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유틸렉스 기타 참고사항

by 블루바이럴 야채토스트 2022. 8. 25.
반응형

7.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1) T세포치료제 특허 포트폴리오

발명의 명칭 출원일 출원국 등록일 권리자
1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PCT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2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마카오 2019-04-03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3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2 미국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4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7-08-30 미국 2020-10-13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5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8-03-26 미국 2020-02-25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6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유럽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7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중국 2018-07-20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8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중국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9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6-08-12 홍콩 2019-07-05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0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9-03-29 홍콩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1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일본 2019-05-10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2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8-11-30 일본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3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20-04-28 일본 등록결정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4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6-10-03 인도 2022-02-25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5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캐나다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6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호주 2018-04-19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7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8-07-06 호주 2020-01-30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8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20-04-29 호주 -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19 ANTICANCER T CELL THERAPY PRODUCT-ASSISTING COMPOSITION
COMPRISING DEPLETING ANTI-CD4 MONOCLONAL ANTIBODY AND USE THEREOF
2019-04-11 PCT - 국립암센터
유틸렉스
20 ANTICANCER T CELL THERAPY PRODUCT-ASSISTING COMPOSITION
COMPRISING DEPLETING ANTI-CD4 MONOCLONAL ANTIBODY AND USE THEREOF
2019-04-11 미국 - 국립암센터
유틸렉스
21 ANTICANCER T CELL THERAPY PRODUCT-ASSISTING COMPOSITION
COMPRISING DEPLETING ANTI-CD4 MONOCLONAL ANTIBODY AND USE THEREOF
2019-04-11 중국 - 국립암센터
유틸렉스
22 ANTICANCER T CELL THERAPY PRODUCT-ASSISTING COMPOSITION
COMPRISING DEPLETING ANTI-CD4 MONOCLONAL ANTIBODY AND USE THEREOF
2019-04-11 일본 - 국립암센터
유틸렉스
23 ANTICANCER T CELL THERAPY PRODUCT-ASSISTING COMPOSITION
COMPRISING DEPLETING ANTI-CD4 MONOCLONAL ANTIBODY AND USE THEREOF
2018-04-17 한국 - 국립암센터
유틸렉스
24 ANTICANCER T CELL THERAPY PRODUCT-ASSISTING COMPOSITION
COMPRISING DEPLETING ANTI-CD4 MONOCLONAL ANTIBODY AND USE THEREOF
2019-04-11 유럽 - 국립암센터
유틸렉스
25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19-08-12 PCT - 유틸렉스
26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21-11-24 홍콩 - 유틸렉스
27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19-08-12 일본 - 유틸렉스
28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19-08-12 중국 - 유틸렉스
29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19-08-12 유럽 - 유틸렉스
30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19-08-12 한국 - 유틸렉스
31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21-02-05 미국 - 유틸렉스
32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 2019-12-16 미국 - 유틸렉스
33 METHOD FOR PREPARING AND CRYOPRESERVING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9-08-12 PCT - 유틸렉스
34 METHOD FOR PREPARING AND CRYOPRESERVING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21-12-09 홍콩 - 유틸렉스
35 METHOD FOR PREPARING AND CRYOPRESERVING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9-08-12 일본 - 유틸렉스
36 METHOD FOR PREPARING AND CRYOPRESERVING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9-08-12 중국 - 유틸렉스
37 METHOD FOR PREPARING AND CRYOPRESERVING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9-08-12 유럽 - 유틸렉스
38 METHOD FOR PREPARING AND CRYOPRESERVING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9-08-12 한국 - 유틸렉스
39 METHOD FOR PREPARING AND CRYOPRESERVING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9-12-16 미국 - 유틸렉스
40 IL-2 VARIANTS 2021-07-07 PCT - 유틸렉스
41 T Cell Receptor Binding to MHC Class I Related Protein and Use Thereof 2021-06-03 PCT - 유틸렉스
42 T Cell Receptor Binding to MHC Class I Related Protein and Use Thereof 2021-06-03 한국 - 유틸렉스
43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ncer treatment containing
cytotoxic T lymphocyt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2020-12-17 일본 - 유틸렉스
44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 cell and use thereof 2012-08-13 한국 2015-08-27 유틸렉스
45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2 cell and use thereof 2012-08-13 한국 2015-10-30 유틸렉스
46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7 cell and use thereof 2012-08-13 한국 2015-10-30 유틸렉스
47 Epitope for switching to TH1 cell and use thereof 2018-01-09 미국 2021-07-27 유틸렉스
48 Epitope for switching to TH2 cell and use thereof 2018-01-09 미국 2021-07-06 유틸렉스
49 Epitope for switching to TH17 cell and use thereof 2017-11-16 미국 2020-12-01 유틸렉스
50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7 Cell and Use Thereof 2016-02-25 미국 - 유틸렉스
51 Monoclonal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an epitope for switching to Th17 cell 2013-04-12 미국 2016-04-12 유틸렉스
52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2 Cell and Use Thereof 2015-06-15 미국 - 유틸렉스
53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an epitope for switching to TH1 cell 2013-04-12 미국 2016-02-09 유틸렉스
54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an epitope for switching to Th2 cell
and a method for converting T cell to type 2 helper T cell using the same
2013-04-12 미국 2016-02-09 유틸렉스
55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 Cell and Use Thereof 2015-06-15 미국 - 유틸렉스
56 A method for isolating and expanding antigen-specific CD8+ T cells
using an 4-1BB ligand pentamer protein
2008-07-25 한국 2012-01-02 국립암센터
(전용권자 : 유틸렉스)
57 MR1 제한적 Panck T 세포 및 이의 제조방법 2021-12-10 한국 - 유틸렉스


2) CAR-T치료제 특허 포트폴리오

발명의 명칭 출원일 출원국 등록일 권리자
58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es B cell lymphoma and use thereof 2015-03-04 PCT - 유틸렉스
59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es B cell lymphoma and use thereof 2015-03-05 미국 2018-01-09 유틸렉스
60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es B cell lymphoma and use thereof 2017-12-01 미국 2019-03-19 유틸렉스
61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es B cell lymphoma and use thereof 2019-03-19 미국 - 유틸렉스
62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es B cell lymphoma and use thereof 2014-03-05 한국 2016-03-16 유틸렉스
63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PCT - 유틸렉스
64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브라질 - 유틸렉스
65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캐나다 - 유틸렉스
66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인도 - 유틸렉스
67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뉴질랜드 - 유틸렉스
68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러시아 - 유틸렉스
69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싱가폴 - 유틸렉스
70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1-12-23 미국 - 유틸렉스
71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유럽 - 유틸렉스
72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중국 - 유틸렉스
73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2-06-21 홍콩 - 유틸렉스
74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4-1BB costimulatory domain 2020-06-26 호주 - 유틸렉스
75 GPC3 CAR-T CEL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21-03-18 PCT - 유틸렉스
76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PCT - 유틸렉스
77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21-10-19 홍콩 - 유틸렉스
78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20.-06-26 한국 - 유틸렉스
79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21-03-01 미국 - 유틸렉스
80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12-16 미국 2021-05-25 유틸렉스
81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중국 - 유틸렉스
82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한국 - 유틸렉스
83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일본 - 유틸렉스
84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유럽 - 유틸렉스
85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싱가폴 - 유틸렉스
86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호주 - 유틸렉스
87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캐나다 - 유틸렉스
88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브라질 - 유틸렉스
89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뉴질랜드 - 유틸렉스
90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21-02-10 멕시코 - 유틸렉스
91 CHIMERIC ANTIGEN RECEPTOR BINDING TO HLA-DR, AND CAR-T CELL 2019-08-12 러시아 - 유틸렉스
92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18-02-21 PCT - 유틸렉스/국립암센터
93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18-02-21 미국 - 유틸렉스/국립암센터
94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18-02-21 일본 - 유틸렉스/국립암센터
95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18-02-21 중국 - 유틸렉스/국립암센터
96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18-02-21 한국 - 유틸렉스/국립암센터
97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20-07-30 홍콩 - 유틸렉스/국립암센터
98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18-02-21 유럽 - 유틸렉스/국립암센터
99 GPC3 CAR-T CELLS SECRETING IL-18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21-03-18 PCT - 유틸렉스
100 Composite for delivering a ge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2019-05-30 한국 2021-01-25 POSTECH 산학협력단
유틸렉스
이상호
101 돌연변이 EGFR를 타겟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2022-06-20 PCT - 유틸렉스
102 돌연변이 EGFR를 타겟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2022-05-31 한국 - 유틸렉스
103 HLA-DR 특이적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2022-04-15 PCT - 유틸렉스
104 HLA-DR 특이적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2022-04-15 한국 - 유틸렉스


3) 항체 특허 포트폴리오

발명의 명칭 출원일 출원국 등록일 권리자
105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PCT - 유틸렉스
106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9-09-13 홍콩 2022-06-02 유틸렉스
107 Anti-Human 4-1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20-04-22 홍콩 2021-03-26 유틸렉스
108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미국 2019-01-08 유틸렉스
109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11-14 미국 2021-02-16 유틸렉스
110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20-02-13 미국 2020-09-15 유틸렉스
111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21-01-26 미국 - 유틸렉스
112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일본 2019-11-01 유틸렉스
113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9-10-28 일본 - 유틸렉스
114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중국 2020-09-11 유틸렉스
115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중국 - 유틸렉스
116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호주 2019-05-30 유틸렉스
117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9-07-05 호주 2021-05-20 유틸렉스
118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21-04-22 호주 - 유틸렉스
119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한국 2020-03-09 유틸렉스
120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한국 - 유틸렉스
121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캐나다 2020-08-25 유틸렉스
122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유럽 2021-12-29 유틸렉스
123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21-11-29 유럽 - 유틸렉스
124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멕시코 2020-09-10 유틸렉스
125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러시아 2020-07-06 유틸렉스
126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러시아 등록결정 유틸렉스
127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뉴질랜드 2021-02-02 유틸렉스
128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브라질 2022-01-18 유틸렉스
129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브라질 - 유틸렉스
130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싱가폴 2021-03-17 유틸렉스
131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싱가폴 - 유틸렉스
132 ANTI-HUMAN 4-1 BB ANTIBODIES AND USE THEREOF 2018-01-05 마카오 2020-12-16 유틸렉스
133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PCT - 유틸렉스
134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9-01-23 미국 2020-04-21 유틸렉스
135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9-01-03 미국 2021-02-16 유틸렉스
136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21-02-05 미국 - 유틸렉스
137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일본 - 유틸렉스
138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중국 - 유틸렉스
139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한국 - 유틸렉스
140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유럽 - 유틸렉스
141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유럽 - 유틸렉스
142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브라질 - 유틸렉스
143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멕시코 - 유틸렉스
144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호주 - 유틸렉스
145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싱가폴 - 유틸렉스
146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싱가폴 - 유틸렉스
147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캐나다 - 유틸렉스
148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9-10-16 홍콩 - 유틸렉스
149 IFN-γ-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2018-02-09 뉴질랜드 - 유틸렉스
150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PCT - 유틸렉스
151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22-01-11 홍콩 - 유틸렉스
152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일본 - 유틸렉스
153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중국 - 유틸렉스
154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유럽 - 유틸렉스
155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21-02-05 미국 - 유틸렉스
156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한국 - 유틸렉스
157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브라질 - 유틸렉스
158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싱가폴 - 유틸렉스
159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20-04-02 미국 2021-02-23 유틸렉스
160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캐나다 - 유틸렉스
161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호주 - 유틸렉스
162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21-04-20 인도 - 유틸렉스
163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멕시코 - 유틸렉스
164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뉴질랜드 - 유틸렉스
165 ANTI-HUMAN VSIG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9-09-30 러시아 등록료 납부일: 2022-06.23 유틸렉스
166 ANTI-HER2/ANTI-4-1BB BISPECIFIC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21-08-09 PCT - 유틸렉스
167 ANTI-HER2/ANTI-4-1BB BISPECIFIC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21-08-09 미국 - 유틸렉스
168 BISPECIFIC EPITOPE BINDING PROTEIN COMPRISING ANTI-4-1BB ANTIBIDY AND A PD-1 PROTEIN OR FRAGMENTS THEREOF AND USE THEREOF 2022-01-11 PCT - 유틸렉스
169 BISPECIFIC EPITOPE BINDING PROTEIN COMPRISING ANTI-4-1BB ANTIBIDY AND A PD-1 PROTEIN OR FRAGMENTS THEREOF AND USE THEREOF 2022-01-11 미국 - 유틸렉스
170 Bispecific Epitope Binding Protein Comprising Anti-4-1BB Antibody and a PD-1 Protein or Fragments Thereof and Use Thereof 2022-01-11 PCT - 유틸렉스
171 Pentamerized 4-1BB ligand protein and use thereof 2010-01-29 한국 2012-06-07 유틸렉스
172 항-TIGIT 항체 및 이의 용도 2021-12-10 PCT - 유틸렉스
173 항-TIGIT 항체 및 이의 용도 2021-12-10 한국 - 유틸렉스
174 항 CTLA-4 항체 및 이의 용도 2022-02-03 PCT - 유틸렉스
175 항 CTLA-4 항체 및 이의 용도 2022-02-03 한국 - 유틸렉스


4) 기타 특허 포트폴리오
당사는 이 외에도 20개 이상의 지적재산권을 출원 또는 등록한 상태입니다.

나.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정부규제 준수
당사는 법령에 따라 환경분야 규제사항(대기, 수질, 폐기물, 위험물 외 기타)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분야별 법규 검토서를 발췌, 공유하여 문서 관리화 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법규개정사항 및 변경사항을 등록관리하여 전체적인 환경관련 법규사항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다. 주요 제품의 개요
1) T세포치료제
당사는 자가유래 소량의 혈액(50ml)을 이용하여 암항원 특이적인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의 임상을 국내 다양한 암종의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임상을 위한 IND 사전 준비를 진행 중입니다. 세포치료제는 조건부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치료제로 임상 2상의 결과만으로도 식약처 승인을 받은 후 바로 상용화가 가능해 다양한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대해나가며 조기 상용화를 통한 매출 확보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① 작용기전 

4-1BB 기반의 간단하고 실용적인 암항원 특이적 T세포치료제 플랫폼 기술

면역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면역 세포 중 T세포는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세포로 하나의 T세포는 하나의 항원을 인식하는 TCR(T cell receptor)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외래 항원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T세포가 면역계에 존재해야만 합니다. 조합 가능한 TCR의 종류는 약10^15 (일천 조)개 이며 성인 한 명의 몸 속에는 약 2.5×10^7(2천 오백만)종류의 T세포가 약10^12(일 조)개 존재합니다. 이에, 암항원 특이적 T세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약 2,500만 종류의 T세포 중 몇 종류만 분리할 수 있는 고도의 분리 기술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4-1BB 기반 고도의 T세포 분리 기술을 가지고 "4-1BB 기반 암항원 특이적 T세포 제조공정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임상 진행 중인 당사 치료제의 특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제조공정의 단순화, 표준화, 규격화
타사 항암세포치료제 대비 쉽고 효율적인 제조공정으로 개선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든 공정이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제조절차서)를 통해 생산될 수 있도록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생산하는 모든 T세포치료제가 각 95%이상의 순도를 보일만큼 동일한 품질의 세포치료제로서 제품의 규격화를 완성하였습니다. 따라서 본 기술은 자가 유래 항암 T세포 치료제의 근본적 문제점이던 제조 공정 및 제품의 규격화를 이루어 냈으며 항암 T세포 치료제의 제품화 및 실용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고도의 기술입니다.

◈ 높은 암항원 특이성
4-1BB 기반으로 암항원 특이적인 CD8+ T세포를 고순도를 분리 및 대량 증식한 세포치료제입니다. 타 항암 세포치료제에 포함되어 있는 종양 미반응성 T세포 및 항암면역 억제 세포 등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 적응증 확장성
본 기술은 암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면역 세포에 어떤 암항원을 첨가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암항원 특이적 T세포를 분리 및 증식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적으로 모든 종류의 암항원 특이적 T세포 치료제의 제조가 가능한 플랫폼 기술로 다양한 종양 항원들이 4-1BB+ CD8+ T세포 치료제 생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짧은 제조공정으로 생산 비용의 경제성 확보
단축된 제조 공정 기간으로 유전자세포치료제 (CAR-T)와 유사할 정도로 제조공정 기간이 짧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타사 세포치료제의 경우 짧게는 3주 길게는 10주 이상 소요 되는데에 반해 당사의 T세포치료제는 3주내에 생산 생산 가능합니다. 이러한 간소화된 공정을 바탕으로 유전자세포치료제 (CAR-T)와 비교시 수분의 1 비용으로 생산 가능하여 생산 비용의 경제성도 확보하였습니다.


◈ 낮은 부작용, 탁월한 항암 효능
현재까지 수행된 임상시험에서 세포치료제 관련 주목할만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표준치료에 실패한 말기암환자에서 탁훨한 항암 효능 확인. 단계별 임상으로 효력은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② 제조공정

 

 
[4-1BB를 이용한 암항원 특이적 T세포 분리 및 대량 배양]


당사가 개발한 '4-1BB를 이용한 암항원 특이적 T세포 분리/대량 배양 방법'은 1)암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면역 세포를 분리한 후 2)표적 암항원에서 유래하는 펩타이드(peptide)들을 첨가하여 배양해 3)암항원 특이적 CD8 T세포가 4-1BB를 발현하도록 유도하고, 4)anti-4-1BB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며 5)이후 시험관 내에서 대량 배양하여 암환자에게 투여하는 방식입니다.

 
[4-1BB를 통한 신호전달 효과]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PBMC(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말초혈액단핵구) 중 peptide에 특이적으로 활성화된 CD8+ T세포만을 분리해 대량 배양함으로써 필요한 양의 T세포를 환자에게 다시 투여하는 "항원 특이적 CD8 T세포를 이용한 면역 세포 치료법"을 개발하였습니다.

 
[맞춤형 플랫폼 기술로서 유틸렉스 T 세포 치료제]


즉 T세포에 제시되는 항원에 따라 종양 특이적 T세포, 변형된 형태의 신항원 작용 T세포, 자가 면역 질환 특이적 T세포, 다발성 경화증에 특이적인 T세포 등을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고 부작용은 보이지 않는 세계 수준의 맞춤형 혁신 기술입니다.


③ 보유 파이프라인
개발 초기 핵심 기술 개발 및 확립을 위한 T세포 제조 공정의 타당성과 가능성 확인 과정으로 당사가 개발한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암항원을 선별하고(Epitope screening) 이들에 대한 암항원 특이적인 CD8+T세포치료제가 생산될 수 있는지를 실제 각 암종별 다양한 암환자들의 혈액을 이용하여 시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의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암항원 특이적 CD8+ T세포치료제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생산된 암항원 특이적인 CD8+ T세포의 품질 시험 및 항암 효력 시험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암종별 암환자 혈액을 이용한 암항원 선별 검사, T 세포 치료제 제조 가능]


상기 표는 당사의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각 암종별 암항원에 대한 항원 특이적인 CD8+ T세포 치료제 생산 가능성을 시험한 결과 요약입니다. 각 암종별로 항암T세포 치료제 생산이 가능한 환자가 최대 80%까지 사전 선별됩니다. 즉, 선별된 암환자들은 모두 당사 항암 T세포 치료제의 치료 대상자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유틸렉스는 각 암종별 다양한 암항원에 대한 T세포 치료제를 개발하였으며 현재 다수의 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연구 개발 내용이 많아, 모두 기재하기 어려우므로 R&D 단계를 제외한 임상 및 비임상 단계의 주요 보유 파이프라인을 아래와 같이 발췌하였습니다.

◈ 앱스타인바바이러스(EBV) 양성 T세포치료제 EU204(EBViNT)
NK/T세포림프종 적응증으로 식약처에서 임상1/2상 승인을 2018년 9월에 받았으며, NK/T세포림프종을 대상으로 임상을 시작했으나 연구자임상 1상 등에서 다양한 고형암종에도 항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된 바 있어 시장성 및 파이프라인 확장성을 고려해 2021년 10월 위암 적응증을 추가했습니다. 


◈ EU210(WTiNT)은 임상1상, EU211(TERTiNT), EU205(TAST) 등
연구자 임상 또는 비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EU210(WTiNT)의 경우, 2021년 말 임상 대상자 투약을 모두 완료하고 임상최종결과보고서(CSR) 정리에 들어가 연내 임상최종결과보고서(CSR)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2) CAR-T치료제
CAR-T치료제는 기존의 CAR-T세포치료제가 가진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자체기술력을 바탕으로 비임상시험 진행 중입니다. 유틸렉스는 자체 CAR-T치료제 생산시설을 구축완료 하였으며 국내 임상 및 조기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① 작용기전
부작용 없고, 확장성 좋은 CAR-T치료제 플랫폼

 
[CAR-T 세포 치료제 개요]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치료제는 환자에서 채취한 T세포에 암항원을 타겟으로 하는 CAR 유전자를 도입하여 암세포에 대한 사멸 능력을 높이도록 유전자를 재조합한 치료제입니다. 현재 FDA 승인된 2종의 CAR-T세포치료제는 모두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 83%의 높은 임상효능을 나타내고 있으나 고형암에서의 경우 치료효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틸렉스의 CAR-T치료제는 암조직 내 침투, 종양 생장에 필요한 혈관 확장의 방해, 종양 미세 환경 특이적 면역 억제 세포 및 물질의 제어 등 부가적 기능을 도입한 CAR-T 시스템을 적용하여 고형암 치료에도 강점을 가질 수 있는 차세대 CAR-T치료제입니다.

당사가 보유한 CAR-T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특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가격 경쟁력 보유
제조공정이 단순해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AR-T치료제를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킴리아 및 에스카타 모두 2번의 형질전환 과정을 거쳐 CAR-T세포 치료제를 제작합니다. 이에 반해, 유틸렉스의 CAR-T치료제 중 EU301(MVR CAR-T)치료제는 1번만 형질전환을 하여도 배양 완료 후 높은 CAR 발현율을 확인했습니다.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 타겟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게 개발
CD19(기 출시된 CAR-T Target)은 정상세포 및 암세포, 모두 동일한 비율로 분포해 이를 타겟으로 하면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당사는 정상 B세포가 악성B세포로 변화하면서 암세포에서 발현량이 증가하는 HLA-DR과 고형암 중 간암에서 다량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GPC3를 타겟으로 해 증가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게 됩니다.

◈ 암세포 살상능 향상
마지막으로 당사의 CAR-T 치료제는 암세포의 살상능을 향상시켰습니다. 기존 치료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포 내 신호전달을 위한 4-1BB 도메인 대신 당사의 4-1BB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개량된 차세대 4-1BB 신호전달 도메인(기존보다 메모리 기능 향상)을 도입함으로써 암세포 살상능을 향상시켰습니다

② 제조공정
CAR-T세포의 제조과정은 크게 아래의 3가지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첫 번째 단계는 T세포 수용체대신 이용되는 항암세포에 특이적인 항체 선별 및 최적화입니다. 일반적인 항체 치료제에서는 항원-항체간 결합력을 높여 효능을 향상시키지만 CAR-T세포 치료제에서는 정상 세포에 결합하여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결합 친화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결합 친화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결합 친화도를 감소시키거나 off-target 결합력을 낮추는 등의 고급 항체 결합력 엔지니어링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최적화된 항체를 재조합한 CAR 유전자를 T세포 내로 도입하는 과정입니다. CAR-T치료제는 T세포의 낮은 유전자 도입 효율로 인해 레트로나 렌티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합니다. 당사는 CAR 유전자를 전달하기 위한 높은 역가의 렌티바이러스 생산 시스템을 확립하였고, T세포로 도입 효율을 증강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T세포 활성화법 그리고 렌티바이러스 감염법 등을 테스트하며 CAR 유전자를 가진 렌티바이러스 T세포 도입 방법을 최적화하였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CAR 유전자가 도입된 T세포(CAR-T세포)를 증식 배양하는 단계입니다. 효능이 좋은 CAR-T세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사이토카인 및, 배지 등을 테스트하였으며 현재 세포 배양 방법 및 공정이 확립되어있습니다.

③ 보유 파이프라인
◈ EU301(MVR CAR-T) : HLA-DR타겟의 CAR-T치료제
당사가 오랜 기간에 걸쳐 개발한 MVR 항체는 HLA-DR을 인식합니다. CD19가 정상세포와 암세포에 모두 동일한 비율로 분포하는 것과 달리, HLA-DR은 정상B세포가 악성B세포로 변화하면서 발현량이 증가합니다. 즉, 암세포에서 많은 HLA-DR이 발현되는데 이 연구팀의 기술인 EU301(MVR CAR-T)는 HLA-DR이 증가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합니다.

EU301(MVR CAR-T)가 정상B세포를 공격하지 않는 요인 중 하나는 바로 낮은 CAR 결합력입니다. 보통은 CAR 결합력이 높아야 암세포 사멸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CD19 CAR-T의 경우 높은 CAR 결합력으로 인해 CD19을 발현하는 정상B세포도 공격하여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EU301(MVR CAR-T)는 결합력이 다른 CAR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HLA-DR이 낮게 발현된 정상B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HLA-DR이 과발현된 암세포만 사멸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 EU307(GPC3-IL18 CAR-T) : 고형암 타겟의 4세대 CAR-T치료제
고형암을 타겟하는 CAR-T의 경우 두 가지의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암세포에 존재하는 하나의 암항원을 표적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동시에 두 개의 암항원을 표적하는 것이고, 또다른 접근은 CAR-T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함으로써 암항원을 타겟할 뿐만 아니라 암주위의 환경을 암세포에게 불리하게 바꾸어 암세포 살상능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당사의 고형암 타겟 CAR-T세포치료제는 (1)경쟁사 대비 우수한 고형암 타겟인 GPC3 항체 확보, (2)월등한 세포 살상능을 보이는 본사 독자적 4-1BB 신호전달 도메인 도입, (3)4세대 CAR-T세포 치료제 벡터 등을 이용한 종양미세환경 극복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3) 항체치료제
당사의 항체치료제는 다양한 면역관문 타겟을 바탕으로 T세포의 항암작용을 극대화하는 기전의 면역항암제입니다. 임상 및 비임상 그리고 기초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임상 초기 단계에서 다국적제약사에 라이선스아웃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① 작용 기전
유틸렉스는 T세포 공동자극 수용체 4-1BB (CD137, TNFRSF9)와 AITR (CD357, Activation-Inducible TNFR family Receptor, TNFRSF18)를 각각 1989년과 1999년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한 대표이사 권병세 박사의 면역 항체 연구를 바탕으로 항체치료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유틸렉스 연구진은 200여 편 이상의 관련 최우수 연구 논문들을 출판하는 등 수십년간의 연구를 통해 면역 활성화 관문의 세포 내 미세한 신호 전달 기전과 면역 항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증명하였습니다.

T세포 공동자극 수용체(Costimulatory Receptor) 중 4-1BB(CD137)는 T세포의 세포 독성 활성화, 면역 기억 강화, 생존 능력 강화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해 종양 미세 환경을 항종양 환경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최적의 후보입니다. 실제로 이를 자극하는 유틸렉스 항체치료제가 여러 동물 실험에서 탁월한 항암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면역 세포에 작용하는 면역 항암제와 달리 화학항암제나 표적항암제는 암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입니다. 종양은 유전적으로 변이를 일으켜 무한 증식하는 암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끝임 없이 변이를 일으켜 표적 항암제가 작용하는 분자 자체를 상실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환자에게는 항암제가 더 이상 역할을 할 수 없는 내성이 발생하고 이후로는 마땅한 치료법을 찾을 수 없게 됩니다. 면역계는 변이 그 자체를 표적으로 삼기 때문에 이러한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유일한 대안입니다.

인체의 면역계는 암 항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할 수도 있지만 암을 제거할 수 있는 세포 독성 T세포 (cytotoxic T cell) 혹은 다른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이끄는 도움 T세포 (helper T cell)의 활성을 증가시켜 항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두 종류가 있는데 (1)세포 독성 T세포의 활성화를 막는 inhibitory receptor (억제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 (Immune Checkpoint Blockade), (2)세포 독성 T세포의 활성화를 돕는 co-stimulatory receptor (공동자극 수용체) 자극하는 것입니다.

 
[T세포의 활성화수용체와 억제수용체]


T세포는 기본적으로 면역 활성이 과도하게 유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면역 체크포인트 (Immune checkpoint)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암세포는 이를 역이용하여 면역 세포로부터의 공격을 회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PD-1을 들 수 있는데 T세포의 공격에 의해 암세포는 PD-L1의 발현을 증가시키게 되고 이는 T세포에 있는 PD-1에 자극을 주어 면역 체크포인트(Immune Checkpoint)를 활성화시킴으로써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자 (즉 CTLA-4, PD-1, PD-L1)의 발현 정도는 항암 치료의 예후 마커로도 사용되며 이러한 인자들의 작용을 억제하여 T세포가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키트루다, 여보이, 옵디보와 같은 다양한 항암 약물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원래 환자가 가진 세포 자체 중 anticancer activity를 가진 T세포가 적거나 Immune checkpoint로 인한 면역세포 불활성에 기인한 종양이 아니라면 단독 투여 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와 다르게 T세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인자를 타겟으로 하는 면역 활성 촉진제(Agonistic Checkpoint)가 있습니다. 종양 미세 환경 내에서 종양 특이적T세포가 활성화가 되면 4-1BB(CD137), AITR(CD357), OX40(CD134) 등의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하고 이를 자극해주면 T세포의 증식 및 세포 독성 활성화를 유도하게 됩니다.

 
[Agonistic checkpoint의 작용 원리]

자료 : CrownBio

결국 활성화된 자가 면역계는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암환자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타겟으로 하는 면역항암제 EU101과 EU102는 면역 활성을 촉진하는 항체로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제입니다.
 

현재 유틸렉스 연구진은 4-1BB와 AITR의 면역학 연구 분야에서 세계 수준의 최전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항암 치료제 연구에서도 초일류의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수한 항체 치료제 하나는 화학 항암제보다 월등히 적은 부작용과 우월한 치료 효과로 의료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항체 치료제의 하나인 Humira (Adalimumab, anti-TNF-a antibody)의 2016년 매출은 16조 원이 넘었습니다. 그만큼 항체 치료제는 단 하나의 분자가 고도의 부가 가치를 가질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T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 항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EU101과 EU102는 항암 시장에서의 전망과 가치를 뛰어 넘어 치료법을 찾을 수 없는 말기 암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을 불러 일으키고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행복에 이바지할 것입니다.

② 보유 파이프라인
◈  EU101 : 항 4-1BB 항체치료제
EU101은 인간 T세포 활성화 자극 인자인 4-1BB에 결합하는 항체입니다. 즉 4-1BB 신호를 인위적으로 개시하게 하는 항체 치료제입니다.

EU101에 의해 자극된 4-1BB 신호는 면역계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데 이러한 자가 면역계를 이용한 형태의 항암 치료는 기존 항암제를 이용한 치료와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기존 약제는 분열이 빠른 정상 세포에게도 손상을 가하므로 환자에게 부작용과 고통을 안겨주며 혈관이 미치지 않는 종양 조직의 깊은 곳까지 전달(infiltration)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면역 치료제는 인체 유래인 항체를 사용한 치료이므로 기존 화학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면역 세포를 조절하여 종양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직 내 깊숙한 곳에 숨어있는 종양까지도 신속, 정확하게 제거,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활성화된 T세포는 이미 경험한 암항원 즉 종양에 대한 기억 능력으로 동일 종양의 재발 또한 억제할 수 있습니다.

EU101은 라이간드 접합 부위 또는 복합 수용체 활성화 부위의 구조를 인식하여 결합하므로 이미 알려진4-1BBL의 항암력을 모방하거나, 더 나아가 자신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하여 종양세포를 제거하는 항암 면역 치료제의 최적 후보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여러 다양한 동물 실험에서 4-1BB에 대한 항체는 단독 요법으로 여러 암종, 즉 육종(sarcoma), 신경교종(glioma), 신장암, 피부암 등에서 큰 치료 효과를 보여줄 뿐 아니라 다른 항암제와 병용 치료 시 그 항암력이 향상됨을 보여 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많은 암에 유효성을 나타내지만 신장 독성의 부작용을 가지는 cisplatin의 경우 4-1BB에 대한 단클론 항체와 병용하였을 때 부작용을 줄이는 동시에 항암 효과가 증진되었고 CTLA-4 항체 또는 거의 모든 암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hTERT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과 혼합 치료를 하였을 경우 항암 효과가 큰 폭으로 향상된 동물 실험 결과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 EU102 : 항 AITR 항체치료제
인간 면역체계에서는 두 가지의 자극으로 T세포의 활성화 단계가 진행됩니다. 하나는 항원에 의한 TCR (T cell receptor) 복합체 자극이고 또 하나는 공동자극 신호 전달에 의한 자극입니다. 두 자극에 의해 T세포가 활성화 단계로 진행되면 면역계가 활성화되고 항암 반응 및 항 바이러스, 항 박테리아 반응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T세포의 표면에 발현하는 TCR 복합체가 항원을 접하면 공동자극 분자가 세포 표면에서 발현하게 되고 이는 항원 제시 세포에서 발현하는 라이간드와 결합하여 공동자극 신호를 전달하게 됩니다. 신호를 받은T세포는 활성화되어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하거나 세포 증식 및 항원 특이성을 지닌 T세포로 분화하게 됩니다. AITR은 T세포 중에서도 CD4+T세포에 주로 반응성을 가지는 공동자극 분자로서 CD4+T세포 표면에 있는 TCR 복합체의 항원 자극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하며 공동자극 신호 전달에 의해 CD4+T세포를 항 종양 인자 IFN-g를 분비하는 TH1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합니다. AITR은 Naive 및 비활성화 단계 (resting stage)에서는 발현하지 않지만 항원의 자극으로 T세포가 초기 활성화되면 발현이 증가하게 됩니다.

 

 
[T 세포에서 AITR-AITRL의 작용 기전]


하지만 조절 T세포, Treg에서는 활성화에 관계 없이 높은 수준으로 그 발현이 관찰 됩니다. 결국 AITR을 통한 신호 전달은 TH1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고IFN-g의 분비량도 증가시키게 됩니다.

한편 CD4+T세포는 그 성질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세포 보조 인자 사이토카인의 영향에 의해 다양한 면역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 유연성(plasticity)을 가지고 있는데 여러 도움T세포(TH1, TH2, TH9, TH17)와 조절T세포(Treg)로의 분화가 그것입니다.

 
[CD4+ T 세포의 분화 유연성]


◈ EU103 : 항 VSIG4 항체치료제
EU103는 M2 macrophage기능을 차단함으로써 킬러T세포의 활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를 억제하는 M1 Macrophage 세포로 변환함으로써 인체면역계의 항암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강력한 항체치료제입니다.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면역억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면역학적으로 cold tumor에서 미리 존재하는 T세포 반응이 없기 때문에 immune checkpoint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종양 주변에 존재하는 M2 macrophages를 M1 macrophage로 전환시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이는 종양 미세환경의 면역억제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음. 또한 킬러 T세포의 종양 침투를 도와 Hot tumor로 환경을 바꿀 수 있습니다. 활성화된 T세포는 이미 경험한 암항원(종양)에 대한 기억 능력이 있어 동일 종양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면역 항암 항체치료제와 병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학/표적 항암제와도 병용이 가능합니다. 인체 유래인 항체를 사용한 치료로 기존 화학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암종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라. 산업의 현황
1) 산업의 현황 및 개요
미국국립암연구소에 따르면 거의 40%에 이르는 남성과 여성이 생애 중 한번은 암 진단을 받게 됩니다. 암 치료의 방법은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난 수십 년간 큰 진전을 보였지만 여전히 암은 인류에게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1세대 화학 항암제와 2세대 표적 항암제는 여러 종양에서 효과를 보였지만 암세포의 특징인 가변성 때문에 악성 종양, 전이암, 재발암 등의 치료에는 한계를 보였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환자 자신의 면역계를 이용한 면역 치료법이 제시되었고 최근 몇 년 간 개발된 면역 치료제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놀라운 항암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면역 항암제는 암세포 자체를 표적으로 삼는 약제가 아니라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면역 세포를 조절하여 종양을 제거하는 치료제입니다. 그러므로 기존 항암제의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으며 종양 타입에 따른 제한도 없고 이론적으로 면역 기억에 의해 암의 재발 가능성 또한 낮출 수 있습니다.

① 항암제시장 최신 경향
암은 환경의 변화, 인구 고령화 및 생활 양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 사망률이 매년 지속해서 증가하는 질병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5대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국내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Top 10 global causes of deaths 2016]

자료 : WHO. The top 10 causes of death; Accessed June 01, 2017

암의 치료는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약물 요법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약물 요법의 경우 1세대 화학 항암제 (chemotherapy)를 시작으로 2세대 표적 항암제 (targeted drugs therapy)가 개발되어 암 치료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습니다.

1940년대 후반부터 사용된 화학 항암제는 암세포의 세포 분열이 매우 빠르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분열이 빠른 세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암세포만이 아닌 증식이 빠른 정상 세포까지 공격함으로써 치료의 부작용을 나타냅니다. 2000년대 들어 사용된 표적 항암제는 암세포에만 존재하는 특정 표적 단백질을 공격한다는 이점이 있지만 표적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같은 암종이라도 특정 환자가 표적 인자를 발현하지 않으면 치료에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암세포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표적 단백질이 변형이 되면 표적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약물의 효과를 급속히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하려는 노력으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이용한 차세대 치료제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이중 제3세대 항암 치료제로 일컬어지는 면역 항암제의 개발 진행이 가장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사이언스지는 이미 2013년 '올해의 혁신 연구' (breakthrough of the year)로 면역 항암제를 선정했으며 표적 항암제로부터 면역 항암제로 항암제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렸습니다.

 
[세대별 항암제 구분]

 
② 면역항암제 특성과 전망
미국립보건원(NIH)이 운영하는 임상정보사이트(ClinicalTrials.gov)에 따르면 2010년 FDA 승인을 받은 전립선암 면역 치료 백신 Sipuleucel-T (Provenge)의 개발 이후로 현재까지 20건이 넘는 면역 치료제가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고 1,100여건이 넘는 임상 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면역 항암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써 기존의 항암제 내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부작용이 월등히 적습니다.

인체는 병원체(바이러스, 독소 등)와 내부의 해로운 변화(암세포 돌연변이)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면역계(immune system)라고 하는데 크게 선천성 면역계(innate immune system)와 적응성 면역계(adaptive immune system)로 나누어 집니다.  선천성 면역계는 보편적 병원체를 인지하여 신속히 반응, 제거하는 반면 적응성 면역 반응은T세포 또는 B 세포가 관여하여 다양한 침입자에 대한 반응 확대가 가능합니다. 이 중 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 파괴하는 면역 반응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대부분의 면역 항암제가T세포의 활성화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조절하여 항 종양 효과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면역 항암제의 T 세포 활성화 전략]
그림 설명 : 유틸렉스 기술 기반 분자 또는 세포는 푸른색으로 표시
Treg: regulatory T cell 또는 조절 T 세포
MDSC: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 (골수 유래 억제세포)
TAM: Tumor-Associated Macrophages(종양 주변 대식세포)
IDO: Indoleamine-pyrrole 2,3-dioxygenase(종양 세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효소)


Evaluate Pharma의 연간 보고서인 'World Preview 2017’에 따르면 항암제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12.7%의 성장률을 보이며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항암제 시장은 그 어떤 치료제 보다도 미래에 대한 성장성이 밝은 시장이라고 판단됩니다. 이런 고속성장의 주요 배경으로는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의 등장을 꼽을 수 있습니다.

면역항암제 시장이 이렇게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탁월한 효능 : 면역항암제는 기존에 출시된 화학항암제나 표적항암제와 비교하였을 때 그 효능이 월등합니다. 특히 기존의 화학항암제나 표적항암제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 암에서 그 효력을 발휘합니다. 화학항암제는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정상세포도 죽기 때문에 부작용이 심하며 표적 치료제는 타깃에 작용하지만 암세포가 살기 위해 타깃을 바꾸면서 내성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반면 면역항암제는 면역세포가 적을 구별할 수 있도록 훈련해 적만 찾기 때문에 특이성이 높습니다. 특이성이 높아지면 효과 역시 뛰어나다고 말씀드릴 수 있는데 이는 암세포와 관련된 면역세포에 작용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 안전성 : 면역항암제는 몸속의 면역체계가 암세포를 공격하는 성질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2세대 항암제들이 가지고 있던 소화불량, 구토, 백혈구 감소증, 탈모 등의 부작용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확장성 : 특정 암에만 발현되는 표적물질을 타겟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들이나 일반 화학항암제들은 치료제 별 허가 가능한 적응증 수가  최대 2~3개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면역항암제의 타겟인 체내의 면역세포들은 모든 암을 대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적응증 추가를 통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암종의 치료제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당사의 면역항암제는 기본적으로 모든 암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머크의 키트루다, BMS의 옵디보 등이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적응증을 늘려 각각 7~8개의 적응증에서 처방하고 있습니다.


2) 경기변동과의 관계
잘 알려져 있다시피 제약산업은 다른 산업군과 비교하여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질병이 발병하였을 때 필수적으로 처방하는 전문의약품은 일반의약품에 비해 더욱 경기변동과 상관없이 시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왔습니다. 더욱이 당사의 파이프라인들이 속해 있는 항암제 산업의 경우 대체할 수 있는 산업이 없기 때문에 향후에도 경기변동과는 크게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3)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일반적으로 바이오제품은 특허기간 동안 성장이 지속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바이오제품의 기능이나 약효를 개선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개발하기 어렵다는 점, 허가 승인 및 규제 충족 기간이 길다는 점, 기존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높다는 점 등 때문에 경쟁제품의 시장진입이 어렵습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항암 바이러스와 같은 고도하게 복잡한 바이오 의약품은 항체와 같은 단백질 의약품보다 그 제조 및 품질관리가 현저히 어려우므로, 그 제품의 성격 및 개발에 부수되는 노하우와 같은 장벽이 더욱 강하게 작용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개발 초기에 특허를 신청하고 그 후 상품화시키는데 5∼10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 시장진입하고 왕성하게 판매할 수 있는 시기는 10년 정도 소요됩니다. 또한, 오늘날 기술의 보편화로 글로벌 경쟁자의 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독점적인 바이오 신기술 제품이 시장에 진입한 후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기간은 10년 정도로 추정됩니다.


마. 시장의 현황
1) 시장의 특성
① 제약 및 신약개발 시장의 특성
◈ 고부가가치 산업
세계 의약품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으로 약1조1,619억 달러(약 1,376조원) 규모로 연평균 4~7%의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는 23조 1,722억원(2020년 기준)으로 세계 의약품 시장의 1.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약 업계에서 단일 제품으로 연매출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면 그 제품을 블록버스터 약품이라고 합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은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지만 개발 후 제품화 단계에서 얻는 이익은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은 대부분 '신약'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라고 할 수 있는 화이자(pfizer)의 '리피토(Lipitor)'는2006년 단일 제품으로137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였고, 2015년 글로벌 의약품 매출액1위인 애브비(abbvie)의 '휴미라(humira)'는141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많은 기업들이 블록버스터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개발에 많은 인력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 시장규모와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제적 가치]

자료 :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높은 연구개발 비용 및 실패 리스크에 따른 높은 진입장벽
하나의 블록버스터급 신약이 출시되었을 때 해당 회사와 시장에 대한 파급력이 엄청나기 때문에 글로벌 빅파마들은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는 추세입니다. 2015년 기준으로 로슈는 매출액의 16.8%(9조 723억원)를, 화이자는 16.8%(8조3,670억원), 노바티스는 16,7%(10조 453억원)을 연구개발에 쏟아 붓고 있으며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규모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2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 규모 추이]

자료 : Evaluate Pharma, "World Preview 2016, Outlook to 2022"

그러나 신약이 출시되기 까지는 높은 비용과 임상 실패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신약을 개발하는 데는 오랜 시간과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되는데 스위스계 제약기업인 로슈 (Roche)는 하나의 신약이 개발되는데 평균적으로 10억 스위스 프랑 (1조 1,667억원), 700만 874시간의 연구, 6587건의 실험, 423명의 연구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게다가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다고 하여도 블록버스터급 신약이 출시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실제로 하나의 후보 물질이 신약으로 개발되어 시판으로 이어질 확률은 10,000분의1 정도로 낮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therapeutic development process]
 
[therapeutic development process]

 

(자료 : 팜뉴스)


실패에 대한 리스크가 크지만 성공시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를 감안하고도 높은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신약개발의 특수성 때문에 제약 및 신약 개발산업은 높은 진입장벽이 견고하게 존재합니다.

◈ 정부 규제
당사가 속한 의약품시장은 정부의 규제에 특히나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산업입니다. 의약품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제품이기 때문에 각 국가들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규정을 마련하여 의약품의 허가를 결정하며 우리나라같이 국가적인 의료보험이 존재하여 일부 약가를 국가가 부담하는 경우 더욱 많은 부분에서 정부의 규제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정부의 수많은 규정 중 의약품에 한해서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의약품 관련 정부 규정]
 
[의약품 관련 정부 규정]
자료 : 회사 내부자료


정부의 정책에 따라 의약품 규제들이 늘어날 수도 있고 완화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규제의 변화는 바이오 제약 산업의 흐름을 변화시킬 만큼의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이렇듯 의약품 산업은 정부의 정책 방향의 변화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입니다.


2) 항암치료제 시장의 특성
◈ 환자 중심 개인맞춤화된 시장으로 변화하면서 성장
전세계적으로 수명이 길어지면서 암발생률이 늘어나고, 이로 인한 암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요의 증가로 신약이 매년 지속해서 나오고, 효과가 우월한 신약 출시 시 기존 약제들에서 신약으로 대체율이 높아, 항암제시장 전체 매출은 신약들의 매출 성장과 함께 매해 10%이상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성장하는 속도만큼 많은 신약후보물질들이 나오고 있어 그만큼 경쟁도 치열하고, 기존약보다 더 나은 효과를 가진 차세대 약물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더 효과높은 약제 개발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개발비용이 필요하고, 이는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용에 부담감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많은 제약사들이 블록버스터 개발보다는 암의 발생기전이 밝혀진 소수 환자들 대상 효과가 높은 약제를 개발하여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여 일정 부분의 환자들 대상 시장점유율을 일정하게 유지해갈 수 있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유전체 정보가 밝혀지며, 암의 다양성이 밝혀지면서 환자 개인별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약제 역시 한 암 질환 내에서도 모든 환자 대상이 아닌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일부 환자 그룹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 일반의약품 대비 고가인 항암제, 희귀암일수록 더 고가
효과에 근거한 가격 책정이 이뤄지기에 치료효과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항암제의 약가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항암제의 경우 일반 의약품과 비교했을 때 생산 및 영업비용 대비 환자당 매출액이 매우 높은 약물입니다. 환자수 대비 매출액이 높아 그만큼 개발 후 이익도 높은 분야입니다. 약가 설정 시 효과에 대비한 적정 가격을 측정하게 되는데, 기존 약제보다 효과가 월등히 우월하거나, 해당 암종에 효과를 입증한 첫 치료제이거나, 혁신적 신약인 경우 혹은 희귀의약품인 경우 다른 약제들보다 높은 가격의 프리미엄을 보장받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시판되고 있는 키트루다의 경우, 한달 치료가격이 13,000 달러로 한화로 약 1,500만원 정도입니다. 1년 치료시 환자는 1억 8천만원의 약제비용을 부담하게 되며, 암이 재발하지 않는한 지속해서 치료받아야 합니다.

 

 
[면역관문억제제의 미국 내 치료비용]

자료: IQVIA, Reuters

항암제는 연구개발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고, 우월한 효과가 있는 경우 시장 내 인정이 되고 있기에 대상 환자수가 적을수록 약가가 비싼 편입니다. 현재 가장 고가로 대표적인 CAR-T 치료제인 노바티스의 킴리아(tisagenlecleucel)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를 위한 1회 치료 비용이 475,000 달러로 한화로 약 5억 3천만원을 넘는 금액입니다.

희귀의약품의 가격 특수성에 대해 설명을 덧붙이자면, 대표적인 례로 유럽 내 1,200 명만 발생하는 가계성 지단백지질가수분해효소결핍증에 적응증을 가진 글라이베라(Glybera)는 1년 치료비용이 120만 달러로 한화로 약 13억 5천만원에 해당합니다.  또한 전세계 8,000여명에게 발생하는 혈액 희귀질환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에 적응증을 가진 솔리리스(Eculizumab)는 1년 치료비용이 70만 달러로 한화로 약 8억에 해당하는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유틸렉스가 현재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NK/T세포 림프종의 상위 개념의 림프종인 말초 T세포 림프종에 적응증을 가지고 있는 플로틴(Pralatrexate)은 효과가 6주밖에 지속되지 못하고, 생명 연장의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32만 달러에 한화로 약 4억 정도에 환자들이 치료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2020년까지 발병률이 적은 암종에서 50% 이상의 항암제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 신약개발의 어려움
항암제는 신약개발 성공확률 및 개발비용 측면 등에서 타 약물대비 개발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선, 신약이 임상 1상을 진입한 뒤 시판승인에 이를 확률을 보면 평균적으로는 10%의 성공확률을 보입니다. 그 중 혈액질환의 경우 26.1%, 내분비질환의 경우 13% 수준인데 반해 항암제는 5.1% 수준으로 전체 분야에서 가장 낮은 성공확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치료 영역별 1상 임상에서 허가까지 받을 성공률]

자료: Bio & Amplion 제공 Bio industry analysis

임상의 성공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 치료영역별 신약 개발현황을 보면 항암제가 전체 신약의 32.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치료 영역별 신약 개발 현황]

자료: Pharmacoprojects®, January 2017

신약개발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이렇게 많은 약들이 개발되고 있는 이유는 아직까지 암정복이 이뤄지지 않았고 끊임없는 미충족된 수요가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투자비용 대비 수익 비율이 높은 분야로도 여겨지고 있습니다.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에 시행한 항암제 연구개발비용 및 수익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의 평균 연구개발기간은 7.3년으로 전체 연구개발비용은 6억 4,800만 달러인 한화로 7,300억원이었습니다. 허가 후 4년 내에 평균 수익이 16억 달러, 한화로 약 2조로 조사되었습니다.  


◈ 규제환경
국내 항암제의 임상시험은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및 다른 질환과의 임상시험과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신약개발의 과정에서는 신약물질을 발굴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을 테스트하는 비임상 단계 후 인간을 대상으로 1상 임상부터 3상 임상까지 안전성, 유효성, 범용화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그러나 항암제 임상시험의 경우 질환의 심각성 및 사망까지의 기간 등을 감안하여 시험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비임상 이후 1상 임상부터 표준항암제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항암신약을 투여하고, 약물의 최대내약용량(Maximum Tolerated Dose)를 확인, 약물의 독성 및 항암효과를 시험합니다.    

표준치료에 실패한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신약을 투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임상 1상부터 환자 리크루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말기암 환자들은 짧게는 3개월의 시한부를 받기 때문에 임상이 완료되기 전에 사망하는 등 임상시험 진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임상 2상은 1상 결과를 바탕으로 항암신약이 타겟을 하고 있는 적응증을 가진 암환자를 대상으로 유효성 및 안전성을 시험하고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반응률을 평가합니다. 최근 기존에 치료제가 없던 분야의 신약이라면, 2상 임상 완료 후 상황의 심각성 및 사망 가능성 등을 고려해 조건부 품목허가를 받아 제품을 출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혁신적인 신약인 경우에는 1/2 상을 동시에 진행하고 조건부 허가를 받고 출시하는 제품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7년 미국FDA 허가 받은 항암제 및 근거 임상 요약 ]

MoleculeIndicationTrialApproval Trial Phases

abemaciclib breast cancer
(monotherapy)
MONARCH I Phase 2
breast cancer (with fulvestrant) MONARCH 3 Phase 3
acalabrutinib mantle cell lymphoma ACE-LY-004 MCL Phase 2
brigatinib non-small cell lung cancer ALTA Phase 2
copanlisib relapsed follicular lymphoma CHRONOS-1 Phase 2
enasidenib acute myeloid leukemia AG221-C-001 Phase 1/2
midostaurin acute myeloid leukemia NCT00651261 Phase 3
systemic mastocytosis CPKC412D2201 Phase 2
neratinib HER2+breast cancer ExteNET Phase 3
niraparib ovarian cancer NOVA Phase 3
ribociclib breast cancer MONALEESA-2 Phase 3
durvalumab urothelial carcinoma Study 1108 Phase 1/2
avelumab Merkle cell carcinoma JAVELIN Merkel 200 Phase 2
inotuzumab ozogamicin B-cell precursor ALL INO-VATE ALL Phase 3
axicabtagene ciloeucel large B-cell lymphoma ZUMA-1 Phase 1/2
tisagenlecleucel B-cell precursor ALL ELIANA Phase 2
자료 : Global Oncology Trends 2018 - IQVIA

 

최근 바이오산업의 부흥을 위해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정부의 방침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업계에서도 신속허가, 즉 조건부 허가 의약품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이는 국내에 국한되지 않는 전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임상 2상만으로도 판매승인이 이루어지는 사례들이 점차 늘어 갈 것으로 전망합니다.

2) 시장 규모 및 전망

[전세계 항암제 시장 규모 및 전망]
 
글로벌항암제 시장전망
자료 : IQVIA, The Global Use os Medicine 2022

 

IQVIA의The Gobal Use os Medicine 2022에 따르면, 글로벌 항암제 시장 규모는 2021년 1870억 달러(약 223조 원) 규모였던 것과 비교했을 때, 2026년에는 63% 성장한 3060억 달러(약 342조)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아이큐비아는 2026년 글로벌 시장 상위 20개 지출 치료 분야 중 가장 지출이 많은 분야를 △항암제(3060억 달러, 약 342조 원) △면역치료제(1780억 달러, 약 212조 원) △항당뇨 치료제(1730억 달러, 약 206조 원) 순이라 나열했습니다. 특히, 항암제 분야는 2022년부터 연평균성장률(CAGR) 9~12%로, 상위 20개 치료 분야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으며, 면역치료제, 항당뇨 치료제 분야는 6~9% CAGR을 보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이유로 당사를 포함한 전세계적으로 많은 제약 회사와 바이오 회사들이 암정복을 위한 치료제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① 면역항암제 시장 규모 및 전망
이렇게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항암제 시장의 주요 배경으로는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 항암제의 등장을 꼽을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면역 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제거하는 암 치료법입니다. 환자의 몸 속 면역체계를 활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적용 가능한 환자도 많습니다 예를 들면 간암 환자의 경우 면역 세포가 인체의 다른 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간 내부에 침투한 종양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해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항암제의 등장으로 최근 암치료는 기존 화학/표적 항암제에서 면역 항암제로 이른바 ‘패러다임 시프트’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면역항암제 분류
면역 항암제는 크게 항암 면역-항체 치료제, 항암 T세포 치료제,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항암 백신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항암 T세포 치료제는 2017년 8월과11월 출시한 CAR-T 제품들 외에는 시장에 출시된 제품이 없으며 현재 기준 면역 항암제 시장은 대부분 항암 면역-항체 치료제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FDA 승인 면역치료제]

자료 : 국가암정보센터, SK증권, FDA


면역 항암제 분야의 항체 치료제는 환자의 체내에서 작용하는 기전에 따라 다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출시되어 있는 항체 치료제인 여보이, 옵디보, 키트루다 등은 모두T세포 억제 수용체를 차단하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Immune checkpoint blockade)이며 현재EU101과 EU102와 같이T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Agonistic checkpoint는 아직 출시된 제품이 없습니다. Agonistic checkpoint는 현재 출시 되어있는 제품과 기전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병용 처방이 가능하므로 이들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빅 파마들은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2025년 약 50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 예상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전망

자료 : IQVIA Institute, Feb 2021

IQVIA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적으로 700개 이상의 면역항암제가 개발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임상 1상 내지 2상의 초기 임상 파이프라인에는 102종의 기전(mechanism)으로 로 675개 제품이 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면역항암제의 확장성
이러한 고성장을 전망하는 배경으로 현재 출시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들이 지속적으로 적응증을 추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특정 암에만 발현되는 표적 물질을 타겟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들이나 일반 화학 항암제와는 달리 체내의 면역 세포는 모든 암을 대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면역 항암제는 적응증 추가를 통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암종의 치료제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 면역세포치료제의 혁신성
면역세포치료제도 면역항체치료제와 다양한 암종으로 확장될 수 있는 혁신적 치료제입니다. 최초의 면역세포치료제인 킴리아는 2017년 8월에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에서 FDA허가를 받았습니다. 킴리아는 기존의 약제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2차 이상의 재발성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환자나 불응성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환자에서 83%의 완전관해 (Complete Response)를 보였습니다. 기존치료제들은 이러한 환자들에게 아주 미비한 반응률을 보이고 있어서 면역세포치료제의 혁신성 즉 기존치료제로는 효력을 보이지 못한 환자들에게 획기적인 효력을 보임으로써 급속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킴리아 이후의 면역세포치료제인 예스카르타가 2017년 10월에 거대비만성비호치킨림프종 (Diffused Large B cell lymphoma, DLBCL) 환자에 71%의 반응률로 FDA 허가를 받았습니다. 다시 킴리아가 이 거대비만성비호치킨림프종 (Diffused Large B cell lymphoma, DLBCL)에 2018년 5월에FDA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혁신성 때문에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인 카이트(Kite)을 대형제약사인 길리아드(Gilead)가 2017년에 약 13조에 매수하였으며, 주노(Juno)을 셀진(Celgene)이 2017년에 약 10조에 매수를 하였습니다.


② 시장 경쟁 현황
◈ 경쟁 상황
항암제 시장 경쟁 형태 및 전망 : 상위 매출 10개 회사가 80%의 점유율 차지

2016년 기준 글로벌 항암제 시장은 상위 매출 10개의 회사가 80%에 이르는 전세계 점유율을 보유 하고 있을 정도로 진입 장벽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Evaluate Pharma에 따르면 이러한 상위 회사 매출 집중도는 바이오시밀러의 성장과 면역 항암제와 같이 새로운 항암 신약의 등장으로 2022년도에 67.60%로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그 중 눈여겨볼 경쟁 구도의 변화는 2016년 압도적 1위를 자랑하는 로슈의 점유율 하락과 10위권 밖에 있던 머크의 등장입니다.  2016년도 전세계 항암제 시장의 점유율 28.20%를 보유하고 있는 로슈의 경우 2022년에도 1위를 지킬 것으로 예상되지만 로슈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Avastin, Herceptin 및Rituxan의 바이오시밀러 등장으로 인해 그 점유율은 14.5%로 큰 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한 2016년 10위 밖에 있던 머크가2014년 출시된 면역 항암제Keytruda의 매출 성장에 힘입어 2022년까지 연평균 34% 성장하여8위에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top 10 companies & total worldwide oncology sales (2016-2022)]

자료 : EvaluatePharma, WP2017

◈ 경쟁업체 현황
- 주요 경쟁업체 비교 현황
현재 면역항암 세포치료제 부문과 CAR-T세포치료제 부문에서 당사와 동일한 기술을 보유한 경쟁 업체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없습니다. 다만 비슷한 면역항암치료제를 연구개발 하는 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면역항암항체치료제의 경우 당사 이외에 글로벌 빅파마에서 동일 타겟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중이나 당사의 권병세 대표이사가 최초로 발견한 타겟인 만큼 깊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동물실험에서 경쟁업체의 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기술별 경쟁업체 현황]

경쟁업체적응증

(세포 치료제) Cell Medica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호지킨림프종, PTLD
NK/T 림프종
(세포 치료제) Atara Bio PTLD
(세포 치료제) 보령바이젠셀 NK/T 림프종, 1차 완전관해 유지요법
(CAR-T세포치료제) 노바티스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CAR-T세포치료제) 길리어드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4-1BB antibody) Pfizer Advanced cancer
(4-1BB antibody) BMS Melanoma
(AITR antibody) Merck advanced solid cancer
(AITR antibody) Novartis Advanced malignancies, lymphoma
(AITR antibody) Agenus Advanced or meta cancer
(AITR antibody) GITR Inc. Malignant melanoma, solid cancer
(AITR antibody) GITR Inc. Advanced Solid Tumors
(AITR antibody) BMS Advanced Solid Tumors

 

- 경쟁업체 시장 점유율
당사 기술이 속한 면역항암제 시장은 2010년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프로벤지(면역항암 세포치료제)가 출시되며 그 막을 열기 시작하였고 2014년 옵디보(체크포인트억제제)와 키트루다(체크포인트억제제)가 연달아 출시하며 출시 3년만에 각각 4조원(37억 달러), 1.5조원(14억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BMS와 MSD가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작년 출시된 CAR-T세포 치료제의 매출 추이가 향후 시장 점유율 변화에 높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