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건강 정보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심근경색증 국내에서 높은 사망원인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12. 10.
반응형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심근경색증 국내에서 높은 사망원인

이상지질혈증 자체로 생명이 위험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동맥경화가 발생해 심혈관질환 등 이로 인한 합병증 때문에 생명이 위험해 질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심장질환은 중요한 사망원인입니다.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자료를 보면 심장질환으로 인한 국내사망자 수는 2014년 10만 명당 52명에 이를 정도입니다.

이상지질혈증이 있다고 해서 당장 몸에 증상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상지질혈증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 동맥경화증을 유발해 심근경색증 또는 뇌경색을 비롯한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질환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혈중 콜레스테롤과 심혈관계 질환의 관계는 다양한 역학연구들에서 일관되게 증명돼 왔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연구를 보면 35~57세인 약 35만 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총콜레스테롤농도 245mg/dL 이상인 집단이 180mg/dL이하인 경우의 3.4배에 달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허혈성심질환의 56%, 뇌졸중의 18% 정도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심혈관계 질환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망원인입니다.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1,700만 명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하며 이는 전체사망자의 30%에 달하는 수치이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통계에서도 심장질환은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자료를 근거로 한 우리나라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14년 10만 명당 52명에 이릅니다.

남성과 여성을 비교하면 연령을 보정하지 않은 사망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10% 정도 높지만 연령을 보정한 사망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정도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014년 10만 명당 48명이었습니다.

뇌혈관질환 중에서는 이전에는 뇌출혈(비외상성 뇌내출혈 및 지주막하출혈)에 의한 사망자가 더 많았지만 최근에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에 의한 사망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이상지질혈증 치료야말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사망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상지질혈증 때문에 생명이 위험해질 수도 있나요? (혈관건강백서,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헬스경향)

Abnormal lipidemia itself does not make life dangerous, but if it is left untreated, arteriosclerosis can occur, which can lead to complication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Heart disease is also an important cause of death in Korea.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umber of deaths in Korea from heart disease reached 52 per 100,000 people in 2014.

Having dyslipidemia does not immediately cause symptoms in the body. However, if dyslipidemia is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it can cause arteriosclerosis, which can lead to arteriosclerosis, including myocardial infarction or cerebral infarction, and these conditions can be life-threat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cholesterol and cardiovascular disease has been consistently demonstrated in various epidemiological studies. According to a representative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of about 350,000 people aged 35 to 57, the mortality rate from coronary artery disease was 3.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245 mg/dL or less.

It is estimated that 56%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18% of stroke worldwide are caused by hypercholesterolemia.

Cardiovascular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e world.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17 million people die from cardiovascular disease annually, accounting for 30 percent of all deaths, and it is estimated that it will continue to increase.

Domestic statistics also showed that heart disease was an important cause of death. Based on statistic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umber of deaths from heart disease in Korea reached 52 per 100,000 people in 2014.

Compared to men and women, the mortality rate without age correction is 10%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but the mortality rate with age correction is twice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The death toll from cerebrovascular disease was 48 per 100,000 people in 2014.

Among cerebrovascular diseases, there were previously more deaths from cerebral hemorrhage (non-traumatic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subarachnoid hemorrhage), but recently more deaths from cerebral infarction (ischemic stroke). Active treatment of dyslipidemia based on these da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ays to reduce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duce death.
[Naver's Knowledge Encyclopedia] Can dyslipidemia put your life in danger? (Vascular Health White Paper, Korea Geophysical and Arterial Society, Health Trend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