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주가 기업 분석, 분기보고서 2022.05
- 당사는 1992년 리튬이온전지 연구를 착수하고 1996년에는 리튬이온전지 개발을 시작하였습니다. EV 시장의 시작부터 함께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신제품 출시 및 품질 혁신을 통해 한국의 에너지솔루션 산업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국내는 물론 세계 주요 거점에 생산, 판매, R&D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향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에서 선두 기업으로 영속하기 위해 사업의 내실을 다지고 품질, 미래준비, Sustainability 추진을 지속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당사는 현재 EV, ESS, IT기기, 전동공구, LEV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에너지솔루션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2년 1분기 기준으로 약 4조 3,423억원의 매출과 약 2,58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자동차 OEM 업체로서 주요 5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약 50% 수준입니다.
또한 당사는 본사의 공장 및 해외 생산법인에서 제품을 생산하며, 제품 판매는 본사 및 해외 생산법인 또는 해외 판매법인을 통해 운영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매출은 본사 및 해외 생산법인의 직접 판매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리튬전지 시장에서 확고한 일등 지위 달성을 위해 집중적인 R&D 투자를 통해 고객/포트폴리오별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하고, 안전성 강화 등 품질 향상 및 글로벌 Operation 경쟁력을 확보하여 고객에게 안정적으로 물량 공급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1)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주 요 제 품구체적용도주요목표시장수요자의 구성 및 특성수요변동요인제3기 1분기매출액비율
에너지솔루션 | EV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소형 Application용 배터리 등 |
2차전지 | 국내 및 해외 | 자동차 관련 업체 및 정보통신업체 | 경기변동, 정부정책 |
4,342,348 | 100.0% |
주1) 상기 금액은 누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주요 제품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USD) |
사업부문품 목제3기 1분기제2기제1기
에너지솔루션 | 전동공구용 배터리 | 1.55 | 1.28 | 1.24 |
주1) 상기 품목의 제품 가격은 단일거래선 공급가 기준입니다.
1) 주요 원재료 현황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매입유형품 목구체적용도매입액(제3기 1분기)비율비 고(구매처)
에너지솔루션 | 원재료 |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 |
전지 원재료 | 2,981,217 | 100.0% | 포스코케미칼, Nichia 등 |
주1) 상기 금액은 누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단위 : USD) |
사업부문품 목시장구분제3기 1분기제2기제1기주요매입처
에너지솔루션 | 소형 Application용 양극재 | 수 입 | 33.99/kg | 21.81/kg | 16.48/kg | L&F 등 |
주1) 상기 품목의 원재료 가격은 단일거래선 구매가 기준입니다.
3)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단위 :백만원, %) |
사 업 부 문품목사업소제3기 1분기제2기제1기생산능력생산실적평균가동률생산능력생산실적평균가동률생산능력생산실적평균가동률
에너지솔루션 | EV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소형 Application용 배터리 등 |
국내: 오창 등 해외: 중국 남경, 미국 미시간, 폴란드 브로츠와프 등 |
8,490,077 | 6,398,377 | 75.3% | 29,713,298 | 21,610,639 | 72.7% | 2,413,225 | 1,740,924 | 72.1% |
주1) 당사는 2020년 12월 1일자 신설법인으로 제1기의 금액은 12월(1개월치)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생산능력(당기가동가능금액)의 산출근거
- 누계 매출액 5% 이상의 주요 품목별을 추출하여 각각의 품목별 가동률로 부문의 가중평균가동률을 구한 후, 생산능력 = {생산실적(당기생산금액) ÷ 평균가동률}으로 산출하였습니다.
4)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국내 및 해외 주요 사업장 현황 (연결기준)
회 사 명구 분소재지
㈜LG에너지솔루션 | 본사 | 서울 | |
생산공장 | 충북 청주 | ||
기술연구원 등 | 대전, 과천, 마곡 | ||
㈜아름누리 | 국내법인 | 충북 청주 | |
LG Energy Solution (Nanjing) Co., Ltd. | 해외법인 | 중국 남경 | |
LG Energy Solution Michigan, Inc. | 해외법인 | 미국 미시간 | |
LG Energy Solution Battery (Nanjing) Co., Ltd. | 해외법인 | 중국 남경 | |
LG Energy Solution Wroclaw sp. z o.o. | 해외법인 | 폴란드 브로츠와프 | |
LG Energy Solution Australia Pty Ltd | 해외법인 | 호주 멜버른 | |
LG Energy Solution Technology (Nanjing) Co., Ltd. | 해외법인 | 중국 남경 | |
Ultium Cells LLC | 해외법인 | 미국 오하이오 | |
LG Energy Solution Europe GmbH | 해외법인 | 독일 줄츠바흐 | |
LG Energy Solution (Taiwan), Ltd. | 해외법인 | 대만 타이베이 | |
LG Energy Solution Fund I LLC | 해외법인 | 미국 델라웨어 | |
LG Energy Solution Vertech Inc. | 해외법인 | 미국 웨스트버러 | |
합 계 | 13 | - | - |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 공시 대상기간 중 연결회사의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당분기전기
기초 | 11,050,777 | 8,683,614 |
사업결합 | 7,251 | - |
취득/대체 | 1,829,741 | 6,072,737 |
처분/대체 | (595,417) | (2,759,294) |
외화환산차이 | 87,342 | 426,300 |
감가상각 | (393,442) | (1,372,580) |
기말 | 11,986,252 | 11,050,777 |
5) 주요 투자에 관한 사항
(기준일 : 2022년 03월 31일 ) | (단위 : 억원) |
사업부문투자목적투자기간투자내용투자효과총투자금액총투자실적(당기실적)향후투자액비고
에너지솔루션 | 증설 | 2016~2026 | 폴란드 자동차전지 | 생산능력 증가 | 55,725 | 47,669(2,633) | 8,056 | 폴란드 |
증설 | 2000~2026 | 중국 남경 소형, ESS전지 | 생산능력 증가 | 44,183 | 32,621(1,569) | 11,562 | 중국 | |
증설 | 2010~2026 | 미국 미시간 자동차, ESS전지 | 생산능력 증가 | 21,696 | 5,856(98) | 15,840 | 미국 | |
증설 | 2020~2026 | 미국 Ultium Cells 자동차전지 | 생산능력 증가 | 84,760 | 16,592(4,790) | 68,168 | 미국 | |
합 계 | 206,364 | 102,738(9,090) | 103,626 | - |
1)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제3기 1분기제2기제1기
에너지솔루션 | 제 품 상 품 기 타 |
EV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소형 Application용 배터리 등 |
수 출 | 2,876,688 | 12,639,364 | 1,185,361 |
내 수 | 1,465,660 | 5,212,542 | 275,707 | |||
합 계 | 4,342,348 | 17,851,906 | 1,461,068 | |||
합 계 | 수 출 | 2,876,688 | 12,639,364 | 1,185,361 | ||
내 수 | 1,465,660 | 5,212,542 | 275,707 | |||
합 계 | 4,342,348 | 17,851,906 | 1,461,068 |
주1) 당사는 2020년 12월 1일자 신설법인으로 제1기의 금액은 12월(1개월치)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판매경로, 방법, 전략, 주요매출처 등
(1) 판매경로
- 당사는 본사의 공장 및 해외 생산법인에서 제품을 생산하며, 제품 판매는 본사 및 해외 생산법인 또는 해외 판매법인을 통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통상 판매경로는 아래의 두 가지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① LG에너지솔루션 본사 및 해외 생산법인 → 해외 판매법인 등 → 당사 거래선
② LG에너지솔루션 본사 및 해외 생산법인 → 당사 거래선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매출유형비중
해외매출 | 해외 판매법인 경유 판매 | 1.3% |
본사 및 해외 생산법인 직접 판매 | 98.7% | |
해외매출 비중(해외매출/전체매출) | 93.8% | |
국내매출 | 해외 판매법인 경유 판매 | 0.0% |
본사 직접 판매 | 100.0% | |
국내매출 비중(국내매출/전체매출) | 6.2% |
(2) 판매방법 및 조건
- 판매경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사 및 해외법인 등을 통한 Direct 판매 및 해외 판매법인을 경유한 판매 방식을 운영하고 있으며, 판매조건은 개별 계약 기준에 따라 적용하고 있습니다.
(3) 판매전략
- 리튬전지 시장에서 확고한 일등 지위 달성을 위해 집중적인 R&D 투자를 통해 고객/포트폴리오별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하고, 안전성 강화 등 품질 향상 및 글로벌 Operation 경쟁력을 확보하여 고객에게 안정적으로 물량 공급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4) 주요매출처
-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자동차 OEM 업체로서 주요 5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약 50% 수준입니다.
3) 수주상황
- 당사는 일부 사업에서 완성차 업체의 생산 계획에 따라 납품하고 있으나, 공급물량 등이 고객의 실제 주문 및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며 대내외적 경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1) 위험관리
- 연결회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특정 위험의 관리를 위해 파생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연결회사의 금융부서에 의해 이루어지고있으며, 연결회사의 금융부서는 연결회사의 현업부서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재무위험을 식별, 평가 및 회피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상품과 비파생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하고 승인합니다.
(1) 시장위험
①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특히 미국 달러화 및 유럽 유로화와 관련된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인식된 자산과 부채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경영진은 연결회사 내의 회사들이 각각의 기능통화에 대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도록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환위험 관리 모델을 이용하여 환위험 노출에 대한 최대 환손실 규모가 위험허용범위 이내가 되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환위험 관리를 위해 별도의 전담 인원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해외사업장에 일정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들 해외 사업장의 순자산은 외화환산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환노출은 주로 관련 외화로 표시되는 차입금을 통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당분기말전기말자산부채자산부채
USD | 2,959,750 | 4,306,358 | 3,302,173 | 3,411,934 |
EUR | 224,452 | 4,883,146 | 306,986 | 4,778,291 |
JPY | 4,920 | 129,156 | 15,298 | 91,433 |
CNY 등 | 133,459 | 1,141 | 340,878 | 462 |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이 10% 변동시 법인세비용 차감전 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당분기말전기말10% 상승시10% 하락시10% 상승시10% 하락시
USD | (134,661) | 134,661 | (10,976) | 10,976 |
EUR | (465,869) | 465,869 | (447,131) | 447,131 |
JPY | (12,424) | 12,424 | (7,614) | 7,614 |
CNY 등 | 13,232 | (13,232) | 34,042 | (34,042) |
상기 민감도 분석은 당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 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② 당분기말 현재 연결회사는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 | 거래처 | 계약금액 (단위: 백만) |
계약환율 | 계약시작일 | 계약만기일 | 장부금액 | |
자산 | 부채 | ||||||
통화선도(*1) | 신한은행 | USD 500 | 1,135.60 | 2020.10.14 | 2024.10.15 | 28,241 | - |
KB국민은행 | USD 500 | 1,102.83 | 2020.11.24 | 2029.04.16 | 33,946 | - | |
CITI | EUR 150 | 4.5900(*2) | 2021.05.12 | 2022.04.29 | 3,438 | - | |
SC | EUR 250 | 4.5861(*2) | 2021.05.14 | 2022.04.29 | 5,116 | - | |
CACIB | EUR 100 | 4.6055(*2) | 2021.08.05 | 2022.08.04 | 3,302 | - | |
KDB | EUR 165 | 4.6036(*2) | 2021.08.05 | 2022.08.04 | 5,902 | - | |
ING | EUR 100 | 4.7120(*2) | 2021.10.22 | 2022.10.21 | 2,455 | - | |
ING | EUR 100 | 4.7800(*2) | 2022.01.05 | 2023.01.05 | 2,224 | - |
(*1)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지 않는 파생상품입니다.
(*2) EURPLN 환율입니다.
③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한 외부차입 최소화, 고금리 차입금 감축, 장/단기 차입구조 개선, 고정 대 변동이자 차입조건의 적정비율 유지, 일간/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대응방안 수립 및 변동금리부 조건의 단기차입금과 예금을 적절히 운영함으로써 이자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100bp) 변동시 연결회사의 세전손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세전 손익에 대한 영향자본에 대한 영향당분기말전기말당분기말전기말
상승시 | (49,318) | (37,075) | (49,318) | (37,075) |
하락시 | 49,318 | 37,075 | 49,318 | 37,075 |
④ 가격위험
비유동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 중 일부는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ASX(호주증권거래소) 및 NASDAQ(미국증권거래소) 주가지수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이 회사의 보고기간말 현재 자본(법인세효과 반영 전)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 하에 주가지수가 1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지 수당분기말10% 상승시10% 하락시
ASX(호주증권거래소) | 2,230 | (2,230) |
NASDAQ(미국증권거래소) | 41 | (41) |
(2) 신용위험
연결회사의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매출채권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상각후원가측정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으로부터 발생합니다.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취채권과 관련하여 연결회사는 신규 거래처와 계약시 공개된 재무정보와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제공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거래처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신용거래한도를 결정하고 있으며, 일부 수취채권에 대해서 보험계약체결, 담보 또는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해외매출채권과 관련하여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수출보증보험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처의 신용도에 따라 담보를 설정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거래처의 거래은행으로부터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한편, 연결회사는 우리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장기예치금 등을 예치하고 있으며 일부 은행과 파생상품거래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독립적인 신용등급기관으로부터의 신용등급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① 매출채권
연결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위해 매출채권은 신용위험 특성과 연령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의 손실충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대신용손실에는 미래전망정보가 포함됩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연체되지 않은채권(*)연체되었으나손상되지 않은 채권(*)합 계
당분기말(매출채권) | |||
총 장부금액 | 2,862,764 | 119,608 | 2,982,372 |
기대손실률 | - | - | - |
손실충당금 | 7 | - | 7 |
전기말(매출채권) | |||
총 장부금액 | 2,794,006 | 187,518 | 2,981,524 |
기대손실률 | - | - | - |
손실충당금 | 11 | - | 11 |
(*1)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7.(3) 매출채권에 대한 연령분석」 참조
당분기 및 전기 중 매출채권의 손실충당금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당분기전기
기초 | 11 | 131 |
당분기 중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손실충당금의 환입 | (4) | (120) |
기말 | 7 | 11 |
당분기말 현재 신용위험의 최대 익스포져를 나타내는 매출채권의 총 장부금액은
2,982,372백만원입니다(전기말 2,981,524백만원).
②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당분기말 현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54백만원으로 전기말과 동일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은 모두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손실충당금은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③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은 할인 대상이 되는 매출채권을 포함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의 손실충당금은 당기손익에 인식되고 공정가치평가손실로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되었을 금액을 감소시킵니다.
(3) 유동성 위험
연결회사의 금융부서는 미사용 차입금한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자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검토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시에는 연결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연결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①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부채를 보고기간말로부터 계약 만기일까지의 잔여기간에 따라 만기별로 구분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표에 표시된 현금흐름은 현재가치할인을 하지 않은 금액이며, 이자비용 현금흐름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당분기말1년 미만1년에서2년 이하2년에서5년 이하5년 초과
비파생상품: | ||||
차입금 | 2,870,397 | 1,638,895 | 2,276,544 | 732,489 |
리스부채 | 26,900 | 23,380 | 44,033 | 1,202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5,348,138 | 7,610 | 3,403 | - |
비파생상품 합계 | 8,245,435 | 1,669,885 | 2,323,980 | 733,691 |
파생상품: | ||||
총액결제 통화선도 | ||||
(유입) | (1,187,989) | - | (596,041) | (585,361) |
유출 | 1,165,552 | - | 567,800 | 551,415 |
파생상품 합계 | (22,437) | - | (28,241) | (33,946) |
합 계 | 8,222,998 | 1,669,885 | 2,295,739 | 699,745 |
(단위: 백만원) |
구 분전기말1년 미만1년에서2년 이하2년에서5년 이하5년 초과
비파생상품 : | ||||
차입금 | 2,184,253 | 1,559,772 | 2,724,892 | 721,487 |
리스부채 | 23,927 | 18,242 | 40,056 | -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4,977,339 | 7,269 | 3,403 | - |
비파생상품 합계 | 7,185,519 | 1,585,283 | 2,768,351 | 721,487 |
파생상품 : | ||||
총액결제 통화선도 | ||||
(유입) | (1,026,890) | - | (592,750) | (592,750) |
유출 | 1,030,088 | - | 567,800 | 551,415 |
파생상품 합계 | 3,198 | - | (24,950) | (41,335) |
합 계 | 7,188,717 | 1,585,283 | 2,743,401 | 680,152 |
② 당분기말 현재 연결회사는 향후 매입할 원재료의 시장가격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는 스왑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 | 거래목적 | 대상자산 | 거래처 | 만기 | 공정가치 | |
자산 | 부채 | |||||
상품(원재료)스왑(*) | 현금흐름위험회피 | 비철금속 | Citibank 등 | 2024.12 | 64,652 | - |
(*) 미래 예상거래의 현금흐름변동위험을 회피하는 계약에서 발생한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전액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에 해당합니다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5. 범주별 금융상품」 참조).
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 회사는 환율 및 상품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 등 위험 회피 목적으로 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파생상품은 계약에 따라 발생된 권리와 의무를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자산과 부채로 계상하고, 동 계약으로부터 발생한 손익은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위험회피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특정위험으로 인한 자산ㆍ부채 및 확정계약의 공정가액 변동위험을 회피하는 계약에서 발생한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처리하고, 미래 예상거래의 현금흐름변동위험을 회피하는 계약에서 발생한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액은 거래은행에서 제공한 평가내역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1)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가 체결하고 있는 상품스왑 계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거래구분거래목적대상자산거래처만기공정가치자산부채
상품(원재료)스왑 | 현금흐름위험회피 | 비철금속 | Citi bank 등 | ~ 2024.12 | 64,652 | 64,652 | - |
(2)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상품스왑 계약으로 인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기타포괄손익누계전기말당분기말변동액
상품(원재료)스왑 | 5,739 | 64,810 | 59,071 |
합 계 | 5,739 | 64,810 | 59,071 |
(3)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거래구분 | 계약처 | 계약금액 (단위: 백만) |
계약환율 | 계약시작일 | 계약만기일 | 장부금액 | |
자산 | 부채 | ||||||
통화선도(*1) | 신한은행 | USD 500 | 1,135.60 | 2020.10.14 | 2024.10.15 | 28,241 | - |
KB국민은행 | USD 500 | 1,102.83 | 2020.11.24 | 2029.04.16 | 33,946 | - | |
Citi bank | EUR 150 | 4.5900(*2) | 2021.05.12 | 2022.04.29 | 3,438 | - | |
SC bank | EUR 250 | 4.5861(*2) | 2021.05.14 | 2022.04.29 | 5,116 | - | |
CACIB | EUR 100 | 4.6055(*2) | 2021.08.05 | 2022.08.04 | 3,302 | - | |
KDB | EUR 165 | 4.6036(*2) | 2021.08.05 | 2022.08.04 | 5,902 | - | |
ING bank | EUR 100 | 4.7120(*2) | 2021.10.22 | 2022.10.21 | 2,455 | - | |
ING bank | EUR 100 | 4.7800(*2) | 2022.01.05 | 2023.01.05 | 2,224 | - |
(*1)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지 않는 파생상품입니다.
(*2) EURPLN 환율입니다.
(4) 당분기 회사의 통화선도계약으로 인한 손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선물환평가손익이익손실소계
통화선도 | 13,800 | - | 13,800 |
합 계 | 13,800 | - | 13,800 |
1)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및 연구개발 담당조직
- 당사의 연구개발활동은 BEV, PHEV 등 자동차 전지 분야, 스마트폰, e-mobility, 전동공구 등의 소형 전지 분야와 전력망, 주택용 등 에너지저장장치 분야의 연구를 통해 현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Recycle, Reuse, 차세대 전지 등의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 사업영역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는 데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고도의 핵심 기술 확보 및 융합을 통한 신규 유망사업 발굴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차세대 고용량/고안전성 소재, 전지 제조 공정 고도화 등과 같은 당사의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현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R&D 조직은 CTO, 사업부 개발센터 및 CPO.공정/설비기술센터, CQO.개발품질/인증시험담당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독일, 폴란드, 중국, 일본 등에서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기술분야가 고도화, 다양화됨에 따라 기술의 아웃소싱은 중요한 조건이 되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변화에 대응하고, 제품/기술 경쟁력 강화 및 R&D 성과 가속화를 위하여 외부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Open Innovation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Open Innovation을 통해 Global Network를 보유하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또한 내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연구결과를 전 연구원과 공유하는 Tech Fair 등 다양한 기술교류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경영시스템 체계화를 위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운영으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관리함으로써 연구 생산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조직 내 지식자원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통합적인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합니다.
또한 시장/고객 관점에서 Project를 상시 관리하고 영업/상품기획/기술/생산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R&D 성과를 가속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 등을 통해 앞으로도 R&D 생산성을 한층 강화할 예정입니다.
연구개발 담당조직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 1분기_LG에너지솔루션 연구조직도 |
CTO 및 사업별 개발센터를 운영 중이며, 품질 / 공정 / 설비기술에 R&D 인력을 전진 배치하여 역량을 보강하고 있습니다.
3) 연구개발 실적
연구 기관 | 연구 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CTO | Cell 선행개발 | - 고용량 High Ni계 양극재 개발 |
- 고용량 급속충전 음극재 개발 | ||
- 고기능성(고온내구성/급속충전/안전성) 전해질 개발 | ||
- 고안전성(난연/고내열) 분리막 개발 | ||
Pack/BMS 개발 | - 전지 제품 및 제조 공정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
- 차세대 플랫폼 개발 | ||
차세대 전지 개발 | - 리튬황전지, 전고체전지 개발 | |
자동차전지 | BEV, PHEV 전지 개발 | - 고용량, 고에너지밀도 BEV, PHEV 전지 개발 |
소형전지 | 차세대 신시장 개척용 원통형 전지 개발 | - E-mobility 및 고출력 전동공구용 전지 개발 |
IT기기용 파우치형 이차전지 개발 | - IT 및 Wearable 기기를 위한 다양한 형태 및 사이즈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개발 | |
ESS전지 | 전력저장용 전지 개발 | - 전력망, 산업/주택용 장수명, 고효율 및 Low cost 전지 개발 |
공정/설비기술센터 | 전지 제조 공정 고도화 | - 전극 제조 공정 및 조립 공정 개발 |
4)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 |
과 목제3기 1분기제2기제1기비 고
연구개발비용 계(*) | 183,587 | 654,026 | 26,471 | - | |
(정부보조금) | - | (94) | (7) | - | |
연구개발비용 (정부보조금 차감 후) | 183,587 | 653,932 | 26,464 | - | |
회계처리 | 판매비와 관리비 | 178,959 | 614,366 | 26,464 | - |
제조경비 | 4,290 | 16,712 |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 | - | |
기타 | 338 | 22,854 | - |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분)기매출액×100] |
4.2% | 3.7% | 1.8% | - |
주1) 상기 금액은 연결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주2) 당사는 2020년 12월 1일자 신설법인으로 제1기의 금액은 12월(1개월치)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주3)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연구개발비용 계(*)는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1) 사업과 관련된 중요한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 당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2년 3월 31일 기준 누적으로 국내 8,099건, 해외 15,967건의 누적 등록 특허가 있으며, 이 중 주요 특허권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요 특허 현황
종류취득일내용근거법령취득소요인력/기간상용화 여부
특허권 | 2012년 10월 | 전기화학적 성능이 우수한 니켈계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활물질에 관한 기술로 16년간 배타적사용권 보유 (취득일 기준) | 특허법 | 5명 / 3년 4개월간 | 상용화단계 |
2019년 3월 |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기술로 16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취득일 기준) | 특허법 | 5명 / 4년 1개월간 | 상용화단계 | |
2019년 4월 | 출력이 우수한 다층 음극에 관한 기술로 18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취득일 기준) | 특허법 | 5명 / 2년 7개월간 | 상용화단계 |
당사는 상기의 주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 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배터리 등에 관한 특허로 회사의 주력사업 제품에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당사의 상표를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상표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등
(1) 대기, 수질
- 공정 변경, 원부원료 대체 등을 통해 오염물질을 발생원에서부터 저감하고 있으며, 발생된 오염물질은 방지시설에서 처리하여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방지시설은 설비별 점검 목록에 따라 주기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최적 상태의 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향후 매년 기존 방지시설의 처리 효율을 검토하여 단계적으로 고효율의 최적 방지시설로 교체하고 노후화된 설비 또한 지속적으로 점검/교체하고 있습니다.
(2) 토양
- 토양오염 방지를 위해 특정 토양오염 관리대상시설의 설치에서부터 사용 후 폐쇄 때까지 철저하게 관리하고 사용 중인 관리대상시설에서 누출로 인해 토양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을 콘크리트로 포장하는 등 불침투성 처리하였으며, 지상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저장물질의 누출로 인한 토양오염의 예방 활동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3) 유해화학물질
-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을 입고에서부터 사용, 폐기시까지 철저하게 관리하고 누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저장시설에 설치한 감지기 및 차단장치,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보호구의 보관 상태를 점검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유출대비 비상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4) 제품환경 규제 대응
- 전세계적인 제품에 대한 환경기준 및 규제 강화정책에 따라 R&D 및 구매단계에서부터 제품 내에 규제 물질이 사용되지 않도록 자재 구성성분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글로벌 규제 동향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최신의 법규정보를 파악하고 고객에게 판매되는 모든 제품에 대하여 규제준수 여부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5)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감
- 기후변화와 국내외 관련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사용 및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계획 수립, 배출권거래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고객사 및 대외기관에서 요구하는 관련 정보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온실가스ㆍ에너지 Data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웹기반의 배출권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있으며, 배출권거래제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대응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습니다.
3) 영업의 개황 등
(1) 산업의 특성
- 2차전지 제조업은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을 비롯한 소재의 배합, 전극 및 배터리셀의 구조 설계에 관한 고도의 화학/전기/기계공학 관련 기술을 요합니다. 특히 최근 급속도로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EV용 배터리의 경우 에너지 밀도, 출력, 충전시간, 저온특성, 안전성 등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더욱 높은 수준의 기술적 특성이 요구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2차전지 제조업은 대규모 설비투자를 요하는 장치산업이므로, 규모의 경제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제품 개발 이후 양산에 적합한 공정 개발 등 대량생산을 위한 추가적인 기술과 노하우 및 인력도 함께 갖추어야 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 2차전지 산업은 과거 노트북, 스마트폰 등 IT기기용 전지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왔으나, 세계 각국의 환경규제 및 전기차에 대한 구매 보조금, 세제혜택 등 정책 실시로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EV용 전지가 2차전지 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한편 세계 각국의 친환경에너지 확대 기조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지면서 ESS용 전지에 대한 수요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형 Application용 배터리 또한 드론, LEV(전동킥보드, 전동휠, 전기자전거 등) 등 신규 Application 확대에 따라 견조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 2차전지는 최종 소비재를 위한 중간재 성격을 지닌 제품으로서 경기변동에 따른 뚜렷한 영향을 관찰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2차전지 산업은 EV, ESS 및 IT 기기 등 다양한 전방산업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물 경기의 전방산업에 대한 영향은 결국 2차전지 산업의 수요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이유로 2차전지 산업의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은 전방산업의 불황이나 호황이 표면화된 이후 후행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편 2차전지 산업의 전방산업은 EV 시장, ESS 시장, IT 기기를 비롯한 전자기기 시장 등 매우 다양하고, 산업의 부침은 전방산업별로 상이하므로 경기 변동이 후방산업인 2차전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최근 EV 시장의 급속한 성장으로 2차전지의 전방산업 중 EV 시장의 중요성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EV 시장의 변동이 2차전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4) 시장여건
- 당사의 배터리가 적용된 기존 시장뿐만 아니라 신규시장 발굴 등으로 지속적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Global OEM의 대규모 EV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어 EV용 배터리 수요 확대가 전망되며, 신재생에너지 보급 트렌드 가속화 및 각국의 규제 및 지원 정책을 바탕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물류 및 자율배송 등 신규 Application의 원통형전지 적용 확대가 예상됩니다.
(5) 경쟁우위요소
- EV용 배터리는 경쟁사 대비 앞선 개발과 공급 및 높은 에너지 밀도, 장수명 등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Global 자동차OEM 대부분을 고객으로 확보 하였습니다. ESS용 전지는 앞선 배터리 기술 기반 하에 기존 제품보다 안정성 및 성능이 강화된 제품으로 해외시장 중심으로 공략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폼팩터의 다양성 및 빠른 충전시간을 바탕으로 하이엔드 스마트폰 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으며, 원통형전지의 검증된 성능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신규 Application으로 적극 확대 중입니다.
(6) 시장점유율
(단위:%) |
사업부문주 요 제 품시 장 점 유 율시장점유율자료출처비 고제3기 1분기제2기제1기
에너지솔루션 | EV용 배터리 | 15.9 | 20.3 | 23.5 | SNE리서치 | 세계시장 기준 |
주1) 상기의 EV용 배터리 제1기 시장점유율은 2020년 연간기준이며, 2021년 2월 SNE리서치 자료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주2) 제2기 시장점유율은 2022년 2월 SNE리서치 자료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주3) 제3기 1분기 시장점유율은 2022년 4월 SNE리서치 자료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4) 사업부문 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제3기 1분기(당기)제2기(전기)제1기(전전기)
매출액 | 4,342,348 | 17,851,906 | 1,461,068 |
영업이익 | 258,854 | 768,470 | (475,206) |
자산 | 34,975,888 | 23,764,137 | 19,941,795 |
주1) 당사는 2020년 12월 1일자 신설법인으로 제1기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12월(1개월치)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공통비용 및 공통자산의 배부기준
- 공통비용 및 공통자산의 배부는 각 제품 및 모델별 귀속이 명확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별도의 배부기준 (매출액 비율, 인건비 비율 등)을 적용하여 배부하고 있습니다.
5) 중요한 신규사업
- 당사는 2차전지 제조, 판매 외에도 미래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신규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배터리 Recycle/Reuse 사업 외에도, 오랜기간 축적해온 배터리 및 차량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터리의 전체 생애주기를 관리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BaaS(Battery-as-a-Service)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ESS 시스템 통합 분야에도 진출해 단순 배터리 공급을 넘어 대규모 ESS를 직접 구축하고 SI까지 제공하는 완결형 사업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ESS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 분석, 분기보고서 다트공시 살펴보기 (0) | 2022.08.16 |
---|---|
SK하이닉스 기업 분석, 분기보고서 (0) | 2022.08.16 |
KB금융 기업분석 (0) | 2022.08.15 |
삼성전자 주식, 주가, 기업분석 다트 공시 살펴보기 (0) | 2022.08.15 |
장마 관련주, 대장주 - 폭우 테마주 매년 한번씩 돈다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