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건강 정보

고지혈증약 종류, 부작용, 고지혈증 원인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3. 1. 31.
반응형

고지혈증약 종류, 부작용 정리, 고지혈증 원인

고지혈증약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합성을 억제하는 스타틴계 약물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거나 배설을 촉진하는 약물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효능과 부작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스타틴제 약물

콜레스테롤이 전단계 물질인 메발론산을 생성하는 단계를 차단하고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해 나쁜 콜테를 떨어뜨립니다.

스타틴계 약물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두통과 소화불량, 복통, 설사, 변비 등이 나타날 수 있어 드물게 간 독성(피로, 식욕감퇴, 진한 소변, 황 등 간 이상 현상)과 근육 독성(근육통, 근육 약화 등 횡문 근해증)이 생길 수 있어 이 독성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 독성 현상이 나타날 때 약물 복용을 중단하고 즉시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2. 에제티미브 약물

에제티미브 계열 약물의 효능은 식품으로 섭취하는 콜레스테롤이 소장에서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예방하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스타틴과 결합할 수 있습니다.

소장을 통해서 20%만 흡수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습니다. 두통, 피로, 복통, 설사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피브레이트 계열의 약물

피브레이트 계열 약물의 효능은 지질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의 작용을 돕고 중성 지방과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춥니다. 피브레이트 계열 약물의 부작용으로는 소화 불량, 오심, 복부 팽만, 근육 통증 및 근육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오메가3

오메가3 지방산 약의 효능은 중성지방합성과 관련된 효소를 억제하고 지질 단백질 분해를 돕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중성지방을 제거합니다.

오메가3 지방산 약의 부작용으로는 구토, 트림, 간수치 상승, 두통, 가려움증, 혈당 상승, 면역억제 효과 증가 등이 있을 수 있으며,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상승한다는 보고가 있어 LDL 검사도 정기적으로 병행합니다.

질병의 원리

고지방, 고칼로리, 당지수가 높은 식품을 통해 과다 섭취하거나 지속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하거나 비만이신 경우, 운동부족, 당뇨, 흡연, 고혈압, 갑상선 질환, 간질환, 신장질환, 스트레스, 가족력 등도 작용합니다.

또 여성의 경우 폐경기가 되면 여성호르몬의 가파른 감소로 콜레스테롤 분해능력이 떨어져 고지혈증과 비만이 잘 생기게 됩니다.

건강관리

건강관리는 매일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입니다. 적어도 20분이 지나기 전까지는 혈액의 지방을 태우지 않기 때문입니다.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 해조류, 통곡밀, 껍질을 먹는 과일, 콩 및 삶은 고기가 좋습니다

고열량이나 고지방 식품, 간이 설탕이 많은 식품은 줄여야 합니다. 달콤한 빵, 케이크, 크루아상, 떡, 모티브, 과일 주스, 과자, 설탕이 많이 들어 간 스포츠드링크, 탄산음료, 튀긴 음식, 아이스크림, 마가린, 마요네즈, 가당음료, 단과일, 설탕, 꿀, 과일청 등을 삼가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