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체결 중인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및 라이선스인(License-in) 계약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품목 | 계약 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 체결일 | 계약 종료일 | 총 계약 금액 | 수취/지급 금액 |
라이선스아웃 | EU101 |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
중국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
2017.09.01 | 특허만료일 또는 최초 상용화 후 10년 중 늦게 도래한 날 |
8,500,000 USD | 1,000,000 USD |
라이선스인 | 전용실시권 (면역세포치료제) |
국립암센터 | 전세계 | 2016.03.22 | 특허 만료일 | 2,800,000,000원 | 500,000,000원 |
※ 상기 수취/지급 금액은 계약시점의 계약금으로, 계약의 현황 및 상세 금액은 하단의 계약 상세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EU101 라이선스아웃 계약
① 계약상대방 |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중국) |
② 계약내용 | EU101과 관련한 리서치, 개발, 상용화, 판매 등의 독점권 부여 |
③ 대상지역 | 중국(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
④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17.09.01 계약종료일 : 특허만료일 |
⑤ 총 계약금액 | 9,659백만원(850만USD, 1$/1136.3원), 로열티는 별도 |
⑥ 수취금액 | <반환의무 없는 금액> 계약금(Upfront Payment) : 1,136백만원(100만USD, 1$/1136.3원) <반환의무 발생가능 금액> 해당사항 없음 |
⑦ 계약조건 | 계약금(Upfront Payment) : 1,136백만원(100만USD, 1$/1136.3원) - 수취조건 : 계약체결 시 마일스톤(Milestone) : 8,522백만원(750만USD, 1$/1136.3원) - 수취조건 : 각 임상단계 성공, 판매 승인, 적응증 추가 등 |
⑧ 회계처리방법 | 계약금 수취액 1,136백만원(100만USD, 1$/1136.3원)은 36개월 동안 분할하여 수익 인식 |
⑨ 대상기술 |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EU101(4-1BB antibody therapy) |
⑩ 개발 진행경과 | <거래상대방> MCB(Master Cell Bank, 마스터 세포은행) 개발을 위한 연구 진행중 <회사> RCB(Research Cell Bank, 연구용 세포은행) 개발완료 |
⑪ 기타사항 | - |
※ 상기 계약 체결 이후 마일스톤에 따른 수취금액 현황
일자내용 금액(USD) 비고
2017-09-25 ~2021-08-31 | EU101 License Out 계약금 | 1,000,000 | 3년에 걸쳐서 매월 USD 27,777씩 이연 인식 |
2018-10-24 | Annual Maintenance Fee | 15,000 | 2018년 Maintenance Fee |
2019-12-31 | Annual Maintenance Fee | 15,000 | 2019년 Maintenance Fee |
2020-04-09 | GLP toxicity 성공 | 500,000 | 마일스톤 계약 1차 |
2020-10-12 | 임상시험계획 신청(CTA) 승인 | 1,000,000 | 마일스톤 계약 2차 |
2021-02-15 | Annual Maintenance fee | 15,000 | 2020년 Maintenance Fee |
2021-09-16 | Annual Maintenance fee | 15,000 | 2021년 Maintenance Fee |
합계 | 2,560,000 |
2) 면역세포치료제 특허 전용실시권 계약(라이선스인)
① 계약상대방 | 국립암센터 (대한민국) |
② 계약내용 | 면역세포치료제 특허 전용실시권 |
③ 대상지역 | PCT/KR/2015/002356 출원 국가 중 국내 단계 진입한 국가 |
④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2016.03.22 계약종료일:특허 만료일 |
⑤ 총계약금액 | 28억원(로열티 1.5% 제외) |
⑥ 지급금액 | 5억원 |
⑦ 계약조건 | 대상 파이프라인 : EBViNT, h-TERTiNT, WT-1iNT, NY-ESOiNT - 계약금 : 5억원(기지급) - 마일스톤 * 국내 및 아시아 최초 1국에서 임상 2상진입시 : 파이프라인별 0.5억원 최초 1국에서 품목허가시 : 파이프라인별 1억원 * 국외(미국/유럽) 품목허가시 : EBViNT 5억원, 그외 파이프라인 4억원 - 로열티 매출총액의 1.5% |
⑧ 회계처리방법 | 무형자산으로 인식 |
⑨ 대상기술 | 면역세포치료제 |
⑩ 개발진행경과 | 국내 임상 진행중(EBViNT) |
⑪ 기타사항 | - |
나. 연구개발 활동 등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면역항암제 연구개발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보유 파이프라인의 상용화를 위해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의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CAR-T치료제, 항체치료제 등 면역항암제 전반에 걸친 연구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 담당조직
① 연구개발 조직 개요
신약연구개발을 위한 조직을 세개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구소"는 세포치료제와 항체치료제 연구 및 CAR-T를 포함한 기초연구 전반을 진행하며 연구관리, 동물실험 등 업무도 담당합니다. "신약개발본부"는 인허가, 품질 및 제조 등 신약의 완성을 위한 업무와 본사 GMP와 공동연구를 진행중인 국립암센터(NCC) GMP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약 생산을 담당하며 생산공정 개선을 위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조직도(2022.06.30 기준) |
② 연구개발 주요 인력(본부장급 이상)
권병세 | 공동대표이사 |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 석사 - Georgia Regents University 면역학 박사 - Yale University 인간유전학 PostDr. -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종신교수 - 울산대학교 화학생명과학부 교수 - Tulane Univ. School of Medicine 교수 - 現 (주)유틸렉스 대표이사 |
최수영 | 공동대표이사 |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석사 - Kyoto University, 화학연구소 박사 - 종근당 글로벌 사업본부 본부장 - 휴온스 사업개발 본부장(부사장) - 現 (주)유틸렉스 대표이사 |
김영호 | 신약개발실장 | - 울산대 분자미생물학 학사 - 울산대 면역학, 의생물학 박사 - 면역제어연구센터 연구원 - 국립암센터 세포치료제생산실장 - 現 (주)유틸렉스 의약품제조실장/(겸)신약연구실장 |
정형남 | 연구소장 | - University of Oklahoma 의과대학 미생물면역학 박사 - Harvard Medical School Dana-Farber Cancer Institute 연구원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및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조교수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겸임교수 - 레고켐바이오 바이오센터장, 큐라티스 연구소장 - 現 (주)유틸렉스 연구소장 |
※ 기타 연구개발 관련 인력 |
한정훈 | 글로벌 사업실장 |
- 고려대학교 유전공학과 학사 - Rutgers(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의과대학 암연구 박사 - Harvard Medical School Dana-Farber Cancer Institute 연구원 - 비엠에스, 베링거인겔하임, 암젠 등 아시아태평양 항암사업 마케팅부 및 메디칼부 총괄 - UMT CRO 아시아 부사장 - 現 (주)유틸렉스 글로벌사업실장 |
③ 연구개발 인력현황
(단위: 명) |
구분 | 2022년 반기 (제8기) |
2021년 (제7기) |
2020년 (제6기) |
2019년 (제5기) |
기초 | 49 | 49 | 41 | 25 |
증가 | 9 | 5 | 8 | 16 |
감소 | 10 | 5 | - | - |
기말 | 48 | 49 | 49 | 41 |
※ 연구개발 임원이 포함된 인원입니다. |
[연구개발인력 구성] | |
(기준일: 2022년 06월 30일) | (단위: 명) |
학력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인원수 | 12 | 27 | 9 | 48 |
③ 연구개발 비용 (별도)
최근 3개년 연구개발비용은 2020년 183억원, 2021년 237억원이며 2022년 반기 기준 연구개발비용은 114억원입니다. 연구개발비용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개발비용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2년 반기 (제8기) |
2021년 (제7기) |
2020년 (제6기) |
비고 | |
비용의 성격별 분류 |
인건비 | 1,908 | 3,719 | 3,551 | (주1) |
퇴직급여 | 106 | 410 | 278 | - | |
연구재료비 | 3,110 | 5,393 | 5,972 | (주2) | |
과제용역비 | 5,089 | 11,785 | 6,501 | (주3) | |
감가상각비 | 906 | 1,616 | 1,173 | - | |
기타 | 245 | 788 | 839 | (주4) | |
연구개발비용 합계 | 11,364 | 23,711 | 18,314 | - | |
회계 처리 내역 |
판매비와 관리비 | 11,119 | 23,380 | 18,219 | - |
제조원가 | - | - |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 | - | |
회계처리금액 소계 | 11,119 | 23,380 | 18,219 | - | |
정부보조금 | 245 | 331 | 95 | 주5) | |
연구개발비용 합계 | 11,364 | 23,711 | 18,314 | - | |
매출액 | 276 | 221 | 2,036 | - | |
연구개발비용/매출액 | 4,117% | 10,729% | 899% | - |
주1) 인건비는 연구인력에 대한 급여, 상여를 포함한 금액입니다. 주2) 연구재료비는 실험에 사용되는 재료비 및 연구수수료 입니다. 주3) 과제용역비는 회사에서 외부에 지급한 공동연구개발비, 위탁용역비 등 입니다. 주4) 기타는 연구활동에 사용된 비용 입니다. 주5) 정부보조금의 경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창업진흥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부터 지원받은 내역으로, 당사의 계좌로 입금된 금액입니다. |
라. 연구개발 실적 및 진행현황
1) 연구개발 진행 현황 및 향후계획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연구개발 진행 중인 프로젝트별 현황은 다음과같습니다.
구분품목보유 파이프 라인적응증연구
시작연도현재진행단계현황단계승인일(국가)
바이오신약 (면역항암제) |
T세포 치료제 | EU204 (EBViNT) |
EBV(+) 림프종 및 고형암 |
2011 | 임상 1/2a상 | 2018(한국) | 임상 1/2a상 진행중 |
EU205 (TAST) |
고형암 | 2015 | 비임상 | - | 임상 진행 예정 | ||
EU210 (WTiNT) |
WT1(+) 고형암 | 2013 | 임상 1상 | 2013(한국) | 임상 1상 진행중 | ||
EU211 (TERTiNT) |
hTERT(+) 고형암 | 2014 | 연구자임상 1상 | 2014(한국) | 연구자임상 1상 진행중 | ||
CAR-T세포치료제 | EU301 (MVR CAR-T) |
혈액암 | 2015 | 비임상 | - | 임상 진행 예정 | |
EU307 (GPC3-IL18 CAR-T) |
고형암 | 2015 | 비임상 | - | 2022년 임상 1상 IND 신청 예정 | ||
항체치료제 | EU101 | 고형암 | 2015 | 임상 1/2상 | 2020(중국) 2021(미국) 2021(한국) |
임상 1/2상 진행중 | |
EU103 | 모든암 | 2015 | 비임상 | - | 임상 진행 예정 |
※ '연구 시작연도'의 경우, 임상을 진행한 경우 첫 임상 시험 승인일을 연구시작일로 작성하였으나 그 외 파이프라인은 권병세 대표가 연구원 시절부터 연구 및 개발해온 기술이기에 연구시작일을 특정하기 어려워 당사의 설립년도인 2015년을 연구시작일로 기재했습니다. |
①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
구분 | 자가유래 암항원 T세포치료제(유틸렉스 T세포치료제) |
적응증 | 다양한 고형암 |
작용기전 | 암항원 특이적 CD8 T세포가 암세포를 살해하는 기전의 치료제입니다. (1)암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면역 세포를 분리한 후 (2)표적 암항원에서 유래하는 펩타이드(peptide)들을 첨가하여 배양해 (3)암항원 특이적 CD8 T세포가 4-1BB를 발현하도록 유도하고, (4)anti-4-1BB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며 (5)이후 시험관 내에서 대량 배양하여 암환자에게 투여합니다. |
제품의 특성 | 기존 세포 치료제가 갖추지 못했던 T세포 제조 공정의 표준화와 제품의 규격화를 이루어 냈으며 표준 치료에 실패한 말기암 환자 대상 임상 시험에서 부작용은 거의 보이지 않은 반면 뛰어난 항암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
진행경과 | 임상 1/2상, 임상 1상, 다수의 연구자 임상 진행중 |
향후계획 | 미국 FDA 임상 진행 |
경쟁제품 | 현재 출시된 경쟁 T세포치료제가 없습니다. |
관련논문 등 | ·4-1BB-based isolation and expansion of CD8+ T cells specific for self-tumor and non-self-tumor antigens for adoptive T-cell therapy. J Immunother. 2014. 37:225-36. ·Phase I Clinical Trial of 4-1BB-based Adoptive T-Cell Therapy for Epstein-Barr Virus (EBV)-positive Tumors. J Immunother. 2016 Apr;39(3):140-8. ·Cancer immunotherapy using tumor antigen-reactive T cells. Immunotherapy. 2018 Mar;10(3):235- |
기타사항 | - |
② CAR-T 치료제
구분 | CAR-T치료제 |
적응증 | 혈액암 및 고형암 |
작용기전 |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 치료제는 환자에서 채취한 T세포에 암항원을 타겟으로 하는 CAR 유전자를 도입하여 암세포에 대한 사멸 능력을 향상시킨 유전자 재조합 T세포 치료제 입니다 |
제품의 특성 | 기존 출시된 CAR-T 치료제는 모든B 세포에서 발현하는 CD19을 표적으로 해 정상 세포도 공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유틸렉스가 개발한 MVR CAR-T 치료제는 악성 B세포 림프종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림프종 치료의 특이성을 상승시켰습니다. 또한, 기존 치료제가 혈액암에만 한정돼 고형암에 대한 치료 효과는 보이지 못한 반면 유틸렉스의 GPC3-IL18 CAR-T 치료제는 GPC3를 발현하는 고형암을 타겟하는 것이 특징인 차세대 CAR-T치료제입니다. |
진행경과 | 비임상 시험 진행중 |
향후계획 | 임상 시험을 위한 IND filing 준비 |
경쟁제품 | 노바티스의 킴리아, 길리어드의 예스카타 |
관련논문 등 | ·Desensitized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selectively recognize target cells with enhanced antigen expression. Nat Commun. 2018 Feb 1;9(1):468 ·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 therapy for cancer: a basic research-oriented perspective. 2018. Immunotherapy.10(3):221-234 |
기타사항 | - |
③ 항체치료제
구분 | 항체치료제 |
적응증 | 다양한 암종 |
작용기전 |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수용체를 자극하여 암세포를 살해하는 기전입니다. |
제품의 특성 | 당사의 항체치료제의 주요 파이프라인인 EU101, EU102, EU103 등은 종양 세포를 인식하여 제거할 수 있는 T세포의 특정 수용체를 자극해 면역 활성을 이끌어 냄으로써 종양을 치료하는 치료제입니다. T세포 공동자극 분자 (co-stimulatory receptor) 4-1BB, AITR 및 다양한 T세포 활성 억제인자 등을 타겟으로 해, 세포 신호를 조절하며 인체 면역계의 항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 많은 종류의 혈액암 및 고형암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당사의 항체치료제와 기존 면역항암제 시장의 선두주자인 면역 억제 차단 항체치료제 키트루다, 옵디보 등과 병용 치료했을 때의 효과도 기대 되는 혁신적 항체치료제입니다 |
진행경과 | 임상1상, 다수의 비임상 진행중 |
향후계획 | 비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술수출 예정 |
경쟁제품 | 머크의 키트루다, BMS의 옵디보 등 |
관련논문 등 | (EU101 관련) ·4-1BB Is Expressed on CD45RAhiROhi Transitional T Cell in Humans. 1996. CELLULAR IMMUNOLOGY 169, 91~98 ·Molecular cloning of agonistic and antagonistic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man 4-1BB. 2002. European Journal of Immunogenetics. 29, 449~452 |
기타사항 | - |
2) 연구개발 완료 실적 (상용화 기준)
당사는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개발이 완료되어 상용화된 제품이 없습니다.
3) 기타 연구개발 실적
당사가 과거 수행한 정부출연과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과제명주관부서연구기간정부출연금관련제품비고
항암 항체 신약, 항 AITR 항체 |
범부처 신약개발 사업단 | '15.02∼'17.06 | 약 11억원 | EU102 | 완료 |
항암 T세포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 |
산업통상자원부 | '13.11~'18.10 | 45억원 | T세포치료제 | 완료 |
EU101 4-1BB agonistic antibody | 국립암센터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 |
'18.09~'21.04.30 | 약 51억원 | EU101 | 완료 |
4-1BB 기반 자가 유래 암항원 특이적 T 세포 치료제 (앱비앤티셀, 터티앤티셀, 위티앤티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20.07~'20.12 | 약 1억 6천만원 | T 세포치료제 | 완료 |
4-1BB 기반 자가 유래 암항원 특이적 T 세포치료제 |
창업진흥원 | '21.01~'21.12 | 약 1억 5천만원 | T 세포치료제 | 완료 |
COVID19-ACE2 단백질 치료제 개발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20.12~'22.11 | 4억원 | EU129 | 진행중 |
4-1BB 기반 자가 유래 암항원 특이적 T세포치료제 및 CAR-T 치료제 |
창업진흥원 | 22.01~22.12 | 약 1억 5천만원 | T 세포치료제, CAR-T 치료제 |
진행중 |
주) 정부보조금으로 인식한 상기 금액은 당사의 계좌로 입금된 금액입니다. 단, 정부보조금으로 인식하지 않은 국고보조금의 경우, 당사의 계좌로 입금되지 않고 사업단의 별도의 계좌로 국고보조금 및 회사분담금을 납입하는 형식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
'심심할 때 볼만한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틸렉스 2022.08.16 연결재무제표 주석 (0) | 2022.08.25 |
---|---|
유틸렉스 기타 참고사항 (0) | 2022.08.25 |
유틸렉스 22.08 위험관리, 파생거래, 매출 및 수주상황 (0) | 2022.08.25 |
유틸렉스 사업개요, 원재료, 생산설비 (0) | 2022.08.25 |
우리금융지주 반기보고서 (0) | 2022.08.25 |