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기업분석 2022년 5월 16일 분기보고서
당사는 소형전지, 중ㆍ대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
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2년 1분기 매출은 4조 4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2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했습니다.
에너지솔루션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320억원(39%) 증가한 3조 3,190억원
이며, 영업이익은 1,181억원(252%) 증가한 1,650억원입니다. 전자재료 부문의 매출
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42억원(27%) 증가한 7,304억원이며, 영업이익은 711억원
(82%) 증가한 1,573억원입니다.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Note PC,
전동공구 등 휴대 제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기기의 휴대성에 대한 시장의
요구 증가로 적용 영역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
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의 연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강화, 자동차 회사들의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전기차의 주행거리 및 경제성 개선으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전력저장장치(ESS)용 대형전지는 국내 및 해외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향
상을 위한 정책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전자재료 사업부문]
디스플레이 및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재를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반도체, LCD 등 기존 핵심 주력 소재의 품질 경쟁력과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QD, OLED, EUV 등 차세대 첨단 소재 시장에서의 선도적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상세내용은 7. 기타 참고사항의 다. 사업부문별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당사는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전력저장장치(ESS) 등에 사용되는 2차 전지와 EMC,
CMP 슬러리 등의 전자재료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구체적용도주요상표 등매출액(비율)
에너지솔루션 | 제품 및 기타 매출 | 소형전지 등 | 스마트폰용, 전기자동차용, 전력저장장치(ESS)용 배터리 등 | PRiMX | 3,319,042 (82%) |
전자재료 | EMC 등 | 반도체 소재, LCD 소재, OLED 필름소재 | 스타콤 등 | 730,385 (18%)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품 목제53기 1분기제52기제51기
소형전지 | 2,997원 | 2,646원 | 2,678원 |
EMC | 64,458,659원 | 62,574,593원 | 41,220,974원 |
※ 품목별 가격은 전기종 평균판가를 적용하였습니다.
※ 소형전지는 개당, EMC는 톤당 평균 판매가격입니다.
가. 주요 원재료
(1)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매입유형품 목구체적용도매입액비율비 고
에너지 솔루션 |
원재료 | 극판자재 | 전지용 | 12,076 | 60% | 유미코아, 에코프로 등 |
조립자재 | 전지용 | 5,159 | 26% | 아사히, 상신EDP, 테이진 등 | ||
PACK자재 등 | 전지용 | 2,890 | 14% | 파워로직스, 넥스콘 등 | ||
전자재료 | 원재료 | Coating TAC 등 | 디스플레이 소재용 | 2,775 | 86% | - |
SILICA 등 | 반도체 소재용 등 | 445 | 14% | - |
(2)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사업부문품 목제53기 1분기제52기제51기
에너지솔루션 | 전지용 양극활물질 | 32.80$ | 26.36$ | 25.47$ |
전자재료 | SILICA | 7,572$ | 7,213$ | 6,170$ |
※ 전지용 양극활물질은 kg당, SILICA는 톤당 평균 가격입니다.
나. 생산 및 설비
(1) 주요 제품 생산능력 및 산출근거
① 생산능력
사업부문품 목단위사업소제53기 1분기제52기제51기
에너지솔루션 | 소형전지 | 백만개 | 천안, 천진 등 | 578 | 2,199 | 1,993 |
전자재료 | EMC | 톤 | 의왕, 구미 | 1,380 | 4,781 | 3,317 |
편광필름 | 천㎡ | 청주, 무석 | 25,814 | 98,802 | 96,356 |
② 생산능력 산출근거
1) 산출방법 등
실제 생산능력을 기준으로 산출하였고, 일 생산능력에 가동일수를 곱하여
총 생산능력을 산출하였습니다. 특히 양산 기술력의 향상으로 가동일수가 증가한
경우 비교 표시되는 전기 생산능력을 당기와 동일한 기준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습니다.
2) 평균가동시간
평균 가동시간은 일 평균 가동시간 24시간 , 월 평균 가동일수 28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 생산실적 및 가동률
① 생산실적
사업부문품 목단 위사업소제53기 1분기제52기제51기
에너지솔루션 | 소형전지 | 백만개 | 천안, 천진 등 | 525 | 1,950 | 1,576 |
전자재료 | EMC | 톤 | 의왕, 구미 | 355 | 1,419 | 1,969 |
편광필름 | 천㎡ | 청주, 무석 | 25,814 | 98,802 | 96,356 |
②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사업부문품 목단 위생산능력생산실적평균가동률
에너지솔루션 | 소형전지 | 백만개 | 578 | 525 | 91% |
전자재료 | EMC | 톤 | 1,380 | 355 | 26% |
편광필름 | 천㎡ | 25,814 | 25,814 | 100% |
(3) 생산설비의 현황 등
① 주요 사업장 현황
당사는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하여 울산, 천안, 청주, 구미에 국내사업장과 베트남, 중국 등에 해외사업장을 두고 전지 및 전자재료 등을 제조, 개발, 마케팅, 영업 등의 사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기도 수원에는 연구소를 두고 선행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 역 | 구 분 | 소재지 |
국내 | 기흥사업장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150-20 |
울산사업장 | 울산시 울주군 삼남면 반구대로 163 | |
천안사업장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467 | |
청주사업장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4로 146 | |
구미사업장 | 경북 구미시 구미대로 58 | |
의왕사업장 | 경기도 의왕시 고산로 56 | |
수원사업장 | 경기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30 | |
해외 | Samsung SDI America, Inc. | 미국, Auburn Hill |
Samsung SDI Hungary Zrt. | 헝가리, God | |
Samsung SDI Battery Systems GmbH | 오스트리아, Zettling | |
Samsung SDI Vietnam Co., Ltd. | 베트남, Bacninh | |
Samsung SDI Energy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Sembilan | |
Tianjin Samsung SDI Co., Ltd. | 중국, Tianjin | |
Samsung SDI-ARN(Xi'An) Power Battery Co., Ltd. | 중국, Xian | |
Samsung SDI (Tianjin) Battery Co.,Ltd. | 중국, Tianjin | |
Novaled GmbH | 독일, Dresden | |
Samsung SDI Wuxi Co., Ltd. | 중국, Wuxi |
※ 의왕사업장의 경우 롯데케미칼 의왕 건물을 임차하여 사용중에 있습니다.
② 생산설비의 현황
(단위: 천원) |
구 분토 지건물 및 구축물기계장치공구기구비품 등사용권자산건설중인자산 등합 계
기초장부금액 | 345,320,013 | 2,137,880,321 | 2,778,631,970 | 196,380,942 | 35,235,220 | 2,142,547,123 | 7,635,995,589 |
취득원가 | 345,320,013 | 4,076,457,298 | 6,655,250,486 | 790,459,938 | 83,079,072 | 2,142,547,123 | 14,093,113,930 |
감가상각누계액 (손상 및 정부보조금 포함) |
- | (1,938,576,977) | (3,876,618,516) | (594,078,996) | (47,843,852) | - | (6,457,118,341) |
일반취득 및 자본적지출 | - | 25,755,416 | 206,448,309 | 14,622,022 | 5,499,987 | 440,010,418 | 692,336,152 |
감가상각 | - | (36,250,357) | (259,871,629) | (33,258,980) | (6,675,651) | - | (336,056,617) |
처분/폐기 | - | (274,560) | (1,168,744) | (106,628) | (2,936,853) | (4,016,157) | (8,502,942) |
손상차손 | - | - | (522,607) | (893,409) | - | - | (1,416,016) |
기타증(감) | 84,825 | 67,758,099 | 244,419,000 | 17,720,573 | - | (333,483,164) | (3,500,667) |
환율변동차이 | 414,292 | 13,168,901 | (14,528,721) | 556,523 | 1,515,543 | 23,054,847 | 24,181,385 |
분기말장부금액 | 345,819,130 | 2,208,037,820 | 2,953,407,578 | 195,021,043 | 32,638,246 | 2,268,113,067 | 8,003,036,884 |
취득원가 | 345,819,130 | 4,197,459,116 | 7,090,803,709 | 809,382,538 | 84,912,763 | 2,268,113,067 | 14,796,490,323 |
감가상각누계액 (손상 및 정부보조금 포함) |
- | (1,989,421,296) | (4,137,396,131) | (614,361,495) | (52,274,517) | - | (6,793,453,439) |
※ 상기 시설 및 설비현황은 연결기준입니다. ※ 기타증(감)액은 건설중인자산의 본계정 대체, 직접비용처리로 인해 발생한 것입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적용으로 당사는 사용권자산을 인식하였습니다. ※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시가는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워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 ) 기호는 부(-)의 금액 수치임] |
(4) 설비 등 투자현황
당사는 당분기 누적 5,696억원을 Capa 증대 등을 위한 시설 투자에 사용하였으며,
각 부문별 투자금액은 에너지솔루션 부문 5,628억원, 전자재료 부문 68억원입니다.
2022년은 전지 사업을 중심으로 전 사업부문에 시설투자를 계획 중이며,
이는 향후 기업여건 및 시장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단위: 억원) |
사업부 | 구분 | 투자기간 | 대상자산 | 제53기 1분기 투자액 |
에너지솔루션 | 신/증설, 보완 등 | '22.01.01 ~ '22.03.31 | 건물/설비 등 | 5,628 |
전자재료 | 신/증설, 보완 등 | '22.01.01 ~ '22.03.31 | 건물/설비 등 | 68 |
합 계 | 5,696 |
가. 매출
(1) 공시대상기간 중 매출실적
(단위: 억원) |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제53기 1분기제52기제51기
에너지솔루션 | 제품 기타매출 |
소형전지 등 | 수 출 | 29,028 | 95,609 | 75,842 |
내 수 | 4,162 | 13,860 | 11,446 | |||
합 계 | 33,190 | 109,469 | 87,288 | |||
전자재료 | 제품 기타매출 |
EMC 등 | 수 출 | 4,167 | 15,872 | 17,439 |
내 수 | 3,137 | 10,191 | 8,221 | |||
합 계 | 7,304 | 26,063 | 25,660 | |||
합 계 | 수 출 | 33,195 | 111,481 | 93,281 | ||
내 수 | 7,299 | 24,051 | 19,667 | |||
합 계 | 40,494 | 135,532 | 112,948 |
※ 상기 금액은 연결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수출금액에는 로컬수출이 포함되어있습니다.
(2)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① 판매경로
당사의 주요 매출처로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Bayerische Motoren Werke
("BMW"), Volkswagen ("VW"), STELLANTIS, Techtronic Cordless GP ("TTI" ),
Stanley Black & Decker ("SB&D"), BOE,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SOT") 등 입니다.
에너지솔루션 부문의 경우 당사에서 거래선에 직접 공급하는 비중이 90%이고, 대리
점을 경유하는 비중은 10%이며, 전자재료 부문의 경우 거래선에 직접 공급하는 비중
이 86%이고, 대리점을 경유하는 비중은 14%입니다.
② 판매방법 및 조건
삼성전자 등의 국내거래선의 경우 거래선과의 약정 여신조건 및 현금, LOCAL L/C등을 통해 거래하고 있으며, 해외 거래선의 경우 거래선과의 계약에 따라 L/C, T/T 등의 조건으로 거래하고 있습니다.
나. 수주상황
당사는 거래처와 기본공급 계약 체결 후 거래처의 생산계획에 따라 납품하고 있으나,물량이 확정되어 있지 않고 대내외적 경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수요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또한 당사는 원가기준 투입법을 적용하여 진행기준수익을 인식하는 수주계약거래는 없습니다.
가. 시장위험관리
당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및 시장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특정 위험의 관리를 위해 파생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1) 신용위험
신용위험이란 고객이나 거래상대방이 금융상품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당사에게 발생하는 재무적인 손실입니다. 당사가 노출된 신용위험은 주로 각 고객의 개별적인 특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대부분의 고객들이 당사와 다년간 거래
해 오고 있으며, 손실은 자주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당사는 대금결제조건을 결정하기
이전에 신규 거래처에 대해 개별적으로 신용도를 검토하고 있으며, 기존 거래처에
대해서는 신용도를 재평가하여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과 투자자산에 대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손실에 대해 충당금을 설정하고,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회수가 지연되는 금융자산에 대하여는 회수
지연현황 및 회수대책이 보고되고 있으며 지연사유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
습니다. 또한 당사는 일부 금융자산에 대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하여 신용위험을 헷지
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상차손 차감 후 금액으로
당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이란 당사가 금융부채와 관련된 의무를 충족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의 유동성 관리방법은 재무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받아
들일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당사의 평판에 손상을 입힐 위험없이 만기일에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당사는 중장기 경영계획 및 단기 경영전략을 통해 현금흐름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예상 운영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현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합리
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인한 잠재적인 효과는 포함되지 않았습니
다.
당사는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현금유출예산과 실제 현금유출액을 분석, 검토하여 금융부채와 금융자산의 만기구조
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영업활동현금흐름과 금융자산의 현금유입
으로 금융부채를 상환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3) 시장위험
시장위험이란 환율이나 이자율, 지분증권의 가격 같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당사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을 의미합니다. 시장위험 관리의
목적은 수익을 최적화하는 반면 수용 가능한 한계 이내로 시장위험 노출을 관리 및
통제하는 것입니다.
① 환위험
당사는 기능통화 외의 통화로 표시되는 판매, 구매 및 차입에 대해 환위험에 노출되
어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들이 표시되는 주된 통화는 USD, EUR, JPY 등 입니다.
당사는 미래 예상 환율 변동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환위험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② 이자율 위험
당사는 차입금의 이자율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필요시 차입금에 대해 이자율
스왑을 이용하여 이자율을 고정하고 있습니다.
(4) 자본관리
당사의 자본관리는 건전한 자본구조를 유지하며, 주주이익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최적 자본구조 달성을 위해 부채비율과 순차입금비율 등의
재무비율을 자본관리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으며, 순차입금비율은 순차입금을 자본총계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나. 파생상품 거래현황
(1) 통화선도계약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통화선도계약을 체
결하고 있습니다. 계약과 관련하여 발생된 손익은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공정가액 위
험회피회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계약 내용은 만기일에 약정한 외화금액을 거래상대방(금융기관)에 인도하고, 계약시점의 약정환율로 환산한 금액을 거래상대방으로부터 인도받는 거래형태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11건의 통화선도계약을 아래와 같이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CNY, USD)관련기업매도통화매도금액매입통화매입금액약정환율만기
SAPB | CNY | 269,060,000 | USD | 40,000,000 | 6.7265 | 2022-04-08 |
CNY | 267,480,000 | USD | 40,000,000 | 6.6870 | 2023-11-24 | |
CNY | 195,750,000 | USD | 30,000,000 | 6.5250 | 2022-12-13 | |
CNY | 32,172,500 | USD | 5,000,000 | 6.4345 | 2023-03-11 | |
CNY | 67,858,000 | USD | 10,000,000 | 6.7858 | 2023-08-25 | |
CNY | 271,820,000 | USD | 40,000,000 | 6.7955 | 2023-08-25 | |
SDITB | CNY | 239,627,500 | USD | 35,000,000 | 6.8465 | 2023-03-07 |
CNY | 542,184,000 | USD | 80,000,000 | 6.7773 | 2023-06-27 | |
CNY | 149,270,000 | USD | 22,000,000 | 6.7850 | 2023-06-27 | |
CNY | 121,345,200 | USD | 18,000,000 | 6.7414 | 2023-06-27 | |
CNY | 468,937,000 | USD | 70,000,000 | 6.6991 | 2023-06-08 |
당분기말 현재 상기 통화선도 계약과 관련하여 파생상품부채 22,563백만원을 인식하고 있으며, 공정가액위험회피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파생상품평가손실 9,83
6백만원을 당분기 손익에 반영하였습니다.
(2) 상품스왑계약
당사는 원자재 구매금액의 변동성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상품스왑계약을 체결하였습
니다.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체결하고 있는 상품스왑계약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구분계약만기잔여계약수량(톤)계약가격(USD/톤당)
니켈(Ni) | 2023-01-31 | 1,370 | 13,000 |
2023-01-31 | 1,402 | 13,500 | |
2023-01-31 | 546 | 13,200 | |
2023-02-28 | 2,450 | 12,700 | |
구리(Cu) | 2024-12-31 | 5,654 | 5,296 |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상기 상품스왑과 관련하여 파생상품자산 165,675백만원을 인
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기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분 중 위험회피에 효과적인것
으로 판단되는 누적 파생상품평가이익 125,582백만원을 세후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다. 콜옵션 및 풋옵션 거래 현황
(1) 당사는 현재까지 (주)에코프로이엠에 64,000백만원을 출자하여 지분 40%를 취
득하였습니다. 당사는 2022년 6월까지 상기 출자금액을 포함한 총 88,000백만원을
출자하기로 하는 약정을 (주)에코프로비엠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방의 귀책으
로 인해 합작투자계약이 해지될 경우 당사가 소유한 (주)에코프로이엠 주식 전부에
대해 당사는 풋옵션, (주)에코프로비엠은 콜옵션을 각각 보유하고 있습니다.
(2) 당사는 (주)필옵틱스와 체결한 합작투자계약에 따라, 계약일부터 5년이 경과한 날
로부터 20년 이내에 당사가 소유한 (주)필에너지 주식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주)필
에너지 또는 (주)필옵틱스에 매도할 수 있는 주식매수청구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방의 귀책으로 계약이 해지될 경우 당사가 소유한 (주)필에너지 주식 전부에 대해 당사는 풋옵션, (주)필옵틱스는 콜옵션을 각각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친환경 요구 확대에 따라 신규 Application이 다변화되고 있고, 무엇보다 안전성을 기반으로 한 전지 성능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당사는 급변하는 기술 및 시장환경을 적극 선도하고 미래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 신제품 및 신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전기자동차 (EV, PHEV)의 핵심부품인 자동차용 전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IT용 파우치 전지, 뉴 어플리케이션용 원형전지 그리고 차세대 전력
망 구축을 위한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인 전력저장장치인 고효율 ESS용 전지를 개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빠른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의 경쟁력 제고와 신시장 및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소재의 성능 향상과 고용량 신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지 안전성 강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 수행하고 있
으며,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기화학 메커니즘 해석 및 분석 고도화도 진행중입
니다.
당사는 기존 전지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전지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R&D 협력 강화를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술 리더쉽을 확보해 나가면서 끊임없
이 신규 아이템을 탐색하므로서 당사의 에너지 신성장동력을 창출해 나가고 있습니
다.
전자재료 부문은 고객사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는 업체가 시장을 선점하고 이후
기대수익도 높은「Winner takes all」특성이 강하여 고객사와의 긴밀한 기술 협력
및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한 핵심 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당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 산업의 Cycle 및 기술 변화 트렌드를 정확
히 예측하기 위해 고객사 및 협력사와의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
고 있으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술 변곡점에 적기 대응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 담당조직
당사는 소형전지, 중ㆍ대형전지를 개발하는 에너지솔루션 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
레이 소재 등을 개발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 산하에 개발실을 두고 연구개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대표이사
SDI 연구소 | 에너지솔루션 부문 | 전자재료 부문 | |
소형전지사업부 | 중대형전지사업부 | 전자재료사업부 | |
개발실 | 개발실 | 개발실 |
(3) 연구개발비용
당사의 공시대상기간 중 연구개발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과 목제53기 1분기제52기제51기
연구개발비용 총액 (*) | 258,348 | 877,648 | 808,335 |
(정부보조금) | - | - | -35 |
연구개발비용 계 | 258,348 | 877,648 | 808,300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6.4% | 6.5% | 7.2% |
(*)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총액을 기재하였습니다.
(4) 연구개발실적
최근 3년간 개발이 완료되거나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진행중인 연구개발 실적은다음과 같습니다.
년도연구과제연구결과 및 기대효과제품 등에 반영된 경우제품 등의 명칭 및 반영내용비고
2022 1분기 |
EV용 고용량/고에너지밀도 전지 개발 | - 차세대 고에너지밀도 달성 고용량 양/음극 소재 개발 및 전극 설계 기술 개발 | 전기자동차용 각형 리튬 2차전지 | 진행중 |
전력용 고에너지 ESS 모듈 개발 | - 컨테이너 에너지밀도 향상 및 고객 요구 장수명 성능 확보 | 에너지저장장치용 리튬 2차전지 | 진행중 | |
원형셀 수명 중 전극구조 및 열화 분석 | - 비파괴 방식을 통한 전극 단위의 기계적/열적 구동 분석 | 원형 리튬 2차전지 | 진행중 | |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접착 소재 개발 | - 폴더블 특성에 맞는 물성 강화를 통한 시장 우위 수성 | FOCA | 진행중 | |
차세대 고기능성 편광필름 개발 | - 대화면, 고화질 트렌드에 부합하는 고성능 프리미엄 편광필름 개발 | 고성능 차세대 편광필름 | 진행중 | |
2021 | IT용 이차전지 파우치 성능평가 및 수요업체 적용 실증 | - 일반 의존도가 높은 2차전지용 파우치 고신뢰성 특성 확보 | 파우치용 리튬 2차전지, IT용 전자기기 |
완료 |
원형전지의 수명/저장 예측 모델개발 | - 원형 배터리 모델 현황 및 열화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조건의 예측 모델 구현 |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원형 리튬 2차전지 |
완료 | |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접착 소재 개발 | - 폴더블 특성에 맞는 물성 강화를 통한 시장 우위 수성 | FOCA | 진행중 | |
차세대 편광필름 개발 | - 신규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 가능한 편광필름 개발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 차세대 편광필름 | 완료 | |
반도체용 고방열 EMC 개발 | - 고방열 EMC 개발로 주요 IT기기向 차세대 반도체 시장 진입 및 확대 | 반도체용 EMC | 완료 | |
고효율, 장수명 OLED 증착소재 개발 | - 高효율/장수명 증착소재 개발을 통한 신규 Application 시장 진입 | OLED용 증착소재 | 완료 | |
2020 | IT용 이차전지 파우치 성능평가 및 수요업체 적용 실증 | - 일반 의존도가 높은 2차전지용 파우치 고신뢰성 특성 확보 | 파우치용 리튬 2차전지, IT용 전자기기 |
완료 |
원형전지의 수명/저장 예측 모델개발 | - 원형 배터리 모델 현황 및 열화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조건의 예측 모델 구현 |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원형 리튬 2차전지 |
완료 | |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접착 소재 개발 | - 폴더블 특성에 맞는 물성 강화를 통한 시장 우위 수성 | FOCA | 진행중 | |
차세대 편광필름 개발 | - 신규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 가능한 편광필름 개발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 차세대 편광필름 | 완료 | |
반도체용 고방열 EMC 개발 | - 고방열 EMC 개발로 주요 IT기기向 차세대 반도체 시장 진입 및 확대 | 반도체용 EMC | 완료 | |
고효율, 장수명 OLED 증착소재 개발 | - 高효율/장수명 증착소재 개발을 통한 신규 Application 시장 진입 | OLED용 증착소재 | 완료 | |
반도체용 Slurry 개발 | - 신규 제품군 진입을 통한 시장 확대 | 반도체용 Slurry | 완료 | |
고효율 전극 Paste 개발 | - 고효율 전극 Paste 개발을 통한 매출 증대 기반 확보 | 고효율 전극 Paste | 완료 | |
고휘도 CR 개발 | - 기존 제품 대비 휘도 향상된 제품 개발하여 기존 MS 수성 | 고휘도 CR | 완료 | |
반도체용 EMC 개발 | - Void 특성이 우수한 EMC 개발로 시장 확대 | 반도체용 EMC | 완료 | |
OLED용 증착소재 개발 | - 高효율 및 장수명 구현이 가능한 증착 소재 개발을 통한 신규 시장 진입 | OLED용 증착소재 | 완료 |
※ 해당 연도를 경과하여 진행된 연구개발과제의 경우 각 연도별로 대상 과제를
기재하고 완료여부를 표시하였습니다.
가.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당사는 사업과 관련된 중요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현황은 하기와
같습니다.
(단위: 건) |
구 분총 계국내특허해외특허국내상표해외상표
등록 | 18,235 | 5,367 | 12,702 | 22 | 144 |
출원중 | 5,968 | 2,420 | 3,536 | 1 | 11 |
합계 | 24,203 | 7,787 | 16,238 | 23 | 155 |
나.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등
(1) 환경관련 규제사항
당사는 최고경영자의 환경경영방침에 따라 지속적인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방지시설, 수질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며, 모든 사업장과
연구소는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법규 준수 및 자율관리 체제를 강화하고, 법 기준보다 엄격한 내부기준을 적용하여 오염물질 처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환경보전 활동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2) 녹색경영
당사의 구미/울산/천안 사업장은 환경부에서 지정하는 녹색기업으로 선정되어 유지
되고 있습니다. 녹색기업은 오염 물질의 현저한 저감, 자원 및 에너지의 절감, 제품 환경성 개선, 기타 환경보호활동 등을 통하여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하는 사업장으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제16조의 2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사업장을
말합니다.
(3) 기후변화 대응
당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8조 규정에 따라 배출권
할당 대상업체로 지정되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매년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부에 신고된 당사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2022년 1분기 | 2021년 | 2020년 |
온실가스 배출량 (단위 : tCO2e) | 141,278 | 587,415 | 561,197 |
에너지 사용량 (단위 : TJ) | 2,835 | 12,128 | 11,601 |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4조
제1항에 따라 관장기관에게 제출하는 명세서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외부 검증기관 검증을 받은 수치이나
정부의 지침 개정 혹은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향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0년 ~ 2021년 배출량의 경우 제3자 검증 및 정부 평가 결과 반영으로
배출량을 재작성하였으며, 2022년 1분기는 잠정 집계된 수치로 기재하였습니다.
다. 사업부문별 현황
당사는 소형전지, 중형전지, 대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
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구 분주요 제품군국내 제조시설
에너지솔루션 | 소형전지, 중형전지, 대형전지 | 천안, 울산 |
전자재료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편광필름 등 | 구미, 청주 |
당사는 본사를 거점으로 미국, 중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헝가리 등에 19개의
종속기업을 두고 있습니다.
(1) 에너지솔루션 부문
① 산업의 특성
리튬이온 2차전지 산업은 재료, 설계, 조립 등의 기술이 복합적으로 집약된 산업으로
당사는 제품의 안전성과 고객이 요구하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꾸준한 연구개발
에 힘쓰고 있습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리튬이온 2차전지 산업은 고안전성, 고용량, 고출력 기술 확보를 통해 응용 분야를
지속적으로 넓혀 가고 있습니다.
소형전지는 스마트폰, Note PC, 전동공구 등 휴대제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기의 휴대성에 대한 시장의 요구증가로 적용 영역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각국 정부의 연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강화, 자동차 회사
들의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전기차의 주행거리 및 경제성 개선으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전력저장장치인 ESS용 대형전지는 국내 및 해외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
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③ 경기변동의 특성
리튬이온 2차전지는 전지가 탑재되는 완제품의 수요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자동차용 중형전지와 ESS용 대형전지는 각국의 환경규제 정책 및 보조금 정
책의 영향도 받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2차전지 수요는 과거 IT 모바일기기 및 Power
Tool 등 소형 디바이스용이 대부분이였으나, 최근 전기차와 에너지저장 분야의 빠른
시장 성장으로 당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④ 시장여건
2022년 소형전지 시장 규모는 150억셀 규모로 전년 대비 23% 증가할 전망입니다.
소형 Non-IT 시장은 전동공구 시장이 견조한 가운데 EV와 Micro-Mobility 세그먼
트가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IT 시장은 5G 스마트폰과 폴더블 폰의 출시가 본격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고용량,
급속 충전 등의 전지 기술이 더욱 요구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어폰 무선화 트렌드로 관련 전지 시장도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출처 : 시장조사기관 SNEresearch)
2022년 자동차전지 시장은 세계 각국이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과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자동차 회사들이 전기차 생산을 크게 확대하면서 약 590GWh 규모
로 전년 대비 5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 일부국의 지정학적 이슈에 따른 대외 Risk 等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회사들은
전동화 전략 강화 기조를 유지하며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시장조사기관 IHS 等)
2022년 ESS 시장은 탄소중립을 향한 각국의 친환경 에너지정책 기조 강화로 신재생
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며 57GWh 규모로 전년 대비 60%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각국의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독립 및 전력망 안정화 기조하에 신재생 에너
지의 경제성도 점차 개선되어 전력용 ESS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시장조사기관 BNEF 等)
⑤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당사는 2000년 리튬이온 2차전지 사업을 시작한 이래 지속적으로 품질 개선,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 노력해 온 결과 현재까지 업계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리튬이온 2차전지 사업은 수년간 쌓아 온 주요 고객과 신뢰를 바탕으로 신규 고객 및 신규 시장 탐색과 함께 새로운 제품의 선행 개발도 병행하고 있으며,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활동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차별화된 기술을 확보해 성장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2) 전자재료부문
① 산업의 특성
전자재료 사업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IT 사업의 산업 사이클과 변화의 트렌드를 정확히 예측하고,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신규 제품을 적시에 출시하여야 하는
기술집약형 사업입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반도체 소재는 반도체 업체들의 증설과 생산량 확대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반도체 수요 확대에 따라서 관련 소재도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소재는 LCD 패널과 OLED 패널 수요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LCD 패널 성장성은 과거 대비 둔화되는 추세이나, 중화권 LCD 패널 업체들의 증설과 생산 확대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OLED도 스마트폰과 TV에서의 OLED 패널 채용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③ 경기변동의 특성
전자재료 사업은 IT 산업 경기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지속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세대 기술 개발, 신제품의 적기 출시 등을 통해 경기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사업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④ 시장여건
2022년 반도체 시장은 메타버스 및 신흥국의 5G 확대로 Bit 수요량의 꾸준한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웨이퍼 투입량이 전년 比 15% 이상 확대되면서 관련 소재 시장
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스플레이 시장 中 LCD는 대면적화가 지속되며 면적 기준 성장이 유지될 전망이
며, OLED는 모바일ㆍTV뿐 아니라 노트북, 테블릿 등 IT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
며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⑤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전자재료 사업은 IT업체와의 긴밀한 기술협력 및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한 핵심 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당사는 국내외 고객사 및 파트너사를 포함한 벨류체인
전반에 걸친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토대로 기존 제품의
업그레이드와 신규 소재 개발을 추진해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3) 주요 제품 시장점유율
구 분제53기 1분기제52기제51기비 고
소형전지 | 18% | 18% | 19% | - 산정기준 : 시장 조사기관 B3 보고서 기준 적용 |
E M C | 7% | 6% | 7% | - 당사산정 |
라.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1) 연결기준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구 분사업부문계에너지솔루션전자재료금 액비 중금 액비 중
제53기 1분기 | 매출액 | 3,319,042 | 82.0% | 730,385 | 18.0% | 4,049,427 |
영업이익 | 164,958 | 51.2% | 157,341 | 48.8% | 322,299 | |
총자산 | 24,812,459 | 91.9% | 2,192,539 | 8.1% | 27,004,998 | |
총부채 | 10,941,586 | 96.4% | 403,155 | 3.6% | 11,344,741 | |
제52기 | 매출액 | 10,946,908 | 80.8% | 2,606,312 | 19.2% | 13,553,220 |
영업이익 | 537,590 | 50.4% | 529,986 | 49.6% | 1,067,576 | |
총자산 | 23,638,276 | 91.5% | 2,194,917 | 8.5% | 25,833,193 | |
총부채 | 10,153,806 | 95.5% | 482,688 | 4.5% | 10,636,494 | |
제51기 | 매출액 | 8,728,774 | 77.3% | 2,565,996 | 22.7% | 11,294,770 |
영업이익 | 241,292 | 35.9% | 430,043 | 64.1% | 671,335 | |
총자산 | 19,418,802 | 90.2% | 2,115,430 | 9.8% | 21,534,232 | |
총부채 | 7,795,903 | 95.4% | 379,402 | 4.6% | 8,175,305 |
(2) 공통자산 및 비용의 배부기준
① 공통자산의 경우 직접 귀속이 가능한 자산 (재고자산, 유형자산, 투자자산 등) 은
각 사업부문에 직접 귀속시키고, 전사 공통관리가 필요한 자산 및 귀속이 불분명한 자산은 합리적인 배부기준 (매출액 등) 에 의거 각 사업부문에 배부하고 있습니다.
② 공통 판매비와 관리비는 각 사업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별도의 배부기준(매출액 비율, 인원수 비율 등)으로 각 사업부문에 배부하고 있습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주가 예측해보기 (0) | 2022.08.17 |
---|---|
현대자동차 기업분석 현대차 분기보고서 2022년 5월 16일 (0) | 2022.08.17 |
NAVER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2022년 5월 13일 (0) | 2022.08.17 |
LG화학 기업분석, 분기보고서 2022년 5월 16일 (0) | 2022.08.16 |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 분석, 분기보고서 다트공시 살펴보기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