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의미하는 낱말, 단어 - 오늘 사용해 봅시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익숙함에 속아 잃게 되는
소중한 것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지난 날을 돌이켜 보면 저도 참 어리석었던
행동을 많이 했던 어른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팍팍해져만 가는 세상 속에서 무미건조하게
하루하루를 보내다 보면 그러지 말아야 할
상황들이나 사람들에게 나도 모르게 상처를
줄 때가 종종 있죠.
사과한다는 것이 뭐가 그렇게 어려운 그 짧은
한 마디가 입에서 떨어지질 않습니다.
좋은 일만 하고 긍정적인 생각만 하며 행복하게
살아가도 짧은 인생이라는 것을 모두 다 알면서
아등바등 뭘 그렇게 치열하게 살아가는 지
무엇을 위해 그러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소중한 사람에게 더 늦기
전에 사랑을 의미하는 낱말, 단어로 소중한 나의
마음을 진심을 담아 표현해 보는 건 어떨까요?
사랑을 의미하는 낱말들을 쭉 정리해
볼게요. 일상에서 많이 사용해 봅시다. ^^
애정
사랑을 의미하는 낱말 중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단어죠?
애정은 사랑하는 마음의 의미와 남자와
여자가 서로 그리워하는 마음을 뜻합니다.
ex - 그 둘, 서로 간에 애정은 깊어져만 갔다.
그 일에 대한 애정이 생겼다.
연모
연모는 특정한 존재,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깊어짐을 의미합니다.
요즘에는 잘 안 쓰이는 단어지만 고전소설,
사극에서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단어에요.
ex- 그 남자에 대한 연모가 깊어져만 간다.
그 사람을 연모하고 있습니다.
애착
강하게 끌리는 마음, 너무 사랑해서
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보통 어렸을 때 부모님에게 사랑받지 못하고
자란 아이들이 애착에 대한 갈망을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이런 아이들에게는 사랑받는 다는 느낌이
들도록 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요즘은 어른들 중에서도 애착인형이라는
것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던데 아무래도
서로 간의 감정 표현이 서투른 세상이
되다보니 모두 결핍이 생긴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아가페
아가페는 종교에서 나온 단어로서 무조건적인
사랑을 뜻하는 말입니다.
사랑하는 대상에게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제약을 두지도 않은 채 무한한 사랑을 보내는
행위를 '아가페'라고 부르죠.
대표적인 예시로 자식을 향한 부모님의
사랑을 '아가페'라고 할 수 있겠죠?
흠모, 흠애, 염모
염모하다, 흠애한다, 흠모하고 있다 등의
표현들은 사극에서 많이 보이는 표현이죠?
위 단어들은 공경하는 마음과 사모하는
마음이 섞여있는 사랑을 의미해요.
애열 - 기뻐하는 마음으로 사랑하고 있음
사모 - 애틋한 마음을 품고 그리워 함
애모 - 그리워하면서 사랑한다는 의미
은애 - 부부나 부모 자식 간의 애정을 의미
가연 - 부부 관계를 맺는 연분, 연인, 인연
다솜 - 애틋한 사랑을 의미하는 순우리말
연리지 - 두 나무가 닿아 하나가 된다는 의미
조운모우 - 남녀간의 사랑이 깊어짐을 의미
조금 부끄럽지만 평소해 사랑한다는 표현을
잘 못하셨다면 위 표현들 중에서 상대방이
모를만한 낱말을 활용해 사랑을 고백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사랑을 표현하지 않으면 우리는 생기를
잃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사랑이란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교제를 나눌 수 있는 사회성을
길러주는 근간이 되기 때문이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랑은 존재해 왔습니다.
사랑이란 것은 삶을 살아가면서 빼놓을 수
없는 감정입니다.
형태가 다르겠지만 우린 모두 자신도 모르게
평생을 사랑받고 사랑하다가 죽게 되죠.
어차피 주고 받으며 살아가야할 숙명일라면
숨기지 말고 표현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아요.
이 글을 읽어 주신 여러분 모두 사랑합니다.
행복한 삶을 살아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뜻 좋은 프랑스어 이쁜 단어 모음 (1) | 2022.11.20 |
---|---|
막걸리 알콜도수 종류 별로 정리 (0) | 2022.11.20 |
코로나 인후통 증상 기간 약(아세트아미노펜) 후기 경험담 (1) | 2022.11.20 |
공부 영어 속담, 공부 영어 격언(명언) 요약정리 (0) | 2022.11.20 |
친구영어속담, 친구관련 영어 명언(격언) 정리 (1)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