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L 콜레스테롤 정상수치(120mg/dl) 약 복용 여부
약물치료는 심혈관질환 위험도와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시행 여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같더라도 개인마다 위험인자가 다르기 때문에 약물복용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 초고위험군으로 분류돼 약제를 복용하는 것입니다.
심혈관질환 위험도는 저위험군, 중등위험군, 고위험군, 초고위험군으로 분류됩니다.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및 허혈성 뇌졸중의 병력이 있는 경우와 죽상경화성동맥질환(대동맥류, 일과성 뇌허혈발작, 중증 경동맥 폐쇄) 또는 당뇨병 유무,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흡연, 고혈압,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조기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연령)의 수와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약제를 시작하며 치료목표 수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약제를 조절합니다.
일차 치료목표는 LDL 콜레스테롤 감소이며 이후 이차 치료목표로서 non-H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같아도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개인마다 위험인자가 다르기 때문에 치료방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편 건강검진에서 약물치료를 권유받을 정도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나왔지만 방치하는 바람에 이후 검진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상승됐다고 해도 혈관에 바로 이상이 생긴 것은 아닙니다.
이상지질혈증 자체가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수치가 상승했다고 해서 바로 이상지질혈증으 로 진단되지는 않습니다.
이상지질혈증으로 인한 혈관합병증은 10년 이상 걸쳐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상지질혈증으로 진단됐다면 이는 몇 년에 걸쳐 지질의 수치가 서서히 높아진 결과를 의미합니다.
이상지질혈증으로 진단됐다고 해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혈관질환이 바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증상이 없다고 치료를 방치하면 수년 후에는 이상지질혈증에 의해 혈관에 병이 생기게 됩니다.
이상지질혈증이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증상이 없더라도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것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혈관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지름길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건강검진에서 LDL 콜레스테롤가 정상수치(120mg/dL)로 나와 약을 복용하지 않았는데 당뇨가 있는 지인은 저와 같은 수치인데도 약을 먹고 있습니다. 왜 그런가요? (혈관건강백서,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헬스경향)
Drug treatment is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level of LDL cholesterol. Therefore, even if cholesterol levels are the same, there are differences in drug use because each individual has different risk factors. In particular, people with diabetes are classified as ultra-high-risk groups and take drug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s classified into low-risk, middle-risk, high-risk, and ultra-high-risk group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number of risk factors (smoking, hypertension, low HDL cholesterol, family history, age) and LDL cholesterol level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rterial aneurysm, transient cerebral ischemia, severe carotid artery closure) can be made to control the drug's
The primary treatment goal is to reduce LDL cholesterol and subsequent non-HDL cholesterol can be reduced as a secondary treatment goal.
Therefore, even if cholesterol levels are the same, treatment methods may be different because various factors are comprehensively judged and risk factors ar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the health examination showed cholesterol levels enough to be recommended for medication, but even if the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in the subsequent examination due to neglect, it did not immediately cause abnormalities in the blood vessels.
Because dyslipidemia itself progresses slowly, rising levels do not immediately diagnose dyslipidemia.
Vascular complications caused by dyslipidemia last more than 10 years. Therefore, if diagnosed with dyslipidemia,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lipids has gradually increased over the years.
Diagnosis of dyslipidemia does not immediately cause vascular disease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or stroke, but if treatment is left unattended because there are no symptoms, abnormal lipidemia will cause blood vessels to become ill.
If you have dyslipidemia and believe that treatment is necessary, it is a shortcut to prevent vascular complication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by receiving treatment according to the doctor's instructions even if there are no symptoms.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I didn't take the medication because my LDL cholesterol was normal (120mg/dL), but an acquaintance with diabetes is taking the medication even though it's the same as me. Why? (Vascular Health White Paper, Korean Society of Geophysic Arteriosclerosis, Health Trends)
'심심할 때 볼만한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위 부작용, 설사 당뇨 알레르기 (0) | 2022.12.12 |
---|---|
이상지질혈증 약 장기간 복용 시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2.12.11 |
마카로니 뻥튀기 칼로리 알아볼까요 (0) | 2022.12.11 |
바나나 냉장보관 방법, 실온 관리 (0) | 2022.12.11 |
자몽차 효능, 부작용, 칼로리 정리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