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됨 안됌, 안되면 안돼면, 안되죠 안돼죠 - 맞춤법 공부!
안됨 안됌, 안되면 안돼면, 안되죠 안돼죠 <<
헷갈리는 표현이 참 많죠?
"오늘 안돼면 어쩔 수 없지."
"오늘 안되면 어쩔 수 없지."
"내일도 안되면 어떻게 해?"
"내일도 안돼면 어떻게 해?"
"오늘 주식이 좀 안되죠."
"오늘 주식이 좀 안돼죠."
'돼'와 '되'를 헷갈리는 경우 정말 많죠.
이 두개가 어려운 이유는 둘 다 사용하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되'는 대립적 사실은 연결하는 데 필요한
어미로 분류됩니다.
사전적인 정의는 이렇게 알아 놓고 우리는
쉽게 구분하는 방법이 필요한거 잖아요?
쉽게 구분하려면 '되, '돼'에 '해, '하'를 넣어서
'하'가 자연스러우면 '되'를 넣고
'해'가 자연스러우면 '돼'를 넣으면 됩니다.
"오늘 안돼면 어쩔 수 없지."
"오늘 안되면 어쩔 수 없지."
"오늘 안하면 어쩔수 없지."
"오늘 안해면 어쩔 수 없지."
뭐가 더 자연스럽나요? '하'가 자연스럽죠?
그럴 땐 '되'를 넣어서 문장을 완성시키면 됩니다.
'오늘 안되면 어쩔수 없지."이렇게요.
"내일도 안되면 어떻게 해?"
"내일도 안돼면 어떻게 해?"
"내일도 안하면 어떻게 해?"
"내일도 안해면 어떻게 해?"
뭐가 더 자연스럽나요? 딱~ 봐도 '하'가
훨씬 자연스럽죠?
이럴 땐 '되'를 넣어서 문장을 완성시켜 줍니다.
'내일도 안되면 어떻게 해?'이렇게 되죠.
"그건 하면 안돼요." > "그건 하면 안해요."
"그건 하면 안되요." > "그건 하면 안하요."
위의 경우 '하'보다는 '해'가 자연스럽죠?
그럴 땐 '돼'를 넣어서 문장을 완성시킵니다.
"그건 하면 안돼요."가 정답입니다.
'돼=해, 되=하'가 헷갈리시는 분들은
'돼'에 'ㅐ'와 '해'의 'ㅐ'가 같은 맥락이다라고
생각하시면 외우기 쉬우실 거예요.
'돼=해'만 외워두면 '되=하'는 같이 외워지겠죠?
'안됨, 안됌'의 경우는 딱 볼 때도 '됌'이 이상하게
보입니다. 그 느낌 그대로 맞습니다.
'안됨'은 '안되다'의 줄임말이에요.
'안되다'는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뤄지지 않다,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
일전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안되다'의 명사형은 '안됨'입니다.
'ㅁ'명사형 어미가 붙어서 '됨'으로 만든 것이죠.
'큰 소리치면 안 됨.', '밥 먹으면 안 됨'
'청소하면 안 됨.', '거짓말 하면 안 됨.'
'안돼'라는 말도 사용되긴 하지만 '안됌'은
틀린 표현인 이유가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안되다의 어간인 '안 되'
뒤에 어미 '어'가 붙은 '되어'가 '돼'로 줄여서
사용할 때 '안 돼'라고 적는다라고 합니다.
말이 좀 어렵죠? 그냥 쉽게 이해하면 '안되어'를
줄여서 '안 돼'라고 하는 겁니다.
'안 되어요.' > '안 돼' 이렇게 쓰는거죠.
'안 됨' (O) '안 됌' (X)
'안 되' (X) '안 돼' (O)
'안 되'에서 '되'가 단독적으로 쓰일 수 없기
때문에 '안 돼'가 정답인 것이고
'안 되어ㅁ'라는 표현은 없기 때문에
확장해서 '안 되죠, '안 돼죠'도 살펴 볼까요?
'되', '돼'를 풀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안 돼죠' > '안 되어죠' 어색하지 않나요?
그래서 정답은 '안 되죠'가 되는 겁니다.
'안 돼요', '안 되요'의 경우도 차근차근 보면
'안 되어요'가 자연스럽습니다.
자연스러우니 '되어'를 줄여서 '안 돼요'라고
쓸 수 있는 것이죠.
'안됨 안됌, 안되면 안돼면, 안되죠 안돼죠'
이 단어들이 어려운 이유는 '되, 돼'둘 다
올바른 표현이지만 특정한 조건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예시하나 더 볼까요?
'해', '하'를 넣어서 구분하는 방법으로 해보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사용해기 때문입니다.'
'되어'를 넣어서 구분하는 방법을 쓴다고 하면
'사용되어기 때문입니다.' 이상하죠?
그래서 '되어'의 줄임말인 '돼'는 쓸 수 없고
'되'를 넣어 주면 되는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국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붙이다 붙히다 부치다 간편하게 구분하는 방법 (0) | 2022.11.20 |
---|---|
에요, 예요 - 정답은 뭐에요, 뭐예요 ? (0) | 2022.11.20 |
언지 언질 - 언지를 주다, 언질을 주다 정리 (0) | 2022.11.20 |
지양하다 지향하다, 뜻을 알면 쉬워요, 지향 vs 지양 (1) | 2022.11.20 |
별개 별게, 뜻 알고나면 쉬워요 (0)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