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국어상식

붙여 붙혀 붇여 붇혀 부쳐 붓혀 맞춤법 공부!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11. 23.
반응형

붙여 붙혀 붇여 붇혀 부쳐 붓혀 맞춤법 공부!

 

붙여 붙혀 붇여 붇혀 부쳐 붓혀 맞춤법 공부!

 

항상 헷갈리는 맞춤법을 들고 오지만

오늘은 정말 어려운 단어들을 가져왔어요.

"붙여, 붙혀, 붇여, 붇혀, 부쳐, 붓혀"입니다.

평소에 잘 쓰다가도 이렇게 모아 놓고 보니

갑자기 헷갈리지 않나요?

일상에서 흔하디 흔하게 사용하지만 싹

모아 놓고 정답을 이야기하려고 하면 쉽지 않죠.

헷갈리고 어려운 맞춤법들의 공통점은

발음이 굉장히 유사하다는 점입니다.

정답을 먼저 말씀 드리고 풀이 들어가겠습니다.

"붙여" = '붙다'를 원형으로 하는 사동사.

붙혀, 붇여, 붇혀, 부쳐, 붓혀 -> (X)

'붙다'를 원형으로 하는 사동사 '붙여'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들어가 볼까요?

 

 

>손해보지 않는 사람들의 현명한 소비습관<

붙여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다.>

"전단지가 붙어있다."

"포스트잇이 책상에 붙어있다."

"스티커가 노트에 붙어있다."

<시험에 합격하다.>

"실기시험에 붙었다."

"검정고시에 붙었다."

"3차 면접에 붙었다."

<불이 옮아서 타기 시작하다.>

"산불이 옆 산에 붙었다."

"한 건물에서 시작된 불이 옆을 붙었다."

"옆에 나뭇가지에 불이 붙었다."

<특정 사건에 개입하다, 일에 몰두하다.>

"위급한 환자는 간호사가 붙어 있다."

"공부하는데 재미를 붙였다."

"근력운동에 재미가 붙었다."

"봉사활동을 하는데 재미를 붙였다."

"붙여", "붙혀" 이 두 가지를 가장 많이

헷갈려 하실텐데요.

'붙혀', '붙히다'둘 다 잘못된 표기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난제 '부쳐'와도

혼동해서 사용하는 모습이 많은데

이야기가 나온 김에 간단하게 다뤄 보겠습니다.

'부쳐'는 '부치다'를 줄인 형태입니다.

 

 

>손해보지 않는 사람들의 현명한 소비습관<

부쳐

 

<편지, 물건 등을 수단 및 방법을 통해

누군가에게로 보내다>

"편지를 해외로 부치다."

"소포를 미국으로 부쳤다."

"항공 우편으로 택배를 부쳤다."

<특정한 문제를 다른 것으로 넘기다.>

"미국은 중요한 정책을 국민 투표에 부쳤다."

"해당 의사를 상급회의로 부쳤다."

<특정 일을 거론하거나 문제 삼지 않는다.>

"그 사건을 암묵적인 동의로 비밀에 부쳤다."

"해당 안건은 다음 분기에 부쳤다."

<모자라거나 충족하지 못하는 상태>

"힘에 부쳐서 도저히 할 수 없었다."

"부침이 있어 중간에 포기하게 되었다."

'부쳐'는 '붙여'와 완전히 다른 의미입니다.

발음이 비슷해서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니

잘 숙지해 두시길 바랍니다.

 

 

혼란스러울 때 쉽게 판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붙이다'의 원형 '붙다'를 넣어 보면 되는 것이죠.

"종이를 벽에 붙이다." -> "종이가 벽에 붙다."

어색하지 않으면 '붙여'를 사용해 줍니다.

"택배를 부치다." -> "택배가 붙다."

어색하면 '부쳐'를 사용해 줍니다.

쉽죠?

회장님께서 사람을 (붙여/부쳐/붓혀)

신변보장을 해주셨다.

정답은 '붙여'입니다.

요약하면 '붙여 붙혀 붇여 붇혀 부쳐 붓혀'중에서

'붙여', '부쳐'만 올바른 표현입니다.

조금 헷갈릴 수 있겠지만 여러 각 뜻에 맞는

예문들을 살펴 보시면 어렵지 않게 정리할

수 있으실 거예요.

 

>손해보지 않는 사람들의 현명한 소비습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