92,939 | 19,606 | (20,648) | 91,897 |
기타 | 241,134 | 351,501 | (1,216) | 591,419 |
합계 | 3,146,378 | 1,124,411 | (393,504) | 3,877,285 |
주1) 주요 유형자산의 객관적인 시가판단이 곤란하여 시가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주2) 유형자산 상세내역 및 담보제공 내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중 "3. 연결
재무제표 주석"의 "11.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라. 주요 사업장 현황
(1) 주요 국내사업장 현황
사업장 | 주소 |
본사/R&D 캠퍼스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 중앙10로 30 |
안산 R&D 캠퍼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
구미1공장 |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7길 50-9 |
구미1A공장 |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9길 66 |
구미2공장 |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221 |
구미3공장 |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174 |
구미4공장 |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77 |
광주공장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5번로 26 |
평택 진위공장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2산단로 111 |
파주공장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휴암로 570 |
주1) 2022년 6월 10일 구미4공장을 신규로 매입하였습니다.
(2) 주요 해외생산법인 현황
지역 | 주소 |
미주 | 멕시코 케레타로 |
유럽 | 폴란드 브로츠와프 |
아시아 | 인도네시아 찌까랑, 베트남 하이퐁 |
중국* | 연태 |
* LG Innotek Huizhou Co.,Ltd. 는 생산 및 영업활동을 중단하였으며,
2022년 3월 28일 지분양수도 방식으로 법인 매각을 완료하였습니다.
마. 설비 등의 신설, 매입 계획
(1) 진행중인 투자
[기준일: 2022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투자기간투자대상투자효과투자금액
광학솔루션사업부 | '22.01~'22.06 | 기계장치 등 | Capa. 확장 등 | 622,327 |
기판소재사업부 | '22.01~'22.06 | 기계장치 등 | Capa. 확장 등 | 116,752 |
전장부품사업부 | '22.01~'22.06 | 기계장치 등 | Capa. 확장 등 | 10,056 |
기타 | '22.01~'22.06 | 건물 등 | Capa. 확장 등 | 314,270 |
합 계 | 1,063,405 |
(2) 향후 투자계획
향후 투자는 주력 사업의 시장 지배력 확대와 중장기 육성 신사업 중심으로 투자를 계획 중이며, 이는 향후 기업여건 및 시장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4-1.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1) 부문별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구분2022년 반기(제 47 기)2021년(제 46 기)2020년(제 45 기)
광학솔루션사업부 | 내수 | 102,352 | 214,710 | 220,001 |
수출 | 5,789,601 | 11,631,010 | 6,835,922 | |
합계 | 5,891,953 | 11,845,720 | 7,055,923 | |
기판소재 사업부 |
내수 | 122,482 | 236,438 | 204,997 |
수출 | 744,263 | 1,330,570 | 1,013,389 | |
합계 | 866,745 | 1,567,008 | 1,218,386 | |
전장부품 사업부 |
내수 | 237,405 | 404,174 | 336,778 |
수출 | 406,797 | 658,136 | 573,468 | |
합계 | 644,202 | 1,062,310 | 910,246 | |
기타 | 내수 | 8,988 | 10,015 | 15,271 |
수출 | 242,430 | 460,556 | 341,964 | |
합계 | 251,418 | 470,571 | 357,235 | |
합 계 | 내수 | 471,227 | 865,337 | 777,047 |
수출 | 7,183,091 | 14,080,272 | 8,764,743 | |
합계 | 7,654,318 | 14,945,609 | 9,541,790 |
주1) 상기 매출액은 부문간 내부매출과 중단영업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 금액
입니다.
주2) 연결회사는 차량CM 사업담당을 전장부품사업부에서 광학솔루션사업부로
이관하였으며, 2021년 및 2020년의 각 보고부문 정보는 당기의 영업부문
분류에 따라 재작성 하였습니다.
(2) 유형별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
유형2022년 반기(제 47 기)2021년(제 46 기)2020년(제 45 기)
재화의 판매 | 7,654,025 | 14,945,014 | 9,540,900 |
로열티 수익 | 124 | 159 | - |
임대료 수익 | 169 | 436 | 890 |
합계 | 7,654,318 | 14,945,609 | 9,541,790 |
주) 상기 매출액은 부문간 내부매출과 중단영업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 금액
입니다.
(3) 주요 품목별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
품 목2022년 반기(제 47 기)2021년(제 46 기)2020년(제 45 기)
Camera Module 등 | 5,891,953 | 11,845,720 | 7,055,923 |
반도체 기판 | 556,650 | 862,539 | 552,643 |
주) 연결회사는 차량CM 사업담당을 전장부품사업부에서 광학솔루션사업부로
이관하였으며, 2021년 및 2020년의 각 보고부문 정보는 당기의 영업부문
분류에 따라 재작성 하였습니다.
(4) 지역별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
구 분2022년 반기(제 47 기)2021년(제 46 기)2020년(제 45 기)
대한민국 | 7,361,465 | 14,493,162 | 9,213,641 |
중국 | 153,014 | 227,142 | 164,297 |
기타 | 139,839 | 225,305 | 163,852 |
합 계 | 7,654,318 | 14,945,609 | 9,541,790 |
주) 상기 매출액은 부문간 내부매출과 중단영업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 금액 입니다.
나. 판매경로와 판매방법
(1) 연결회사는 당분기말 현재 각 사업부 산하에 영업 및 고객지원조직이 있습니다.
(2) 해외 판매망으로는 미국, 대만, 중국, 일본, 독일에 판매법인 및 지사가
설립되어 있으며 판매 및 고객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판매경로는 사업부 영업조직을 통한 Direct 판매방식이 매출의 99%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Distributor를 통한 Indirect 매출은 1% 미만 수준입니다.
구분판매경로
내수 | 수주(계약)-설계-자재구매-생산-End User |
수출 | 수주(계약)-설계-자재구매-생산-Distributor- End User |
수주(계약)-설계-자재구매-생산-End User |
(4) 판매방법 및 조건
연결회사는 내수의 경우 현금 및 외상거래, 수출의 경우 L/C, T/T 등을 통하여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판매거래 조건에는 FOB, CIF, DAP, DDP 등이 있습니다.
다. 판매전략
자사 참여 Industry 내 고객의 포지션과 자사의 진입 현황을 분류하여 핵심고객을 선정하고, 시장동향과 자사역량 분석을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차별적 가치를 적기에 제공함으로써 전략적 파트너쉽을 통한 고객 미래 성공 기여 및 자사 사업 성과 창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객의 구매단계별 경험 여정 속에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핵심 경험의 혁신을 위해 핵심가치 요소를 발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 활동을 통해 소재·부품 전영역에 걸쳐 고객 중심 고도화 마케팅 활동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라. 주요 매출처
당기 연결회사 총 수익중 매출액 10% 이상을 차지하는 단일 고객으로 부터의 매출은광학/기판사업부 등의 매출 5,524,428백만원이며 매출액 기준 상위 10개 회사로의 매출은 전체 매출의 81%를 구성합니다.
4-2. 수주에 관한 상황
연결회사는 차량용 부품을 생산 및 납품하고 있으나, 물량이 확정되어 있지않고 대내외적 경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수주물량, 수주잔고 등 별도 수주상황을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5-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III. 재무에 관한 사항" 중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의 "4. 재무위험관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가. 파생금융자산 및 파생금융부채
연결회사는 파생상품 계약에 대해 독립적인 외부 기관이 평가한 값을 제공받아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투입변수는 할인율, 환율, 이자율 등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2022.6.30자산부채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 ||
통화스왑계약 | 19,799 |
나.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
연결회사는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하여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계약별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
구분계약처계약금액(단위:백만)계약환율(원/달러)지급이자율(%)위험회피시작일위험회피종료일계정과목장부금액(2022.06.30)장부금액(2021.12.31)자산자산부채
미국달러/원 통화스왑 |
신한은행 | USD 50 | 1,171.00 | 2.06 | 2019.10.25 | 2026.10.26 | 기타금융자산 | 11,187 | 2,199 | |
USD 70 | 1,233.70 | 2.00 | 2020.05.28 | 2025.05.28 | 기타금융자산/부채 | 8,612 | 1,421 |
파생계약의 수취이자율은 관련 차입금의 차입비용과 동일합니다.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 2022년 6월 30일 및 2022년 반기
(단위: 백만원) |
구분계정장부금액가치변동(세후)
미국달러/원 통화스왑 | 차입금 | 64,123 | -6,600 |
90,503 | -7,368 |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 2022년 6월 30일 및 2022년 반기
(단위: 백만원) |
구분파생상품가치변동(세후)당기손익 인식계정과목당기손익재분류금액(세후)기타포괄손익인식액(세후)기타포괄손익누계액 잔액
미국달러/원 통화스왑 | 13,968 | 이자비용 및 외환차이 |
-9,629 | 13,934 | 6,856 |
6-1. 경영상의 주요 계약
당사측 당사자계약상대방계약체결일 및 기간계약명계약의 목적 및 내용비고
국내법인 | 한양학원 (한양대) | 계약체결일 : 2005. 02. 02 기간 : 2005.02. ~ 2030.01. |
LG연구소 건립협약 | 연구소 건축물(18,000㎡) 기부채납, 사용수익 |
기부채납계약으로서 별도의 계약금액 없음 |
국내법인 | 갑社 | 계약체결일 : 2021. 03. 31 | 자산양수도계약 | 자산 양도 | 계약상대방명, 계약금액을 포함한 세부내용은 비밀유지합의에 따라 비공개함 |
국외법인 | 을社 | 계약체결일 : 2021. 12. 29 | 지분양수도계약 | 지분 양도 | 계약상대방명, 계약금액을 포함한 세부내용은 비밀유지합의에 따라 비공개함 |
국내법인 | 엘지전자(주) | 계약체결일 : 2022. 06. 10 | 매매계약 | 생산지 확보를 위한 공장 매입 | 자세한 사항은 2022년 6월 9일 공시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 계약상 기밀에 해당하는 사항은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6-2.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결회사는 다양한 부품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광학, 기판/소재, 전장부품분야의 핵심부품을 개발, 디지털제품의 소형/고기능화, 첨단융/복합화를 리드하고 부품소재 분야의 차세대 기술 주도 및 원천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전세계 우수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전략적 Alliance를 통해 Global R&D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Technology Leadership을 확보하여 미래 기술영역을 개척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출연 연구소와 국책과제 공동수행을 통해 혁신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으며 유수 대학과 협력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업 맞춤식 주문형 석사제도 및 다양한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결회사는 Technology Leadership을 확보하여 미래 첨단기술 영역을 개척해 가기 위한 연구개발 전담조직으로서 CTO 및 사업부 산하에 각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R&D조직 |
다. 연구개발 비용
(단위: 백만원) |
과 목2022년 반기(제 47 기)2021년(제 46 기)2020년(제 45 기)
연구개발비용 계 | 340,622 | 564,343 | 474,322 | |
(정부보조금) | (141) | (116) | (79) | |
회계처리 | 연구개발비 | 245,208 | 408,633 | 328,462 |
제조경비 | 73,744 | 129,710 | 105,058 | |
개발비(무형자산) | 21,529 | 25,884 | 40,723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4.5% | 3.8% | 5.0% |
라. 연구개발 실적
연결회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사업영역연구개발과제개발성과 및 기대효과
2020년 | 카메라모듈 | 고배율 광학줌 카메라 모듈 개발 | - 고신뢰성, 고화질 제품 개발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기술 선도 |
스마트폰 후면용 ToF 모듈 개발 | - 3D 인식 모듈 사업화를 통한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 | ||
차세대 ToF 기술 개발 | - 3D 인식 모듈 기능 개선을 통한 시장/사업 기회 발굴 가능 | ||
기판소재 | Camera Module(OIS)용 권선 코일 대체 기판 개발 |
- 스마트폰 카메라 OIS(손떨림 방지)기능 강화 | |
차량부품 | 히팅카메라 개발 | - 외부환경 (눈/서리 제거)에 robust한 히팅 솔루션 기술 개발 | |
차량용 AVM system 개발 | - 전장용 AVM System 라인업 확보 | ||
세계 최소형 블루투스 모듈 개발 | - 가로 6㎜ 세로 4㎜에 20여개 부품 집약 - 독자 개발한 안테나 일체형 기술 탑재 - 초정밀·고집적화로 IoT 시장 선점 시동 |
||
5G-V2X 통신모듈 개발 | - 5G 기술 선도로 경쟁사 대비 경쟁우위 확보 - 고객사와 선행개발과제 완료(`19.9 ~ `20.12) - 경쟁사 대비 열충격 보강 기술, 차량 배터리 방전방지 기술, 표준 API 통합 미들웨어 설계 우위 |
||
Digital Key용 BLE 통신모듈 개발 | - BLEn 적용 Master와 Slave 간 무선 링크 연결로 인식범위 및 측위 정확도 경쟁우위 확보 - 세계최초 센서간 무선통신 솔루션 양산(`20.10) - 실외 통신거리 100m 확대, 차내 측위 정확도 50cm 구현(경쟁사 100cm 이상) |
||
ESS용 11kW 양방향 DC-DC 컨버터 | - ESS용 배터리 DC-DC 컨버터 라인업 확보 및 양산 | ||
mHEV용 DC-DC 컨버터 개발 | - mHEV용 DC-DC 컨버터 단품 경쟁력 및 라인업 확보 | ||
전방램프용 LDM 개발 | - 전방램프용 LDM 양산 라인업 확보 | ||
차량카메라 초소형 플랫폼 개발 | - 회로 / 기구부품 최소화 통한 차량용 소형 카메라 플랫폼 개발 (소형화 및 조립 공정 단순화) |
||
파워 부품 | 고효율 페라이트 개발 | - 열로 인한 전력손실량이 일반 페라이트 대비 40%수준 - TV용 파워 모듈에 적용 시 9.9mm로 세계에서 가장 얇은 수준의 두께 구현 가능 - 차량용 DC-DC컨버터 적용 시 무게 10%감량, 에너지 효율은 1.2%향상 가능 |
|
2021년 | 전자부품 | WiFi 6 + BT Combo 모듈 개발 | - Isolator 적용해서 WiFi 6 + BT Combo 모듈에 개발검토→차별화된 Isolator 확보로 시장 선도 |
60W 4PPoE WiFi 4 Bridge 개발 | - PoE 시장 세계최초 출시 / 보안 사업자 추가 확대 전개 | ||
친환경 선박용 열전발전 모듈 개발 | - 세계 최초로 선박의 폐열을 활용한 열전 발전 모듈 및 시스템 개발 (삼성중공업 협력) - 산업통상자원부 신기술인증(NET) 획득 |
||
차량부품 | ESS용 7kW 양방향 DC-DC 컨버터 양산 | - ESS 배터리팩용 DC-DC컨버터 라인업 강화 | |
Tail/Stop Lamp용 Nexlide-E / LDM 양산 | - Nexlide 구조에 광학필름 적용하여 Stop Lamp에 Nexlide 최초 적용 | ||
Garnish Lamp용 Nexlide-A 양산 | - Nexlide 적용 전방용 램프 최초 적용 (Application 확대 : 후방용 → 전방용 Logo / Grille) | ||
세계 최초 차량용 WiFi 6E 모듈 개발 | - 6GHz 고주파 대역 사용으로 기존 와이파이5 대비 3배 가량 빠른 속도 제공가능하며 차량용으로는 세계 최초 개발 |
||
차량용 디키털 키 모듈 개발 | - UWB 기술과 독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위치 인식 정확도 업계 최고 수준으로 개발 (오차 10cm이내) |
||
고전압용 BMS 플랫폼 개발 | - 고전압 트랜드에 대응하기 위한 800V용 BMS 플랫폼 확보 | ||
카메라모듈 | 모바일용 가변 초점 거리 줌 카메라 모듈 양산 | - 세계 최초 모바일용 가변 초점 거리 줌 카메라 모듈 양산으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카메라 기술 선도 |
|
1억화소 카메라 모듈 양산 | - 1억화소 카메라 모듈 양산을 통한 모바일 카메라 상품 폭 다변화 | ||
기판소재 | 안테나 모듈용 기판 개발 및 안테나 TP(Tuning & Packaging)사업 진출 |
- 독자적인 층간 접합 기술과 신호 손실 저감 기술을 활용하여 5G 안테나 모듈용 기판 개발 - 인접 영역인 TP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혀 나가면서 기판과의 시너지 창출 예상 |
|
2022년 | 카메라모듈 | 고해상도 3D Sensing 모듈 | - MS와 협업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Depth Platform 생태계 조성 |
차량부품 | JLR향 BMS 양산 (독자 개발 플랫폼) | - 자사 첫 독자 개발 BMS 제품 양산 | |
차량부품 | 차량 실내용 레이더 모듈 개발 | - 경쟁사 대비 해상도(Resolution)를 40% 가량 높여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 확보 - 글로벌 차량용 레이더 모듈 시장을 공략하고 고객경험 혁신으로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 |
|
차량부품 | Headlamp용 TEM (Top Electrode Module) | - Headlamp용 TEM 최초 양산 (전방램프 영역으로 Application 확대) | |
차량부품 | Headlamp용 LDM (LED Driver Module) | - Headlamp용 LDM 최초 양산 (전방램프 영역으로 Application 확대) |
가.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연결회사는 LG 브랜드 사용대가로 연결재무제표상의 매출액에서 광고선전비를 차감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지급하는 상표권 사용 계약을 (주)LG와 체결하였습니다. 이는 연결회사가 LG의 브랜드 파워를 활용하는 것이 신규 고객 확보 및 매출 확대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LG 브랜드는 IT, 가전, 차량부품 등 다양한 B2C, B2B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와 선호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스마트폰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글로벌 전략고객을 대상으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전장부품, 사물인터넷(IoT), 소재ㆍ소자 등 신성장 분야에서 신규 고객을 확보해 가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고객 중심의 경영 실현을 위해 고객별 핵심 가치를 정의하고 고객에게 가치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상품기획부터 생산, 판매 전 벨류체인에서 고객을 이해하고 혁신을 지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객 경험을 우선 선정하고 고객 경험 개선에 맞는 과제를 전개하여 고객의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고객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성과를 내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차별화된 소재 부품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소재/부품의 핵심 기술 R&D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객 시장 선도를 위해 중장기 제품/기술 로드맵을 구축 개발 수행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도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새로운 분야로의 확장 및 미래 성장 동력 발굴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연결회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2년 6월 30일 기준 누적으로 국내 4,310건, 해외 5,142건의 등록된 특허권이 있으며, 보고기간중에 취득한 중요한 특허권 및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 국내/해외 | 취득일 | 내용 | 근거법령 | 취득소요 인력/기간 |
특허 | 국내 | 2022-02-07 | OLED 화소 증착을 위한 금속 재질의 증착용 마스크 및 OLED 패널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40년 3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2명 / 1년 11월 |
특허 | 국내 | 2022-02-22 |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대한 특허로 2037년 4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1명 / 4년 10월 |
특허 | 국내 | 2022-03-10 | 올인원 칩 온 필름용 연성 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칩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특허로 2037년 5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4명 / 4년 10월 |
특허 | 국내 | 2022-03-21 |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에 대한 특허로 2035년 8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1명 / 6년 7월 |
특허 | 국내 | 2022-03-29 | 카메라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35년 7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1명 / 6년 8월 |
특허 | 국내 | 2022-04-18 |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대한 특허로 2035년 6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1명 / 6년 10월 |
특허 | 국내 | 2022-04-29 | 형광체 플레이트 제조용 조성물, 형광체 플레이트 및 조명장치에 대한 특허로 2035년 6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5명 / 6년 11월 |
특허 | 해외 | 2022-05-17 |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에 대한 특허로 2039년 2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2명 / 3년 3월 |
특허 | 국내 | 2022-06-08 | 파킹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에 대한 특허로 2035년 10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3명 / 6년 9월 |
특허 | 국내 | 2022-06-20 |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에 대한 특허로 2036년 1월까지 배타적 권리 보유 | 특허법 | 1명 / 6년 7월 |
주) 연결회사는 상기의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모바일, 디스플레이, TV, 차량부품 등에 관한 특허로서 회사의
주력사업 제품에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 환경관련 규제사항
회사는 환경규제 선행 대응 강화 및 끊임없는 개선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소재부품업계 Global Top 수준의 안전환경경영 체계를 구축하고 국내외 규제 및 기후 위기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안전환경 개선/혁신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안전환경 경영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환경보전 및 오염예방을 위한 국내외 법규의 자율적 준수, 친환경사업장 조성, 청정기술 개발을 통한 생산성 극대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제품 환경 규제 대응
경영 활동 범위가 전 세계로 확장되면서, 범지구적 관점에서의 이슈와 문제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회사는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 환경보호를 이유로 자국내 생산되는 제품 뿐만 아니라 수입품에 대해서도 제품 환경규제(RoHS/REACH 등) 기준을 점차 강화하는 추세이며, 회사는 이를 만족하기 위해 유해물질관리시스템(HSM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System) 운영을 통한 유해물질 자료 검증 및 분석 실시, 협력회사의 친환경 경영 활동이 환경 규제 및 회사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에 대해 평가하고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인 친환경인증제(Green Program) 운영 등을 통해 친환경 경영 활동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2) 기후변화 대응
[RE100 및 탄소중립]
회사는 2022년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전세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204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하였습니다. 이러한 목표는
ESG위원회 승인을 통해 대외 선언하였으며, 글로벌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 이니셔티브와 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인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RE100 및 탄소중립 로드맵 이행을 위해 고효율 설비 도입, 생산 중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하는 등 다양한 에너지 절감 활동을 강도 높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도입을 위해 지난해부터 한국전력에 추가 요금을 내고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공급받는 '녹색프리미엄' 제도에 참여하고 있으며, 올해 국내사업장 연간 전력량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92GWh 구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보다 적극적이고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공급을 위해 사업장 내 태양광 발전 설비 추가 설치 및 재생에너지 발전업체로부터 직접 전력을 구매하는 전력구매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 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구매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구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온실가스(tCO2e) | 297,553 | 288,486 | 316,558 |
에너지(TJ) | 6,330 | 6,031 | 6,378 |
주1) 보고 대상 : 본사 및 연구소를 포함한 국내 전사업장
주2) 2020-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환경부 적합성 평가에 따라 변동되었습니다.
회사는 매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명세서를 작성하고 정부 지정 검증기관의 제 3자 검증을 거쳐 정부에 제출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15년 1월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에 의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관리 대상 기업으로 지정되어 정부로부터 이행계획기간('21~'25년)별 무상할당 배출권을 부여 받았습니다. 국내 전사업장은 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1)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온실가스 저감활동을 실시하여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따른 리스크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3) 녹색경영
회사는 전사업장에서 녹색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높이기 위해 국제표준에 근거한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 45001),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1)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환경규제(화평법/화관법 등) 대응을 위하여 화학물질관리시스템(CMS: Chemical Management System) 및 안전환경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프로세스 및 IT시스템이 결합된 녹색경영 관리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미1/1A사업장의 경우 녹색경영체계를 구축하여 자율적으로 환경오염물질 감축, 자원 및 에너지 절감, 제품의 환경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표를 실행하여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함을 인정받아 환경부로부터 녹색기업으로 지정받았습니다.
[인증 현황 및 인증 기관]
분류 | 국내 | 연태 | 폴란드 | 인니 | 베트남 | 멕시코 |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
TRA | CQC | BM TRADA | IIC | TRA | Global STD |
ISO 45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
TRA | CQC | BM TRADA | IIC | TRA | Global STD |
ISO 50001 (에너지경영시스템) |
BSI | - |
[순환자원]
회사는 국내외 순환자원 관련 인증을 적극 도입하여 내부 수준을 파악하고 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구미사업장은 글로벌 안전인증회사인 Underwriters Laboratories(UL)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Zero Waste to Landfill)'을 획득하였습니다. 특히, 구미2,3사업장은 최고 등급인 'Platinum'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구미/광주/평택사업장은 국내 자원순환기본법에 따른 '순환자원인정제도'를 활용하여 폐플라스틱 Tray를 폐기물이 아닌 순환자원으로 인정 받았습니다. 구미/광주사업장은 폐합성수지에 대해 순환자원의 품질 정보를 표시하는 '순환자원품질표지인증'을 획득하여 폐기물 발생 저감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라.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연결회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3개 사업부문과 기타부문으로 영업부문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사업 시너지 제고와 전장부품사업부의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기 위해 차량CM 사업담당을 광학솔루션 사업부로 이관 하였으며, 2021년 및 2020년의 각 보고부문 정보는 당기의 영업부문 분류에 따라 재작성 하였습니다.
[2022년 반기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주요손익 항목] | (단위: 백만원) |
구 분사업부문내부거래전사합계광학솔루션기판소재전장부품기타
Ⅰ. 매출액 | 5,892,023 | 866,745 | 644,279 | 251,422 | (151) | 7,654,318 |
외부고객에 대한 매출 | 5,891,953 | 866,745 | 644,202 | 251,418 | - | 7,654,318 |
부문간 내부매출 | 70 | - | 77 | 4 | (151) | - |
Ⅱ. 계속사업영업이익(손실) | 416,367 | 230,759 | (9,555) | 19,398 | - | 656,969 |
[2021년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주요손익 항목] | (단위: 백만원) |
구 분사업부문내부거래전사합계광학솔루션기판소재전장부품기타
Ⅰ. 매출액 | 11,845,722 | 1,570,872 | 1,062,324 | 470,585 | (3,894) | 14,945,609 |
외부고객에 대한 매출 | 11,845,720 | 1,567,008 | 1,062,310 | 470,571 | - | 14,945,609 |
부문간 내부매출 | 2 | 3,864 | 14 | 14 | (3,894) | - |
Ⅱ. 계속사업영업이익(손실) | 925,168 | 362,768 | (57,664) | 33,951 | - | 1,264,223 |
[2020년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주요손익 항목] | (단위: 백만원) |
구 분사업부문내부거래전사합계광학솔루션기판소재전장부품기타
Ⅰ. 매출액 | 7,055,924 | 1,244,183 | 910,258 | 357,247 | (25,822) | 9,541,790 |
외부고객에 대한 매출 | 7,055,923 | 1,218,386 | 910,246 | 357,235 | - | 9,541,790 |
부문간 내부매출 | 1 | 25,797 | 12 | 12 | (25,822) | - |
Ⅱ. 계속사업영업이익(손실) | 438,661 | 253,899 | (30,557) | 19,016 | - | 681,019 |
[사업부문별 자산 및 부채에 관한 정보] | (단위: 백만원) |
영업부문2022.06.302021.12.312020.12.31자산부채자산부채자산부채
광학솔루션 | 5,245,360 | 2,844,002 | 5,158,139 | 3,077,213 | 3,180,857 | 2,238,286 |
기판소재 | 1,620,086 | 753,556 | 1,341,011 | 719,483 | 1,357,311 | 699,978 |
전장부품 | 999,875 | 531,878 | 924,152 | 466,861 | 879,189 | 470,072 |
기타 | 259,082 | 164,047 | 318,051 | 163,590 | 621,243 | 202,576 |
합 계 | 8,124,403 | 4,293,483 | 7,741,353 | 4,427,147 | 6,038,600 | 3,610,912 |
주1) 보고부문 자산과 부채 및 손익항목은 지원부문의 공통자산 및 부채, 공통수익 및 비용을 연결회사의 합리적인 배부기준에 따라 각 보고부문에 배부한 금액
입니다.
주2) 연결회사는 차량CM 사업담당을 전장부품사업부에서 광학솔루션사업부로
이관하였으며, 2021년 및 2020년의 각 보고부문 정보는 당기의 영업부문
분류에 따라 재작성 하였습니다.
마. 사업부문별 현황
COVID-19의 확산은 국내외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저하와 매출의 감소나 지연, 기존 채권의 회수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연결회사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OVID-19로 인하여 연결회사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궁극적인 영향은 현재 예측할 수 없습니다.
(1) 광학솔루션 사업
ㄱ. 산업의 특성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산업은 고부가가치의 기술 집약적 산업이며 카메라모듈의 성능이 완제품의 경쟁력으로 직결되어 첨단기술 및 고객의 요구변화에도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즉각적인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은 새로운 기능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니즈에 대응하여 제품화 할 수 있는 개발 / 제조 역량이 요구됩니다.
ㄴ. 산업의 성장성
모바일 기기의 고성능화 및 복합화에 힘입어 카메라모듈 시장도 확대되어 왔습니다.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 차별화가 어려워 시장 성장 정체가 전망되고 있지만 카메라모듈은 고화소, 줌, 3D인식모듈 등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에 따라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량용 카메라는 자율주행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핵심 부품인 카메라모듈의 수요가 확대될 전망입니다.
ㄷ. 경기변동의 특성
카메라모듈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해외 시장의 경기 변동, 첨단 기술과 고객의 요구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이외 원자재 가격, 환율 및 국내 경기 변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ㄹ. 국내외 시장여건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기능(멀티 카메라, Auto Focus, 손떨림 보정, 줌 등)을 갖춘 고화소 카메라의 적용 확대와 함께, 차량의 자율주행 단계가 진화할수록 카메라 요구 성능의 고도화 및 탑재 카메라 수의 증가로 인하여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 품 | 모바일용 Camera Module |
2022년 반기 M/S | 27.8% |
2021년 M/S | 25.8% |
2020년 M/S | 14.9% |
주1) M/S는 당사 추정치이므로 조사기관별로 시장 점유율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ㅁ.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회사는 꾸준한 연구개발과 시장 선도 제품 출시,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략고객과의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하고 차별화 전략 제품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도하겠습니다.
(2) 기판소재 사업
ㄱ. 산업의 특성
기판은 모든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자제품의 경박단소를 결정하는 고부가가치의 핵심부품으로, 전방산업의 수요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소재ㆍ설비ㆍ약품 등 다양한 핵심 요소 기술이 집약되어 있는 산업입니다. 또한 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자금력이 요구되는 대규모 장치산업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Tape Substrate와 Photomask 사업은 고객의 요구와 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과 자금력이 필요한 장치 산업으로, 진입 장벽이 높고 고객과의 밀접한 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한 사업입니다.
ㄴ. 산업의 성장성
기판 산업은 IT, 반도체 시장의 성장 및 기술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도체 메모리 용량의 증가와 스마트 기기의 다기능화, 부품의 소형화 니즈 증가로 기판도 점점 고성능, 고집적화 되고 있는 추세이며, 산업분야별로 기판의 생산방법 및 기능이 빠른 속도로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용 핵심 부품인 Tape Substrate와 Photomask는 최근 고해상도, 초슬림, Narrow Bezel 니즈 증가와 더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OLED 적용 확대로 인하여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ㄷ. 경기변동의 특성
디스플레이 및 모바일 등 전자제품의 수요, 정보통신산업의 동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국제환율, 국제 원자재가격, 수출시장의 환경 등 해외 경기 변동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국내 경기 변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ㄹ. 국내외 시장여건
스마트기기와 반도체 시장의 꾸준한 성장, IT 산업의 확장에 힘입어 기판 산업도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최근 스마트폰의 고사양화 확대와 웨어러블 기기 및 사물인터넷의 시장 개화에 따라 고집적, 초박형, 대용량, 고방열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이 주요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스플레이는 최근 TV 판매 감소에 따른 Set, Panel 재고 증가 등으로 인하여 '22년은 수요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23년에는 점진적 회복이 예상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 품 | 반도체기판 | Tape Substrate | Photomask |
2022년 반기 M/S | 19.5% | 42.0% | 28.0% |
2021년 M/S | 16.7% | 41.0% | 34.0% |
2020년 M/S | 12.2% | 41.0% | 32.0% |
주1) M/S는 당사 추정치이므로 조사기관별로 시장 점유율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ㅁ.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기판사업은 핵심 기술력, 글로벌 전략 고객 파트너십, 선행기술 제안 및 적기 Capa 대응으로 안정적인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IT 기기의 경박단소화, 융ㆍ복합화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요구되는 고집적, 미세선폭, 임베디드(Embedded), 박판화 등의 선도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으며, 5G 등 통신 세대 전환기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제품의 구조/재료에 대한 기술 개발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Tape Substrate 사업 또한 선도 기술 개발과 생산성 혁신 활동 등으로 경쟁력을 강화하여 일등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Photomask 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포토 에칭 기술, 미세 패턴 구현 기술 등을 바탕으로 고밀도, 초정밀 차별화 제품으로 디스플레이 제품의 디자인 자유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공정 혁신과 원재료 국산화를 통해 글로벌 선두업체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향후 고해상도 및 OLED TV의 성장세에 맞추어 적기 대응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지속 수주 예정입니다.
(3) 전장부품 사업
ㄱ. 산업의 특성
차량부품 산업은 자동차의 기계식 기술에 전자기술을 접목하는 추세로 전자부품의 적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차량부품 산업은 일반 전자제품 대비 제품의 수명 주기가 길고, 고신뢰성과 안정성이 요구되어 제품 개발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한 설비투자가 필수적인 산업이며, 진입장벽 또한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고객과의 신뢰 구축이 사업의 성공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산업입니다.
ㄴ. 산업의 성장성
차량부품 산업은 자동차 기술이 친환경, 안전 및 편의 기능 향상을 위한 지능화 방향으로 발전함에 따라 모터류, 센서류 등 전자 부품과 통신 부품의 채용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차(xEV)와 관련된 신규 전자부품 영역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차량부품 산업은 전자업계의 신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ㄷ. 경기변동의 특성
자동차 산업은 고가의 내구재로 경기상황에 따라 소비 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기민감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차량부품 역시, 자동차 산업과 연동되기 때문에 경기민감도가 높은 수준이나, 교체부품의 꾸준한 수요가 관련 위험을 일부 완화시키고 있습니다.
ㄹ. 국내외 시장여건
최근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여파에 따른 완성차의 생산 감축으로 인하여 차량부품의 전체 수요가 단기적으로 감소되었습니다. 그러나 각국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친환경차로 전환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관련 차량부품 시장은 지속 성장할 전망입니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활성화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기능을 탑재한 차량이 증가하면서 ADAS용 센서 및 통신모듈의 수요 또한 지속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 품 | 차량모터 |
2022년 반기 M/S | 13.5% |
2021년 M/S | 12.5% |
2020년 M/S | 11.2% |
주1) M/S는 당사 추정치이므로 조사기관별로 시장 점유율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ㅁ.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차량부품은 BLDC 모터와 정밀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고출력/소형화 설계역량을 바탕으로 제동/조향용 모터에서 글로벌 경쟁우위 역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파워트레인용 모터 등 타 제품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기기와 전자장치의 복합 모듈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확대 중에 있으며, 보유 제품/기술을 레버리지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모듈, 차량용 조명 모듈 및 전기차용 부품을 육성하면서 차량 사업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바.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회사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신규 사업 기회를 적극적으로 탐색/준비하고 있습니다. 핵심 분야인 광학, 기판소재 및 차량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소재ㆍ부품 기술 기반으로 미래성장동력 발굴 및 신규 사업 기회 확보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엔젤 22.05.16 회사개요 (0) | 2022.08.26 |
---|---|
엔씨소프트 반기보고서 (0) | 2022.08.26 |
유틸렉스 2022.08.16 종속회사, 계열회사, 타법인출자 (1) | 2022.08.25 |
유틸렉스 22년 반기보고서 주주 관련 사항 (0) | 2022.08.25 |
유틸렉스 22.08.16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0) |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